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공동주택단지 배치유형별 열환경 영향성 분석: 유체역학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이건원,조영태,Gunwon Lee,Youngtae Cho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23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14 No.3

        This study attempted to simulate changes in the therm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apartment complex in Korea using CFD techniques and evaluate the thermal environment by type of apartment. First, apartment complex types in the 2000s and 2010s were referred from previous studies and four types of apartment complex were extracted from. Second, the layout of the apartment complex and temperature changes were analyzed by the direction of wind inflow. Third, a standardized model was created from each type using tower type, plate type, and mixed driving. Last, CFD simulations were performed by setting up the inflow of wind from a total of eight directions. The temperature was relatively low in the type consisting of only the tower type and the type of placing the tower type in the center of the complex,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the wind. It was due to the good inflow of wind from these types to the inside of the complex. It can be interpreted because wind flows easily into the complex in these types. The findings showed that wind flow and resulting temperature distribution patterns differed depending on the building type and complex layout type, confirming the need for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complex layout in the early design stage. Th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creating a sustainable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early design stage of apartment complexes in the future.

      • KCI등재

        도시 유형별 도시특성요소와 온실가스 배출량 간의 관계 분석

        이건원(Gunwon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1

        본 연구는 전국 도시를 도시특성에 따라 유형화하고, 유형별 대표 도시를 선정하여 도시 유형별 도시특성 요소와 탄소 배출량, 에너지 소비량 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유형화를 위해 우선적으로 도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도시특성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도시 특성요소들 중에서 변수를 축소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 도출된 계수의 절대값을 기준으로 하였다. 이 변수들을 이용하여 전국의 도시들을 유형화하였으며, 각 유형별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유형별 대표도시를 선정하였다. 유형별 도시 특성과 온실가스·에너지 사용량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량, 전력 사용량, 석유 사용량을 기준으로 각 유형별 대표도시와 비교, 분석을 진행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유사한 배출량과 소비량을 보이더라도 유형별 대표도시의 특성요소에 따라 원인이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온실가스와 도시특성요소 간의 관계를 밝힘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도시 유형화를 실시할 필요가 있고, 그에 따라 상이한 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는 점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classified cities across South Korea according to their urban characteristics, selecting representative cities for respective types, and drawing a relationship among urban characteristic elements, carbon emissions, and the energy consumption of cities. For the classification of cities, the elements of the urban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through a review of the related literature. Factor analysis was then carried out to select the variables from among these elements. The absolute coefficient value found in the analysis was set as a standard. A classification of cities across the country was performed using these variables, and representative cities were chosen for a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For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e urba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 of city, the greenhouse gases, and the energy consumption of cities, emissions of greenhouse gases, electricity consumption, and oil consumption of the representative cit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cause of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electricity consumption varies according to the element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presentative cities, even when they show similar emissions and consump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통근통행을 위한 통행수단으로서 자동차 선택에 개인속성 및 도시특성, 도시형태가 미치는 영향

        이건원(Lee, Gunwon),정윤남(Jeong, Yunnam),김세용(Kim, Seiy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5

        본 연구는 개인들의 통행수단으로서 자동차 선택에 개인수준 및 도시특성,도시형태의 세 가지 측면에서의 상관관계 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이용을 감소시키는 도시특성 및 도시형태의 주요 요소로 5Ds를 중심으로 접근했다.이러한 분석을 위해서 2005년 인구주택총조사자료 중 2%수준의 MicroData내의 개인속성과 개인의 통행데이터 그리고 각 도시에서 제공하는 도시별 통계 데이터 등을 바탕으로 한국에 있는 도시 75개 도시와 그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HGL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분석결과,자동차 이용감소에 효과적인 도시특성 및 도시형태요소 분석을 위해서 개인수준의 통제는 반드시 필요하고,5Ds는 대체로 자동차 이용 감소에 의미있는 관계를 보였으나 서구도시들에서 잘 알려 진 자동차 이용 감소 요소인 Density와 Diversity는 한국의 도시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효과를 보이지 않는 사실을 도출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draw a correlation in the choice of automobiles as the preferred mode of personal transport in relation to three factors: 5Ds, urban form and individual-level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 control at the individual level is required to analyze effective urban character and urban form elements to decrease the car choice and the 5Ds demonstrate meaningful relation to decreasing the car choice. However,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density and the diversity, well-known elements in decreasing the car choice among Western cities do not show relatively large impact on Korean cities.

      • 온실가스 Net Zero 2050 실현을 위한 지방자치단체 단위 도시관리 방향

        이건원(Lee, Gunwon) 호서대학교 공업기술연구소 2020 공업기술연구 논문집 Vol.39 No.2

        본 연구는 최근 정부에 의해서 선언된 온실가스 Net Zero 2050실현 목표 달성을 위해 기존의 지자체 단위로 수행된 관련 정책들이 온실가스 저감에 실제로 기여했는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PCC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232개 통계 데이터를 구득할 수 있는 4개의 탄소저감 성과지표(전력사용량, 생활폐기물배출량, 석유소비량, 녹지면적)를 선정하였으며 ‘저탄소 녹색성장’ 발표 이후, 3년이 지난 2008년도를 본격적인 정부의 탄소저감 정책 추진 시점으로 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2017년(2018년)까지의 지표값 변화량을 시계열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7개 지자체는 각각 특화된 정책을 가지고 다양한 저탄소 정책 및 사업을 추진하고 있었다 The article investigated carbon reduction policies and selected seven cities that were awarded several times through evaluation systems. Four carbon reduction performance indices of electric usage, volume of domestic waste, amount of oil consumption, and area of green were selected according to IPCC guidelines(2006). Lastly, time sequential analysis from 2008 to 2017(2018) was conducted based on the period before the policy enforcement of the central government. As the result of comparative empirical analysis between awarded city groups and general city groups, The change rates of awarded city group: rate of change in electric usage, volume of domestic waste, and amount of oil consumption of an awarded city is superior than general cities.

      • KCI등재

        작물 생장조건을 고려한 생태면적률 제도 개선 방향

        이건원(Lee, Gunwon),정윤남(Jeong, Yunnam),지성균(Ji, Seongkyun),김세용(Kim, Seiy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2

        본 연구는 여러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생태면적률 제도 보완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도시농업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많은 공동주택단지에서 주민들이 텃밭을 일구고 있지만 이에 대한 건축 및 도시계획적 대응 은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이미 널리 활용 중인 생태면적률 제도를 활용하여, 이러한 도시농업에 대한 수요 에 대응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생태면적률 제도는 작물이 아닌 초목 만을 고려한 것으로 작물재배를 위해서 는 한계가 분명하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생태면적률 제도를 보다 확장하여 작물생장 성능까지 담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기존의 생태면적률의 요소에 일조, 간격, 면적, 토심이라는 요소를 더 추가하여 생태면적률의 보완가능성을 분석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생태면적률 제도를 보완하여 최근의 도시농업의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Biotope Area Ratio(BAR) systems used in the various fields.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ing demand in urban agriculture as well as more residents cultivating farms on a small scale. However, there are few measures in terms of architecture and urban planning to respond to this trend. In this sense, this research is effective as it can respond to these demands by using BAR systems. Yet, the environmental indexes are not enough since BAR systems only take account of vegetation.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n alternative way that includes the capacity factor of the plant growth by expanding the existing BAR systems. Thus, the study analyzes the complementary possibility of BAR systems, including elements of daylight, planting interval, area and soil depth with existing BAR elements.

      • KCI등재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생태면적률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이건원(Lee, Gunwon),정윤남(Jeong, Yunnam),민병학(Min, Byunghak),김세용(Kim, Seiy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12

        본 연구는 최근에 높아지고 있는 도시농업 요구에 건축, 도시분야가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서 법제도적 장치로서 기존에 활용도가 높은 생태면적률의 개선에 주목한 연구이다. 기존의 생태면적률은 여러 작물생장조건 중 토심과 투수만을 다룬 지표로 조경식재 등의 관리에는 활용될 수 있으나 도시농업의 주요요소인 작물을 다루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설을 증명하고 그 개선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실제로 생태면적률 지표 만으로 작물생장까지를 다루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실제 단지계획상에서의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생태면적률에 빠져 있는 작물생장 조건 중 가장 중요한 일조를 중심으로 생태면적률 개선의 가능성 및 개선 방향 을 타진했다는 점에서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focused on improving the Biotope Area Ratio, which has existing availability as a legal and institutional method for the architectural and urban fields to respond rapidly to recently growing demands for urban agriculture. The existing Biotope Area Ratio indicators only considers the depth and permeability of soil among a range of conditions for plant growth; they can be used for landscaping plants management but have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plants that are the major factors in urban agriculture.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is hypothesis and suggest a direction of improvement in the Biotope Area Ratio. The study discovered that the management of plant growth only using the Biotope Area Ratio indicators has limit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