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네거티브 선거 캠페인의 효과: 2007년 대통령선거 투표참여를 중심으로

        이강형 ( Gang Heong Lee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09 언론과학연구 Vol.9 No.2

        이 연구는 네거티브 선거 캠페인이 투표참여에 미치는 영향력과 관련하여 두 가지 대립되는 가설(탈동원 효과 vs. 동원효과)을 설정하고, 2007년 우리나라 대통령 선거 당시 행해진 인터넷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해 이들의 타당성 여부를 검증하고자 했다. 연구는 또한 정치 광고를 비롯하여 신문과 방송뉴스, 인터넷, 대인 채널 등 유권자들이 접촉할 수 있는 다양한 네거티브 캠페인 유형들이 투표 참여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했다. 분석결과 네거티브 캠페인이 투표참여를 독려한다는 동원효과 가설이 부분적으로 검증되었다. 특히 다양한 캠페인 유형들 가운데 인터넷을 통한 네거티브 캠페인 메시지 접촉의 효과가 가장 일관성이 있게 나타났다. 즉, 인터넷을 통한 네거티브 캠페인 접촉은 유권자들에게 반대후보에 대한 위협 인식과 박빙승부 인식을 심어줌과 동시에 투표참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향은 지지정당이 없거나 정치지식이 낮은 집단에게서 강하게 나타났다. 인터넷의 효과와 더불어 신문과 방송뉴스를 통한 네거티브 캠페인 또한 투표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정치광고의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tried to confirm two competing hypotheses involving the effect of negative campaigns on vote turnout: mobilization vs. demobilization. Considered in the study were the effects of several forms of negative campaigns by political ads, news, internet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For this, an internet panel survey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2007 presidential campaign periods in Korea. As a result, the study demonstrated that a mobilization effect had the upper hand. Most of all, the negative campaigns through internet had a consistent mobilization effect. The result indicated that exposure to negative information about presidential candidates through internet increased candidate threat and perceived closeness of the election and thereby motivated vote turnout. The study also found that individuals varied in their sensitivity to negative campaigns through internet. In particular, negative information was more consequential for independents and for those with less knowledge about politics. There were also some significant mobilization effects of exposure to negative information in newspaper and television news but no effect of political advertisement.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선거 커뮤니케이션의 이론적 개관

        이강형(Gang-Heong Lee) 한국언론학회 2007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3 No.1

        이 논문은 선거 캠페인에 있어서 매스미디어 및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역할과 관련된 이론들을 선거연구 역사의 거시적 틀 내에서 체계적으로 개괄하는 데 기본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체적인 논의 영역을 크게 (1) 매스미디어의 캠페인 메시지 생산, (2) 유권자에 대한 캠페인 메시지 및 대인 네트워크의 효과로 나누었다. 전자 영역에서는 정치후보가 자신에게 유리한 메시지나 의제를 매스미디어가 채택하도록 하는 전략에 대한 연구에 대한 이론들을, 그리고 후자 영역에서는 ‘누구에게 투표할 것이냐’에 대한 후보 선호도 연구와 ‘투표에 참여할 것이냐’의 여부에 대한 투표 참여행동 연구와 관련된 이론들을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특히 이 논문은 후보 선호도에 대한 매스미디어 캠페인의 효과에 관한 기존 연구를 선거연구 역사의 거시적 틀 내에서 (1) 정치사회학적 접근, (2) 정치심리학적 접근, (3) 경제학적 접근으로 나누고 이러한 분류 틀 내에서 기존의 매스미디어 캠페인 효과 이론들을 논의했다. 이를 바탕으로 이 논문은 선거 캠페인에 있어서 매스미디어의 영향력을 탐구하기 위한 미래의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essay is to review theoretically the studies about electoral communication in terms of a macro frame of the history of election studies. Thus, it focused on two broad research areas related to electoral communication; (1) production on mass media campaign message, (2) the effects of the campaign message and interpersonal network on voters' choice of political candidates and turnout. More specific, the former area examined how strategically a political candidate attracts mass media to produce the message in favor of her or himself; the latter explored the effects of the campaign message and interpersonal network on voting behavior such as 'vote for whom' and 'whether to vote.' In particular, the essay reexamined the effects of mass media campaign on voters' choice of candidate by discussing the related previous research within the macro-historic frame of election studies; (1) poli-sociological approach, (2) poli-psychological approach, (3) economic approach. Based on the reexamination, the essay suggests a new direction for studying the impacts of mass media in the electoral proces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종이신문 열독시간 변화 추이

        이강형(Gang Heong Lee),남재일(Jae Il Nam) 한국언론정보학회 2017 한국언론정보학보 Vol.83 No.3

        이 연구는 그 동안 장기적으로 진행되어온 신문이용량 감소의 원인과 관련하여 시간적 차원을 구성하고 있는 세 가지 요소, 즉, 개인의 생애주기에 따른 연령효과, 미디어 환경변화가 주도한 시기 효과, 그리고 특정시기에 태어나서 특정한 미디어 경험을 공유하는 코호트(또는 세대) 효과를 코호트 분석(cohort analysis)을 통해 동시적으로 밝혀내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종이신문 이용량 감소가 뉴스이용자 전체에 걸쳐서 진행되어 온 공통적인 현상인지, 아니면 특정 연령대나 특정시기의 출생 집단에 의해 주도되어온 ‘특수한’ 현상인지, 아니면 특정 시기에 등장한 뉴스 미디어가 추동한 뉴스 미디어 생태 환경적 현상인지를 진단하고자 했다. 언론진흥재단의 언론수용자 설문조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00년대 접어들면서 가속화되기 시작한 신문 열독시간의 하락은 2000년대 초반 포털 뉴스 사이트의 등장과 성장으로 인해 무료 뉴스 시장이 확대된 시기와 상당히 연관되며, 1980년대 초반에서 1990년대 초반에 출생한 코호트들이 그 이전에 출생한 코호트보다 더 종이신문 시장에서 이탈하면서 생겨난 현상으로 짐작된다. 개인의 생애주기에 따른 연령 효과는 시기 효과나 출생코호트 효과에 비해 그다지 일관성 있게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explored the causes of the enduring decline in the amount of newspaper reading time by using the cohort analysis. Three possible effects were examined for the decline in the amount of newspaper reading time: age, cohort, and period. The age effect represents the chronological amount of time that has elapsed since birth and explains how an individual’s position in his or her life span effects the newspaper reading. The cohort effect denotes the experiences shared by certain age groups that distinguish characteristics of group members from those of others. The period effect is one that influences people’s newspaper reading in particular periods regardless of their age. We analyzed the long-term survey data of newspaper audience conducted by the Korea Press Foundation. As a result, the decline in the amount of newspaper reading was foun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period in which the free news market has increased due to the advent of internet news portal sites in the early 2000s. The birth cohorts of the early 1980s to 1990s also took the lead in the decline of newspaper reading. However, there was no consistent effect of age as compared with the period and cohort effects.

      • KCI등재

        농촌지역민들의 커뮤니케이션 채널 이용이 범죄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이강형 ( Gang Heong Lee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3 언론과학연구 Vol.13 No.3

        이 연구는 텔레비전과 대인 간 커뮤니케이션 채널이 범죄에 대한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경쟁적 가설들(문화계발 효과이론 vs 비개인적 영향력 가설; 공명 가설 vs 주류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농촌지역 응답자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인 간 커뮤니케이션 채널이 개인적인 위험지각에 영향을 미친다는 비개인적 영향력 가설이 입증되었던 반면, 텔레비전이용이 사회적 수준의 위험지각에 영향을 미친다는 문화계발 효과 이론의 주장은 검증되지 않았다. 한편, 현실 속에서의 일상 경험에서 범죄의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고 낮음에 따라 텔레비전 시청이 사회 내에서의 범죄 발생 확률에 대한 지각에 미치는 영향력이 서로 다를 것이라는 주류 가설과 공명가설은 본 연구 자료에서는 입증이 되지 않았다. 오히려 농촌지역이 인구규모가 큰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일수록 대인 커뮤니케이션 채널 이용이 개인적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력은 더 크게 나타났다. This study tries to test the competitive hypotheses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levision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the perception of crime risk: cultivation effect hypothesis vs. impersonal impact hypothesis; mainstreaming hypothesis vs. resonance hypothesis. Using the survey data of the 2,000 rural residents samp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mpersonal impact hypothesis, expecting the impact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on the personal perception of crime risk, was confirmed instead of the cultivation effect hypothesis which tells the impact of television on the personal and social perception of crime risk. On the other hand, not confirmed was either of mainstreaming or resonance hypothesis which competitively explains the different relationship between television viewing and crime risk perception depending on the possibility of everyday exposure to real crime. Rather, interpersonal communication had an important impact on the personal perception of crime risk as the population size of the rural residence increases.

      • KCI등재

        농·어촌 지역 주민들의 미디어 장르별 이용에 따른 신뢰 형성의 문화계발 효과

        이강형(Lee, Gang Heong),신동호(Shin, Dong Ho)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사회과학연구 Vol.23 No.1

        이 논문은 농·어촌 지역민들의 장르별 미디어 이용이 지역민들의 일반 및 대인 신뢰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문화계발 효과의 이론적 관점에서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했다. 논문은 우선 이론적으로 미디어 이용이 문화계발 효과를 일으키는 인지적 메커니즘에 대해 논의하고, 미디어 이용이 신뢰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메시지에 대한 실시간 정보처리(online process)결과로 나타나는 제2차 문화계발 효과로 규정했다. 장르별 미디어 이용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단층화집락추출을 통해 농어촌 지역민 3,9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텔레비전 시청 총량이 일반 신뢰와 대인 신뢰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했으며, 오히려 개별 미디어 장르별로 차별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 저녁 일일연속극, 아침 드라마, 뉴스 등이 전반적으로 대인과 일반신뢰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개별 장르별 효과는 지상파 방송사 별로 효과의 크기나 방향에 있어서 약간씩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MBC의 경우 뉴스, SBS는 드라마, KBS는 다큐멘터리가 일반 또는 대인 신뢰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력이 높았다. 또한 방송사별 장르의 영향력의 경우 KBS와 MBC/SBS 사이에서는 일부 장르에서 차이가 뚜렷하게 드러났지만, MBC와 SBS 사이에서는 아무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ural residents’ use of media genres on social or interpersonal trust from the perspective of cultivation theory. The paper, first, discussed the cognitive mechanism to explain how people’s media use has cultivation effects. Most of all, we defined the media uses’ effect on trust as the second-oder cultivation effect as a result of people’s online processing of media messag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sing specific media genres on social and interpersonal trust, the large-scale survey was conducted toward 3,933 samples in rural area. As a result, the total amount television use, which is assumed to be a main element of the decline in trust in cultivation theory, had a trivial effect on trust. Instead, the study found that a specific genres had significant impacts on trust. For example, the genres of entertainment, evening-time soap opera, morning-time drama, and news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rpersonal and social trust. Next, the effect of each genre varied according to television channels. For example, MBC news, SBS drama, KBS documentary had a relative stronger effect on trust as compared to other channels. It also was found that KBS showed different impacts as compared to MBC and SBS in some genres, but MBC and SBS had no difference in either gen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