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년기의 생명윤리와 사생관:자살, 임신중절 및 장기기증을 중심으로

        이누미야요시유키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lements included in views of life and death in young adulthood. On the assumption that one's afterlife views and attitudes toward death influence life respect will, such as suicide inhibition, abortion inhibition and organ donation intention, the present investigation tried to construct a model on views of life and death. A hypothetical covariance structure model on views of life and death was tested. Participants were 456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regard to the determinants of suicide inhibition, belief in afterlife and retribution was found to have facilitatory influence on suicide inhibition, and belief in souls' effects and transmigration, positive meaning of death and death awareness were found to have inhibitory influence. Second, in regard to the determinants of abortion inhibition, belief in afterlife and retribution was found to have facilitatory influence on abortion inhibition. and belief in souls' effects and transmigration, negative meaning of death were found to have inhibitory influence. Third, in regard to the determinants of organ donation intention, belief in afterlife and retribution, positive meaning of death and death awareness were found to have facilitatory influence on donation intention, and belief in souls' effects and transmigration was found to have inhibitory influence.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contributed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view of life and death in young adulthood by constructing a structural model of views of life and death including afterlife views, meanings of death, death anxiety, death concern and life respect will. 본 연구에서는 내세관과 죽음에 대한 태도의 관점에서 생명존중의지를 설명하는 사생관 구조 모형(이누미야, 한성열, 2004)의 수정이 시도되었다. 즉, 사생관의 전체적 구조를 밝히기 위해 한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살, 임신중절, 장기기증 등의 청년기와 관련이 깊은 생명윤리문제에 대한 태도를 개별적으로 설명하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아울러 사생관의 구조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인들에 대해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청년들의 자살억제의지, 중절억제의지, 장기기증의도를 형성하는 데 있어 공통적으로 내세지향성이 정적 영향을 주는 반면, 현세회귀성은 부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죽음에 대한 해석 가운데서 해방 차원은 자살억제의지를 약화시키고, 허무 차원은 중절억제의지를 약화시키며, 집대성 차원은 장기기증의도를 강화시키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죽음관심은 장기기증의도를 강화시키는 반면, 자살억제의지를 약화시키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사생관의 구조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인으로서 성별, 죽음 관련 경험 등을 검토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수정 모형 적용상의 유의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사생관 척도의 개발

        이누미야요시유키,한성열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velopment of a synthetic scale to measure young adults' views of life and death. Participants were 610 university students. The authors developed a View of Life and Death Scale including several subscales of afterlife views(belief in afterlife and retribution, belief in souls' effects and transmigration), meanings of death(liberation, nature, integration, collapse, impact, futility), death anxiety, death concern(death acceptance, death awareness) and life respect will(suicide inhibition, abortion inhibition, organ donation intention). The present study contributed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view of life and death in young adulthood. This study, therefore, could work as a stepping stone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lements included in views of life and death in young adulthood and to explore the consequences and determinants of personal view of life and death. 본 연구에서는 일반 대학생을 대상으로 청년기 사생관의 전체적 구조를 밝히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즉, 자살, 임신중절, 장기기증 등의 청년기와 관련이 깊은 생명윤리문제에 대한 태도는 죽음에 대한 태도와 그 배경에 있는 내세관의 영향을 받아 형성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이들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밝혀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종합적인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우선 선행 연구들에 대한 검토 결과를 토대로 하여 종합적인 새로운 사생관 척도 제작을 시도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내세관 특성(내세지향성, 현세회귀성), 죽음의 의미(해방, 자연, 집대성, 좌절, 충격, 허무), 죽음불안, 죽음관여도(죽음수용, 죽음관심), 생명존중의지(자살억제의지, 중절억제의지, 장기기증의도) 등의 개념적 정의 및 조작적 정의를 재정립하였다. 이로써 개인이 가지고 있는 사생관을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으며 사생관의 내부구조를 밝힐 수 있는 도구가 마련된 것이다. 또한 그 동안 일부 요소(예컨대 죽음불안, 죽음관여도 등)와의 관계만이 연구가 가능했던 정신건강이나 심리적 적응 및 심리 사회적 발달과 죽음에 대한 태도의 관계를 사생관 전반에 걸쳐서 보다 체계적으로 검토할 수 있게 되었다

      • KCI등재

        주체성-대상성-자율성 자기 척도의 개발

        이누미야요시유키,한민,이다인,이주희,김소혜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1 No.2

        Following concepts introduced by Inumiya and Kim(2006), this study describes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the strength of an individual's subjective, objective and autonomous self-construals. These three representations of self are conceptualized as reflecting the emphasis on the relational position that displays social influence often found in Korean culture - subjective, the emphasis on the relational position that accommodates social influence often found in Japanese culture - objective, and the separateness and uniqueness of the individual - autonomous - stressed in the West. An 18-item Subjective/Objective/Autonomous Self-construal(SOAS) scale measuring three dimensions of self-image is presented. The SOAS scale was found to have satisfactory internal reliability. And it showe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ith measures of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Takata independent/interdependent self-construal scale; Takata, Ohmoto, & Seike, 1996) and interpersonal circumplex (Korean version of the Interpersonal Adjective Scale; Chung, 2004). Its implications for self-related processes and potential applications are discussed. 주체성-대상성-자율성 자기 이론(이누미야, 2004)은 한국인과 일본인의 심리적 차이와 같은 동일 문화권(동아시아 집단주의문화)내의 상이한 심리적 양상을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자기관 모델로 제시되었으나 이러한 자기관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아직 없다(이누미야, 김윤주, 200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체성-대상성-자율성 자기 개념을 측정하는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주체성-대상성-자율성 자기 척도의 양호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지지하는 증거를 얻었다. 주체성 자기, 대상성 자기 및 자율성 자기를 측정하는 각각 6문항의 척도에 대한 신뢰도 분석의 결과는 양호한 내적 일관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주성분분석의 결과는 각 척도의 1요인성을 강하게 시사하고 있다. 아울러 상호독립적-상호협조적 자기관 척도, 자기존중감 척도, 및 대인관계 형용사척도(KIAS-40)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른 변인과의 관계에 기초한 타당도의 충분한 근거로 간주할 수 있는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주체성-대상성 자기와 긍정적 환상의 관계에 관한 한일비교 연구

        이누미야요시유키 한국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an alternative model of cultural self-construals which can explain the differences in self-perception between South Koreans and Japanese. Traditionally accurate perception of self has been regarded as essential to mental health, but some researchers argue that positive illusions (or self-enhancing biases) are general characteristics of human thinking. Self-enhancement is one of the most reliable findings in Western cultures. However, many cross-cultural studies have found little or no such biases in Japan. Therefore, it has been argued that the cultural differences in self-perception reflect cross-culturally divergent view of self as independent (in European American cultures) or as interdependent (in Asian cultures). But this perspective cannot explain the positive illusions that South Koreans hav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d an alternative model of cultural self-construals: the subjective self of South Koreans vs. the objective self of Japanese. As required for theoretical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self-construals, we found that subjective self-construals were dominant in South Koreans(n = 158) and that objective self-construals were more pronounced in Japanese(n = 131). Also, as we had anticipated, South Koreans showed significantly more false uniqueness, perceived control, and unrealistic optimism than Japanese, and these positive illusions were related to stronger subjective self-construal and weaker objective self-construal for both South Koreans and Japanese. Therefore, we concluded that South Koreans show positive illusions because of their strong subjective self-construals and weak objective self-construals, whereas Japanese show weak or no positive illusions because of their weak subjective self-construals and strong objective self-construals. 본 논문에서는 한국인과 일본인 사이에서 폭넓게 드러난 자기평가의 차이를 조명함으로써 자기에 관한 긍정적 환상의 문화차를 상호독립적-상호협조적 자기관에 의해 설명하려는 기존 이론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긍정적 환상의 문화차를 설명하는 대체 모델인 주체성-대상성 자기 이론을 한국대학생과 일본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일본인을 대상으로 주체성-대상성-자율성 자기 척도의 교차타당화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주체성-대상성-자율성 자기 척도는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사용가능한 타당한 척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이론적 예상대로 한국인이 내면화한 문화적 자기관은 주체성 자기이고 일본인이 내면화한 문화적 자기관은 대상성 자기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한국인의 경우도 일본인의 경우도 허구적 독특성, 지각된 통제감, 비현실적 낙관성과 같은 긍정적 환상은 실제로 개인이 내면화한 주체성 자기와 정적 상관이 있고 대상성 자기와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대인관계의 분리-연결 차원뿐만 아니라 대인관계에서 영향력의 방향성 차원을 추가한 주체성-대상성-자율성 자기 이론은, 한국인과 일본인이 보이는 긍정적 환상의 문화차를 일관되게 설명함으로써, 심리적 과정과 사회적 행동의 문화적 다양성을 보다 정확하게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문화적 자기관 이론으로서의 일정한 타당성과 유용성을 구비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한일 비교 성격론의 정교화 및 확장을 시도하기 위해 자기평가 이외의 심리과정에 대해서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한국인의 주체성 자기와 일본인의 대상성 자기 형성의 가정적 및 사회문화적 배경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수면부족이 심리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적, 동기적 영향 연구의 개관

        이누미야요시유키 한국정신건강및행동분석학회 2023 정신건강 및 행동분석 연구 Vol.6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수면 실태를 파악하고, 수면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기초적인 인식을 제공하기 위해 수면부족이 심리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들을 개관하고자 하였다. 수면부족의 인지적 영향으로서 집중력, 기억력, 정보처리속도, 문제해결능력 저하의 원인이 되는 생리학적 기제, 학업성취, 업무수행능력, 치매 등에 대한 영향에 대해 살펴봤다. 정서적 영향으로서는 긍정적, 부정적 정서 경험에 대한 영향과 감정 조절 능력 저하와 관련된 뇌 기능에 대해 알아봤다. 동기적 영향으로서는 목표지향적인 노력에 대한 동기부여의 저하와 위험감수행동, 부정적인 충동 통제의 문제 등에 대해 살펴봤다. 마지막으로 앞으로의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내세관의 사회심리학: 일상생활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이누미야 요시유키,최일호,한성열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2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8 No.1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variations in personality variables according to different types for the Korean view of the afterlife, including 'extinction type', 'the other world-oriented transmigration type', 'heaven/hell type' and 'obscurity type'. The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other world-oriented transmigration type' and 'heaven/hell type' showed significantly stronger belief in a just world than 'extinction type', (2) 'extinction type' and 'obscurity type' showed more external attribution for accidents than 'heaven/hell type', (3) there was no difference in unrealistic optimism levels, (4) depending upon the types for the view of the afterlife, not only preferred self-enhancing biases but also positive illusions which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were different, (5) 'extinction type' showed stronger risk-taking tendency than 'heaven/hell type'. These results were explained in terms of features that belong to each afterlife view. Finally, we discusse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내세관과 사회 및 성격 심리학적 변인간의 관련성에 대해 검토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는 대학생 290명을 대상으로 네 가지 주요 내세관 유형, 즉 소멸형, 내세지향적 환생형, 천국지옥형, 그리고 불분명형의 심리적 특징들과 사회적 인지양식(지각된 세상의 공정성, 사고의 귀인, 부정적 사건에 관한 비현실적 낙관성), 긍정적 환상의 기능(문화적 자기관과의 관계, 생활만족도에 대한 기여), 및 위험감수(risk taking) 경향간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내세관 유형에 따른 몇 가지 심리적 특징의 차이가 밝혀졌다. 첫째, 내세지향적 환생형과 천국지옥형은 소멸형보다 세상의 공정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둘째, 사고 발생에 관한 귀인 양식에 있어 소멸형과 불분명형은 천국지옥형보다 외부귀인 경향이 강했다. 셋째, 비현실적 낙관성 수준에 관해서는 내세관 유형간에 차이가 없었다. 넷째, 내세관에 따라 상호독립적 자기관에 수반되는 긍정적 환상의 종류와 생활만족도에 기여하는 긍정적 환상의 종류에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소멸형은 천국지옥형보다 위험감수 경향 수준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들에 대하여 내세관 특성의 관점에서 해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긍정적 환상의 한일비교:주체성 자기와 대상성 자기에 의한 설명

        김윤주,이누미야요시유키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an alternative model of cultural self-construals which can explain the difference in self perception between South Koreans and Japanese. Traditionally accurate perception of self has been essential for achieving mental health. But some researchers argue that positive illusions(or self-enhancing biases) are characteristic of general human thinking. Self-enhancement is one of the most reliable findings in Western cultures. However, many cross-cultural studies have found little or no such self-enhancing biases in Japan. Therefore, it has been argued that the cultural difference in self perception reflects cross-culturally divergent view of self as independent(in Europian American cultures) or as interdependent (in Asian cultures). But this perspective cannot explain positive illusions that South Koreans hav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d an alternative model of cultural self-construals; subjective self of South Koreans and objective self of Japanese.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과 일본인이 갖는 자기인식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대안적인 문화적 자기관 모형을 제시하는 데 있다. 전통적으로는 정확한 자기인식이 정신건강의 필수 조건인 것으로 생각되어 왔으나, 최근 많은 연구자들이 긍정적인 환상(혹은 자기고양 편파)이 정상적인 인간 사고의 특징이라고 주장하기 시작하였다. 자기고양은 서양 문화에서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발견 중 하나이다. 그러나 많은 비교 문화 연구를 통해 일본에서는 그러한 자기고양이 거의 없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따라서, 자기인식의 문화적 차이는 문화에 따라 상이한 자기관, 즉 구미 문화의 상호 독립적 자기관과 동양 문화의 상호협조적 자기관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어 왔다. 그러나, 이 이론적 관점으로는 한국인이 가지고 있는 자기에 관한 긍정적인 환상을 설명할 수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고에서는 기존 이론의 가정들에 대해 검토한 후, 문화적 자기관의 대체 모델로서 한국인의 주체성 자기와 일본인의 대상성 자기 이론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과 일본에서 상호독립적-상호협조적 자기관이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공적자기의식의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선영,이누미야요시유키,김재신,최일호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19 No.4

        본 연구에서는 한국대학생 164명과 일본대학생 152명을 대상으로 한국과 일본에서 문화적 자기관과 대인불안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상호독립적, 상호협조적 자기관이 자아존중감과 공적자기의식을 통해 대인불안에 영향을 미친다는 모형을 제안하고, 이러한 모형이 한국과 일본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제안된 모델의 부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모델에 따르면 한국과 일본에서 모두 상호독립적 자기관은 자아존중감을 통해 대인불안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상호협조적 자기관은 공적자기의식을 통해 대인불안에 정적 영향을 주었다. 또한 한국에서 자아존중감이 공적자기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했으나 일본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자아존중감이 공적자기의식과 대인불안간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The present study is dealing the influence of independent-interdependent self-construal on social anxiety and the mediational effects of self-esteem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in South Korea and Japan. Participants were 164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152 university students in Japan. As a result, the goodness of fitness of the proposed model was acceptable. More specifically, in both countries independent self-construal was found to have inhibitory influence on social anxiety indirectly through self-esteem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was found to have facilitatory influence on social anxiety indirectly through public self-consciousnes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in Korea the influence of self-esteem on public self-consciousness is significant, but in Japan that influence is not significant. Lastly,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as suggesting that self-esteem can play a moderational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