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윤혜진의 새야 새야 파랑새야 주제에 의한 10개의 피아노 변주곡(2021) 분석연구
윤혜진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Nationalism music, referring to the creation of a style of national sense in the work by the composer using the musical language or material unique to the nation to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an independent nation, began to gain attention with the beginning of the nationalist movement in the 19th century.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author's <10 Variations on the Theme of Saeya Saeya Parang Saeya for Piano (2021)>, which was composed by borrowing a Korean folk song melody, in accordance with this musical trend and thereby to develop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contemporary music and to create its own musical language. Through a formal analysis of variations, it was aimed to suggest how Korean To-ri, Jang-dan, and its folk songs melody were recreated by fusion with Western music. The overall form of the work consisted of ten variations. The melodies were varied by using the rhythms of the Yukjabaegi To-ri, a melody of Jeolla-do, and the Jungjungmori rhythm, which is mainly used in Namdo folk songs. In addition, rather than simply variations on the Western style of melody, harmony, rhythm, and structure, cadence that is not often used in tonal music such as deceptive cadence, picardy cadence, and amen cadence is used, and ambiguity of the tonality is applied, thereby reconstructing the melody of “Saeya Saeya Parang Saeya” into a modern style. In addition, the usage of the piano was maximized by using a wide range of sound, which is not often used in general piano music, and using dynamic, pedal-based ringing and continuous sound. Conclusively with this work, it is expected that Korean unique musical usage be inherited and developed, and furthermore, it is hoped that more creative musical usages unique to Korea will emerge. 국민주의 음악은 19세기 민족주의 운동이 시작하면서 주목받기 시작하였고, 작곡가가 독립적인 민족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 민족 고유의 음악어법이나 제재를 사용함으로써 작품 속에 민족적인 감각의 양식을 창조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음악 사조를 따라 한국 민요 선율을 차용하여 작곡한 본 연구자의 <“새야 새야 파랑새야” 주제에 의한 10개의 피아노 변주곡(2021)>을 분석하여, 한국 현대 음악 발전 방향성과 고유 어법 창안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변주곡이라는 형식 분석을 통해 한국의 토리와 장단이, 그리고 민요 선율이 서양 음악과 융합하여 어떻게 재창조되었는지 제시하고자한다. 작품의 전체 형식은 10개의 변주곡 형식으로 되어있다. 전라도 선율인 육자배기 토리와 남도민요에서 주로 사용되는 중중모리 장단을 리듬으로 활용하여 선율이 변주되었다. 이외에도 서양 양식인 선율, 화성, 리듬, 구조 등을 변주시켜 단순히 변주한 것이 아니라 허위종지, 피카르디종지, 아멘종지 등 조성음악에서 자주 사용되지 않은 종지를 사용하고, 조성의 모호함을 주어 “새야 새야 파랑새야”선율을 현대적인 느낌으로 재구성 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피아노곡에서는 잘 활용되지 않은 넓은 음역대 사용과 다이나믹, 페달을 사용한 울림, 지속음 사용으로 피아노의 활용을 극대화 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 고유 음악 어법이 계승·발전되기를 바라고 더 나아가 한국만의 창의적인 음악 어법이 더 많이 출현하기를 바라는 바이다.
중학교 『생활중국어』의 능원동사 분석 및 학습지도 방안 연구
初中『生活中国语』的能愿动词分析与教学方案研究 东国大学校 教育大學院 漢語教育專攻 尹惠珍 本论文针对六种初中教材里的能愿动词进行了分析,并于最终设计了有效的指导方案。 我国目前实行的教育课程大部分皆以提高沟通能力为目标,对语法的说明较简单或省略。但中文是根据语序而表现出语法特征的孤立语,因此文法是不容忽视的一大部分。尤其是能愿动词,其数量虽有限,但由于在日常生活中的使用频率高,所以在初级水平的教材中是很易见的。然而在初中的教材里,缺乏对能愿动词的特征及类似意义的详细说明,因此学习者们较难于实际状况中确切地使用。为使沟通顺利,不仅要提高学生们对能愿动词的理解,笔者也将通过在实际教育中使用的教材来进行分析,并提出正确又有效的指导方法。 本论文共分为六章,主要内容如下: 第一章,说明能愿动词的研究目的和必要性,前人的研究成果以及对研究范围和方法的介绍。 第二章,通过许多学者所研究之能愿动词的定义以及分析,综述能愿动词的概念以及能愿动词的类型、特征等。 第三章,以在六种初中教材『生活中国语』中出现的能愿动词为主要研究范围,考察能愿动词的个别特征,比较并分析其中的差异和相似点。 第四章,对初中教材『生活中国语』中出现的能愿动词的使用情况、频率与意义进行详细地分析。 第五章,根据前几章所述的能愿动词理论与课本分析之内容,提出最合适的几个教学方案。 第六章为本论文的结论。 本论文虽尚显不足,但期望本论文的研究成果能对教师们在指导学生能愿动词时有所帮助。同时,也期望日后关于能愿动词的有效指导方法之研究能更加活跃。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상담 패러다임에 대한 연구
윤혜진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4차 산업혁명의 대표적 특징은 급격한 기술 발달과 그로 인해 파생되는 각 영역에서의 폭넓은 변화이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이 상담 분야에 끼칠 영향과 다가올 변화에 필요한 상담 분야의 대응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상담분야와 4차 산업혁명 분야를 주제로 저술 분석을 통한 문헌연구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상담을 4차 산업혁명과 함께 논의하는 것은 기술 변화와 그로 인한 영향력, 특히 기술 변화와 상담과의 연관성에 초점을 둔 논의를 진행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본 관점에서, 본 연구는 공학기술 및 매체 도입의 의미와 시사점을 상담의 구성요소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상담 구성요소는 외부의 환경이 상담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할 수 있는 기준으로, 공학기술 및 매체 도입의 사전/사후 변화 모습을 비교함으로써 변화 양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정의되었다. 구성요소는 시간, 공간, 관계, 내용, 기술대응과 각 구성요소에 따른 세부요소로 구분되었다. 전화와 인터넷이 상담 분야에 적용되었던 사례를 통해 기술 변화가 상담의 각 구성요소에 미친 변화를 고찰한 결과, 공학기술 및 매체 도입은 상담 구성요소 전반에 다양하게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은 더욱 확장되었고, 상담에 대한 사람들의 접근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러나 기술대응 측면에서, 보편적인 기술의 상담 분야 적용은 상담 분야가 기술 도입에 대해 일정 부분 수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한계를 가져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4차 산업혁명의 정의와 특징, 주요 이슈를 검토하여 상담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였다. 광범위한 혁신과 기술 혁명의 특징을 가지는 4차 산업혁명의 과정에서, 상담 구성요소 각각의 변화 모습을 예상할 수 있었다. 상담을 둘러싼 새로운 환경에서 상담 분야가 효과적으로 대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기술변화를 대할 때 요구되는 자세, 기술을 통한 상담자와 상담환경의 증강, 기술에 대한 인간 중심적이고 윤리적인 가이드와 규범 제공 필요성에 대한 상담 분야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였다. 앞선 논의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상담의 변화 모습과 대응을 상담의 구성요소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상담을 둘러싼 시공간의 확장과 이에 대한 새로운 인식은 미래 상담 환경을 새롭게 다루는 연구와 준비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었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상담 구성요소의 변화는 공학기술 및 매체의 적재적소 활용을 요구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따라서 기술대응 측면에서, 상담 분야는 기술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인식과 대처가 필요하고, 상담 분야가 관심을 가져야 할 기술 범위의 확대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상담의 관점에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상담 분야 전반에 미치는 영향과 세부적으로 변화될 모습에 대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상담의 환경 변화와 그로 인해 야기될 새로운 현상에 대한 새로운 설명체계와 해결방식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그와 관련된 일련의 논의를 전개하였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한 개념적 논의에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추후 과제로 본 연구의 개념적 논의를 토대로 한 실제적 서비스와 시스템 구현과 지속적인 변화의 흐름에 따른 상담 분야의 발전 방향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실제적 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the wide range of changes resulting from each. This study discussed the effec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n the counseling field and the response to the counseling fiel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method analyzing the field of counseling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eaning of discussing counseling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mplies technological change and its influence, and discusse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change and counseling.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analyzed the meaning of technology introduction to counseling focusing on counseling components. Counseling components are a criterion for examining the effects of external environment on counseling. These are defined to help understand the changing patterns by comparing the changes between before and after technology introduction. Counseling components were divided into time, space, relationship, content, technical response and detailed elements according to each compon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the technological change has affected various components of the counseling component. The effects of technological change on each component of counseling were examined through cases where telephone and internet were applied to counseling. It was found that the introduction of technology in the counseling field influenced overall counseling components. The environment in which counseling services can be provided has been further expanded, and people's accessibility to counseling has increased. However, in terms of technology response, application of universalized technology to the consulting field has brought a limit to allow the counseling field to passively respond to the introduction of technology.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definition, characteristics, and major issu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ts effect on counseling. In the cours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haracterized by a wide range of innovation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s, we were able to anticipate changes in each of the components of the consultation. The counseling field needs to be prepared effectively for the new environment surrounding counseling. To this end, we discussed the need for attitude and attitude for technology changes, the enhancement of counselors' environment through technology, and the need to provide an ethical guide to technology. To this end, this study discussed the attitude of the counseling field needed when dealing with technological change, the enhancement of counselors and counseling environment through technology, and the role of counseling field to provide human-centered and ethical guidance and support for technology . Based on the previous discussion,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 of counseling and the countermeasur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cusing on the components of counseling. The expansion of the space - tim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counseling and the new perception of it could be expected to prepare new research and preparation for the future counseling environment. The changes in the counseling component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expected to require proper use of technology. Therefore, from the viewpoint of technology response, the counseling field needs to be actively recognized and coped with the technology, a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technology that the counseling field should be interested i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effec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n the counseling field and the way in which the counseling field is changed in detail are examined from the viewpoint of counseling.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e new explanation and solution of the new environment and the change of the counseling environment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suggested and a series of discussions related to it were developed. This study aims at conceptual discussion based on literature stud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implementation of practical services and systems based on the conceptual discussions here and further study on the continuing changes in the field of counseling.
도시환경 공공 사인시스템에서의 어린이를 위한 교통안전 사인 연구 : 5~10세 중심으로
윤혜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오늘날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생활이 편리해지고 풍요로워지고 있으나, 산업재해나 교통사고로 인한 피해가 늘고 있으며, 사회 약자계층을 배려하는 환경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도시환경에서 인공적 환경요소가 증대되고 인구의 집중으로 변화된 주거환경에, 이를 연결시켜주고 질서를 만들어 줄 수 있는 사인시스템이 정비되어 있다. 인간과 환경 사이의 정보전달의 관계를 통하여 빠르게 이해될 수 있고 보다 쉽게 정보를 전달하는 도구로 사용되어야 하는 사인시스템은, 성인중심으로 어린아이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상징성과 시각적 단순화를 통한 모호한 형태를 담고 있으며 시야에서 너무 높은 곳에 배치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실에 일반인 뿐 아니라, 장애인과 노인, 어린이 모든 사람에게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보편적 디자인 원리라는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이 등장하고 있다. 일반인과 장애인, 노약자의 문제점이 보완되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아직 해결되어지지 않은 어린이 교통안전에 중점을 두고 어린이를 위한 교통안전사인을 살펴보았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는 교통사고를 일종의 전염병과 같이 간주하여 대책 수립의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며, 2004년 세계 보건의 날에는 “안전한 도로는 결코 우연히 만들어지지 않는다.”라는 슬로건을 내세워, 전 세계적으로 교통사고 예방이 절실히 필요함을 다시 한 번 경고하였다(WHO, 2004). 전반적인 교통사고는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어린이 관련 교통사고의 경우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안전교육을 강화하는 지침을 마련하였으나 아직까지 큰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어린이들은 스스로 교통안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며, 추상적이고 모호한 형태의 교통안전사인을 이해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어린이를 위한 교통안전사인을 개발하기위하여 첫째, 어린이의 인지발달이론을 바탕으로 정보인식, 사인인식 과정을 조사하였다. 둘째, 어린이에게 친숙하면서 구체적인 정보 전달을 위해, 어린이에게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는 모델로 딕 브루너(Dick Bruna)의 미피(Miffy)를 연구하였다. 셋째, 설문조사를 통하여 어린이의 동선에 따른 필요한 교통안전지시를 설정하였으며, 넷째, 현재 교통안전사인의 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접목시켜 어린이교통안전사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사인은 유치원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해도와 주목도, 실천의향과 선호도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나타난 문제점을 보완하여 최종 수정을 하였다. 가정에서는 교통안전대책으로 어린이들을 혼자 돌아다니지 못하게 하는 등 어린이의 활동량에 제한을 두고 있지만, 본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 어린이 보행자의 교통질서와 운전자의 교통법규 준수를 통하여 어린이들이 마음껏 뛰어놀고 안전하게 거리를 다닐 수 있는 환경 조성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Today,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ies is making human lives rich and convenient, however, the number of casualties caused by industrial disasters and traffic accidents is reported to be increasing as well as the environmental system that provides caring for the weak class of the society is raised to be one of the major concerns. Sign system is installed in urban areas to remind people of the right orders and to connect between increasing artificial environmental elements and residential environments that have changed due to th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Sign system that needs to be used as a tool to provide quicker understandings of circumstances by reflecting on how human beings receive information from their surroundings and to make it easier to communicate information is nevertheless designed basically for adults that most signs are found to be highly symbolical and vague for visual simplification and located at high places by which it makes children somewhat hard to recognize them. Such fact encouraged the advent of 'universal design' principles which can satisfy the demands of not only normal grown men but also the disabled, the elderly and children. At this point of time where the problems on the elderly and disabled are on the progress of improvement, research was held based on the traffic signs for children as the solution for problems that children encounter has not yet been invented. As soon as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started considering traffic accidents as some kind of contagious diseases, they emphasized on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a measure for traffic accidents and even made a slogan saying "Road safety is not accident." on the World Health day 2004 to warn that the prevention of traffic accidents is urgently required globally. Taking it by and large,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is tending to be decreasing. However, in cases of traffic accidents involving children, it is not making a good progress yet despite the effort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have put to reduce the accidents by improving the quality of road safety education. Children lack themselves the awareness of risks on the road and can hardly understand the road safety signs that are too abstract and vague to be understood by children.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process of recognizing information and signs by children was examined to develop road safety signs for children. Secondly, Miffy(a character created by Dick Bruna)was researched as a model that can easily become familiar with children. Thirdly, road safety directions often required on the routes where children frequently use are identified based on a survey and fourthly, road safety signs were designed in the application of analyzed elements of current road safety signs. Another survey was made on children to find out the problems based on understandability, recognizability, practicality and favorability of newly designed signs and the signs were retouched reflecting on the analyzed data. Typically, as a prevention of getting involved in a traffic accident, family with young children restrict their children from doing activities such as taking a walk by themselves and etc. but this research could make the streets safer so that children can run around and enjoy themselves to the full safely on the streets by helping child pedestrians be more aware of traffic orders and risks and drivers to follow the road regulations.
디지털 전환 시대를 맞이하여 인공지능(AI)은 국가와 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인식되고 있다. AI 중심의 지능정보사회를 대비하기 위해 세계 주요 국가들은 고등교육뿐만 아니라, 초·중등 대상의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SW·AI) 교육을 체계적으로 추진하는 추세이다. 한국 역시 전 국민 대상 SW·AI 교육 환경 조성과 함께, 초·중등 학교급에서는 SW·AI 교육 강화를 위해 정보 교과목 강화 및 정보 융합 교육 장려 등을 정책으로 수립하여 실행하고 있다. 정보 교육에 대한 인식이 학생들의 미래 역량 함양에 공통으로 필요한 교육으로 바뀌어 감에 따라, 정보 교육 차원에서 학습자의 학업 성취를 보다 체계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평가에의 관심이 함께 높아지고 있다. 한국은 국가 교육과정 체제이므로 정보 교육과정의 평가 영역을 충분히 활용하려면 교과의 내용 및 평가 영역, 교육평가, 총론의 주요 특징 및 관련 교육과정 이론 등 다양한 영역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이에 관한 정보 교과 중심 연구의 필요성에 의해, 본 논문에서는 중등 정보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백워드 설계를 활용하여 평가 설계를 위한 절차와 교과 내용 분석 기준을 제시했다. 본 연구와 관련하여 백워드 설계는 총론에서의 교과 핵심 내용을 중심으로 한 학습 내용 구조화, 정보 교과의 문제 해결 절차와의 공통점 기반의 관계성, 심층적 이해를 위한 교과의 재구조화 전략으로서의 의미가 있다. 연구문제로서 첫째 정보 교과의 지식의 특징, 둘째 정보 교과 특징에 기반한 지식, 기능, 태도의 구조, 셋째 중등 정보 교육과정에 기반한 정보 교육 평가의 구성과 적용 절차를 제시했다. 연구 절차는 탐색, 설계, 타당화, 결론 도출로 구성했다. 탐색 단계에서 연구문제에 관한 자료를 수집, 정리했다. 문헌 연구를 위해 한국, 영국, 미국의 교육과정 및 관련 문서, 교육과정, 교육목표분류, 교육평가 관련 연구와 문서를 검토했다. 설계 단계에서 중등 정보 교육과정에 기반한 이해 중심 평가로서 정보 교과 지식의 특징, 정보 교과를 위한 지식·기능·태도 구조, 평가 방안과 적용 절차 등을 도출했다. 타당화 단계에서 설계 내용에 대한 이론적, 현장 적용성 관점의 적합성과 타당성을 검증했다. 학계와 현장 전문가 16인을 대상으로 이질 집단을 구성하여 델파이 방법과 심층 면담을 실행했고, 총 3차의 설문 과정을 거쳐 합의를 이루었다. 회차별 설문 내용의 분석 방법은 합의 도달 여부의 양적 평가 기준(표준 편차, 사분위수 범위, 적합 비율, 내용타당도 비율)을 검토하고, 서술 의견과 심층 면담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종합적인 결론을 내렸다. 연구 결과로서 첫째, 정보 교육 평가를 위한 국가 교육과정 기반의 설계 절차와 주안점을 제시했다. 둘째, 평가 설계에 필요한 교과 내용의 분석 기준(정보 교과 지식의 특성 및 지식 위계, 기능 분류, 태도 분류)을 제시했다. 셋째, 평가 유형과 세부 유형을 정리하고, 이를 활용하여 지식-기능 관계 및 태도 구조에 따른 적용 방안을 제시했다. 덧붙여 이해를 돕기 위한 통합 사례와 총괄 수행 과제를 포함했다. 연구의 의의로서 첫째, 본 논문은 국가 교육과정을 토대로 하여, 중등 정보 교육에서 평가 설계 과정과 이를 위한 정보 교과 내용 분석의 기준을 제공했다. 둘째, 정보 교과의 평가에 대해 정보 교과의 구조와 내용의 특징 관점에서 접근했다. 셋째, 국가 교육과정을 현장 교육에 적용할 때 필요한 정보 교과 중심의 자료를 제공했다. 넷째, 중등 정보 교육의 평가에서 정의적·심동적 영역에 관한 인식을 확인하고, 관련 내용을 보다 체계화하고 강화했다. 다섯째, 중등 정보 교육 연구에서 정보 교과 지식의 특징을 짚어보고, 교과 내용 구조화를 위한 위계와 분류 체계에 정보 교과와의 연계성을 고려한 용어와 표현을 사용했다. 여섯째, 정보 교육의 연구에 대한 인식과 의견의 차이는 전문가의 환경과 정보 격차 등에 의해 발생함을 확인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향후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논문은 중등 정보 교육의 평가 설계를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는 이론 중심의 연구이므로, 이로 인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교사 대상의 실행 연구, 현장 적용에 더욱 적합한 형태로의 템플릿 발전, 학교급별·교과 영역별 사례 개발, 교사 교육 프로그램과 연수 개발 등이 필요하다. 둘째, 정보 교과 내용으로서의 지식 자체에 대한 연구로서 교과 내용의 특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정보 교과의 지식, 기능, 태도의 특성과 구조 및 관계를 더욱 정교하게 규정하여 교수·학습 내용의 안정성과 지속성을 기대하고, 교사들의 교수·학습·평가 설계에 참조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정보 교육과 관련된 객관화된 평가와 정량화된 척도 개발이 필요하다. 학습자의 능력과 학습 결과를 적절하게 진단하고 측정하는 것은 개별 학습자에게 알맞은 정보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중요 자료가 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제시한 향후 연구에 필요한 기간과 자원 등을 고려하여 개인과 공적 차원의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widely recognized as the cornerstone of both business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since the digital transformation has resulted in major economic and societal upheaval. Major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are systematically promoting softwar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W·AI) education for K–12 as well as higher education to get ready for an AI–centered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In Korea, a SW·AI education environment for all ages is being established. Additionally, at the K-12 level, SW·AI education is strengthened through educational strategies including enhancing informatics subjects and classes that combine with content in informatics. As a result,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evaluation to measure learners’ academic progress more thoroughly in informatics subject-area education.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is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therefore, teachers must hav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a variety of topics, including subject content, educational evaluation, the general guide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associated theories, as well as the assessments section of the informatics curriculum, to properly plan assessments based on the assessments section of the informatics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ment for informatics-related research, this study proposed guidelines for planning assessments and criteria for analysis of subject content based on secondary information curriculum and using backward design. Backward design has three implications in this study: structuring learning content of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general guide; sharing commonalities with problem-solving processes in informatics; and a restructuring strategy of subjects for the purpose of in-depth understanding. Research questions based on thi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in informatics in secondary school? Second, what is the structure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cs? Third, what is the procedure for planning assessments in informatics education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The steps of the research process were exploration, design, validation, and drawing of conclusions. In the design stage,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cs knowledge, restructured structures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for informatics, evaluation plan, and application procedure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methods. As sources for the literature review, research and documents on curriculum and related documents in Korea, the UK, and the US, curriculum theory, educational taxonomies, and educational evaluation were cited. In the validation stage, the accept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sign outcomes were confirmed from a theoretical and field applicability perspective. Delphi and in-depth interview methods were applied to a heterogeneous group of 16 experts, consisting of professors, researchers, and secondary informatics teachers, and consensus was built through three Delphi rounds. For consensus analysis, four quantitative discriminant criteria were looked at: standard deviation, interquartile range (IQR), agreement ratio, and content validity ratio (CVR). When all conditions are met,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Delphi's open-ended ques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as examined, and the comprehensive agreement conclusion was mad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uidelines and key ideas were proposed when designing an assessment plan for secondary informatics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Second, the criteria for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secondary informatics subject for assessment were offered. In detail, it consisted of th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knowledge hierarchy, and skill and attitude categorization in secondary informatics. Third, the types of assessment methods available for secondary informatics were integrated and summarized. Based on them, the planning process according to the knowledge-skill relationship structure and attitude structure was presented. Integrated scenarios and performance tasks were offered to aid with comprehension. Conclusions and sugges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for assessments plan and structural analysis of subject content for secondary informatics education. Second, assessments for informatics were approached from a thorough viewpoint of the subject structure as per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features of the subject content. Third, the sources required to integrate the national curriculum into classroom instruction are offered, with an emphasis on informatics. Fourth, awareness of affective and psychomotor domains was examined during assessments of secondary informatics education, and the related material was enhanced and better systematized. Fifth, the hierarchy and categorization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were described as terminology and expressions connected to informatics. Finally, it was established that experts' perspectives, perceptions, and opinions on the topic of informatics education vary depending on their unique circumstances and contexts, and further research to fill in the varied knowledge gaps among experts is recommended. Future research area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since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the theory and method of assessment plan desig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emplates that are more appropriate for the field, compile case studies by academic level and content areas of the subject, and create teache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in order to make up for the limitations. Second, more research is requir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matter covered in informatics educa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consistency and continuity in teaching and learning and to provide teachers with standards to use when they restructure the curriculum by more precisely defining the traits and structures of informatic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hird, it is necessary to design verifiable and quantified scales related to informatics education. Learning outcomes and abilities must be accurately diagnosed and measured to provide each student with the instruction they need. Finally, considering the time and resources required for each research topic, simultaneous efforts at the individual and public levels should be made in the future research areas mentioned above. Keywords: secondary informatics education, assessments plan, informatics curriculum, national curriculum, backward design (understanding by design), curriculum restructuring.
수공예 손목시계 제작 연구 : 착시 이미지 디자인을 중심으로
윤혜진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9 국내석사
손목시계는 초정밀 공학기술 집약산업임과 동시에 현대인에게 사랑받는 디자인 제품으로 세계적인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최근에는 명품시장에서도 가장 고부가가치를 올리는 품목으로 하이엔드 시계 브랜드들에서는 그 명성을 유지하면서 활발하게 다양한 신제품을 개발, 출시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고가 명품 시계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이 돋보이며, 세계적으로도 한국은 하이엔드 브랜드 시계의 매출 성과가 높은 주요 거점 시장으로 자리했다. 스마트 기기의 출현으로 위축될 것이라 예측되기도 했었던 손목시계 시장은 오히려 더욱 활성화 되는 흐름을 보여주고 있는데, 그 이유는 현대의 손목시계가 착용자의 개성과 품격을 대변하는 패션아이템으로써 활용의 목적이 변화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파급효과로 인해 시계 시장은 하이엔드 제품뿐만 아니라, 최근 들어 패션시계, 디자이너 브랜드, 수공예 시계 등으로 영역이 확대되며 시장세분화가 이루어지고 소비자의 선택 폭은 더욱 다양해지는 추세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최근 부각되고 있는 수공예 시장의 활성화와 더불어 수공예 손목시계 분야의 확대가 예측되고 있다. 명품과 저가로 분리되어있던 시계시장은 여러 디자이너 및 브랜드를 통해 매력적인 시계가 늘어나고 있으며, 수공예 시계를 제작하는 작가들도 등장하는 추세이다. 이렇게 수공예손목시계의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반면, 현실적으로 국내 수공예손목시계 분야는 시장형성이 잘 되지 못하고 있다. 국내 수공예손목시계 시장이 현대의 소비욕구를 충족하지 못하는 이유는 첫째로 제품의 기능적 사양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둘째로 한정적인 디자인으로 현대의 트렌드와 공존하지 못하고 있고, 셋째로 가장 큰 이유는 시계를 제작할 수 있는 자료를 구하기가 어려워 공예가들이 쉽게 접근하지 못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에 국내 수공예손목시계 분야가 활성화되지 못하는 이유를 손목시계 시장의 현황 조사와 본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더욱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2010년부터 현재까지 손목시계 회사에서 근무하며, 손목시계 시장의 성장 가능성과 제약들을 몸소 느낄 수 있었다. 손목시계가 하이엔드 브랜드 시계나 독립시계제작자의 시계를 제외하고 디자인을 다양화시키기 어려운 이유는 손목시계로서 꼭 지켜져야 하는 기능적 요구사양 때문이다. 손목시계는 구조적으로 지켜져야 할 조건들과 규격화 되어있는 무브먼트 및 금형생산의 효율성 한계 등으로 인해 디자인을 다양화시키기 쉽지 않다. 디자인의 다양화는 자유로운 수작업이 가능한 수공예 손목시계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제작을 위해서는 각 단계별로 정밀한 제작에 필요한 정보와 지식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러한 내용들은 쉽게 접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작가들의 다양한 시도와 접근이 어려워서 발전하지 못하고 있는 안타까운 상황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국내에서 제대로 알 수 없었던 수공예 손목시계 제작에 관련한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접근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에 이번 연구를 통해 손목시계의 구조와 기본 사양, 손목시계에 대한 부품별 실용지식, 제작과정 등을 정리함으로써 수공예손목시계 제작을 위한 매뉴얼과 같은 자료를 정리하였다. 또한 착시효과라는 디자인 주제를 설정하고, 직접 손목시계를 제작하여 연구의 결론적 측면을 활용예시의 실물 작품으로 제안할 수 있도록 진행하였다. 이번 연구는 현대인의 수요를 충족하지 못하고 정체되어 있는 수공예 시계시장에 대한 고찰과 그 해결방안을 찾는다는 점에서 첫 번째 의의가 있다. 또한 다양한 작가들이 진출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정리를 통하여 수공예 시계 분야 자체에 대한 접근성을 높였다는 데에서 두 번째 의의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작가들이 손목시계 제작에 보다 쉽게 접근하여 가능성을 펼치는 계기를 마련하고, 다양한 디자인을 선보이며 점진적으로 성장하는 수공예 시계 시장이 형성되기를 바란다. Wristwatch is global higher value-added business which is super precision engineering technology-intensive industry as well as beloved design product by modern people. Wristwatch is a item to raise the highest added value in luxury market, and high-end watch brands maintain their reputation, develop and launch various new products actively. Recently, the watch market has been expanded its business area by subdividing the market such as fashion watch, designer brands, and handicraft watch, and customers could have more diverse options. It is predicted to expand handicraft wristwatch market as well as recent vitalization of handicraft market under this circumstance. The watch market dividing into luxury and low price has increasing attractive watches through diverse designers and brands, and designers who produce handicraft watches are increasing. However, the domestic market of handicraft wristwatch does not grow well.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at why the domestic market of handicraft wristwatch does not grow well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wristwatch market and experiences of researcher. The researcher works for wristwatch company since 2010 and has experienced the growth potentials and limitations of wristwatch market in person. It is difficult to diverse the design of wristwatch except high-end brand watch or independent watchmaker because of its function to check time which is essential for wristwatch. It is not easy to produce watches with diverse design because the wristwatch has preconditions to keep its structure and standardized movement. Diversity of design could be achieved by handicraft wristwatch, and to produce handicraft wristwatch, information and knowledge to produce precisely by steps is needed. However, it is not easy to access, and designers are losing their chance to develop their works and try various attempt. Therefore, this study organized handicraft wristwatch production related materials systematically to increase its accessibility that does not rightly know in Korea. Thus, it contained a structure and standard features of wristwatch, utility knowledge for wristwatch parts, and production process, and the material as manual for handicraft wristwatch production had been organized. Moreover, an optical illusion had been set as the design theme, and a wristwatch had been producted in person to show a real piece of application example in the aspect of study conclusion. The first meaning of this study is that it studies a handicraft watch market which remains sluggish because it could not meet the demand of modern people and finds problem solutions. The second meaning is that it has increased accessibility to handicraft watch area itself through systematic organization that various designers could enter.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create a momentum for possibility that designers could be access to wristwatch production more easily and display various designs. The researcher hopes that handicraft watch market would be built gradually.
초등학생의 간식 당류 섭취 및 섭취식품 다양성과의 상관관계 연구
윤혜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ake of snack sugar consumption and diet diversity and to identify factors snack sugar consumption among 244 elementary school children aged 11-12 years living in Guri city. The participa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to assess sociodemographic factors, sugar intake and the construct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food frequenc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height of the participants was 145.3±6.4 in boys and 144.1±6.8 in girls and the average weight of that is 40.8±7.7 in boys, 36.5±7.7 in girls. 84.4 %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had meals three times a day. 2. 38.5%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having snack once per day, 26.6% reported "almost no snacks", and 21.3% reported "twice and more per day". 49.6%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had ready made snacks and 39.8% of them had snack prepared from mother or family members. 3. 82%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taste was not changed or increased after having snack. 4. Total sugar intake from snacks was 114.4g per day. The most frequently consumed snack.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otal snack sugar intake and the diversity of food items in male and female children. 5. In male students,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snacks and total amount of snack sugar intake, although not in female students. 6.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core was 3.64±1.85, behavioral intention score 3.72±1.40 and subjective norms score 3.55±1.85. Score from perceived risk of child having obese 2.72±1.36. 7. In participants from the mother or the family members making snacks the control intention to eating the sweet snacks was the highest and participants having snack purchased from market reported the lowest intention for controlling the sweet snack 8.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tention and subjective norm were each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amount of snack sugar intake. Subjective norm explained 17%,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tention 23%. The strongest predictor wa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tention to reduce the sugar snack intake in male students, but this was not significant in female students. 9. Perceived behavior control intention explained 26.4% for predicting the diet diversity followed by subjective norm (20%) and perception of effect of controlling sweet snack intake(19%) in male students. Subjective norm was the highest predictor for diet diversity in female students. 9. Perceived risk of obese explained 16.9% of the frequency of the sweet snacks intake, followed by perception of effect of control sweet snack, 12.7% and subjective norm 4% in male students. Perception of effect of control sweet snack explained 12.7% followed by subjective norms in female students. 10. The amount of the total snacks intake was in correlation with the amount of meat, dairy products and fat intake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frequent intake of snacks increased the amount of snack sugar, meat and fat consumption. Perceived behavioral intention to control sweet snack intake affected snack sugar consumption by decreasing manner in male students and subjective norm in female students. Therefore awareness of these factors should assist balanced nutrient intake and the importance of sound snack choices. 영양과잉 및 비만으로 발전할 수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는 당류의 과잉 섭취는 개인의 건강문제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당섭취로 인한 질병, 당류 과잉섭취로 인한 비만을 인한 질병 등을 야기되는 문제가 있다.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당섭취량과 생활습관 변화로 인한 운동부족으로 인하여 잉여열량이 체내 축적되어 비만을 초래할 수 있고, 비만으로 인하여 소아 당뇨 등 학령기 연령에서 성인병의 질환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실정을 감안해 볼 때, 총섭취당류 조사와 더불어 이로 인하여 초과되는 열량과 학령기 연령의 아동들에 대한 영양교육자료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구리시 소재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44명을 대상으로 간식 섭취 실태와 간식 섭취로부터 오는 총당류 섭취량을 조사하고, 당류가 많이 포함된 간식섭취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간식 총당류 섭취량, 간식 섭취실태, 식품섭취 다양성에 어떠한 영향력을 갖고 있는지 설문지 조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평균 신장은 남아 145.3±6.4 여아144.1±6.8, 평균 체중은 남아 40.8±7.7, 여아 36.5±7.7였으며, 아동들 중 84.4%는 하루 세끼를 섭취하고 있었다. 간식 섭취 빈도는 ‘매일 1회’ 38.5%, ‘거의 안 먹는다’ 26.6%, ‘매일 2-3회’ 21.3% 이었다. ‘어머니나, 가족 또는 본인이 구매해서 간식을 섭취하는 빈도’가 49.6%로 가장 높았고, ‘가족이 만들어 주는 경우’가 39.8%였다. 간식을 섭취 후 입맛의 변화는 ‘변화가 없다’ 48%, ‘증가한다’ 34.4% 로 간식의 섭취가 끼니 섭취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가 82%였다. 간식을 통한 총당류 섭취량은 1일 평균 114.4g이었고 가장 섭취빈도가 높은 간식은 요구르트, 과일 주스, 과자, 아이스크림 순이었다. 남녀 모두 간식 총당류 섭취량과 식품섭취다양성점수와는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있어 간식 총당류 섭취량이 높을수록 식품섭취다양성점수도 높아졌다. 남아의 경우 간식 섭취횟수와 간식 총당류 섭취량과는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여아는 유의적인 상관성이 없었다. 단맛 간식 섭취 조절 행동을 결정할 수 있는 요인으로 조사대상자가 비만 위험도 인식점수가 2.72±1.36으로 가장 낮았으며, 섭취 조절 행동 효과의 인식 점수 3.72±1.40, 단맛 간식섭취 조절 의지 점수 3.64±1.85, 부모, 가족, 주변인의 영향 점수 3.55±1.85 순이었다. ‘어머니나 가족이 간식을 만들어 주는 경우’ 단맛 간식 섭취 조절의지가 높았으며, 구매해서 먹을 경우 조절 의지 점수가 낮았다. 간식 총당류 섭취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단맛 간식 섭취 조절 의지가 23%로 가장 큰 영향력을 갖고 있었으며, 부모, 가족 및 주변인의 영향은 17%의 영향, 비만 위험도 인식은 8.7%, 단맛 간식 섭취 조절 행동 효과의 인식은 6.5%의 영향력을 보였으며, 단맛 간식 섭취 조절의지는 유의적으로 간식 총당류 섭취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요인이었다. 여아의 경우 간식 총당류 섭취에 있어서 이들 요인의 유의적인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단맛 간식 섭취조절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과 식품 섭취 다양성과의 관련성은 남아의 경우 단맛 간식 섭취조절의지가 26.4%, 부모, 가족 및 주변인의 영향이 20%로 유의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단맛 간식 섭취 조절로부터 오는 효과의 인식은 19%의 영향을 주었다. 여아의 경우 부모 , 가족, 및 주변인의 영향이 식품 섭취 다양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었다. 남아의 경우 단맛 간식 섭취 횟수에서 비만위험도 인식이 16.9%의 영향력을 갖고 있었으며, 단맛 간식 섭취 조절 효과의 인식 12.7%, 부모, 가족, 주변인의 영향은 4.%였으며 여아의 경우 단맛 간식 섭취 조절 효과 인식 12.7%, 부모, 가족 또는 주변인의 영향 10.6%로 이들 요인의 영향이 컸다. 간식 총당류 섭취량과 육류, 유제품 및 유지류의 섭취량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남아의 경우 간식 섭취 횟수가 증가할수록 간식 총당류 섭취량이 높았으며, 총당류 섭취량이 높을수록 육류, 유지류 등 열량이 높은 식품의 섭취량이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단맛 간식 섭취조절의지의 영향력이 간식 총당류 섭취를 감소시키는 데 있어서 가장 컸으며, 여아의 경우 부모, 가족, 또는 주변인의 영향에 의해 간식 총당류 섭취량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어머니나 가족이 간식을 만들어 주는 경우 아동의 단맛 간식 섭취 조절의지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장기 아동에게 간식을 섭취함에 있어 본인의 비만위험도 인식도 중요하지만 스스로 통제가 힘든 아동들에게 있어서 주변의 영향, 즉 간식을 챙겨주는 사람, 부모 및 가족의 관심 등에 따라 간식 총당류 섭취량과 횟수가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아동의 식생활과 건강을 담당하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올바른 간식보조와 아동에게 건전한 간식선택의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특히 탄산음료와 단 음식, 패스트푸드 등이 아동들의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인식하고, 아동들이 식품을 올바르게 선택할 수 있도록 알아보기 쉽게 영양표시를 하도록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본인이 간식을 손쉽게 접할 수 있는 도시의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여 대상에 제한적일 수 있었으나 제한된 조건하에서 시행된 연구 결과이므로 다양한 요인과, 폭넓은 대상을 상대로 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음악심리치료가 대학생 취업스트레스에 따른 반사회성 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 사회는 고학력 사회의 고착화 과정에서 대학생들의 취업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심리치료가 대학생들의 취업 스트레스에 따른 반사회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대학생들의 취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알아보기 위하여 취업 스트레스 척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반사회성 성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심리적 반발심 척도와 부정적 정서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취업을 준비하면서 취업스트레스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교 3, 4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음악심리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 5명과 통제집단 5명으로 무선배치하였다. 사전에 내담자들의 곡 선호도를 조사하고 전문가의 프로그램 검증 후 주 1회씩 총 8회기의 음악심리치료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2.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음악심리치료가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 둘째, 음악심리치료가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 셋째, 음악심리치료가 대학생의 심리적 반발심을 감소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 넷째, 음악심리치료가 대학생의 부정적 정서를 감소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음악심리치료가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따른 반사회성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로써 취업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심리적으로 회복되어 긍정적인 마음으로 취업을 준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뇌졸중 환자의 일어서기 훈련 시 인지손상수준에 따른 결과지식피드백과 수행지식피드백의 효과 비교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일어서기 훈련 시 경도인지기능 손상군과 인지기능 정상군에 각각 결과지식피드백과 수행지식피드백을 제공하여 인지손상 유무에 따른 효율적인 피드백 제공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32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인지손상 유무에 따라 경도인지기능 손상군과 인지기능 정상군으로 각각 16명씩 배분하였다. 경도인지기능 손상군과 인지기능 정상군은 결과지식피드백과 수행지식피드백에 대한 훈련을 수행하기 위해 각각 8명씩 무작위 배정하였다. 실험은 총 4주간, 주 3회, 회당 30분씩 시행하였으며, 대상자들은 일어서기 동작과 관련된 운동조절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일어서기 시 안쪽넓은근 활성도 및 앞정강근 활성도, 체중지지율을 측정하였고, 기능수행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5회 앉고 일어서기 검사(Five Times Sit-to-Stand test, FTSTS)와 일어나 걷기 검사(Timed Up-and-Go test, TUG)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윈도우용 SPSS version 18.0을 이용하였고, 대응표본 t-검정, 독립표본 t-검정, 이요인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학적 검증을 위한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경도인지기능 손상군의 결과지식피드백 훈련군은 중재 후 일어서기 시 안쪽넓은근 활성도 및 앞정강근 활성도, 체중지지율, FTSTS, TUG에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며(p<.05), 수행지식피드백 훈련군은 중재 후 일어서기 시 안쪽넓은근 활성도, FTSTS에만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p<.05). 인지기능 정상군의 결과지식피드백 훈련군은 중재 후 일어서기 시 안쪽넓은근 활성도, 체중지지율, FTSTS, TUG에 유의한 향상이 있었고(p<.05), 수행지식피드백 훈련군은 일어서기 시 안쪽넓은근 활성도, 체중지지율, FTSTS에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p<.05). 인지손상 유무에 따른 결과지식피드백 훈련과 수행지식피드백 훈련의 변화량 비교에서 경도인지기능 손상군에서 수행지식피드백 훈련군의 변화량에 비해 결과지식피드백 훈련군의 일어서기 시 안쪽넓은근 활성도, 체중지지율, FTSTS 변화량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p<.05).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앉은자세에서 일어서기 훈련 시 결과지식피드백과 수행지식피드백 제공이 효율적인 운동학습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며, 경도인지손상 환자의 경우 결과지식피드백이 수행지식피드백보다 효율적인 중재방법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