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emtosecond Pump-Probe MOKE Microscopy for an Ultrafast Spin Dynamics Study

        이경동,남창희,김동현,정재우,Ji-Wan Kim,Kyung-Han Hong,Maeng Ho Son,Sung Woo Hwang,신성철,Yong Soo Lee 한국물리학회 2006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49 No.III

        We report a femtosecond pump-probe magneto-optical Kerr effect (MOKE) microscopic system enabling the study of vectorial spin dynamics with submicron spatial resolution using an 11-fs pulsed laser source. We applied the system to investigate the spin precessional motion of a patterned disk (2.8 μm × 3.0 μm × 50 nm) of permalloy placed in an in-plane biasing magnetic-field. The vector components of the spins perpendicular to the field’s direction showed a phase difference of about /2, which represents an elliptic motion in the magnetic phase trajectory. A numerical calculation utilizing the Stoner model of the Landau-Lifshitz-Gilbert equation yielded a damping parameter of = 0.016. A theoretical simulation with the shape of the magnetic field pulse, considering surface recombination of the photoconductive switch and multiple reflections of the waveguide, accurately predict the experimental observation of vectorial precessional motion.

      • KCI우수등재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용 SiN<sub>x</sub>:H 박막 특성의 최적화 연구

        이경동,김영도,부현필,박성은,탁성주,김동환,Lee, Kyung-Dong,Kim, Young-Do,Dahiwale, Shailendra S.,Boo, Hyun-Pil,Park, Sung-Eun,Tark, Sung-Ju,Kim, Dong-Hwan 한국진공학회 2012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21 No.1

        수소화된 실리콘 질화막은 결정질 태양전지 산업에서 반사방지막과 패시베이션 층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수소화된 질화막은 금속 소성공정과 같은 높은 공정온도를 거친 후에도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의 표면층으로서 충족되는 특성들이 변하지 않고 유지 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장치를 이용한 수소화된 실리콘 질화막의 특성 변화에 대한 경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증착조건의 변수(온도, 증착거리, 무선주파수 전력, 가스비율 등)들을 다양하게 가변하여 증착조건의 최적화를 찾았다. 이후 수소화된 실리콘 질화막의 전구체가 되는 사일렌($SiH_4$)과 암모니아 ($NH_3$) 가스비를 변화시켜가며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에 사용되기 위한 박막의 광학 전기 화학적 그리고 표면 패시베이션 특성들을 분석하였다. 가스 비율에 따른 수소화된 실리콘 질화막의 굴절율 범위는 1.90~2.20까지 나타내었다.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에 사용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특성은 3.6 ($NH_3/SiH_4$)의 가스비율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하여 $156{\times}156mm$ 대면적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를 제작하여 17.2 %의 변환 효율을 나타내었다. The Hydrogenated silicon nitride (SiNx:H) using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is widely used in photovoltaic industry as an antireflection coating and passivation layer. In the high temperature firing process, the $SiN_x:H$ film should not change the properties for its use as high quality surface layer in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s. Initially PECVD-$SiN_x:H$ film trends were investigated by varying the deposition parameters (temperature, electrode gap, RF power, gas flow rate etc.) to optimize the process parameter conditions. Then by varying gas ratios ($NH_3/SiH_4$), the hydrogenated silicon nitride films were analyzed for its optical, electrical, chemical and surface passivation properties. The $SiN_x:H$ films of refractive indices 1.90~2.20 were obtained. The film deposited with the gas ratio of 3.6 (Refractive index=1.98) showed the best properties in after firing process condition. The single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s fabricated according to optimized gas ratio (R=3.6) condition on large area substrate of size $156{\times}156mm$ (Pseudo square) was found to have the conversion efficiency as high as 17.2%. Optimized hydrogenated silicon nitride surface layer and high efficiency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s fabrication sequence has also been explained in this study.

      • KCI등재

        질소시비가 산국의 수량과 유효성분에 미치는 영향

        이경동,양민석,이용복,김필주,Lee, Kyung-Dong,Yang, Min-Suk,Lee, Young-Bok,Kim, Pil-Joo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2002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35 No.1

        산국(Chrysanthemum boreale M.)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이며 우리나라에 널리 분포하는 자생식물자원으로서 오래 전부터 식용과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산국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자연채집을 위주로 하기 때문에 공급을 충당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수품질의 산국을 대량생산하기 위해 질소시비반응 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질소수준에 따라 6처리구(0, 50, 100, 150, 200, $250kg\;ha^{-1}$)로 설정하였다. 이때 모든 처리구에서 기본적으로 $P_2O_5-K_2O=80-80kg\;ha^{-1}$을 시비하였다. 그 결과, 질소의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수량이 증가하였다. 전체 산국을 건물중으로 하여 회귀곡선을 통해 추정한 결과 N $246kg\;ha^{-1}$였으며, 꽃의 수량은 N $226kg\;ha^{-1}$이였다. 꽃의 주요 아미노산은 proline이였고 질소의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아미노산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이때 질소의 이용율은 41.5-61.8%였고 N100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Sespuiterpene계 화합물로서 우수한 혈압강하효과를 가지고 있는 물질인 Cumambrin A의 함량은 식물부위 중 꽃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질소의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Cumambrin A의 함량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꽃에서 Cumambrin A의 전체 함량은 산국의 수량증가에 따라 질소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유효성분이 많이 함유된 양질의 산국재배를 위해 질소의 적정시비량은 $225{\sim}250kg\;ha^{-1}$ 수준으로 판단되었으며 포장시험을 통한 현장입증시험이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Chrysanthemum boreale M. (hereafter, C. boreale M.), a perennial flower, has been historically used as a natural medicine in Korea. With increasing concerns for health-improving foods, the demand for C. boreale M. has become higher than ever. Howevr, the amount of wild C. boreale M. collected from mountainous areas is not enough to cover all demands. The cultivation system and fertilization strategy are required to meet increasing demand on C. boreale M. with a good qualit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nitrogen application on plant growth and effective components of C. boreale M. to suggest optimum rate of nitrogen fertilization. C. boreale M. was cultivated in a pot scale (1/2000a scale), and nitrogen applied with rate of 0(N0), 50(N50), 100(N100), 150(N150), 200(N200), and $250(N250)kg\;ha^{-1}$. Phosphate and potassium were applied at the same level ($P_2O_5-K_2O=80-80kg\;ha^{-1}$) in all treatments. Maximum yield achieved in 246 and $226kg\;ha^{-1}$ N treatment on the whole plant and the flower part, a valuable part as a herbal medicine, respectively. Proline was the most abundant amino acid in the flower of C boreal M. and the contents of amino acids increased with increasing nitrogen application rate in flower. Nitrogen recovery efficiency was high more than 41% in all nitrogen treatments and increased to 61.8% in nitrogen N100 treatment. From the nitrogen content, the high nitrogen uptake, the low residue of mineral N and the reasonably good apparent fertilizer recovery, it can be inferred that C. boreale M. made efficient use of the available nitrogen. In flower, contents of Cumambrin A. which is a sesquiterpene compound and has the effect of blood-pressure reduction, decreased with increasing nitrogen application. However, the amount of Cumambrin A in flower increased as nitrogen rate increased, because of increasing flower yield. Conclusively, nitrogen fertilization could increase yields and enhance quality. The optimum nitrogen application rate might be on the range of $225{\sim}250kg\;ha^{-1}$ in a mountainous soil.

      • KCI등재

        17세기 사상계의 율곡 경세론 수용과 전개

        이경동 ( Lee Kyung Dong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21 율곡학연구 Vol.44 No.-

        본 논문은 17세기 사상계에서 율곡 경세론이 수용된 양상과 그 특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율곡은 당대 경세론을 주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사후 정치적 요인에 의해 부정적으로 평가되거나 조정에서 거의 언급되지 못하였다. 율곡의 위상이 정립되기 시작한 것은 인조반정 이후였다. ‘文成’이라는 시호가 내려졌으며, 율곡이 긍정적으로 평가되기 시작하였다. 율곡의 위상 변화와 함께 경세론도 국정운영 과정에서 다루어 졌다. 율곡학파 계열은 정계에서 주도권을 바탕으로 사회경제정책의 많은 부분에서 율곡의 경세론을 제시하였다. 대동법을 추진하는 과정에서는 점차 대동법의 취지가 율곡의 공납제 개혁안의 연장선상에 있었다는 논리로 정립되어 갔고, 종모법은 율곡이 제시했다는 점에서 송시열 등에 의해 정책 추진 근거로 제시되었다. 율곡 경세론은 당대 지식인들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수용되어 갔다. 이유태의 「기해봉사」나 유계의 「강거문답」은 율곡이 제시했던 경세책의 구조를 모방하여 구현되었다. 이들은 율곡학파 계열임과 동시에 율곡 경세책에 대한 적극적인 입장을 보이며 경세책의 이론적의 이론적 토대로 율곡의 견해를 채택했다. 유형원은 북인계-남인 학자임에도 불구하고 『반계수록』을 통해서 율곡 경세론을 적극적으로 인용하였다. 유형원은 군역, 관료제, 과거제, 군현제 등에서 율곡 경세론을 기반으로 자신의 논리를 전개하였다. 공전제를 기초로 한 사회개혁안을 전개하며 노비제 혁파 등 율곡이 구상하지 않았던 분야에까지 이상사회 구현을 위한 견해를 제시하면서 율곡 경세론의 수용과 발전 양상을 보여주었다. 17세기 사상계에서 율곡의 경세론은 율곡학파 뿐만 아니라 비 율곡학파에 이르기까지 점차 외연이 확대되었으며, 사회경제정책과 경세론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thesis purports to analyze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Yulgok's statecraft theory accepted in the intellectuals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17th century. Yulgok's status began to be established in 1623. Along with the change in Yulgok's status, the statecraft was actively dealt with throughout society. As the rationale for reform, the figures who belonged to the Yulgok School promoted socio-economic policies and presented Yulgok's theory of statecraft as a theoretical basis. Yulgok's statecraft was presented as the basis for policy promotion in reforming the tax system or the class system. Yulgok's statecraft theory was referenced in the statecraft theories of the intellectuals at that time in various ways. Those in the Yulgok school, such as Yu Gye and Lee Yootae wrote books about the statecraft theory by imitating the structure of the statecraft theory presented by Yulgok. Despite the fact that Yu Hyeoungwon had no academic succession relationship with Yulgok, Yu Hyeoungwon developed his logic based on Yulgok's statecraft theory in the military, bureaucracy, education, and local administrative system. In the 17th century ideology, Yulgok's statecraft theory gradually expanded to the Yulgok school and intellectuals who were not related to the Yulgok school. Therefore, it can be considered that it provided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socio-economic policy and the statecraft theory argued.

      • KCI등재

        조선후기 금산 성곡서원의 창건과 운영

        이경동 ( Lee Kyung-dong ) 한국서원학회 2023 한국서원학보 Vol.17 No.-

        본 연구는 금산 성곡서원의 창건과 운영을 통해 兩湖 지역 서원 운영의 추이와 성격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성곡서원은 금산군수였던 이안눌과 지역 사족들의 주도로 1617년(광해군 9) 건립되었다. 건립 당시 金侁, 尹澤, 吉再, 金淨, 高敬命, 趙憲의 6명을 선정하여 배향하였다. 서원의 사액은 1663년(현종 4) 韓秀臣의 주도로 청액소를 제출하여 추진되었으며, 그 결과 임진왜란 당시 금산전투에서 순절한 선열 21인을 배향한 從容祠와 함께 사액되었다. 성곡서원의 院任은 洞主(堂中)-掌議-有司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금산 인근 지역에 위치한 서인계 서원의 원임 구성과 유사한 특징을 보여준다. 원생은 입원생의 명단을 수록한 _星谷書院 菁莪錄_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최대 195명에서 최소 12명으로 유동적으로 운영되었다. 향사는 仲春, 仲秋의 上丁日에 연 2차례 시행했는데, 院中의 대소사를 향사와 함께 결정하는 사례들도 확인된다는 점에서 서원의 주요한 모임의 하나였음이 확인된다. 이와 함께 學規를 별도로 제정하여 서원의 교육 기능을 강화하였다. 이유태의 「星谷書院儒生勸學規」와 같이 講會 및 責罰 등을 상세하게 규정하여 원생들의 학업과 생활 전반에 대한 일정한 원칙이 마련되기도 하였다. 외부 인사가 성곡서원을 방문한 사례는 _尋院錄_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심원록』은 18세기부터 19세기 초까지 방문한 총 711명의 명단이 수록되어 있는데, 특히 배향인물 6인의 후손이나 양호 지역에 위치한 주요 가문들의 방문 빈도가 높다. 이들은 금산을 경유하는 과정이나, 향사에 참여하기 위한 목적에서 성곡서원을 방문하였다. 이상과 같이 성곡서원은 금산 지역을 대표하는 사액서원으로서 尊賢과 養士의 양대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외부 인사들과의 교류를 통해 그 위상을 획득해 나갔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operating seowon in Chungcheong-do and Jeolla-do through the foundation and operation of Seonggok-seowon located in Geumsan, Jeolla-do in late Joseon. Seonggok-seowon was founded in 1617 under the leadership of Geumsan-gun County Governor Lee Ahn-nul and local intellects. Along with the foundation, six figures, Lee An-nul (李安訥), Kim Sun (⾦侁), Yoon Taek (尹澤), Gil Jae (吉再), ⾦淨 (Kim Jung), Go Gyong-myong (高敬命), and Cho-hun (趙憲), were selected and enshrined. All of the figures enshrined were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Geumsan. The official approval at the national level was promoted in 1663 (the 4th year of King Hyeonjong’s reign). Seonggok-seowon was operated by academy managers, and they consisted of three positions: Dongju (洞主), Jangeui (掌議), and Yusa (有司). They led the operation and education of the seowon, and it was similar to seowon located in the area near Geumsan. The students of the seowon can be checked through the books containing the list of enrolled students, and it was operated flexibly with students from a minimum of 12 to a maximum of 195 annually. The seowon’s regular ritual rites were held twice, in the second and eighth lunar months, and as the majority of people related to the seowon attended the rites, various issues within the seowon were decided then. The regulations related to education present learning procedures and punishment rules for students in detail. Seonggok-seowon was also visited from various areas outside. The existing guest books of the seowon contain total 711 people who visited there in the 18th century, and they are identified to have been the descendants of the enshrined figures, influential families in the region, and bureaucrats. They visited Seonggok-seowon while passing through the Geumsan area or for the purpose of attending the two regular ritual rites. As described above, Seonggok-seowon as one of the private seowon representing the Geumsan area not only performed the functions of ritual rites and education but acquired a social status through the visits of outside people as well.

      • SCIEKCI등재

        쑥갓 잎에서 터펜노이드계 화합물의 분리 및 동정

        이경동 ( Kyung Bong Lee ),하태정 ( Tae Joung Ha ),이병원 ( Byong Won Lee ),이종록 ( Jong Rok Lee ),이준 ( Jun Lee ),황선우 ( Sun Woo Hwang ),조동령 ( Dong Young Cho ),남상해 ( Sang Hae Nam ),양민석 ( Min Suk Yang )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03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46 No.1

        Three terpenoids were isolated from the leaves of Chrysanthemum coronarium L. by silica gel chromatography and recrystalization. The structure of compounds 1, 2, and 3, using various spectroscopic data, were identified as to be terpenoid derivatives of dihydrotulipinolide, loliolide, and 5α, 8α-peroxyergosterol, respectively. The presence of these 3 is the first time reported in this plant. The cytotoxic activity of 5α, 8α-peroxyergosterol showed strong activities against human cancer cell lines such as A549, PC-3, and HCT 116.

      • KCI등재

        조선시대 ‘경장(更張)’의 의미와 변천

        이경동 ( Lee Kyung-dong ) 한국사상사학회 2021 韓國思想史學 Vol.- No.69

        본 연구는 조선시대 ‘경장(更張)’의 용례와 의미 변천을 통해 경세론의 추이를 분석하고 시기별 변화에 따른 역사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경장은 변화 및 개혁을 의미하는 개념으로서, 한대(漢代) 동중서(董仲舒)에 의해 사용된 이래로 동아시아 전체에 걸쳐 폭넓게 사용되었다. 한국사에서 경장은 성리학의 도입과 함께 14세기 후반부터 용례가 확인되는데, 국면의 변환이나 법제의 개수 등의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15세기에는 『경국대전』의 편찬과 그 이후의 개수 논의와 관련한 부분에 집중적으로 거론되었다. 이는 경장 개념이 법제와 관련한 부분에 국한되어 사용되었음을 의미한다. 16세기에는 사림(士林)의 정치적 활동이 증대됨과 동시에 경장의 용례가 점차 증가하였다. 사림들은 동중서를 포함하여 송대 이학자(理學者)인 진덕수(眞德秀), 정호(程顥), 주희(朱熹) 등이 주장했던 견해를 토대로 경장을 구조화하였다. 경장을 활발하게 사용했던 인물은 조광조(趙光祖)였으며, 이후 이이(李珥)에 의해서 체계화되었다. 이이는 시기, 방법, 지향, 주체의 측면에서 경장을 정의하고 그 내용을 구조적으로 밝혔다. 이 시기 정립된 경장 개념은 경세론과 결합되어 이후 전개되는 경장에 대한 활용에 있어 주요한 기준으로 작용하였다. 경장은 17세기 사회개혁정책의 전개와 함께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대동법(大同法)을 포함한 주요 개혁 논의의 담론 속에 경장 개념이 등장한다. 주목할 점은 경장과 함께 경장에 상대되는 ‘준수(遵守)’가 이원적으로 이해되었다는 사실이다. 책문(策問), 상소문, 연설(筵說) 등에서 경장과 준수가 언급되었는데, 당대 국가 운영의 방향과 관련한 인물들 사이의 지향점을 확인할 수 있다. 18세기부터 경장은 탕평론과 결합되며 활용되었다. 영·정조는 경장을 자신이 추진하고자 하였던 개혁정책와 결부하며 경장의 주체로서 군주를 설정하였으며, 스스로 경장의 주인을 자처하였다. 이러한 양상은 18세기 초까지 경장의 주체를 관료로 설정했던 경장관과는 차이가 있다. 19세기에는 삼정(三政) 등 당대 사회문제와 함께 경장의 사용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경장이 가장 많이 사용된 것은 1862년 임술민란을 계기로 제출된 삼정책(三政策)이다. 제출된 삼정책에는 경장을 입론의 당위나 전거로서 제시하고, 삼정문제에 관한 해결방안을 각론으로 제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 of reformism through the interpretations and change of meaning of the concept of ‘Gyeongjang(更張)’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 concept of Gyeongjang had been devised by Dong Zhongshu (董仲舒) of Han Dynasty of China originally meaning that a qinse (琴瑟) string needs to be replaced if it comes loose, and the meaning was extended to be a synonym of political change and reform. In Korea, the first example of use of Gyeongjang is found in late 14th century when Neo-Confucianism was introduced to Korea. It was used intermittently to mean a change of situation, improvement of laws, etc. In the 15th century, the term was used restrictively in the compilation of Gyeonggukdaejeon (經國大典) and discussions for its revision afterwards. During the 16th century, the concept of Gyeongjang was used frequently among Sarim, the literati class. A historical figure who used the term Gyeongjang actively was Cho Gwang-jo (趙光祖), and after then the concept was systemized by Yi Yi (李珥) who defined the concept of Gyeongjang and elucidated its contents structurally by categorizing it based on the period, method, direction, and principle agent. The concept of Gyeongjang was actively used while reformism was discussed vigorously during the 17th century due to social requirement.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that ‘Junsu (遵守, compliance)’ began to be understood dualistically together with Gyeongjang. The fact can be confirmed in the civil service exam, reformist ideas, discussion on policy, etc. and there were two perspectives of the people at that time in relation to the direction of management of state. The people at that time tried to find out the methodology to solve actual issues, and deepen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Gyeongjang in such a process. During the 18th century, the concept of Gyeongjang was used for Tangpyungron (蕩平論), the theory of impartiality. The then kings led state affairs by empathizing the role of the king who was the main principle of Gyeongjang. Gyeongjang was often mentioned not only in social and economic policies but also in a situation of political change. During the 19th century, the frequency of use of the term Gyeongjang tended to increase with the emergence of social issues such as natural disasters, imposition of tax, etc. The term Gyeongjang was used the most in the reformist ideas of intellectuals proposed after a national uprising which broke out in 1862. The concept of Gyeongjang was used with high frequency in the proposed reformist ideas,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actual problems recognized by each person on the basis of the concept of Gyeongjang and the solutions were suggested specif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