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열량섭취와 폐기능지표와의 상관관계

        윤호일 ( Ho Il Yoon ),박영미 ( Young Mi Park ),조여원 ( Ryo Won Choue ),강영애 ( Yeong Ae Kang ),권성연 ( Sung Youn Kwon ),이재호 ( Jae Ho Lee ),이춘택 ( Choon Taek Lee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8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5 No.5

        연구배경: 이전의 연구에서 섭취의 제한은 폐기종과 유사한 변화를 유발할 수 있음이 알려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이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갖는 의미는 밝혀진 적이 없다. 저자들은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영양섭취량과 폐기능지표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서 2006년 3월부터 1년 동안 진료받은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폐활량검사, 확산능검사, 폐용적검사와 함께 영양섭취상태평가를 시행한 후 분석하였다. 결과: 총섭취열량과 1초간노력호기량이나 최대노력호기량(%예측치)과는 아무런 상관관계를 찾을 수 없었다. 반면 폐확산능의 지표인 DLCO (%예측치), DLCO/VA (%예측치)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총폐용량(%예측치)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임을 관찰할 수 있었다. 섭취한 열량 중 단백질섭취열량과 폐확산능 DLCO (%예측치), DLCO/VA(%예측치)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탄수화물 및 지방섭취에 의한 열량과 폐기능지표는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하루 섭취 열량은 그 환자의 폐확산능과는 양의 상관관계, 총폐용량과는 음의 상관관계에 있어 섭취열량과 폐기종의 관련성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 There are reports that food deprivation causes emphysematous changes in the lungs of rats and humans. However, the meaning of this phenomenon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has not been evaluat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caloric intake and parameters of the lung 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Methods: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who had visited the respiratory clinic from March, 2006 for one year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patients underwent pulmonary function tests, and a dietitian evaluated their nutritional intake using a food record method. Results: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caloric intake and forced vital capacity (FVC, %predicted) or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 %predicted). The total caloric intak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diffusing capacity of carbon monoxide (DLCO %predicted, DLCO/VA %predicted),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total lung capacity (TLC, %predicted). Of the calories taken, only calories from protein intake correlated with the diffusing capacity of carbon monoxide (DLCO %predicted, DLCO/VA %predicted). Conclusion: The total caloric intake of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diffusing capacity of the lung,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total lung capacity. Further study on the linkage between the caloric intake and severity of emphysema is needed. (Tuberc Respir Dis 2008;65:385-389)

      • SCOPUSKCI등재

        FK506과 cyclosporin A가 기관지상피세포, 단핵구, 림프구 및 폐포대식세포에서 $I{\kappa}B{\alpha}$ 분해 및 $IKK{\alpha}$ 활성에 미치는 효과

        윤호일,이창훈,이희석,이춘택,김영환,한성구,심영수,유철규,Yoon, Ho Il,Lee, Chang-Hoon,Lee, Hee-Seok,Lee, Choon-Taek,Kim, Young Whan,Han, Sung Koo,Shim, Young-Soo,Yoo, Chul-Gyu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2003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54 No.4

        연구배경 : Cyclosporin A(CsA)와 tacrolimus(FK506)은 현재 임상에서 널리 쓰이는 면역억제제이다. CsA와 FK506이 $I{\kappa}B/NF-{\kappa}B$ 경로에 미치는 영향에는 세포에 따라 다양한 효과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CsA와 FK506이 기관지 상피세포에서 $I{\kappa}B/NF-{\kappa}B$ 경로에 미치는 효과에 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고, 각종 염증 세포에서의 차이에 관해서도 보고가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염증세포인 기관지상피세포와, 폐의 염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염증 세포(폐포대식세포, 단핵구, 림프구)에서 CsA와 FK506이 $I{\kappa}B{\alpha}$의 분해에 미치는 영향과 그 기전을 평가하였다. 방 법 : 비염증세포로는 BEAS-2B와 A549 세포주를 이용하였다. FK506 또는 CsA 전처치 후 TNF-${\alpha}$로 자극하고 anti-$I{\kappa}B{\alpha}$ 항체를 이용한 Western blot으로 $I{\kappa}B{\alpha}$의 분해 여부를 관찰하였다. 염증세포로는 폐포대식세포, 말초혈액 단핵구 및 림프구를 이용하였고, 역시 FK506 또는 CsA 전처치 후 TNF-${\alpha}$, IL-$1{\beta}$, LPS로 자극하고 anti-$I{\kappa}B{\alpha}$ 항체를 이용한 Western blot으로 $I{\kappa}B{\alpha}$의 분해 여부를 관찰하였다. IKK의 활성도는 GST-$I{\kappa}B{\alpha}$를 기질로 이용한 in vitro immune complex kinase assay로 평가하였다. 결 과 : 사용된 모든 세포에서 CsA와 FK506은 $I{\kappa}B{\alpha}$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기관지 상피세포에서 TNF-${\alpha}$ 자극에 의한 $I{\kappa}B{\alpha}$의 분해는 CsA의 전처치로 억제되었으나, FK506의 전처치로는 억제되지 않았다. 단핵구, 림프구 및 폐포대식세포에서 외부자극에 의한 $I{\kappa}B{\alpha}$의 분해는 CsA 또는 FK506의 전처치로 억제되었으나 IKK활성은 억제되지 않았다. 결 론 : CsA와 FK506은 각각 기관지 상피세포와 단핵구, 림프구, 폐포대식세포에서 외부 자극에 의한 $I{\kappa}B{\alpha}$의 분해를 억제하는데, 이는 IKK 활성화의 억제가 아닌 다른 경로를 통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Cyclosporin A(CsA) and tacrolimus(FK506) have been widely used as immunosuppressants. The effects of CsA, or FK506, on the $I{\kappa}B/NF-{\kappa}B$ pathway have been shown to vary according to the cell type. However, their effects on the $I{\kappa}B/NF-{\kappa}B$ pathway have not been reported in bronchial epithelial cell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CsA and FK506 on the $I{\kappa}B/NF-{\kappa}B$ pathway in bronchial epithelial cells, monocytes, lymphocytes and alveolar macrophages were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effects on the $I{\kappa}B/NF-{\kappa}B$ pathway and $I{\kappa}B$ kinase(IKK) activity was also investigated. Methods : BEAS-2B and A549 cells, pulmonary alveolar macrophages, peripheral blood monocytes and lymphocytes were used. The cells were pre-treated with CsA, or FK506, for various time periods, followed by stimulation with TNF-${\alpha}$, LPS or IL-$1{\beta}$. The $I{\kappa}B{\alpha}$ expressions were assayed by Western blot analyses. The IKK activity was evaluated by an in vitro immune complex kinase assay, using GST-$I{\kappa}B{\alpha}$ as the substrate. Results : Neither CsA nor FK506 affected the level of $I{\kappa}B{\alpha}$ expression in any of the cell types used in this study. CsA pre-treatment inhibited the TNF ${\alpha}$-induced $I{\kappa}B{\alpha}$ degradation in bronchial epithelial cells. In contrast, the TNF ${\alpha}$-induced $I{\kappa}B{\alpha}$ degradation was not affected by FK506 pre-treatment. However, FK506 suppressed the cytokine-induced $I{\kappa}B{\alpha}$ degradation in the pulmonary alveolar macrophages, peripheral blood monocytes and lymphocytes. The inhibitory effect of CsA, or FK506, on $I{\kappa}B{\alpha}$ degradation was not related to IKK. Conclusions : CsA and FK506 suppressed the $I{\kappa}B{\alpha}$ degradation in bronchial epithelial cells, monocytes, lymphocytes and alveolar macrophages, so this may not be mediated through IKK.

      • SCOPUSKCI등재

        임상적 병기 T<sub>1-2</sub>N<sub>0</sub>M<sub>0</sub>인 비소세포폐암에 동반된 폐결절의 악성여부 및 그 예측인자

        윤호일,임재준,이춘택,김영환,한성구,심영수,유철규,Yoon, Ho Il,Yim, Jae-Jun,Lee, Choon-Taek,Kim, Young Whan,Han, Sung Koo,Shim, Young-Soo,Yoo, Chul-Gyu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2004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56 No.2

        연구배경 : 임상적 병기 $T_{1-2}N_0M_0$인 비소세포폐암에서 주 종괴와 같은 엽 혹은 다른 엽에 폐 결절이 존재하는 경우, 이 결절의 악성여부에 따라 환자의 예후는 물론 치료방침이 크게 달라진다. 그러나 조직검사가 어려워 악성여부를 감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고, 악성 혹은 양성을 시사하는 임상적, 조직학적 예측인자가 알려져 있지 않아 악성의 빈도 및 예측인자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1년 7월부터 2003년 9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비소세포폐암으로 수술 받은 환자 444명의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수술 전 임상적 병기가 $T_{1-2}N_0M_0$이고 주 종괴 외의 폐 결절이 존재하는 환자 중, 결절에 대한 조직검사가 이루어진 경우나 수술 후 최소한 6개월 이상의 추적검사가 가능했던 경우만을 포함하였으며 수술 전후 항암치료나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경우나 석회화된 결절의 경우는 제외하였다. 결 과 : 대상환자는 총 39명이었으며 이 중 양성이 33 예, 악성이 6 예였다. 양성군과 악성군에 대하여 환자의 성별, 나이, 조직형, 병기, 결절의 모양, 크기, 동반결절유무, 위치, 주변의 석회화 존재여부 등을 비교하였으나 이 중 어느 인자에 관하여도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 비소세포암의 임상적 병기가 $T_{1-2}N_0M_0$인 경우, 동반된 폐결절 중 다수가 양성결절이므로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양성 혹은 악성 여부를 시사하는 임상적, 방사선학적 소견이 없으므로 조직학적 확인을 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Background : When a non small cell lung caner patient at the $_cT_{1-2}N_0M_0$ stage is diagnosed with intrapulmonary nodule(s), the treatment plan and prognosis of the patient largely depend on whether the nodule is benign or malignant. In most cases, however, it is hard to conduct a biopsy on such a nodule, due to its small size. Furthermore, the predictive factors that may imply benignancy or malignancy of the nodules remain unknown. As such,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validate the incidence of malignant nodules in such cases, and find if there are any predictive factors. Methods : Chest computed tomography(CT) scans and the medical records of 444 patients, who had undergone non small cell lung cancer surgery, between July, 2001 and September, 2003,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Among $_cT_{1-2}N_0M_0$ non 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with intrapulmonary nodule(s), only those cases where a CT scan or a biopsy of the nodules had been conducted, and had been followed up at intervals of more than 6 months were included. However, patients who had received chemotherapy or radiation therapy, pre- or post-operatively, or with calcified nodules, were excluded. Results : Our study group consisted of 39 patients,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33 patients, had benign nodules, and the second group, 6 patients, had malignant nodules.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with regard to gender, age, cell type, pathologic stage, shape, size, location and number of nodules and presence of calcification around the nodul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 The intrapulmonary nodules in non 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at the $_cT_{1-2}N_0M_0$ stage were mostly benign. Therefore, surgical treatment for such patients can be considered. Moreover, without predictive factors, pathological confirmation of the diagnosed nodules should be sought in all patients.

      • KCI등재

        수산물 가공부산물의 이용에 관한 연구 1 - 가다랭이 내장 발효 silage 제조를 위한 유산균주의 배양특성

        윤호동(Ho Dong Yoon),이두석(Doo Seog Lee),지청일(Cheong Il Ji),서상복(Sang Bok Suh) 한국수산과학회 1997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0 No.1

        In order to utilize fish by-products from the skipjack tuna (Katsuwonus pelamis) canning manufactures, Lactobacillus bulgaricus KCTC 3188 and L. plantarum KCTC 1048 were used as a starter culture for the preparation of fermented fish silage with skipjack tuna viscera.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H on bacterial growth and lactic acid production of L. bulgaricus and L. plantarum in MRS broth were 35℃ and around pH 6.0, respectively. And the optimum concentrations of the carbohydrate sources added to the broths were 7% far dextrose and 10% for molasses on the basis of total weights of skipjack tuna viscera. The pH of acid treated skipjack tuna viscera silage (ASS) slightly increased from 4.0 to 4.5, while that of fermented skipjack tuna viscera silages by the use of lactic acid bacterias (FSS) was significantly declined from 5.9 to about 4.0 after 42 days of storage at 35℃. Though the content of volatile basic nitrogen (VBN) in ASS was lower than those of FSS after 42 days of storage at 35℃, VBN content in silages slightly increased from an initial value of 62∼65 ㎎/100 g to final value of 113∼155 ㎎/100 g over 42 days. The fermented silage by L. plantarum reached a maximum concentration of amino nitrogen and showed 81% of hydrolysis degree after 4 days of storage at 3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