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정맥류 환자의 수술적 치료 - 광투시 전동형 정맥적출요법 -

        이교준,김해균,정은규,강두영 대한흉부외과학회 2002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5 No.2

        본 연구는 광투시 전동형 정맥적출술의 안정성과 임상적인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1년 2월부터 2001년 7월까지 본원에서 하지정맥류로 진단받고 광투시 전동형 정맥적출술을 시행받은 104명의 환자를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1992년부터 2000년 12월까지 정맥결찰 및 제거수술을 시행받은 환자 90례를 대조군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수술시간 및 재원기간, 부작용등을 비교하였다. 총 104명의 환자중 여자는 72명 남자는 32명이었으며, 팽대된 정맥류는 2~3mm정도의 작은 피부절개창을 낸 후에 TrivexTM Irrigated Illuminator (Smith & Nephew) system으로 생리 식염수를 주입하여 수성박리(hydrodissection)을 시행한 후 TrivexTM Resector(Smith & Nephew) system을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제거된 정맥의 파편은 흡입기를 이용하여 흡인한 후 패드를 이용하여 압박하여 출혈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었다. 수술부작용은 정맥염, 하지부종, 피부천공등 3.84%이었으며, 평균 피부절개는 3.24개, 평균수술시간은 65.9%이었다. 환자는 평균 1.86일간 입원하였다. 하지 정맥류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서 광투시 전동형 정맥적출술은 수술시간 및 합병증의 발생에 있어서 기존의 수술적 치료방법과 비교하여 우수하며, 환자의 시간적, 경제적 부담이 적으며 재발의 위험이 적고, 미용적으로 우수한 좋은 치료방법이다.strumque paratus. The Procedeedings of the Straub Pacific Health Foundations. 1993;57:46-7.6.Vin F, Chleir F. Echo Doppler classification of postoperative recurrence of varicose veins in the region of the internal saphenous vein. Presse medicale 1998;27:48-52. Surgical Treatment of Varicose Vein- TIPP(Transilluminated Powered Phlebectomy) -

      • KCI등재후보

        Eisenmenger's 증후군이 동반된 동맥관 개존증환자에서의 순차적 양측 페이식술 - 1례 보고 -

        이교준,정은규,함석진,이두연,백효채,김해균,조현민 대한흉부외과학회 2002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5 No.1

        =Bilateral Sequential Single Lung Transplantation for Eisenmenger's Syndrome Eisenmenger's 증후군은 체-폐순환의 이상연결통로를 가진 환자에서 폐혈류량의 과다로 발생한 폐혈관저항의 증가로 인해 우-좌단락이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 이식이 시작된 초기에는 심폐동시이식이 유일한 치료방법 이었으나, 폐이식만으로도 수술 후에 우심실의 기능이 개선됨이 밝혀지면서 최근에는 양측 폐이식만으로도 좋은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큰 동맥관 개존증으로 인한 Eisenmenger's 증후군이 동반된 34세 여자환자에게 순차적 양측 폐이식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6.Bando K, Armitage JM, Paradis IL, et al. Indications for and results of single, bilaterlal, and heart-lung transplantation for pulmonary hypertension. J Thorac Cardiovasc Surg 1994;108(6):1056-65.7.Lupinetti FM, Bolling SF, Bove EL, et al. Selective lung or heart-lung transplantation for pulmonary hypertension associated with congenital cardiac anomalies. Ann Thorac Surg 1994;57:1545-9.

      • SCOPUSKCI등재

        폐이식후 발생한 이식폐의 임파종 1예

        이교준,김도형,함석진,김해균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1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4 No.12

        이식 후 발생하는 임파구 증식성 질환은 장기 이식의 예가 늘어나면서 증가하는 추세이며 폐 ,심장 이식과 같이 면역 억제 요법의 강도가 심할수록 그 발생률이 높아진다. 특히 임파구 증식성 질환 중 악성 임파종은 치료가 어렵고 예후가 좋지 않아 신속한 진단 및 치료가 필요하다. 본원에서는 1999년 11월 말기 폐기종으로 호흡 곤란이 심해져 가는 37세 A형 여자 환자에 0형 남자 환자의 좌측 폐를 이식하였다. 폐 이식 수술 후 면역 억제를 위해 3제 치료(싸이클로스포린, 아자씨오프런, 프레드니졸론)를 시행하였고, 환자는 이식 후 특별한 문제없이 외래 추적 관찰 중 정기적으로 시행한 가슴 컴퓨터 단층 촬영 상 이식 폐에 비정상적 종괴가 보여 2001년 2월 gun biopsy 시행 후 악성 임파종으로 진단을 받았으며 면역 억제제 감량 후 항암 화학요법 2회 시행하고 경과 관찰 중 갑자기 발생한 이식 폐부종으로 사망하였다. The Iymphoproliferative disease after the organ transplantation is more commonly seen with the increase according to the increasing number of the organ transplantations and it occurs more frequently in the cases of heart and lung transplantations that needs more aggressive immunosuppression. It demands urgent evaluation and management because of poor prognosis. We transplanted left lung of a man to the woman who suffered from severe dyspnea due to terminal pulmonary emphysema in discrepancy of ABO blood type. Postoperatively, We used triple regimen immunotherapy(cyclosporin, azathioprine, prednisolone) and followed up in the out patient clinic. During the follow up, we found abnormal mass lesion on the transplanted lung and performed gun biopsy. We confirmed malignant lymphoma on the pathollgic examination and two cycled chemotherapy was given after reducing dose of immunosupression. The patient died of sudden onset of pulmonary edema of the transplanted lung.

      • SCOPUSKCI등재

        Juxtaductal stenosis가 동반된 PA/VSD환자에서 체폐단락술 부위에 따른 폐동맥 크기의 변화

        이교준,박영환,최재영,조범구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1 No.9

        심실중격결손이 동반된 폐동맥폐쇄(PA/VSD)는 폐동맥의 형태 및 공급원이 매우 다양하고, 폐동맥의 발육부전 과 협착 및 폐동맥지 연결이상 유무가 교정수술시의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으므로, 저자들은 동맥관인접협 착(juxtaductal stenosis)이 동반되어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체폐단락술전후 폐동맥 크기의 변화를 비교하 여, 수술방법 및 시기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하였다. 1991년 7월부터 1996년 7월까지 연세대 학교 심장혈관센터에서 심실중격결손이 있는 폐동맥폐쇄환자중 동맥관인접협착이 동반되어 체폐단락술을 시행 한 59례가 있었으며, 수술전후의 심도자술 및 심혈관조영술을 시행한 29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우측(10례, Group I) 및 좌측단락술(19례, Group II)에서 단락술전후의 하행대동맥, 양측폐동맥 및 동맥관인접협착 부위의 직경을 측정하여, 수술부위에 따른 수술전후 변화를 비교하였다. 두 군에서, 하행대동맥직경에 대한 동측 폐동 맥직경의 비(ratio)가 수술전 0.78$\pm$0.31에서 수술후 1.01$\pm$0.26로, 또한 수술전 0.67$\pm$0.18에서 수술후 0.84$\pm$ 0.27로 각각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편측 폐동맥직경의 비는 수술전 0.92$\pm$0.28에서 수술후 1.05$\pm$0.15로, 또한 수술전 0.94$\pm$0.27에서 수술후 1.08$\pm$0.37로 각각 증가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동맥관 인접협착 부위의 변화는 수술전 0.43$\pm$0.27에서 수술후 0.39$\pm$0.25로, 또한 수술전 0.32$\pm$0.10에서 수술후 0.30$\pm$0.16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2례의 경우에서는 수술후 단절된 소견을 보였다. 체폐단락술을 통한 폐동맥혈류의 확보는 폐혈관 성장에 좋은 효과가 있으므로 폐혈류 감소 및 폐동맥 발육부전환자에서 추천되는 치료법이나 심실중격결손을 동반한 폐동맥폐쇄의 경우에는 동맥관인접협착의 변화가 중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체폐단락술을 시행한 동측의 폐동맥이 성장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동맥관인접협착은 악화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좌측 체폐단락술을 시행하여, 2례의 좌측 폐동맥의 단절을 경험하였다. 그러므로, 체폐단락술을 시행한 경우에는, 보다 철저한 술후 추적 및 검사가 요구되며, 동맥관인접협착이 동반된 측의 폐동맥에 단락술을 시행한 경우에는 조기에 완전 교정술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Pulmonary atresia (PA) with ventricular septal defect has various morphology of pulmonary arteries and pulmonary blood flow sources, so pulmonary arterial hypoplasia and arborization abnormality make this anomaly difficult to manage surgically. In cases associated with juxtaductal stenosis, we evaluated the change of the pulmonary arterial and juxtaductal stenotic site after shunt operations, and would like to find useful information in surgical planning and methodology of these patients. Material and Method: Among 59 cases diagnosed as PA with ventricular septal defect associated with juxtaductal stenosis, 29 cases who had cardiac catheterization before and after shunt operation were selected from July, 1991 to July, 1996. In 10 cases of right shunt operation(Group I) and 19 cases of left shunt operation (Group II), the diameters of the descending aorta, both pulmonary arteries, and the juxtaductal stenosis sit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shunt operation. Result: In both Group I and II, the pre- and postoperative ratio of diameters of the ipsilateral pulmonary artery to the descending aorta was from 0.78${\pm}$0.31 units to 1.01${\pm}$0.26 units and from 0.67${\pm}$0.18 units to 0.84${\pm}$0.27 units respectively, showing a signigicant increase. The contralateral pulmonary artery index was increased from 0.92${\pm}$0.28 units to 1.05${\pm}$0.15 units and from 0.94${\pm}$0.27 units to 1.08${\pm}$0.37 units respectively, but could not be confirmed statistically. In both groups, the change of juxtaductal stenosis showed an aggravating tendency but of no statistical significance from 0.43${\pm}$0.27 units to 0.39${\pm}$0.25 units and from 0.32${\pm}$0.10 units to 0.30${\pm}$0.16 units respectively, and we experienced 2 total obstruction in Group II. Because the increased pulmonary blood flow by shunt operation has a favorable effect to the pulmonary arterial growth, the shunt operation is a recommended treatment in patients with hypoplastic pulmonary arteries. But in PA with ventricular septal defects, the change of juxtaductal stenosis is very important. In conclusion, the growth of ipsilateral (shunt site) pulmonary artery was promoted by shunt operation, but there is a tendency for the juxtaductal stenosis to be aggravated. And we experienced 2 total obstruction in Group II. Conclusion: Thus, in cases operated with shunt method, much careful postoperative follow up study including angiographic evaluation is needed, and after the shunt operation on the side of pulmonary artery associated with juxtaductal stenosis, early precise planning for total correction is recommended.

      • KCI등재후보

        개심술후 발생한 Vasodilatory Shock의 치료 : Arginine Vasopressin의 소량투여요법 - 3례 보고 -

        이교준,김해균,정은규,김도형,강두영,이응석 대한흉부외과학회 2002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5 No.3

        =Treatment of Vasodilatory Shock after Cardiac Surgery: Low Dose Arginine Vasopressin Therapy- Three cases report - 혈관확장성 쇼크(Vasodilatory shock)는 혈관마비 증후군(vasoplegic syndrome), 심폐바이패스후 혈관마비(post-cardiopulmonary bypass vasoplegia)라고도 불리며, 개심술 직후 나타나는 저혈압, 빈맥, 정상 또는 약간 증가한 심박출량 및 체혈관저항 감소 등을 특징으로 하며, 일반적인 수액공급이나 카테콜아민 혈관수축제(cathecolamine vasopressor)에 대한 반응이 적거나 거의 없기 때문에 개심술후 높은 이환율 및 사망율을 나타내는 상태를 말한다. 저자들은 개심술후 혈관확장성 쇼크(vasodilatory shock)로 진단되는 3명의 환자들에서 저용량의 아르기닌 바소프레신(AVP)를 사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하였기에 관련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GDL 언어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이교준(Kyo-Joon Lee),윤경섭(Kyeong-Seob Yun),왕장종(Chang-Jong Wang) 한국정보과학회 198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5 No.2

        큰 규모의 소프트웨어 시스템은 보통 많은 다른 종류의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즉 모듈, 명령 프로시듀어, 데이터 화일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시스템들은 수정 및 유지보수 하기가 매우 어려운데 그것은 시스템의 복잡성과 전체 시스템의 구조, 구성요소 그리고 구성요소간의 연관성에 관한 부정확한 명세 등의 이유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라이프 사이클 정보의 기본적인 특성들 즉 제어흐름, 자료흐름, 자료구조를 명세하기 위하여 Graph Description Language (GDL)를 사용하였다.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상호 연관성을 기술하는 명세언어의 일종인 GDL은 프롤로그의 절(clauses)들로 변환 되어지며 소프트웨어의 수정 및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 SCOPUSKCI등재

        Bovine pericardium을 이용한 기관협착의 치험예

        김부연,이교준,신화균,이응석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0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3 No.4

        This case describes a tracheal stenosis complicated by endobronchial truberculosis. A 50-year-old female with progressive dyspnea was referred to us for the management of long segmental tracheal stenosis. Treatment modalities for tracheal stenosis include open surgical resectin and reconstruction, mechanical dilation, laser resection, and placement of an airway prosthesis. The following is a report of a successful treatment of a long segmental tracheal stenosis through a tracheal augmentation and the use of al Bovine pericardium. This technique may provide a relief from tracheal stenosis.

      • KCI등재

        아스피린과 플라빅스의 수술 전 지속적 사용이 무심폐기 하 관상동맥우회술에 미치는 영향

        이기종,이교준,양홍석,안지영,유경종 대한흉부외과학회 200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9 No.1

        배경: 아스피린과 플라빅스는 관상동맥 환자들에게 가장 흔히 사용하는 항혈소판 제제이나 수술 후 출혈 성향의 증가에 대한 우려 때문에 수술 5일에서 7일 전에 복용을 중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약제들의 지속적 사용이 무심폐기 하 관상동맥우회술(Off 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Off pump CABG) 후의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3월부터 2005년 2월까지 Off pump CABG를 시행 받은 123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수술 전후에 아스피린과 플라빅스를 끊지 않고 지속적으로 사용한 군(n=45, 36.6%)과 적어도 수술 1일 이전에 끊은 군(n=78, 63.4%) 사이에 수술 전후 혈소판, 헤모글로빈/헤마토크리트 수치, 수술 후 출혈량, 도관 개통률, 수술 시간 등을 비교하였다. 또한 대상환자들을 수술 전에 아스피린을 1달 이상 사용했던 장기 사용군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구분하여 상기 요소들을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에 의한 사망은 없었으며 출혈에 관한 합병증으로는 출혈에 의한 재수술과 상부 소화관 출혈이 각각 1예씩 있었다. 지속적으로 사용한 군과 그렇지 않은 군의 비교에 있어서는 수술 직후와 수술 후 1, 2일의 혈소판 수치가 지속적 사용군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나(p=0.02, p=0.002, p=0.021) 수술 후 출혈량, 수혈 빈도, 출혈 관련 합병증 및 도관의 개통률에는 차이가 없었다. 아스피린을 1달 이상 사용한 장기 사용군의 경우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하여 수술 전후의 혈소판 수치가 지속적으로 낮았으나 출혈량, 수혈 빈도, 합병증 및 도관의 개통률에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아스피린과 플라빅스의 Off pump CABG 전후의 지속적 사용은 수술 후 일시적인 혈소판 수치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으나 수술 후 출혈량, 수혈 여부, 수술 시간, 출혈과 관련된 합병증 및 도관의 개통률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러므로 Off pump CABG에 있어서 아스피린과 플라빅스는 수술 전까지 지속적으로 사용하여도 될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조기 폐암에서 다빈치 로봇을 이용한 폐엽절제술 −3예 보고−

        함석진,이교준,조상호,김형중,전세은,이두연 대한흉부외과학회 200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1 No.5

        Video-assisted pulmonary lobectomy was introduced in the early 1990's by several authors, and the frequency of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VATS) lobectomy for lung cancer has been slowly increasing because of its safety and oncologic acceptability in patients with early stage lung cancer. However, VATS is limited by 2D imaging, an unsteady camera platform, and limited maneuverability of its instruments. The da Vinci Surgical System was recently introduce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It has a 3D endoscopic system with high resolution and magnified binocular views and EndoWrist instruments. We report three cases of da Vinci robot system-assisted pulmonary lobectomy in patients with early stage lung cancer.

      • KCI등재

        다중 복합 Y 동맥 이식편(Multiple Y Composite Graft)을 이용한 완전 동맥 무인공 심폐바이패스 관상동맥우회술

        김도균,이교준,주현철,이기종,안지영,심연희,유경종 대한흉부외과학회 2005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8 No.8

        Background: Complete arterial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OPCAB) by sequential anastomoses with one or two arterial grafts provides favorable outcomes. However, problems of insufficient graft length, hypoperfusion, kinking of graft, and unfavorable course of graft may be encountered. To solve these problems, we have used different technique with multiple arterial Y composite graft to allow end-to-side rather than sequential anastomoses and evaluated the results of this method. Material and Method: Between February 2003 and October 2004, 71 patients underwent total arterial OPCAB using multiple arterial Y composite grafts with left internal mammary artery (LIMA), radial artery (RA), and right internal mammary artery (RIMA). We divided RA into multiple segments by number of distal target site after measuring of individual proper length and constructed arterial composite graft. One of segments was sutured end-to-side to LIMA and other segment was sutured end-to-side to the previously constructed radial graft. Postoperative graft patency was evaluated in 61 patients by multi-slice computed tomography. Result: An average of 2.5±0.6 arteries and 3.7±0.7 distal anastomoses per patient were done. There was no perioperative myocardial infarction, clinical hypoperfusion syndromes, and operative mortality. Postoperative mean CK-MB level was 17.4±29.7 IU/L. Overall graft patency was 99.1% (214/216)(LIMA: 100%, RA: 98.4%, RIMA: 100%). Conclusion: This technique allows total arterial OPCAB without technical problems and provides excellent early clinical results and graft patency. We believe that this technique is more convenient in the obtuse marginal area compared to sequential technique, and helpful in patients who require complex arterial grafting. 배경: 완전 동맥 무인공 심폐 바이패스 관상동맥우회술(OPCAB)에서 하나 혹은 두 개의 동맥 이식편을 사용한 연쇄 문합(Sequential graft)의 결과는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충분하지 않은 이식편의 길이나 관류저하, 이식편의 굴절, 이식편의 부자유스런 경로 등이 문제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연쇄 문합대신 다중 복합 Y 동맥 이식편(Multiple Y composite Graft)을 사용했으며 이방법의 유용성과 임상적 결과를 분석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2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다중 복합 Y 동맥 이식편을 이용한 완전 동맥 무인공 심폐 바이패스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 받은 7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용한 동맥은 좌, 우내유동맥과 요골동맥이었다. 대부분 좌내유동맥을 inflow 동맥으로 사용했으며, 그 외 좌, 우내유동맥을 동시에 혹은 우내유동맥을 inflow 동맥으로 사용하였다. 모든 동맥을 획득한 후 요골동맥은 원위 문합 부위에 맞게 길이를 측정하여 원위부 문합 수에 따라 분절로 나누었다. 그 중 하나를 내유동맥에 Y 문합하고, 다른 요골동맥 분절은 이미 문합한 요골동맥 이식편에 다시 Y 문합하는 방법으로 다중 복합 Y 동맥 이식편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이식편을 각각의 원위부 문합 부위에 end to side 형태의 문합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총 61명의 환자에서 multi-slice 컴퓨터 단층촬영을 시행하여 이식편의 개통률을 조사했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나이는 61.6 9.4세(34∼79세)였고 이 중 57명이 남자였다. 평균 2.5 0.6개의 동맥이 사용됐으며 3.7 0.7개의 원위부 문합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심근경색이나 저관류증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이나 사망한 환자는 없었다. 수술 후 평균 CK-MB치는 17.4 29.7 IU/L였다. 전체적인 이식편의 개통률은 99.1% (214/216)(좌내유동맥: 100%, 요골동맥: 98.4%, 우내유동맥: 100%)를 보였다. 결론: 다중 복합 Y 동맥 이식편을 이용한 완전 동맥 무인공 심폐 바이패스 관상동맥우회술을 기술적인 문제점 없이 시행할 수 있었으며, 우수한 초기 임상 결과와 개통률을 보였다. 저자들은 특히 심장의 둔각 모서리 부위의 우회술시에 기존의 연쇄 문합에 비해 기술적으로 더 용이하며 복잡한 관상동맥우회술이 필요한 환자에게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