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 위턱굴의 체질인류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

        이덕구(Duk-Ku Lee),정화해(Haw-Hae Jeong),서윤경(Youn-Kyung Seo),백두진(Doo-Jin Paik) 대한체질인류학회 2008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21 No.1

        위턱굴은 각 인종마다 위턱굴의 크기와 특징이 다른 것으로 알려져 각 민족을 구분 짓는 기준이 되는 중요한 체질인류학적 구조물이므로 한국인 위턱굴 부피의 특성을 구명하고자 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고정된 한국인 시신 44구(남자 23구, 여자 21구, 평균나이 67.7세)의 머리뼈 88쪽을 대상으로 하여 위턱굴의 크기와 부피를 계측한 후 Anagnostopoulou 등(1991)과 Fernandes (2004)의 분류기준에 따라 위턱굴의 유형과 안쪽 코안벽면적을 분류하였다. 위턱굴의 부피는 평균 12.83±5.41 ㎤로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양쪽 부피가 대칭인 경우가 70%였다. 위턱굴의 너비는 평균 26.59±4.96㎜이었고, 높이는 26.65±6.16㎜이었으며 위턱굴 방사선사진에서 위턱굴의 앞뒤길이는 평균 36.99±4.72 ㎜, 실측한 위턱굴의 앞뒤길이는 평균 32.84±4.96㎜이었다. 위턱굴의 유형은 반타원구형이 39.19%로 가장 높았으며, 안쪽코안벽면적은 small형이 50%로 가장 많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인의 위턱굴 부피의 특성을 구명하고 체질인류학적 지표가 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The maxillary sinus is an anthropological landmark because of difference of volume of maxillary sinus among persons of different ethnic origin.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provid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s maxillary sinus. The size and volume of maxillary sinus were measured in 44 Korean skulls 23 males and 21 females from cadaver. The shapes of the maxillary sinu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Anagnostopoulou et al. (1991) and the sizes of the medial antral wall area of the maxillary sinu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Fernandes (2004b). The mean volume of maxillary sinus was 12.83±5.41 ㎤,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ales and females. Bilateral sy㎜etry of the volume of the maxillary sinus was observed in the 70% of the specimens. The width of maxillary sinus was 26.59±4.96 ㎜. The height of maxillary sinus was 26.65±6.16 ㎜. The anteroposterior length was 32.84±4.96 ㎜. The anteroposterior length measured on C-Arm radiography was 36.99±4.72 ㎜. The shape of maxillary sinus was semi-ellipsoid and the majority (50%) of the shape of medial antral wall area of maxillary sinus was the type of sm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ful to clarify the anthrop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xillary sinus in Korean, and to provide an index of ethnic classification for the medial antral wall area.

      • KCI등재

        발치 시 설신경의 손상에 대한 치과의사의 책임에 대한 고찰 - 대법원 2016.03.24 선고 2014다10113 판결(파기환송)을 중심으로-

        이덕구 ( Lee Duk-ku ),김기영 ( Kim Ki-young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法學硏究 Vol.25 No.4

        하악골 사랑니를 제거하는 것은 턱관절부분에서 가장 빈번한 수술 절차 중 하나이다. 불행히도 합병증은 어떠한 경우에도 배제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하치조 신경, 설측 신경 및 하악골 골절에 대한 상해는 드문 경우이지만, 종종 민사상 의료책임소송이 제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랑니 발치 등의 합병증문제와 관련하여 검토하고 수술에 대한 최소한 요건을 충족할 수 있는 의무들과 관련하여 판결을 분석하고 있다. 설신경 손상과 관련하여 그동안 판결들이 법원들마다 다른 것도 있다. 몇몇 판례는 주의의무를 사실상의 추정한 경우도 있는가하면 과실을 부인하고 위자료만 인정한 사례 혹은 기각한 사례도 있다. 뿐만 아니라 발치과정에서 신경손상에 대해 치과의사의 과실판단이 매우 엄격하게 해부학적인 판단을 기준으로 이루어져 합리적인 과실판단을 도출하고 있다는 점에서 대법원의 판단은 환영할 만하다. 하지만 이러한 설신경손상에 대한 해부학적 검토에 따라 진료과실에 대한 인과관계의 판단에서 그동안 사실상의 추정원칙의 적용에 대한 한계를 해부학적인 사실관계에 찾고 있다는 점에서 발치과정에서 신경손상에 대해 시술상 치과의사의 주의의무가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고 본다. 그 외에도 또 다른 책임근거로서 발치과정에서 신경손상위험에 대한 설명은 이러한 점에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중요한 기준이 되기 때문에 치과의사의 설명의무의 기준은 더욱 강화된다는 점에서 향후 치과의사의 책임에 중요한 결론을 도출하고 있다. The removal of lower wisdom teeth is one of the most frequent operations in oral surgery. Iatrogenic lesions of the lingual and inferior alveolar nerve and fractures of the lower jaw are rare, but can lead to actions for damage and compensation for personal suffering. Therefore wisdom tooth removal is a very important area for dentists to treat patients. Therefore we investigated court decisions concerning wisdom teeth and analysed them in regard to the obligation to provide information, documentation and the minimum requirements of the surgical treatment. Surprisingly, regarding injuries of the lingual nerve we found different opinions from various law courts. In some former decisions only the fact of the damage was equivalent to a lack of care, while recently other courts had the opinion that an injury of the lingual nerve could also be caused in spite of careful treatment. The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is seemed as desirable, in that the dentist's faulty judgment on the nerve injury in the extraction process is based on anatomical judgment, which leads to a very strict presumed fault rule. However, in the anatomical examination of these lesions, we have been searching for anatomical facts about the limitations of the application of the presumptive principle in the judgment of the causation to the medical malpractice. Even if the dentist does not maintain the professional level of the dentist, it does not deny the causation. With regard to lower damage all courts emphasized that the patient must be informed about the risk by the surgeon. In conclusion, the recent court decisions restrict the liability for complications but demand the observance of minimum requirements for the surgical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