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60년대 `개발동원체제` 균열의 봉합체로서 <팔도강산>

        이대범 ( Lee Dae Bum ),정수완 ( Jung Soo Wan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7 현대영화연구 Vol.13 No.2

        <팔도강산>은 대중적으로 성공한 국책영화이다. 성공적인 프로파간다는 대립하는 것처럼 보이는 대중과 국책의 긴밀한 뒤섞임을 통해서 완성된다. 따라서 <팔도강산>에서 가족코미디를 대중적 요소로, 스펙터클한 산업현장의 이미지를 국책 요소로 읽어내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팔도강산>의 두 축인 가족코미디와 스펙터클한 이미지에 드러난 대중과 국책의 긴밀한 뒤섞임을 살펴보고자 했다. 산업현장의 이미지는 이미 쿠데타직후부터 시각 이미지, 특히 우표를 통해 청사진으로서 일상에 침투해 있었다. 따라서 <팔도강산>은 스펙터클한 이미지의 재현에 머무르지 않고 `속도`를 강조하여 청사진을 현시했다. 1960년대 초반 아버지의 무능을 기반으로 한 가족코미디의 구조를 가져온 <팔도강산>은 대중의 기대를 배반하며 속도에서 벗어났던 아버지가 속도의 중심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보여준다. 결국, <팔도강산>은 멈춤 없는 전진을 위한 1960년대와 1970년대의 매끄러운 가교이다. <팔도강산>에서 시작한 팔도강산 시리즈는 가족에서 국가로, 국가에서 민족으로 이어지며, 균열 없는 `상상의 공동체`를 구축 했다. < Paldogangsan >(English title `Six Daughters`) is successful National Policy Film in popularity regard. Propaganda is reached by combine popularization with national policy which have been regarded as different constituents from one another. This study, consequently, trace on combine strategy of both constituents in < Paldogangsan >. Princely images of industrial site had been built into daily life already as blueprint for the future with visual culture, especially commemorative stamps, since 5.16 Military Coup. Thus, < Paldogangsan > exhibit the blueprint as though as if real with emphasize `speed` and not imagination with spectacle. < Paldogangsan > has similar scheme as early 1960s Korean Family Comedy Film that had based father as incompetent patriarch. But father in < Paldogangsan > taking shift steps from outsides of `speed` to mainstream. Ultimately, < Paldogangsan > has acted as mediators between 1960s and 1970s for proceed with dictatorship. Beginning in < Paldogangsan >, The Paldogangsan Series established `Imagined Community` firmly by integrating family as nation.

      • KCI등재

        ‘포스트식민적 망각’으로서 <남과북>

        이대범(Lee, Dae bum)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21 씨네포럼 Vol.- No.38

        <남과 북>은 이산의 고통을 담은 멜로드라마로 이데올로기에 대한 전면적 회의를 드러낸 영화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남과 북>이 강조하는 분단의 비극이 이 영화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한다. <남과 북>은 남과 북의 군인(장일구, 이해로) 사이에 놓인 고은아를 배치하여 선택의 난처함을 강조한다. 고은아는 과거 장일구의 연인이지만, 현재 이해로의 아내이다. <남과 북>의 서사를 추동하는 비극의 시작은 식민시기 아시아태평양 전쟁의 징집이다. 그러나 <남과 북>은 명증하게 제시된 비극의 순간을 후경으로 밀어내고 분단을 비극의 전경에 배치한다. 이러한 <남과 북>의 영화적 구조는 망각을 통해 선택된 기억을 강화하는 포스트식민적 망각(amnesia)의 메커니즘을 보여준다. 장일구는 고은아를 만나기 전까지 군사 정보를 내놓지 않겠다고 말하며 귀순의 순간을 지연시킨다. 이는 영화에서 장일구의 강렬한 사랑으로 의미화된다. <남과 북>은 이때 권 중령을 배치하여 정보량의 완급을 조정하여 이들의 상봉을 ‘국가의 이익’이 마련한 자리임을 강조한다. 즉, 권중령 마련하려는 상봉은 ‘비국민의 사랑’이 아닌 ‘국민의 사랑’이다. <남과 북>의 이러한 구조는 제국 일본을 과거에 결박하고, 고도성장기 일본과 새로운 안보·경제 관계를 설정하려 했던 한일 국교정상화의 논리와 맞닿아 있다. 식민과 포스트식민을 연결하여 그곳에서 난반사하는 감각에 주목할 수 있는 관전사가 필요한 지점이다. 물론, <남과 북>이 관전사적 시각에 부합하는 텍스트는 아니다. 그러나 단절의 매커니즘 작동방식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관전사의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는 텍스트라고 생각한다. The North and South has been considered a skeptical feature of ideology through separated family melodramas. This study begins with questions on a function of an inter-Korean tragedy as a national sorrow in The North and South. This study starts from a question on a function of an inter-Korean tragedy as a national sorrow in The North and South. That tragedy sprang from the female protagonist’s embarrassing choices in a love triangle. Ko Eun-ah as an axis, Jang Il-gu is her old flame in the colonial era and Lee Hae-ro is her husband. In the film, the prelude to tragedy is the draft during the Asia-Pacific War. But it has not a crucial impact on the spectator’s pathos. It has been superseded by an inter-Korean matter unwittingly. The North and South, as it were, invokes the mechanism of post-colonial amnesia which retains selective memory through oblivion. In that process, one person who is in the eternal triangle is divided and classified as a non-citizen. The man (Jang Il-gu) from the north is not an ideological vert, thus he cannot be a legal Korean in the south and must be distinguished from citizens (Lee Hae-ro and Lee Hae-ro’s superior lieutenant colonel Kwon). Jang Il-gu has tried negotiation that confirms a reunion with Ko Eun-ah for military information in succession and has slowed defection to the southern. Then his endeavor has been seen in an intense of love at the risk of his life. At every moment, lieutenant colonel Kwon repeatedly stressed that ‘a benefit of nation’ makes the reunion possible through control the informative amount within triangular lovers. Hereby the reunion which is provided by Kwon is not ‘a love for non-citizens’ but ‘a love for citizens.’ A swift and skillful mechanism in The North and South is connected with the normalization of South Korea-Japan’s universe that binds imperial Japan in the past and affiliates economic cooperation with the newly high-growth postwar Japa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re-confrontation and disputability of trans-war historical approach to The North and South.

      • KCI등재

        ‘집’ 나온 여성들의 발화

        이대범(Lee, Dae Bum)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6 씨네포럼 Vol.0 No.24

        전근대와 근대의 충돌이 빚어낸 시공간은 누군가에게는 ‘축제’이지만, 누군가에게는 ‘혼란’이다. 전근대적 체계에서 억압된 발화자들의 수런거림은 굳건하게 유지하던 체계에 틈을 낸다. 이러한 시공간에서 생산된 이데올로기는 ‘텍스트’를 통해 유통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렇게 표면화된 텍스트는 의식적이건 무의식적이건 전근대와 근대의 충돌과 긴장을 내재한다. 그러기에 텍스트에서 두 관념의 개입, 충돌, 조우가 어떤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는지를 살펴야 한다. ‘집’이라는 폐쇄적 공간에서 고립되어 있던 여성이 ‘거리’라는 해방의 공간으로 나왔다. 집 밖으로 목소리조차 넘지 말아야 했던 여성들이 ‘거리’에 등장했다는 것은 하나의 ‘사건’이다. <미몽: 죽음의 자장가>(양주남, 1936)와 <자유부인>(한형모, 1956)은 ‘집 나온 여성들이 결국, 집으로 귀가’하는 서사이다. 본 글에서는 두 영화에서 집을 나온 애순, 선영, 윤주를 통해 이들이 집을 나왔다는 탈주 경험이 굳건한 전근대적 관념에 어떤 균열을 내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거리’에 나온 여성들은 ‘바라보는 남성’의 시선에 의해 ‘보여지는 여성’이다. <미몽>과 <자유부인> 등장하는 남성은 거리에 나온 여성을 성적 대상으로 바라보면서도, 집으로 돌아가라고 강요한다. 거리에 나온 여성들을 성적 대상으로 바라보는 남성은 서사이면에 숨는다. 그리고 현모양처론을 주창한다. 여성들의 ‘자발적 자유 의지’는 거세되고, 여성들은 종국에는 허영심과 사치로 가득한 그리고 자신의 욕망을 위해 가족을 저버린 인물로 형상화한다. 그렇다면 가부장적 전근대 논리가 작동하는 ‘집으로 돌아왔다’의 지점보다는 그들이 ‘거리에 나왔다’는 점에 방점을 두고 텍스트를 읽어야 한다. 이때 비로소 평면적으로 인식되던 거리에 나온 여성의 입체적 운동성이 드러난다. ‘보여지는 대상’이었던 여성은 ‘말하는 자’로 변모했으며, 가부장적 질서로 다시 되돌아가는 사람이 있다면(애순과 선영) 자신의 자유를 끝까지 밀고 가서 변혁의 불가능성의 모순을 온 몸으로 말하는 자(윤주)도 있다. 애순의 “나는 새장의 새가 아니에요”라는 말은 20년이 지나 윤주에 와서 ‘실천’이 되었다. Time-space which made by a clash between pre-modern and modern is a ‘festival’ to someone and also ‘chaos’ to the others. In pre-modern system, talking in a group of repressed speakers produce a crack in the system; pre-modern which retained strongly. Ideology is produced in this time-space and distributed by ‘text’. Important thing is that the text which came to surface either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contain a clash and tension between pre-modern and modern. So we must check the text in some way intervention, clash and encounter of two ideology are comprised. Women that isolated in ‘home’ which is closed place appeared on ‘street’ which is a liberation place. It is an event that women who should not climb their voice over a wall(home) are appeared on a street. Sweet Dream(1936) and Madame freedom(1956) are epics of women left home eventually return home. In this article, through Aesun, Seonyeong and Yoonjoo who left home in both films, examine in the experience of escape make what crack in strong pre-modern ideology. Women on the ‘street’ are a ‘showed up woman’ by eyes of ‘looking masculine’. Man in Sweet Dream and Madame freedom looking the woman on the street as a sexual objets and force them to return home. Man that is looking the women who come out on a street as a sexual objet hide behind the epic. And advocate the good wife and wise mother theory. Women"s ‘voluntary free will’ is castrated and in the end women are embodied in character of leaving their family for desire and character filled with vanity and indulgence. So we should read the text marking with a side dot better they are ‘appeared on a street’ than they ‘return home’ where patriarchal pre-modern logic work. Then for the first time solid activity of women on the street which was recognized as flat emerge. Women that were ‘shown object’ turns into ‘speaker’, and there is a person who returns to patriarchal family order also there is a person (Yoonju) who speaks contradictions of impossibility of revolution with everything pushing their freedom till the end. The Aesoon"s words “I"m not a bird in the cage.” are ‘fulfilled’ in 20years later with Yoonju.

      • LED조명의 필요성과 기술적인 개선방향

        최광주(Choi-Kwang Ju),정형용(Jung-Hyung Yong),이대범(Lee-Dae Bum),현종필(Hyun Jong Pil),백동현(Baek-Dong Hyun) 대한전기학회 2010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11

        본 논문은 고유가 시대와 지구 온난화로부터 화석연료 사용규제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시점에서, 백열천구 대비 20배 이상에 이르는 긴 수명과 10분의 1에 불과한 에너지 사용량을 가진 LED 조명에 대한 필요성과 개선방향에 대하여 논한 것이다. 백색 LED제조를 위해서는 형광체에 대한 license 확보가 선행되어야 하며, 실용화와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서는 핵심기술로의 지원, 국제표준 및 특허대응, 글로벌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가적인 투자 정책이 필요하다. 아울러 발광효율의 향상, 연색성, 가격문제, 기능평가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또한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미래 광원으로서 가치가 매우 크게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