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직무만족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 간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윤해옥(Yoon, Hae-Ok),최효식(Choi, Hyosik)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6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97

        이 연구의 목적은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직무만족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 간의 종단적 상호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의 1차부터 4차까지 4개년도의 종단 자료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네 시점에 걸쳐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직무만족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의 자기회귀계수를 측정한 결과, 이전 시점의 직무만족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는 각각 이후 시점의 직무만족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직무만족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의 교차지연계수를 측정한 결과, 이전 시점의 직무만족도는 이후 시점의 결혼만족도, 이전 시점의 결혼만족도는 이후 시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무만족도와 부부갈등은 상보적 인관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전 시점의 부부갈등은 이후 시점의 결혼만족도에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이전 시점의 결혼만족도는 이후 시점의 부부갈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직무만족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 간의 상호 영향력에 대한 논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s among the job satisfaction, marital conflict,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 mothers of infants,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Four waves(2008-2011) of data from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supported our hypotheses. First, it was found from the data of the four waves that the job satisfaction, marital conflict,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 mothers of infants were moderately stable over time in the total four waves data. Second, the cross-lagged coefficient on the prior job satisfaction did not predict the later marital satisfaction of the mothers of infants significantly as well as prior marital satisfaction did not predicted the later job satisfaction. However, a reciprocal-causal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marital conflict. In addition, prior marital conflic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ater marital satisfaction whereas prior marital satisfac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later martial conflic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longitudinal analysis of dynamic causation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 KCI등재

        잠재집단분석을 활용한 대학생의 오방색 선호도와 대인관계 관련성 분석

        윤해옥(Hae-Ok Y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통색인 오방색에 대한 대학생의 선호도와 잠재집단유형을 분류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5개 도시 7개 대학의 대학생 1,268명의 설문 응답결과를 수집하여, 오방색 선호도 차이검증을 위해 반복측정분산분석과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하고, 오방색 선호도에 따른 잠재계층을 확인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전공계열에 따라 오방색 선호도에는 차이가 있지만 계열 구분없이 백색을 가장 선호하였다. 둘째, 잠재프로파일분석 결과 3개 유형의 잠재집단(높은 선호, 중간 선호, 낮은 선호)으로 분류되며, 오방색 전체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면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특정 색채에 대한 선호도보다 색채 선호도 강도를 중심으로 구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전통색에 대한 대학생의 색채선호도와 대인관계 성향과의 관련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접근이며,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Obang-colors with the tendency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Method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the sampling of 1,268 university students in five cities in Korea was conducted,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latent profiles analysis and other sources. Result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significant differences in Obang-color preferences according to the students’ majors and genders. Second, the university students’ preference types for Obang-colors were categorized and the latent profile analysis was execu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eference type. Third, there existed the difference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 color preference and color sensitivity. Conclusions This study expects the changes in understanding the methodology of the researches on the connection between color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 KCI등재

        부모의 부부갈등, 결혼만족도, 유아 발달 간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APIM 모형의 적용

        윤해옥 ( Hae Ok Yoon ),최효식 ( Hyosik Cho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와 아버지의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 간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확인한 후, 어머니와 아버지의 지각된 부부갈등이 결혼만족도를 매개로 유아의 의사소통, 개인-사회성,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종단분석을 통해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1차년도(2008년)부터 3차년도(2010년)의 1,31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부부갈등(1차년도)이 결혼만족도(2차년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확인되었다. 효과 크기 비교 결과, 부부갈등이 결혼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크기는 어머니가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상대방효과의 크기는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지각된 부부갈등은 유아의 의사소통(3차년도)에 부적인 영향, 아버지의 지각된 결혼만족도는 유아의 의사소통과 문제해결능력(3차년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어머니와 아버지의 지각된 부부갈등은 아버지의 지각된 결혼만족도를 매개로 유아의 의사소통과 문제해결능력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가 확인되었다. The present study explores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mothers`` and fathers`` marital conflict and satisfaction toward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skill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eir child within an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This model allows us to evaluate whether mothers`` and fathers`` perceived marital conflict and satisfaction are impacted not only by their perceptions but also by their partners`` perceptions. The study also examines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satisfaction to the relationships among martial conflicts and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skill,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eir child. The data used comes from the 1st to 3rd year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a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set. Results show that marital conflict is associated with lower marital satisfaction for mothers and fathers and it showed greater influences in mothers. Results also show that mothers’ perceived marital conflict is associated with negative communication skill of their child while fathers’ martial conflict is associated with positive communication skill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addition, marital conflict of both mother and father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negative impact on the communication skill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children through marital satisfaction of fathers.

      • KCI등재

        교실환경,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유아의 인지능력, 창의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최효식 ( Hyo Sik Choi ),윤해옥 ( Hae Ok Yo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교실환경,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인지능력, 창의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통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5차년도 949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구조모형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실환경,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인지능력, 창의성 간 인과관계를 설정한 것이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잘 구성된 교실환경은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인지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실환경이 유아의 창의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교사효능감, 유아의 인지능력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교사효능감은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인지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교사효능감은 유아의 창의성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인지능력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유아의 인지능력은 창의성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창의성 발달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개입 목표 및 전략을 수립함에 있어 개입의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변인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실제적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lassroom environment, teacher efficacy,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children`s cognitive ability and creativity. We adopted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o analyzed data of 949 from the 5th year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an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lassroom environment, teacher efficacy,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children`s cognitive ability and creativity. Second, well structured and decorated classroom positively influenced on teacher efficacy,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children`s cognitive ability. However, classroom environment influenced on children`s creativity only through teacher efficacy and children`s cognitive ability. In other words, there was no direct relationship between classroom environment and children`s creativity. Third, teacher efficacy showed a direct significant influences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children`s cognitive ability whereas it showed an indirect influences on children`s creativity by children`s cognitive ability. Fourth, children`s cognitive ability signifiant influenced on children`s creativity.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that certain personal and environmental intervention variable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develop the most effective program to improve children`s creativity.

      • KCI등재

        부부갈등, 양육스트레스, 우울 간의 종단적 관계

        연은모(Yeon, Eun-Mo),윤해옥(Yoon, Hae-Ok),최효식(Choi, Hyosik)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5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93

        이 연구의 목적은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하여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 양육스트레스, 우울 간의 상보적 인과관계를 종단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의 1차부터 4차까지 4개년도의 종단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네 시점에 걸쳐 부부갈등, 양육스트레스, 우울의 자기회귀계수를 측정한 결과, 이전 시점의 부부갈등, 양육스트레스, 우울이 각각 이후 시점의 부부갈등, 양육스트레스, 우울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부갈등, 양육스트레스, 우울의 교차회귀계수를 측정한 결과, 이전 시점의 부부갈등이 이후 시점의 우울에 계속적으로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이전 시점의 우울은 이후 시점의 부부갈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전 시점의 부부갈등은 이후 시점의 양육스트레스에, 이전 시점의 양육스트레스는 이후 시점의 부부갈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전 시점의 양육스트레스는 이후 시점의 우울에 계속적으로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이전 시점의 우울은 이후 시점의 양육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among mothers’ perception of marital conflict,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In the present study, 4-year longitudinal data being collected by KCYPS(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since 2008 were used an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vious mothers’ perception of marital conflict,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bsequent mothers’ perception of marital conflict,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respectively over time. Second, prior marital conflic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depression, whereas prior depression did not significantly predict marital conflict. This means that as prior marital conflict increased, their depression intensified later on; however, marital conflict was not increased by depression. Moreover, prior parenting 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while prior depression did not predict parenting stress. However, a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was not existent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parenting stress.

      • KCI등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지각한 사회적 지원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특성의 종단매개효과

        연은모(Yeon, Eun-Mo),윤해옥(Yoon, Hae-Ok),최효식(Choi, Hyosik)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6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98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회귀 패널모델 방법에 기초한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한 분석을 통해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지각한 사회적 지원과 양육태도 간 관계에서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인 우울,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의 종단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의 2차부터 4차까지 3개년도의 종단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가 지각한 사회적 지원, 우울,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양육태도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안정적인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가 지각한 사회적 지원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우울이 종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완전매개모형이 지지되었다. 셋째, 어머니가 지각한 사회적 지원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자기효능감이 종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완전매개모형이 지지되었다. 넷째, 어머니가 지각한 사회적 지원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자아존중감이 종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완전매개모형이 지지되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결과를 확장하여 종단매개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측정학적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s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depressi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of mother of infants on the influence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to parenting attitude using Cross-Lagged Panel Model. Three waves of data from 2nd to 4th year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were used to analyze and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listed below. First, perceived social support, depression, self-efficacy, self-esteem, and parenting attitude of mother of infants were significantly stable over three years. Second, mother’s each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depressi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was proved to have a significant full mediating effects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attitude. For instance, the results from cross-lagged modeling showed that mothers who perceived high social support in 1st year represented low depression and high self-efficacy and self-esteem in 2nd year and thes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fluenced on the positive parenting attitude in 3rd year. Implications for prevention and early intervention with regard to methodolog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어머니-아버지 간 아버지 양육참여 지각 차이와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 간의 관계 : 부부갈등, 우울, 긍정적 양육태도의 매개효과

        최효식 ( Hyo Sik Choi ),윤해옥 ( Hae Ok Yoon ),연은모 ( Eun Mo Ye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1

        Paternal involvement is an important predictor of child-care based on the finding that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enhances positive influences on children. A large body of research in paternal involvement, however, has only focused on its qualitative and qualitative effects on mother, father, and the development of children, itself. Thus, with regard to the predictive relationships of perception of paternal involvement and parenting attitud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perceptive gap of paternal involvement between mother and father influences on children`s interactive peer play and how it relates with mother`s marital conflict, depression, and parenting attitude. It was assumed that children of parents who do not have a large gap about paternal involvement were likely to show better interactive peer play and mothers who have less gap about parental involvement with their husbands were likely to perceive less marital conflict, depression, and to have positive parenting attitude. Data of 1,553 samples from the fourth year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were used to analyzed and the results from this current study were suggested as follow. First, the perceptive gap about paternal involvement between mother and father did not presented any direct effects on children`s interactive peer play. Second, it was proved that mother`s perceived marital conflict was mediated between the perceptive gap about paternal involvement and mother`s depression, mother`s perceived marital conflict and depression were mediated between the perceptive gap about paternal involvement and the interactive peer play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specific indirect effect by using phantom variables. These results adds to the existing body of literature by providing new sights that the perceptive gap about paternal involvement between mother and father has a critical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 as much as the quantity and the quality of paternal involvement. 본 연구는 어머니와 아버지 간 아버지 양육참여에 대한 지각 차이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에서 주로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대한 양과 질이 어머니, 아버지, 자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초점을 두고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문제의식에 기초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 4차년도 1,533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어머니와 아버지 간의 아버지 양육참여에 대한 지각 차이가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어머니가 느끼는 부부갈등, 우울, 긍정적 양육태도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었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아버지 간 아버지 양육참여 지각 차이가 부부갈등, 긍정적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가 나타났지만, 어머니의 우울과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팬텀변수(phantom variable)를 활용한 개별간접효과 추정 결과, 어머니-아버지 간 아버지 양육참여 지각 차이는 부부갈등을 매개로 우울에, 어머니-아버지 간 아버지 양육참여 지각 차이는 부부갈등과 우울을 매개로 긍정적 양육태도에, 아버지 양육참여 지각 차이는 부부갈등, 우울, 긍정적 양육태도를 매개로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아버지의 양육참여의 절대적, 실질적 시간의 양과 질뿐 아니라 이에 대한 어머니-아버지 간 지각 차이 또한 유아발달에 큰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어린이집 교사의 기질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김동례(Dong Rye Kim),윤해옥(Hae Ok Yoon),정효은(Hyo Eun Jeo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교사의 기질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데 매개변인으로써 정서노동의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남지역 어린이집교사 321명을 대상으로 기질, 정서노동, 교사-유아 상호작용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각 변인간의 관계와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구조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어린이집 교사의 기질은 교사의 정서노동을 매개로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린이집 교사의 기질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데, 매개변인으로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노등이 투입되면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설명해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어린이집 교사의 기질과 정서노동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whice focuses on the mediation of a teachers``s emotional labor, examines the effects of teacher’s temperament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a child care center.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 of 321, day care center teachers working in Jeonnam Province. A structural model is analyzed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and their effect. A teacher’s temperament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emotional labor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Therefore the emotional labor of day care center teachers represent important variables in explaining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 KCI등재

        아버지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간 관련성 종단연구

        최효식(Choi Hyo-sik),윤해옥(Yoon Hae Ok),연은모(Yeon Eun Mo) 한국육아지원학회 2016 육아지원연구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하여 가구 소득 수준에 따라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이 어떤 인과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 종단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의 4차년 도부터 6차년도까지 3개년도 종단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이전 시점(4차년도 또는 5차년도) 의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우울이 각각 다음 시점(5차년도 또는 6차년도)의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우 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교차 지연계수를 측정한 결과, 상호영향을 미치는 상보적 인과관계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양육스트레스가 우 울에 미치는 영향 정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의 효과 크기는 작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다집단 분석 결과 가구 소득 수준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간 관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횡단적 연구의 한계를 극복함으로써 아버지의 양육 특 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줄 수 있다는 시사점을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The data regarding father’s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was gathered from fourth to sixth year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were analyzed.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father’s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were continued in significant stability over three years. Second, a reciprocal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father’s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and more powerful effect were found from father’s parenting stress than depression. Third, the results from multi-group analysis showed that the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father’s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did not vary according to family incomes. Taken together, the results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fathers’ parenting related characteristics.

      • KCI등재

        부모의 우울, 지각된 가족기능, 양육태도,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중심으로

        연은모 ( Eun Mo Yeon ),윤해옥 ( Hae Ok Yoon ),최효식 ( Hyo Sik Cho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와 아버지의 우울, 지각된 가족기능, 긍정적 양육태도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비교하고, 부모의 우울, 지각된 가족기능, 긍정적 양육태도가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6차년도 1,51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에서 우울이 가족기능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에서 우울이 긍정적 양육태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가족기능은 긍정적 양육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가 나타난 반면,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기능이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대방효과만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우울은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가 확인되었으며,아버지의 우울은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대방효과의 간접효과만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커플 자료의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APIM 분석 방법에 기초하여 부모의 우울, 양육태도, 가족기능,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련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측정 및 평가 관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not only to examine actor and parter effect of parents of infants’s perceived depression, family functioning, and parenting attitude but also to seek for its influences on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their children.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1,517 married couples who have infants from the 6th year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and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listed below.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pression had significant actor and partner negative effect on the family functioning and the parenting attitude and the family functioning also presented a significant actor effect on the parenting attitude. However, the results of partner effect of the family functioning, only from mother of infants, was significantly positive on the parenting attitude. Lastly, mother’s perceived depression showed a direct effect and an indirect actor effect on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whereas father’s perceived depression only showed its indirect partner effect. These results appear that in order to reduc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both mother and father needs to perceive less depression but high family functioning and parenting attitude. In other words, to reduc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researchers should treat parents of infants together rather than being focused on individu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