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식이를 통한 식품첨가물의 섭취량에 관한 연구 - 식용색소적색제2호, 적색제3호 및 적색제40호를 대상으로 -

        박성관(Sung-Kwan Park),이달수(Tal-Soo Lee),박승국(Seung-Kook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1

        본 연구는 식품의 종류, 연령에 따른 3종 식용적색타르색소의 소비실태를 파악하고 식이를 통해 실제 섭취되는 색소의 총 섭취량을 조사하여 FAO/WHO에서 설정한 일일섭취 허용량(ADI)과 비교검토함으로서 ADI 관련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실제 섭취량과 ADI간 안전수준평가 및 관련 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제품 중 빵, 과자, 사탕, 주류, 청량음료, 아이스크림, 껌, 초콜릿 등 총 8종 369품목의 시료를 수집한 후 분석대상식품별로 함량을 측정하고 국민영양조사자료에 근거하여 식품의 종류와 연령에 따른 색소별 실제 섭취량을 산출하였다. 시료전처리 후 HPLC법에 따라 정성ㆍ정량분석을 행하였을 때, 분석 대상식품의 회수율은 85.1~100.4%로 양호하였다. 분석된 결과로부터 일일추정섭취량(EDI)을 산출한 결과, 대상식품별 색소의 총 EDI는 0~1.632 ㎎/person/day의 범위이었으며 청량음료에서 가장 높았고, 연령대별 색소의 총 EDI는 0.512~7.281 ㎎/person/day의 범위로 13~19세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국민영양조사표의 식품별 1인1일당 섭취량과 색소별 평균검출농도로부터 EDI를 산출하였을 때, 3종의 식용적색타르색소별 총 EDI는 각각 R2 0.742, R3 0.391, R40 2.018 ㎎/person/day로 각 색소의 ADI를 국민평균체중 55 ㎏으로 환산한 5.5~385 ㎎/person/day와 비교하였을 때 매우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식이를 통한 우리나라 국민의 식용적색타르색소별 일일 추정섭취량은 FAO/WHO에서 평가된 ADI의 0.5~7.1%이었으며, 총 식용적색타르색소의 섭취량도 ADI 대비 약 0.8%로 식품을 통한 섭취는 안전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measure the amount of daily intake on three synthetic food red colors (Amaranth: R2, Erythrosine: R3, Allura Red: R40) in foods by Korean. Analysis of three synthetic food red colors was conducted by HPLC with the foods including bread, confection, candy, alcoholic beverage, soft drink, ice cream, chocolate, and chewing gum. Recovery rates from the known concentrations of three standard food red colors which were spiked into foods were ranged from 85.1 to 100.4 (%) for each foods. Total Estimated Daily Intake (∑EDI) was from 0 to 1.632 ㎎/㎏ bw/day for each food item and from 0.512 to 7.281 ㎎/person/day for ages (1~over 65 years old). The data of average food intake for each food item per person per day were obtained from the report of Korean National Nutrition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2001. Total EDI of each red colors per person per day were showed as follows; 0.742 ㎎/㎏ bw/day for R2, 0.391 ㎎/㎏ bw/day for R3 and 2.018 ㎎/㎏ bw/day for R40 as total amount respectively, and the ranges of these values were 0.5~7.1% of FAO/WHO's Acceptable Daily Intake (ADI) values. Therefore, the amount of daily intake of three synthetic food red colors in Korea was regarded as safe.

      • KCI등재

        Comparison of Boiling Point and Distillaiion Ranige, Melting Range, and Identification Methods of Various Organizations on Synthetic Food Additives

        신동화,김용석,이영환,방정호,엄애선,신재욱,이달수,장영미,홍기형,박성관,권용관,박재석,Shin Dong-Hwa,Kim Yong-Suk,Lee Young-Hwan,Bang Jeong-Ho,Om Ae-Son,Shin Jae-Wook,Lee Tal-Soo,Jang Young-Mi,Hong Ki-Hyoung,Park Sung-Kwan,Kwon Yong-Kwan,P The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2005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20 No.3

        식품첨가물공전의 일반시험법 중 비점 및 유분측정법, 융점측정법 및 확인시험법에 대하여 국내에 유통되는 식품 첨가물을 대상으로 한국, 일본, JECFA및 미국의 시험법에 따라 비교?분석하였다. 한국의 식품첨가물공전에서 비점을 측정하는 품목은 프로필렌글리콜 1품목이었고, 이 품목에 대하여 한국방법에서는 비점으로, 일본방법은 유분으로, JECFA와 미국방법은 증류가 일어나는 온도로 표시하도록 되어 있었으며, 측정결과 규격에 적합하였다. 유분측정법은 한국과 일본방법에서는 유분으로, JECFA와 미국방법에서는 증류온도로 표시하였다. 프로피온산의 유분은 4 기관의 규격에 모두 적합하였으며, 일본방법에는 이소프로필알콜에 대한 규격기준이 없었다. 응점측정법은 4 기관의 방법이 동일하였으며, 한국 식품첨가물공전에서는 28품목이 해당되었다. D-Mannitol의 경우 기관마다 규격기준이 약간 달랐으며, 미국방법에서는 L-ascorbic acid, calciferol 및 fumaric acid에 대한 규격이 설정되어 있지 않았다. 한국 식품첨가물공전에서 확인시험을 하는 화학적합성품은 251품목이었으며, 과망간산염, 글리세로인산염, 브롬산염, 치오황산염 및 브롬화물 등 5항목에 해당하는 개별품목은 없었다. 안식향산염 시험에서 안식향산칼슘은 가열해야 녹았으며, 구연산철은 한국과 일본방법 (2)에서 모두 구연산염의 확인이 불가능하였다. 암모늄염, 젖산염, 마그네슘염, 제이동염, 황산염, 인산염 및 아연염 시험법은 4기관에 모두 동일하였으며, 현행 시험법에 의해 모두 확인이 가능하였다. Boiling point and distillation range, melting range, and identification methods in general test method of Korea, Japan,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f Food Additives (JECFA), and USA on chemical food additives were compared. Boiling point of propylene glycol was indicated as boiling point in Korea, distillate in Japan, distillation range in JECFA and USA, and its value was up to the standard. Distillation range of propionic acid was indicated as distillate in Korea and Japan, distillation range in JECFA and USA, and its value was up to the standard. There is no standard on distillation range of isopropyl alcohol in Japanese method. Test method of melting range on synthetic food additives was identical in all organizations, and there are 28 items to which this test method applies in Korean Food Additives Code. The standards on molting range of D-mannitol were different in various organizations, and in USA method there are no standards to which L-ascorbic acid, calciferol, and fumaric acid apply. Synthetic food additives performing the identification test were 251 items in Korean Food Additives Code, but there are no items to which manganese, glycerophosphate, bromate, thiosulfate, and bromide apply. Calcium benzoate was dissolved by heating in benzoate test and we could not identify the citrate in ferric citrate by method (2) of Korea and Japan. Identification test methods for ammonium, lactate, magnesium, copper, sulfate, phosphate, and zinc were identical in all organizations, and these could be identifed by current identification methods.

      • 식품 중 홍국색소의 분석법에 관한 연구

        이달수,이영자,권용관,박재석,고현숙,심규창,이주연,신재욱,송지원,이철원 식품의약품안전청 2000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4 No.-

        우리나라에서 허용된 ·천연색소인 흥국색소는 "천연식품』식육류, 어괘류(경육포함), 과실류, 채소류, 해조류, 두류 등 및 그 단순가공품(탈피, 절단 등)], 다류, 고춧가루 및 실고추, 김치류, 고추장 및 식초"에 사용금지토륵 사용기준이 규정되어 있으나, 현재 식품중 흥국색소의 분석방법이 아직 확럽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므로 식품중 흥국색소의 최적분석방법을 확립하고자 하였으며, 확립된 분석법을 적용하여 국내유통중인 식품중 홍팍색소의 함유량을 조사하여 추후 식품중 홍국색소의 사용기준준수여부 확인시 정보제공 및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챙하였다. 파라서, 식품중의 흥국색소는 TLC, HPLC,Prep. fTPLC, IH-NMR 및 hfS로 홍국색소성분 중 monascin과 ankaflavin을 분리 ·확인하였으며, 이 두 성분을 표준물질로 하여 다음과 같은 정량분석법을 확여하였다. 역상계 칼럼인 Capcetl pak Cls Uc120을 이용하여 HPLC 분석을 하였으며, 이 때 이동상 및 파장조건은 각각 메탄을 :물 :초산(75: 쪼 :0.5) 및 390nm이었타. 조사대상식품인 국내유통 가공식품중 맛살 180품목, 소시지 75품목, 혼합어 육소시지 24품목, 반건조소시지 3품목, 혼합프레스햄 3품목 및 시럽 3품목 등 총 6종 2겐품목에 대하여 monascin과 ankaflavin의 함량을 확립된 분석법으로 정량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Monascin은 맛살중 78품목인즉불검출, 102품목에서 0.Ol~3.31#9/9이 검출되먼으며, 혼합어육소시지중 31품목이 불검출, 3품목에서 0.05~.0.10#9/g이 검출되었으며, 반건조소시지 3품목은 0.34~o.35#9/g이 검출되었고,나머지 품목에서는 모두 불검출인었다. 한편, Ankaflavin의 경우 맛살에서만 148품목이 불검출, 32품목이 0.02~o,89#9/9이었으며, 나머지 품목에서는 모두 불검출이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development of new analytical method of ffouoscus pigment in foods. In this method, analysis of ffongscur pigmnet in foods has beencarried out by deteccon of monascin and ankafBavin, the main color component of ffonorcuspigment as indicator compoIMds. Monascin and ankaflavin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by TLC,HPLC, Prep. HPLC, If-NMR and'MS. The analysis of monascin ana ankaflavin in foods sochas massal, sausage, mixed press ham, mixed fish sausage, semi-dried sausage and syrup wasperformed using reverse pti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 with Capcell Pak Cl8column at wave length 390nm. The quantitative results of monascin were as follows : ND for78 items and 0.01 ~3.31.og/g for 102 items in massal, ND for 21 items and 0.05~o.10#g/g for 3items in mixed fish sEusage, and 0.34 ~O.35r9/g in semi-dried sausage. But the quantitativeresults of ankaftavin were as follows : ND for 148 items and 0.02~o.89rg/g for 32 items inmassal, ankaflavin were not founded in other samples

      • 식품중 락색소 분석법에 관한 연구

        이달수,이영자,권용관,박재석,황정연,이주연,송지원,정보용,이철원 식품의약품안전청 2001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5 No.-

        우리나라에서 허용죈 천연색소인 락색소는 "천연식품(식육류, 어촉류(경육포함), 과실류, 채소류, 해조류, 두류 등 및 그 단순가공품(탈괴, 절단 등)1, 다류, 고춧가쿠 및 실고추, 김치류, 고추장 및 식초"에 사용금지토록 사용기준이 규정뵉어 있으나, 현재 식품중 락색소의 분석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Reverse-phase(RP) fLC와 annin르 densitometry를 이웅하여 식품중 락산소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시험용액의 조제는 각 시료를 80%-methano'tic oxalic acid를 가하여 춘출힌 다음 Sep-Pak Cl8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cBefn up(정제)한 후 감압농축한 액을 TLC용 시험용액으로 하여 박층크로마토그라피를 하였으며, 이때 박층판은 RP-18 FW찐s HPTLC를 사용하였고, 전개응v는 MeO . 0.5 moVL-80% methanolic oxalic acid = 6 : 4를 사웅하여 전개시 가장 양호하였다. 또한 시험용액을 박층판에 전개완료 시킨 후 시험용액과 색소표준용액예서 얻어진 각 spot는 scannlnf densitomefry를 사웅하여 파장 200~700nm의 벙위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비교하여 극각뵉 색소 성분을 정량하였다 상기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국내유통 가공식품 B겐품목에 대한 락색소 합유량을 조사한 결과, laccaic acid a의 경우, 햄은 149품목에서 2.36~83.61#9/g이 검출되었으며, 4픔목은 불검푿이었다. 소시지는 79품목케서 2.22~38.61#9/g이 검출되었으며. 2품목에서 불검출이었고, 쨈은 9품목 모두에서 63.56~97.38린이 검출되었다, 또한 응료는 14품목에서 5.13~16s.52#5'g이 검출되었으며 4룸목은 불검출끼었고, 랏살은 9품목에서 8.83~28.4ir9/9이 검출되었고, 5품목에서는 불겅출되었다. 과지는 9품목에서 6.10~30.SCi#s/g이 겊출되었고. 나머지 9품목에서는 불검출이었다. 한편, laccaic acid c는 288품목 모두 분검출이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development of neu# anal!·tica3 method of loc figrlenfr in foods. The technique consisted of clean-up of the colors with a Cl8 cartridge,separatioR of the colors by ret·ersef-phase Cl8 TLC uslng methano3-0.5 mol/L oxalic acid (6:4)as a solvent system and nleasurement of visible absorption spectra of the colors usingscanning densitometr)· wil:bout isolation of the color. The separation and the spectra obtainedwere not affected by coefisting substances in the foods and the spots atlt·ays gave the sameRf Iralves and spectra as the standards, with good reproducibility. The anal)isis of laccaic acida and laccaic acid c in feods surh as ham, sausage, massal, beverage, cookie and jam wasperformed using scanning densitometry with RP-18 FU'234s plate, MeOH : 0.Smof/L-80%rilethanolic oxalic acid (6 : 4) as eluent. The auantitative results of laccaic afid a were asfollows : 2.36~83.61#9/9 for 149 item and ND 4 item in ham, ND for 2 item and 2.22~SB.61#e/g for 79 item in sausage, and 63.56~97.38r9/9 for 9 item in Bam. ND for 4 item and 5.13~165.52r9/9 for 14 item in drirdt: ND for 9 item and 6.to~30.30#9/9 for 9 item in cookie. Whiletaccaic acid c were not founded in all samples

      • KCI등재

        쌀의 重金屬 移行蓄積에 關한 調査硏究

        李達秀,李容旭 대한보건협회 1982 대한보건연구 Vol.8 No.2

        This experimental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translocation of heavy metals in rice, Oryza Sativa L., under wet culture by using two small sized rice pads made of cement structure. One of the rice pads, named Test group, was applied with Methyl Mercury Chloride, Metallic Cadmium, Lead Acetate, Cupric Sulfate as pollutants, and soil, straw and rice collected following fall were analyzed, and heavy metal content of each group was compared.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1. In the test group, heavy metals were found in soil at the content level of Mercury 11490.6 ppb, Cadmium 17.88 ppm, Lead 165.44ppm, Copper 145.60ppm, Arsenic 17. 7 ppm, and in rice at the content level of Mercury 2395ppb, Cadmium 0.84ppm, Lead 0.21 ppm, Copper 3.25ppm, and Arsenic 0.24ppm. 2. In the control group, heavy metals as naturally occuring were found in soil at the content level of Mercury 94.2ppb, Cadmium 0.48ppm, Lead 43.96ppm, Copper 18.43ppm, Arsenic 3.9ppm, and in rice at the content level of Mercury 11.3ppb, Cadmium 0.007ppm, Lead 0.17ppm, Copper 2.11ppm and Arsenic 0.06ppm. 3. In the ratio of heavy metals found in rice and soil of the test group, Mercury was highest among the five heavy metals, and Cadmium fell on the next priority of high value, and Arsenic, Copper and Lead were regarded as heavy metals being poorly translocated in rice. 4. In the straw, Mercury and Cadmium which were regarded as easy translocating heavy metals did not show the difference of the content level between trunk and leaves while Arsenic, Copper and Lead were found higher in leaves than in trunk. 5. Mercury was found higher in rice than in straw while other heavy metals were usually found higher in straw than in r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