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황장애 환자의 정서상태와 성격특성

        이경규,최은영,Lee, Kyung-Kyu,Choi, Eun-Young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4 정신신체의학 Vol.12 No.1

        연구목적: 공황장애 환자들은 공황발작 중에 나타나는 극단적 불안을 즉각 해소하기 위하여 공격적 행동의 문제, 공존하는 성격장애로 인한 대인관계에서의 문제, 우울증과 관련된 자살시도 및 물질남용과 관련된 물질추구행동으로 인한 문제 등 매우 많은 문제점이 나타난다. 이러한 공황장애 환자들이 보이는 행동이나 심리적 문제의 기저에 있는 성격특성을 이해하지 못하면 치료진과 환자간의 관계형성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여 많은 갈등을 야기할 수 있고 치료 중단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황장애 환자의 불안과 우울의 정도 및 성격특성을 잘 이해함으로써 좀더 나은 치료적 접근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신체형장애 환자 및 정상대조군과의 비교를 통하여 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단국대학교 부속병원 정신과 외래를 방문한 공황장애 환자 20명과 신체형장애 환자 21명 그리고 정상대조군으로 단국대학교 부속병원에 근무하는 직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Beck의 우울검사(BDI), Spielberg의 상태-특성불안 검사(STAI) 및 Cattell의 16 성격요인검사(16PF)를 이용한 양군간의 불안, 우울 및 성격특성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1) BDI 점수에서 공황장애 환자군이 신체형장애 환자군과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01). 2) 상태-특성불안 검사 모두에서 공황장애 환자군이 신체형장애 환자군과 정상대조군 유의하게 불안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3) 16PF 요인 중에서 비정상적으로 높거나 낮은 점수를 보이는 요인은 없었다. 그러나 일차요인 중 O요인(p<0.01)과 Q4요인(p<0.001)에서 공황장애 환자군이 신체형장애 환자군과 정상대조군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그리고 16PF 이차요인 중 TOU요인(p<0.05) 낮게 나왔으며, ANX요인에서는 높게 나타났다(p<0.05). 4) 환자군내에서 성별에 따라 그리고 BDI 점수 18점, STAI-T 점수 54점을 기준으로 하여 나눈 두 군간에서의 16PF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환자군내에서 STAI-S 점수 52점을 기준으로 하여 나눈 양군간의 비교에서는 16PF의 일차요인에서는 G요인(p<0.001) 및 Q3요인(p<0.05) 그리고 이차요인 중 SUP요인(p<0.001)에서 52점 이상군이 52점 미만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차요인 중 L요인(p<0.05)에서는 52점 이상군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결 론: 공황장애 환자들은 신체형장애 환자들과 정상대조군에 비해 우울과 불안의 증상을 가지고 있으며, 성격 특성은 좀더 죄책감이 많고 불안해하며 정서적으로 유약한 성격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공황장애 환자들 중에서는 상태불안이 높은 군이 더욱 도덕적이고 강한 통제력과 초자아를 지니면서 높은 신뢰감을 보이는 것 같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공황장애 환자의 이러한 심리적 그리고 성격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환자의 빠른 회복과 일상생활에서의 적절한 적응을 도울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motional state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patient with panic disorder. Methods: Twenty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21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 and 20 normal healthy controls were studied. Korean version of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tate and Trait Anxiety Inventory(STAI) and Korean standardized edition of Cattell's 16 Personality Factors Questionnaire(16-PF) were used for assessment. Statistically, One-way ANOVA with Scheffe test were used by SPSS/PC for windows. Results: 1) Total score of BDI was higher in the panic group than the somatoform group and normal control group(p<0.001). 2) Total score of state anxiety and trait anxiety in the panic group was higher than the somatoform group and normal control group(p<0.001). 3) In 16 PF, there were no definitely abnormal range of scores. But in first-stratum source traits of 16PF, the panic group was higher than the somatoform group and normal healthy group in O-factor (p<0.01) and Q4-factor(p<0.001). In second-stratum source traits of 16PF, the panic group was higher than the somatoform group in ANX-factor(p<0.05), but lower than normal control group in TOUfactor(p<0.05). 4)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panic subgroup according to sex and cutoff points of BDI score 16 and STAI-T score 54. 5) According to cutoff point of STAI-S score 52, the panic subgroup above 52 was higher than the panic subgroup under 52 in G-factor(p<0.001), Q3-factor(p<0.05) and SUP-factor(p<0.001), but lower in L-factor(p<0.05).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otional state of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are depressive and anxious as compared with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 and normal controls.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did not show any abnorma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but were more guilt-prone, anxious, emotionally sensitive. We propose that the understanding of panic patients' emotional state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will helpful to treat and manage in patient with panic disorder.

      • 신체형장애 환자와 당뇨병 환자에서의 Alexithymia

        이경규,이정엽,김현우,최상전,Lee, Kyung-Kyu,Lee, Jeong-Yeob,Kim, Hyun-Woo,Choi, Sang-Ju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1999 정신신체의학 Vol.7 No.2

        연구목적 : Alexithymia(감정표현불능증)는 내면적 감정을 올바로 인식하거나 언어적으로 표현하기 어려운 상태를 뜻하는 용어이다. 최근에는 말로 표현하는데 장애가 있는 것만이 아니라 인지과정에서의 결함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감정은 신체증상과 전반적인 건강상태에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정신신체연구에 매우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신체형 장애 환자와 정신신체장애의 하나로 알려져 있는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alexithymia의 척도를 비교하고 이 환자들에서의 정신병리와 성격특성을 알아 보고자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만 18세 이상의 신체형장애 환자 20명, 당뇨병 환자 20명 그리고 정상 대조군 20명을 대상으로 세 군의 alexithymia의 정도, 정신병리 및 성격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각 Toronto Alexithymia Scale(TAS), 한국판 Symptoms Check List 9G-R(SCL-90-R) 및 Sixteen Personality Factor Questionnaire(16-PF)를 이용하여 세 군간의 차이를 분석하고 TAS와 SCL-90-R 및 TAS와 16-PF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 1) TAS에 따른 세 군간의 비교에서는 신체형장애 환자군이 당뇨병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2) SCV90-R에 의한 비교에서는 신체화증상과 불안증상 척도에서 신체형장애 환자군이 당뇨병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강박증상, 우울증상, 공포증상 및 정신증상 척도에서는 선체형장애 환자군이 정상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전체지표 중 전체심도지수는 신체형장애 환자군과 당뇨병 환자군이 정상 대조군보다 높았고, 표출증상심도지수는 신체형장애 환자군과 당뇨병 환자군이 정상 대조군보다 높았으며 표출증상합계에서는 신체형장애 환자군이 정상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3) 16-PF에 의한 비교에서는 지능요인에서만 정상 대조군이 신체형장애 환자군보다 높게 나타났고 다른 요인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4) TAS와 SCL-90-R과의 상관관계분석에서는 신체형장애 환자군에서 표출증상심도지수를 제외한 모든 척도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다른 두 군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5) TAS와 16-PF와의 상관관계분석에서는 모든 대상군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신체형장애 환자군이 당뇨병 환자군이나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alexithymia 척도와 많은 정신병리를 보였다. 그리고 신체형 환자군에서의 높은 alexithymia 척도는 정신병리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당뇨병환자들은 정상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므로 신체형장애 환자들에게는 감정을 표현하고 그들의 정신병리를 완화하거나 해소할 수 있는 치료적 접근이 도움이 되겠고, 당뇨병환자들에게는 우선적으로 신체질환의 상태를 호전시킬 수 있는 치료가 더욱 필요로 하겠다. Objectives : "Alexithymia" mean literally "no word for mood(or emotion)". It is not only a marked constriction in emotional functioning but a deficit in their cognitive processing. We design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level of alexithymia, psychopathology and personality factors of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 and with diabetes mellitus. Methods :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N=20),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N=20), and normal control(N=20). The level of alexithymia, psychopathology and personality factors were assessed by the Toronto Alexithymia Scale(TAS), the Symptom Checklist 90-Revision(SCL 90-R), and the Sixteen Personality Factor Questionnaire(16-PF). And we compar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sychopathology and personality factors among three groups, and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alexithymia and psychopathology, and between alexithymia and personality factors.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AS scores compared to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nd the normal control group. 2)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somatization, anxiety scales tha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nd the normal control group, an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obsessive-compulsive, depression, phobic anxiety, psychoticism scales than the normal control group by the SCL-90-R. 3) The normal control group showed high intelligence scores only as compared to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 by the 16-PF. 4)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AS scores and psychopathology in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 5) All three groups did not shown any correlation between TAS and 16-PF. Conclusion :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 showed higher TAS scores and more multiple psychopathology tha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nd the normal control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AS scores and psychopathology in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 We suggest that the therapeutic approach to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 to express emotions and manage psychopathology, and that the treatment methods of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ims to improve firstly physical conditions are more helpful.

      • 원형탈모증 환자의 정서상태와 성격특성에 관한 임상적 연구

        이경규,백기청,Lee, Kyung-Kyu,Paik, Ki-Chung 한국정신신체의학회 1997 정신신체의학 Vol.5 No.2

        Objectives: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motional state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alopecia aerata patient and to determine whether these characteristics are similar with those of neurotic patient. Methods : 20 alopecia aerata patients, 20 neurotic patients, and 20 normal healthy controls were studied.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tate and Trait Anxiety Inventory(STAI) and Korean standardized edition of Catell's 16 Personality factors Questionnaire(16PF) were used for assessment. Results: 1) Total score of BDI was higher in neurosis group than alopecia aerata group and normal control group(p<0.05). Inspire of statistical non-significance, total score of in alopecia aerata group was higher than normal control group. 2) Total scores of state anxiety and trait anxiety in alopecia aerata and neurosis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control group(p<0.001). 3) In first-stratum source traits of 16PF, normal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alopecia aerata group and neurosis group in B-factor(intelligence) and C-factor(ego-strength)(p<0.05). Alopecia aerata group and neurosis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control group in O-factor(guilt-proneness) and $Q_4-factor(tension,\;anxiety)$(p<0.001). 4) In second-stratum source traits of 16PF, alopecia aerata group and neurosis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control group in ANX-factor(anxiety)(p<0.05).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otional state and personality characterstics of patients with alopecia aerata are a distinguishable different to compare with normal control, and are very similar with those of neurotic patients. The authors propose that psychiatric management in patient with alopecia aerata will be more benificial.

      • KCI등재

        항정신병약물성 악성증후군에 관한 3증례 및 개관

        이경규,김현우,Lee, Kyung-Kyu,Kim, Hyun-Woo 대한생물정신의학회 1997 생물정신의학 Vol.4 No.1

        We are report on three cases of typical clinical characterstics and treatment response in neuroleptic maligant syndrome(NMS), and reviewed the literatures of NMS. NMS was first recognized as a life-threatening complication of dopamine receptor antagonists, and defined as a catatonic-like states associated with fever, obtundation, muscle rigidity, and unstable vital sign in patients taking neuroleptic agents. Concepts of NMS have changed because medications other than classic neuroleptic drugs have been implicated as triggering agents and syndromes identical to NMS have been observed in other conditions. The important neurochemical features are probably functional dopamine deficiency and ensuing hyperactivity of excitatory amino acid neurotransmission in the basal ganglia and hypothalamus. Recognition of NMS and early discontinuation of neuroleptics are the most important step in its management. Supportive care includes management of hyperthermia and fluid replacement. Controversial therapeutic measures include the application of dopamine receptor agonists, excitatory amino acid antagonists, or dantrolene. Psychiatric patients with a history on NMS and psychotic relapse necessitating antipsycotics do not commonly redevelop NMS.

      • KCI등재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를 위한 심인성 어지럼

        이경규,Lee, Kyung-Kyu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6 정신신체의학 Vol.24 No.1

        어지럼을 호소하는 환자들 중 많은 환자에서 신경 이과적 검사에서는 이상이 없고 정신의학적으로 문제가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에 심인성 어지럼증이란 진단을 붙이는데, 이는 대개 정신의학적 문제로 인하여 어지럼이 발생한다. 어지럼증 환자의 2-4명 중 1명일 정도로 많은 편이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심인성 어지럼에 대한 진료, 연구 등이 부족한 편이다. 이에 저자는 한국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들이 심인성 어지럼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인 동참을 하도록 하기위하여 이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 논문은 정신질환 특히 불안과 어지럼의 생물학적, 심리적 연관성을 포함한 심인성 어지럼의 원인 및 진단, 심인성 어지럼과 관련된 정신질환 및 각 정신질환에서의 어지럼의 특성, 그리고 심인성 어지럼의 치료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를 대상으로 하였기에 신경 이과와의 협진에 필수적인 중추성 및 말초성 어지럼에 대해서도 간략히 고찰하였다. 치료에서는 특정치료, 증상치료, 전정재활치료 뿐만이 아니라 심인성 어지럼의 치료에 필수적인 약물치료 및 인지행동치료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어지럼 환자에게 신경 이과적 검사 및 진료 시 기질적 문제가 없거나, 기질적 문제가 있을지라도 다른 정신과적 증상이 상당히 동반된 심인성 어지럼 환자라면 정신의학적 치료를 적용하여 치료성공률을 높이고 나은 귀결을 보일 것이다. 어지럼의 치료에는 다학제적 접근을 통한 환자-중심의 치료적 접근이 환자들의 고통 경감과 삶의 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한국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들의 심인성 어지럼증에 대한 관심 증가 및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고 제시한다. Many patients with dizziness present with a symptom pattern that does not reveal the cause by neurotologic diagnostic approaches. In such cases, the physician frequently diagnoses psychogenic dizziness. Psychogenic dizziness is not characterized by true vertigo, and occurs in combination with other psychiatric symptom cluster. One out of two to four patients with dizziness are psychogenic dizziness. But there are few concern about this including clinical practice and study in Korea. I wrote this paper to increase concerning and attending to this for psychiatrists in Korea. I reviewed etiology including biological and psychological relations between dizziness and psychiatric disorder(especially anxiety), diagnostic approaches of, characteristics of dizziness of various psychiatric disorders related to, and the treatment of psychogenic dizziness. I also briefly reviewed the central and peripheral dizziness for psychiatrists. I suggest psychiatrists and clinicians in the psychosomatic field in Korea to acknowledge, concern, and attend to psychogenic dizziness. In turn, it will be helpful to well treat the patients with psychogenic dizziness.

      • 백반증 환자의 정서상태와 성격특성

        이경규,이종헌,김현우,백기청,김유찬,Lee, Kyung-Kyu,Lee, Jong-Hyun,Kim, Hyun-Woo,Paik, Ki-Chung,Kim, You-Cha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0 정신신체의학 Vol.8 No.1

        연구목적 : 백반증 환자의 치료에서 간과되어지고 있는 심리적인 요인이 치료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기 위하여 첫째 백반증 환자에서의 우울과 불안의 정도 및 성격유형이 어떠한가를 알아보고, 둘째 이 결과를 정상 대조군과 비교함으로써 환자들의 정서상태 및 성격특성을 고려하여 이들의 스트레스나 정신과적인 문제에 어떻게 접근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환자들의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이를 고려한 치료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 21명의 백반증 환자와 정상인 20명을 대상으로 Beck의 우울 검사, Spielberger의 상태-특성 불안검사 및 염태호와 김정규가 한국판 표준화한 Cattell의 16 성격요인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백반증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 간에 우울과 불안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성격특성에서는 백반증 환자군이 정상 대조군보다 소심하지만 고집이 센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성격특성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백반증 환자들의 특성에 따른 비교에서는 여성 환자들이 더욱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용 상 문제가 되는 병변 유무와 진행유무는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30세 이상의 환자들이 지배적, 도덕적이며 의심이 많고 사변적이며 자가 충족적이고 통제적이고 독립적이며 강한 초자아를 가지고 있으며 창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병기간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백반증 환자들은 정상인에 비해 대인관계에서 소심하면서 고집이 샌 것으로 나타나 나이에 맞는 성격 발달을 하고 있지만 대인관계에서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반증 환자들의 치료에 있어서 대인관계에서의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신과적인 접근을 피부과적인 치료법과 병용함이 유익하리라는 것을 제시한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motional state and personality factors of patients with vitiligo, and the impacts of clinical characteristics. Methods : Twenty one patients with vitiligo and 20 normal controls were studied.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pielberg's State and Trait Anxiety Inventory(STAI) and Cattell's 16 Personality Factors Questionnaire(16-PF) were used for assessment. Statistically, t-test, Oneway ANOVA, Mann-Whitney U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test were used.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omparison of total score of BDI, state anxiety and trait anxiety between the patients with vitiligo and normal contro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2) In first-stratum source traits of 16-PF, normal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atients with vitiligo in H-factor(Boldness) and I-factor(Tender-mindedness). In second-stratum source traits of 16-PF,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atients with vitiligo and normal control in all factors. 3) According to sex, the comparison of total scores of BDI, STAI between male and female patients with vitiligo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comparison of 16-PF, female patients were higher than male patients in I-factor only. 4) As according to age(under and over 30 years of age), the comparison of total scores of BDI, STAI between patients over 30 years of age and under 30 years of ag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comparison of 16-PF, patients over 30 years of age were higher than patients under 30 years of age in E-, G-, L-, M-, Q2-, Q3-, IND-, SUP-, and CRE-factor. 5) A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progression of vitiligo and the presence of visible lesion, the comparison of total scores of BDI, STAI and 16-PF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6)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duration of the vitiligo and BDI, STAI-S, STAI-T, and 16-PF. Conclusions :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tients with vitiligo and normal controls on the emotional state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But patients with vitiligo were more bolder and tender-minded than normal controls on 16-PF. The author propose that methods of treatment to resolve problems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 will be helpful.

      • KCI등재후보

        새로운 항우울제의 부작용: 오심 및 구토, 체중증가, 성 기능장애 - 발병기전, 역학, 약물학적 처치를 중심으로 -

        이경규,Lee, Kyung-Kyu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3 정신신체의학 Vol.21 No.2

        Newer antidepressants are commonly used in clinical practice to treat psychiatric disorder and psychosomatic disorder including chronic pain syndrome, fibromyalgia, headache. However there are many unexpected adverse effects of these drugs such as nausea and vomiting, weight gain, sexual dysfunction. These are 3 most well-recognized common adverse effects of newer antidepressant and are most common causes of treatment failure. I reviewed mechanisms, epidemiology, and pharmacological management of these adverse effects of newer antidepressants. In this paper, newer antidepressants include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fluoxetine, fluvoxamine, citalopram, escitalopram, sertraline, paroxetine), serotonin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venlafaxine, duloxetine), norepinephrine and dopamine reuptake inhibitor(bupropion), noradrenergic and specific serotonergic antidepressant(mirtazapine), and reversible inhibitor of MAO-A(moclobemide). I suggest that psychiatrists and clinicians in the psychosomatic field should know mechanisms, epidemiology, and management of these common and well-recognized adverse effects of newer antidepressants. Therefore it will be helpful to recognize easily and treat well for patients with psychiatric disorder and psychosomatic disorder using newer antidepressants. 새로운 항우울제가 개발되고 임상에서 정신과적 질환뿐만이 아니라 만성통증증후군, 섬유근통증증후군, 두통 등의 많은 정신신체질환 그리고 신체질환자의 적응장애 및 우울증 등의 자문조정정신의학 영역에서도 다양하게 자주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정신의학적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처방하는 새로운 항우울제의 사용 시 치료중단의 가장 큰 원인은 약물부작용이다. 이 논문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새로운 항우울제 사용 시 나타나는 부작용들 중 정신신체의학과 자문조정정신의학영역에서 관심을 가져야 할 매우 빈번하게 나타나는 세 가지 부작용인 오심과 구토, 체중증가, 성기능장애에 대한 발생기전, 발생빈도, 그리고 약물학적 처치를 위주로 한 해결방안을 알아보았다. 저자는 이 논문을 통하여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만이 아니라 정신신체의학 영역에 관심을 가지거나 자문조정정신의학과 연계되는 타과 영역의 의사들이 새로운 항우울제를 사용할 때 빈번하게 나타나서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치료중단을 일으킬 수 있는 이 약물들의 부작용을 잘 인지함으로써 이를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히 해결하여 환자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諫官 韓握의 역사시 연구

        이경규(Lee Kyung-Kyu)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0 No.26

        한악은 혼동의 만당시대에 한림학사를 거쳐 간의대부란 간관의 직책을 맡게된다. 그러므로 소종은 국가의 중요한 일을 한악과 상의하면서 위기를 돌파하려 하지만 끝내 뜻을 이루지 못하고 만다. 결국 한악은 주전충의 모략으로 중앙관직에서 떠나 지방으로 유배되면서 소종과 조정에 대한 충성을 시로 표현한다. 그의 시는 일반적으로 서문에 간지와 시를 짓는 동기를 설명하고 있어 작시의 연대와 목적을 잘 알 수 있으며 역사적 사건에 주를 달아 사건을 객관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본문은 詩史라고 불리는 그의 대표작들을 선별하여 당시의 정치 상황과 시인의 조정에 대한 충정을 나타내주는 작품을 분석하여 역사서의 기록과 비교를 했다. 『자치통감』에서는 한악이 황제와 조정 대신의 중간에 서서 황제를 대신해 악역을 하는 역할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세인의 평가와 달리 한악의 시집은 염정적이거나 여성적이지 않은 부분이 더 많다. 특히 많은 작품들이 역사적으로 존재의 가치가 있는 것들이다. 그의 시에서 살펴본 두 작품 「六月十七日召對自辰及申, 方歸本院」과 「中秋禁直」은 소종 황제에 대한 영원한 충성심을 표현했고 또 「乾寧三年丙辰在奉天重圍作」에서 “칼을 차고 밤에 성을 순찰한다. 옷깃에는 서리가 가득하네.”라는 구절에는 비장한 감정마저 든다. 마지막으로 한악 역사시의 시사적 성격에서 대표로 든 「感事三十四韻」과 「錫宴日作」은 시의 내용이 『신당서』와 『자치통감』등의 역사적 기록들과 부합하고 사건들의 내용이 시인의 감정적 묘사를 통해 더 승화되고 있다. 특히 한악이 시구에 스스로 주를 다는 방법을 사용하여 역사적 객관성을 더 높였다. 이는 한악시의 詩史的 특징이라고 하기에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Tang is a dynasty during which not only the system of the limited monarchical power was conducted most effectively,but also the ancient Chinese literature reached its peak. Han Wo was a special poet in the end of Tang Dynasty. He had written more than three hundred forty poems. His historic pomes were very special. This paper attempts to present a true picture both of the themes and of styles as concealed in his poems, which are the production of his thoughts and inner feelings shaped by his life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He was appointed to the Imperial Academy(Han Lin Yuan), thus coming to know politics and society. Accordingly. his poems theme and style has a compliance with injustice and weariness of politics in the poems. His historic pomes are represented by his Thirty Four Poems on the Current Affairs. Although both Han Wo and the Emperor Shaozhong share some experience in life and politics, Han Wo's poems are considered as the epic of the late Tang Dynasty. He has a position of an intellectual on the side of the ruling to show sympathy to the declining empire and misery of the ruled.

      • KCI등재

        명말 경세실학의 철학적 배경에 대하여

        이경규(Lee Kyung Kyu) 중국사학회 1998 中國史硏究 Vol.4 No.-

        明末是中國經世實學的發展與繁榮的時代, 而明末的經世實學是明末精神的集中反映與社會進步思潮的主流. 那마, 這些經世實學在明末擡頭的背景在十마地方? 我認爲對宋明理學的空理空談重視實際實用的經世實學的根本背景在重視物質的根源與實體的氣哲學的擡頭. 中國古代已經把天地之氣說明以陰陽與自然現象的順序, 在秦漢時代元與氣的槪念開始聯起來了解的, 董仲舒第一次提出元氣的統合槪念. 魏晉時代, 因玄學與道敎的盛行把氣槪念越來越深化, 宋明時代的氣槪念依張載開始確立哲學的性格, 而批判現象世界與本體世界的二分化. 明代的改革思想家都反對朱子學的理氣觀. 就是對`理先氣後`與`理是獨立的存在`的思考形態他們反對的. 所以他們主張`天地之間只有一氣`·`理離氣不可能存在`·`有氣才有理`, 要以氣爲宇宙構成的原理. 那마, 理只是統制原理或條理, 而氣質與情欲是不可分的關係, 爲了主張性善不得不肯定人間的情欲. 因此, 氣哲學的擡頭有思想史上從官學離叛的意義, 明代改革家宇宙觀上重氣·重器的看法不但重視構體的對象而且肯定現實存在的眞實性. 所以他們批判宋明理學的`存天理去人欲`的看法, 充分地肯定人間的情欲與物質的社會的價値. 這些與人情小說 ·社會小說的出現有不可分的關係, 也與氣哲學一定有關係. 所以明末經世實學擡頭的背景在氣哲學不可否認的事實.

      • KCI등재

        문학 속의 ‘탕자’ 고찰 - 대학생들의 주체성 함양을 위하여 -

        이경규 ( Lee Kyung-kyu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8 문학교육학 Vol.0 No.60

        다가오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절실한 것은 기술이나 지식이 아니라 모험정신과 창의적 주체성이다. 본고는 이러한 인성적 자질을 함양시키는데 문학독서가 일조할 수 있다고 보고 관련 작품을 찾아 소개하고 분석했다. 그것은 소위 탕자 모티브의 문학으로 지드의 「탕아 돌아오다」, 푸시킨의 「역참지기」, 릴케의 「탕자의 전설」이다. 세 작품 모두 누가복음의 탕자비유에 대한 대응으로 나온 작은 걸작이다. 세 작품 모두 아버지의 사랑과 권위에 포섭되는 성경의 탕자와는 달리 끝까지 자아를 주장하는 주체적인 탕자를 그려내고 있다. 지드의 탕아는 참 자아를 찾기 위해 안락한 집과 보장된 미래를 구속으로 간주하고 스스로 가난과 역경 속으로 뛰어드는 아들이고, 푸시킨의 탕아는 자신의 미래를 위해 눈물을 머금고 홀아버지를 떠나 성공하는 입지적인 딸이다. 딸은 아버지가 탕자비유의 교훈을 늘 주입시켰음에도 불구하고 가부장적 질서와 가치를 깨고 자신만의 삶을 개척하는 도전적인 여성이다. 릴케의 탕자는 가족의 사랑을 견딜 수 없어 집을 떠나는, 고도의 정신적인 독립을 추구하는 청년이다. 이 탕자는 대상에 구애되지 않는 가장 순수한 사랑을 통해 참된 자아를 추구한다. 물론 이러한 허구 속의 탕자들을 그대로 모방할 수도 없고 그럴 필요도 없지만 그들의 도전과 모험을 우리의 사유 속으로 끌어들여 성찰하고 토론하다 보면 그 지향성이 어느 정도 체화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What is needed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the problem-solving ability and decision-making ability based on creativity rather than specific technology or expertise. This is based on the inner attitude of challenging spirit and self-initiative which an issue of literature education is. The basis of literature education is reading. In particular, the effect and empathy through reading literary fiction makes it possible to change personality. In this sense, this paper introduces and analyzes three literary works that inspire young people’s challenge and subjectivity: Gide’s 「The Return of the Prodigal Son」, Pushkin’s 「The Station Master」 and Rilke’s 「Legend of the Prodigal Son」. These are all modern short stories in the motif of the parable of the prodigal son in Luke. Basically, each of all three authors draws a different prodigal son from the biblical who finally caves in to the father’s love and authority. It is a independent, autonomous son who works hard to achieve his dream, which causes reflections on ou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