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Flipped learning에 의한 아랍어 영화활용 교수방안 연구
이계연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18 한국외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8 No.-
최근 인터넷 매체의 발달로 Flipped Learning 을 활용한 수업이 교육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이것은 전통적 수업에서 탈피하여, 수업 전에 학습자에게 동영상을 접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미리 제시하고 준비를 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한다. 또한 수업 중에는 학습자 중심의 활동으로 수업이 진행되며, 학습자간 연습으로 수업이 이루어진다. Flipped Learning 은 학습자와 교수자간 혹은 학습자와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확대하고 수업의 형태도 수준별로 발전되고 있고 국내에도 이러한 수업이 도입되거나 연구되고 있다(권민정 2015, 임진혁 & 범수균 2012). 그런데 Flipped Learning 은 학습자가 수업 전에 동영상을 통해 사전학습해야 하고 교 수자 역시 활동준비에 대한 부담을 안게 된다(박태정 &차현진 2015). McDonald & Smith 2013, Tucker 2012). 따라서 본 고에서는 Flipped Learning 의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학 교 3,4 학년 중급이상의 아랍어과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영화를 활용한 수업에 Flipped Learning 을 접목하는 아랍어 교수법을 제안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Flipped Learning 을 통한 영화 활용 아랍어 교수방안 연구를 위하여 수업 전, 수업 중, 수업 후의 활동모형을 개발하고 학습자와 교수자, 학습자와 학습자간 교육적 상호작용에 기여하는 수업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수업 전 활동위해 동영상 자 료를 개발하는 대신에 영화의 OST 와 OST 중간에 나오는 장면의 내용을 제시한다. 수 업 중 활동에서 수업도입과 수업 중, 수업 정리로 구분하여 활동모형을 제시하고, 수업 후 활동은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교육적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e-class 를 통해 과제를 해 결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는 활동과 내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뉴스 텍스트에 나타난 아랍어의 통합성지수 연구 - 아랍뉴스 ‘al-Riyadh’, ‘al-Ahram’과 KBS, CNN의 아랍어 번역뉴스 비교를 중심으로 –
이계연 한국아랍어아랍문학회 2019 아랍어와 아랍문학 Vol.23 No.4
The study aims to compare the index of synthesis of Arabic language between non-translated news texts and translated news texts. It is analyzed through an index of synthesis of media Arabic language, which means internet Arabic news; including, ‘al-Riyadh’ of Saudi Arabia, and ‘al-Ahram’ of Egypt, in contrast to ‘KBS Arabic news of South Korea’ and ‘CNN Arabic news of the United States’. The average of the index of synthesis of internet news in Saudi Arabia and Egypt stood at 4.34, the index of synthesis of Arabic language of internet news of South Korea stood at 4.07, and the index of synthesis of CNN Arabic news stood at 4.27. In addition, translated news texts in Arabic were affected by language customs of the source texts: it is neither target-language nor source-language dependent, and that is what we call “levelling out”. 본 고에서는 현대 표준 아랍어의 특징이 형태적으로 잘 유지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우디 아라비아의 ‘알리야드’지와 이집트의 ‘알아흐람’지가 포함된 아랍권 뉴스 텍스트의 통합성 지수와 국내의 KBS의 아랍어 뉴스와 미국 CNN 아랍어의 통합성 지수를 비교해 보았다. 아랍권 뉴스의 평균 통합성 지수는 4.34, 국내의 KBS 아랍어 뉴스의 통합성 지수는 4.07, 미국 CNN 아랍어뉴스의 통합성 지수는 4.27임을 확인하였다. 통합성 지수 전체로 보아서는 미국 CNN 아랍어뉴스의 통합성 지수가 국내의 KBS의 아랍어 뉴스보다 아랍권 뉴스의 현대 표준 아랍어에 더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타갈로그어, 베트남어, 페르시아어, 터키어와 같은 언어와 아랍어의 통합성 지수를 측정했던 페인(Payne 1990, 178)은 그의 연구에서 아랍어의 통합성 지수를 3.14로 규정했는데, 그는 통합성 지수에 사용된 언어자료를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그런데 이 수치는 본 연구에서 측정한 사우디 아라비아의 대표적 인터넷 신문인 ‘일 리야드’지의 통합성 지수 3.14와 일치한다는 흥미로운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수치는 품사를 제외한 수치이므로 페인이 측정한 텍스트의 유형은 현대 표준 아랍어 중 뉴스 텍스트일 가능성이 매우 높고, 단어당 형태소를 측정하는 통합성 지수 수식에서 품사를 제외했을 가능성도 있다. 아랍권 뉴스나 미국의 CNN 아랍어 뉴스에 비해 국내의 KBS뉴스에서 품사수의 분포가 1,000여개 더 적게 나왔다. 총 형태소 수에서도 동일한 경향이 나타나 국내의 KBS뉴스의 총 형태소 수가 아랍권 뉴스나 미국의 CNN 아랍어 뉴스에 비해 더 적게 나왔다. 아랍권 뉴스 평균과 국내의 KBS 아랍어 뉴스에서 동사 사용이 각 428개, 453개로 유사한 분포를 보였으나, 미국의 CNN 아랍어 뉴스에서는 동사 사용이 200 여개 더 많은 674개로 상이한 양상을 나타냈다. 게다가 명사류의 사용분포를 보면, 국내의 KBS 아랍어 뉴스와 미국의 CNN 아랍어 뉴스에서는 각 3,826개, 3,776개인 반면 아랍권 뉴스 평균이 4,091개로, 아랍권 뉴스에서 명사류의 사용분포가 더 많았다. 이것은 문 구조에서, 아랍권 뉴스와 국내의 KBS 아랍어 뉴스의 경우 명사문을 더 선호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반면 미국의 CNN 아랍어 뉴스에서는 명사문보다 동사문을 더 선호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선행 국내의 연구 중 코란과 현대 표준 아랍어를 비교한 연구가 있는데(이인섭 2019, 11-12), 본 연구와 동일한 코퍼스 크기인 코란 5,000 어절을 기준으로, 코란에서는 1,311개의 동사가 사용되었다. 코란과 비교하자면, 아랍권 뉴스와 국내의 KBS 아랍어 뉴스 텍스트와 달리 미국의 CNN 아랍어 뉴스 텍스트의 문 구조가 동사문을 선호하는 코란의 문구조 경향에 더 가깝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미국의 CNN 아랍어 뉴스 텍스트에서 동사문이 선호되는 현상은 실제로 코란의 아랍어에 근접하게 번역되었기 때문인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CNN 아랍어 뉴스에 쓰인 내용을 보면 아랍의 시리아 공습과 리비아 혹은 아랍과 이스라엘 간의 관계에 관한 내용 등도 있었지만 미국 뉴스 사이트인 만큼 미국 국내의 사정내용도 상당 부분 언급되고 있다. 여기서 영어로 기사 작성된 미국 국내의 뉴스가 아랍어로 번역되었다는 점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기사가 영어에서 아랍어로 번역되는 과정을 감안하면, 출발어인 영어의 언어관습이 아랍어 번역문에도 영향 ...
이계연 한국아랍어아랍문학회 2003 아랍어와 아랍문학 Vol.7 No.1
The present study examines speech acts in translation of literary dialogues in the Arabic language. For this analytical purpose, the study chooses one of the Korean translations of Naguib Mahfouz's novel. It makes comparison between source text and target text and analyzes translation associated with speech acts and text act. Speech acts are the basic or minimal unit of communication. They serve as an important factor in view of the fact that a translation work conveys intention of the author. The present analysis indicates that speech acts consist of text act. That is to say that the whole flow of the text and coherence of each propositions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author and readers. On the contrary, mistranslated speech acts distort the discourse structure as a whole and thereby they cause a breakdown in the communication. This is a pilot study which analyzes its actual usage of speech acts and text act. It is necessary to use illocutionary force which will help to indicate devices, adequate in the target language.
아랍어 비번역문과 아랍어 번역문의 통합성지수연구 - 대구광역시와 코리아넷 홈페이지번역문과 아랍저서 및 알제리교과서를 중심으로
이계연 한국통번역교육학회 2019 통번역교육연구 Vol.17 No.3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index of synthesis of non-translated Modern Standard Arabic used in a tbook written by an Arabic author and a geographical textbook of an Algerian high school to translated Arabic language from Korean used on the internet homepages of Daegu Metropolitan City and the Korean.net website, by calculating 5,000 syntactic units for each text.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index of synthesis of non-translated Modern Standard Arabic language stood at 4.22 and the index of synthesis of translated language stood at 4.16, which means that the non-translated Modern Standard Arabic texts have much more syntactic and morphological information in comparison to the translated Arabic texts. Some educational proposals are suggested; for example, using pronominal reference for stating text participants and using the verb form instead of passive particles in the process of Arabic writing and the Korean-Arabic translation process.
실제적인 번역교수법,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 : 자기감수와 피드백을 중심으로
이계연 한국외국어대학교 통역번역연구소 2002 논문집 Vol.6 No.-
This paper compares the process-oriented approach with the product-oriented approach in translation training. The process-oriented approach is recommended in two particular cases: 1) courses for experienced translators, who want to improve their methods rather than acquire basic skills; and, 2) various international cooperative programmes. The rationale is that process-oriented courses expose students to less stress and they are more conductive to covering such issues as "to what extent is it permissible to deviate from the text?" and "how should one deal with source texts that seem illogical?" It also reduces the number of errors in the translated texts due to faulty analysis and illogical contradictions. This study applies the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LT), in particular, learner-centered instruction and cooperative learning, to translation training Sainz's model of student-oriented corrections of translations and Dollerup's feedback method in teaching translation are analyzed. Review of literature self-revision will be practiced. Self-revision is an important tool in translation training and this method needs to be introduced to the process of translator education. The criteria of self-revision will ultimately serve as the basis of cooperative learning activities and systematic feedback, so it is necessary to conduct further research on this subject.
Q열에 의한 대동맥 판막 폐쇄부전을 동반한 감염성 심내막염 1예
이계연,김민규,최석원,유규형 대한내과학회 2013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3 No.1
서론: Q열은 Coxiella burnetti에 의한 인수공통전염병으로 무증상 내지는 상기도 감염 양상의 급성에서부터 심장, 혈관을 침범하는 만성 Q열까지 다양한 임상 경과를 갖는다. 만성 Q열의 가장 중증 형태의 하나로써 감염성 심내막염이 있으며, 이는 기저 판막 질환을 갖는 경우에 잘 발생한다. 국내에서는 기저 판막 질환을 갖는 환자에서의 Q열에 의한 감염성 심내막염 증례가 2예 있었으나, 본 증례는 과거 심질환 병력이 없던 환자의 Q열 감염에 의한 감염성 심내막염 발생과 이로 인해 우종을 동반한 중증 대동맥 판막 폐쇄 부전이 발생된 사례로, 이에 대해 항균제 사용 및 대동맥판막치환술까지 시행하여 성공적인 경과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및 경과: 44세 남자. 10일전부터의 복부팽만감 및 호흡곤란 주소로 내원. 내원시 이완기혈압 45로 낮게 측정되며 확장기 심잡음 동반, NT-proBNP 9842 pg/mL으로 상승되어 있었다. 경흉부심초음파 시행 대동맥 판막의 우종을 동반한 대동맥 판막 폐쇄 부전 관찰된 바 감염성 심내막염 진단하에 gentamycin, ceftriaxone, ampicillin 3제 항생제 경험적 치료 시작하였다. 환자 상기 질환의 특별한 위험인자 및 발열 없었으며, 초회 시행한 혈액배양검사 음성으로 확인되었다. 감염의 원인으로써 서서히 자라는 균주(HACEK) 및 culture negative endocarditis 고려 14일간 배양하였으며, 환자 농장 및 과수원 거주력 있어 Q fever 검사 질병관리본부 의뢰하였다. 14일간의 혈액배양검사는 음성이었으며, 입원15일째 37.9-38.6의 발열 처음 관찰되었고, Q fever phase-I IgG 2048, IgM 1024, Phase-II IgG 2048, IgM 32로 만성 Q열 감염 확인되어 Doxycycline, hydroxychloroquine으로 항생제변경하였다.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에 대해서는 상기 항생제 유지 4주 후 대동맥판막치환술 시행, 수술 후 대동맥판막은 퇴행성 석회화의 병리소견 보였으며, 환자는 회복 경과유지되어 퇴원 Doxycycline, hydroxychloroquine 18개월간 유지 예정이다. 고찰: 본 증례는 국내에서는 드물게 보고된 만성 Q열의 한 형태인 감염성 심내막염과 이에 동반된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의 약물 및 수술적 치료까지 유기적으로 이어진 사례로, 감염성 심내막염 진단은 초기에 이루어졌으나 원인균 동정까지는 시간이 다소 걸렸다. 원인균이 동정되지 않는 상태에서 농장 거주 병력에 대해 Q열 검사를 시행하였기에 임상적의심 없이는 만성 Q열의 진단이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따라서 원인감별이 어려운 감염성 심내막염의 경우 Q열 같은 드문 원인에 대한 고려 및 본 증례의 대동맥판막 폐쇄부전과 같은 관련 합병증에 대한 치료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