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광주・전남지역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디지털 교수매체활용현황과 교사의 인식

        윤해옥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Current Use of Digital Instructional Media and Teachers’Percep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in Gwangju-Jeonnam AreaHaeok Yoon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use of digital instructional media and teachers’ perception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on 214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 teachers in Gwangju-Jeonnam area. As a result, both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 teachers commonly used pictures and audio materials, but the use of PPT increased with advancing age of children. On the other hand, early childhood teachers generally perceived that the use of digital media helps improve the quality of learning. The participants mentioned that AR, VR, robots, and smart toys are currently unnecessary in class, but they also mentioned that these same media are potentially worth trying out in class. We suggest implementing various measures to support the use of digital instructional media, such as developing a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developing educational contents linked to the 2019 update of the Nuri curriculum. Key Words: Digital Teaching Media, Early Childhood Teachers, Media Us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Training 광주・전남지역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디지털 교수매체활용현황과 교사의 인식윤 해 옥**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영유아 교육현장에서의 디지털 교수매체 활용현황과 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 이를 위하여 광주전남 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214명의 설문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유치원과 어린이집 모두 그림자료와 음원자료를 많이 하였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PPT를 많이 활용하였다. 그리고 대집단활동, 안전교육을 위해 디지털 교수매체를 많이 활용하였다. 둘째, 영유아교사는 디지털 교수매체의 활용이 수업의 질적수준 향상에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였다. AR, VR, 로봇과 스마트 토이는 현재 수업에서 불필요한 교수매체이지만, 향후 적용해볼 만한 매체로 인식하였다. 결론 및 제언: 연구결과는 개정누리과정과 연계한 교육콘텐츠 개발과 교사교육, 인프라 구축 등 효과적인 디지털 교수매체 활용을 위한 지원방안을 제안한다. 핵심어: 디지털 교수매체, 영유아교사, 매체 활용, 유아교육, 교사교육 □ 접수일: 2022년 9월 18일, 수정일: 2022년 10월 7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이 논문은 2019년 송원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A2019-10). ** 송원대학교 유아교육과 부교수(Professor, Songwon Univ., Email: haeokpro@gmail.com)

      • KCI등재

        잠재집단분석을 활용한 대학생의 오방색 선호도와 대인관계 관련성 분석

        윤해옥(Hae-Ok Y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통색인 오방색에 대한 대학생의 선호도와 잠재집단유형을 분류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5개 도시 7개 대학의 대학생 1,268명의 설문 응답결과를 수집하여, 오방색 선호도 차이검증을 위해 반복측정분산분석과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하고, 오방색 선호도에 따른 잠재계층을 확인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전공계열에 따라 오방색 선호도에는 차이가 있지만 계열 구분없이 백색을 가장 선호하였다. 둘째, 잠재프로파일분석 결과 3개 유형의 잠재집단(높은 선호, 중간 선호, 낮은 선호)으로 분류되며, 오방색 전체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면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특정 색채에 대한 선호도보다 색채 선호도 강도를 중심으로 구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전통색에 대한 대학생의 색채선호도와 대인관계 성향과의 관련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접근이며,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Obang-colors with the tendency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Method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the sampling of 1,268 university students in five cities in Korea was conducted,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latent profiles analysis and other sources. Result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significant differences in Obang-color preferences according to the students’ majors and genders. Second, the university students’ preference types for Obang-colors were categorized and the latent profile analysis was execu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eference type. Third, there existed the difference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 color preference and color sensitivity. Conclusions This study expects the changes in understanding the methodology of the researches on the connection between color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 KCI등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직무만족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 간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윤해옥(Yoon, Hae-Ok),최효식(Choi, Hyosik)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6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97

        이 연구의 목적은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직무만족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 간의 종단적 상호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의 1차부터 4차까지 4개년도의 종단 자료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네 시점에 걸쳐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직무만족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의 자기회귀계수를 측정한 결과, 이전 시점의 직무만족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는 각각 이후 시점의 직무만족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직무만족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의 교차지연계수를 측정한 결과, 이전 시점의 직무만족도는 이후 시점의 결혼만족도, 이전 시점의 결혼만족도는 이후 시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무만족도와 부부갈등은 상보적 인관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전 시점의 부부갈등은 이후 시점의 결혼만족도에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이전 시점의 결혼만족도는 이후 시점의 부부갈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직무만족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 간의 상호 영향력에 대한 논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s among the job satisfaction, marital conflict,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 mothers of infants,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Four waves(2008-2011) of data from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supported our hypotheses. First, it was found from the data of the four waves that the job satisfaction, marital conflict,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 mothers of infants were moderately stable over time in the total four waves data. Second, the cross-lagged coefficient on the prior job satisfaction did not predict the later marital satisfaction of the mothers of infants significantly as well as prior marital satisfaction did not predicted the later job satisfaction. However, a reciprocal-causal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marital conflict. In addition, prior marital conflic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ater marital satisfaction whereas prior marital satisfac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later martial conflic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longitudinal analysis of dynamic causation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