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경공사 표준품셈 공종 개정에 관한 연구

        윤주철,이관희,Yun, Ju-Cheul,Lee, Kwan-Hee 한국조경학회 2011 韓國造景學會誌 Vol.39 No.5

        조경공사 표준품셈은 표준적이고 보편적인 공종과 공법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조경분야는 건설기술의 발전과 공사품질의 고급화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행 조경공사 표준품셈으로는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조경공사 표준품셈의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우선 개정들이 필요한 품셈 공종을 파악하였다. 개정이 필요한 공종을 파악하기 위하여 문헌고찰과 예비설문조사를 통하여 설문 항목을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항목들은 조경 분야 전문가 60명으로부터 응답을 받아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경공사 표준품셈에 대한 활용도는 식재공종의 품셈이 가장 높았다. 둘째, 신규로 추가될 필요가 있는 공종으로는 정지공사, 조경 구조물공사, 포장공사, 수경시설공사, 옥외 시설물공사들로 파악되었다. 셋째, 조경공사 품셈공종 분야에서는 설문응답자들의 66.7%가 개정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개정이 필요한 품셈 공종으로는 식재 공종에서는 대형수목, 조형수목, 수목가식, 수목하자 등으로 파악되었다. 굴취공종에서는 대형수목, 조형수목 등으로 파악되었다. 유지관리공종에서는 전정폐기물 처리 품셈, 정원석 쌓기 및 놓기 공종에서는 돌틈 식재 품셈, 떼붙임 및 초류파종 공종에서는 현실적인 잔디규격의 품셈을 필요로 한다고 응답하였다. 연구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조경공사 표준품셈의 발전방안을 제시하면, 조경 식물의 규격과 조경공사 품질에 대한 공종별 세부 품셈과 조경공사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품셈분야의 개정이 필요하다. The standard unit manpower and material in landscape architectural construction was consist of a standard and universal work classification. However, these constructional methods have created a number of problems in utilizing and responding on a variety of recently-developed working methods such as new constructional skills and technologies. This research decided that presenting the amendments of work classification of a standard unit manpower and material in landscape architectural construction was very important, and investigated those work classifications which required these new amendments. First of all, assessment items were select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s and a preliminary survey. Then, these assessment items were surveyed to the total of 60 professional landscape architecture fiel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utilization level of the a standard unit manpower and material in landscape architectural construction was highest in the area of work classification of planting unit manpower and material. Second, the work classifications that needed to be added were recognized as leveling the ground construction, landscape structure construction, paving construction, water facilities construction, and outdoor facilities construction. Third, in the field of the a standard unit manpower and material in landscape architectural construction, 66.7% of the respondents replied that some amendments were necessary, and those amendments needed work classifications were identified as work classification of planting unit manpower and material was gigantic plant, topiary tree, temporary planting, exchange dead tree, etc. In the area of digging out was gigantic plant and plastic tree were recognized. The survey respondents also answered that, in keeping and management work classifications some amendments in pruning waste were necessary, and in the fields of rubble masonry work classifications some improvements were required in rubble aperture planting unit manpower and material and sodding and herbaceous sowing was a realistic lawn size unit manpower and material was needed. Based on the results explained above, this study suggests that amendments for a standard unit manpower and material in landscape architectural construction are necessary, especially in the areas of planting size and quality of work classifications unit manpower and material and in the unit manpower and material that affects the quality of lands caping constructions.

      • KCI등재

        도시민의 유원지 이용행태 및 만족도 분석 : 대구 동촌 및 수성 유원지를 중심으로

        윤주철(Yun Ju-Cheul),이관희(Lee Kwan-Hee) 한국산림휴양학회 2011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는 유원지 이용 만족도가 성별 연령 직업 등의 사회적 속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본 연구에서 설정한 유의수준(p<.05)에 성별은 미치지 못하여 연구가설(research hypothesis)을 부정하고 영가설(null hypothesis)을 받아들였으며 연령과 직업별로는 본 연구에서 설정한 유의수준에 충분히 미치므로 연구가설을 받아들였다. 즉 사회적 속성 중에서 성별에 따라서는 평일과 주말 유원지 이용 만족도는 차이가 없었으며 연령과 직업별로만 만족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유원지 이용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불만족하며 주말의 불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유원지의 이용 이유는 만남과 유원지 시설물 이용이 높게 나타났고 이용시설은 주로 상업시설과 운동시설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원지에서 소비하는 시간은 대략 1-2시간대가 높게 나타났다. 향후 유원지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본 연구결과가 유원지의 개발과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are concerned with utilization of pleasure ground satisfaction to urban people in day and weekend. The research hypothesis are the differences utilization of pleasure ground satisfaction between gender occupation and age groups (the significance level is p < 0.05). The research method depends upon the questionnaire which 115citizen living in Daegu city are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Gender have shown the similarity of utilization satisfaction while age and occupation groups have shown the difference of it. The dissatisfied of the utilization of pleasure ground are higher on weekend. The reason of utilization to pleasure ground are highly meeting and facilities utilization. The utilization of facilities are commercial and athletic facilities. The time spent in pleasure ground as the highest zone was about 1-2 hours. Future demand for pleasure ground utilization expected to grow continuously becoming. It is necessary of pleasure ground industry and pleasure ground policy.

      • KCI등재
      • KCI등재

        조경공사 표준품셈의 한,일간 비교 연구

        윤주철 ( Ju Cheul Yun ),이관희 ( Kwan Hee Lee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9 No.3

        본 연구는 조경공사 표준품셈의 개정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한국의 조경공사 표준품셈과 일본의 공원식재공사 표준보괘의 식재 공종의 내용의 특성을 비교하여, 향후 한국의 조경공사 표준품셈의 발전에 기여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두고 진행하였다. 표준품셈과 표준보괘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한국의 경우는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제정한 건설공사 표준품셈 공종내의 조경공사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일본의 경우도 2010년 ``국토교통성`` 제정 토목공사 표준보괘의 공원식재공사 표준보괘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한국의 조경공사 표준품셈과 일본의 공원식재공사 표준보괘 공종 중에서 식재 공종에 초점을 두고 품셈의 범위, 세부 공종, 품셈의 구성, 수목 적용 규격, 품셈의 내용 등의 비교를 연구의 내용적 범위로 한정하였다. 한국의 조경공사 표준품셈과 일본의 공원식재공사 표준보괘의 식재 공종의 내용을 비교하여본 결과, 한국의 조경공사 표준품셈은 독립적인 품셈과 품셈의 적용에 있어 융통성이 필요하다. 그리고 지주목에 대한 독립적인 품셈과 운반에 관한 품셈 규정 그리고 조경토와 관련된 품셈 등의 검토를 통하여 한국의 조경공사 표준품셈이 더욱 발전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standard of estimated unit power and material in landscape architecture construction between Korea and Japan. It has also been done to offer a practical and reasonable information to Korea landscape architecture industr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th Korea and Japan`s standard of estimated unit power and material in landscape architecture construction are part of civil construction. Second, Korea`s detailed type of construction is centered on plant`s type and size while Japan`s centered on architectural construction. Third, Korea`s standard of estimated unit power and material are composed of workforce construction, mechanical construction and addition of soil. On the other hand, Japan`s estimated unit power and material are composed of workforce construction, time of transportation, date of transportation. Fourth, the planting specification of Korea seems to be more in detail than that of Japan, Japan`s showing a wider implication. Fifth, when comparing the information regarding standard of estimated unit power and material between Japan and Korea, transportation, independent stalking for plant, soil for landscape architecture is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On the base of this research results, Korea`s standard of estimated unit power and material in planning construction should be more elastic in its implication and independent standard of estimated unit power and material in landscape architecture construction Also, examination of transportation, independent skating for plant and soil for landscape architecture should be done in order for better improvements.

      • KCI등재

        항구 가로경관의 기호학적 분석 - 영덕군 강구항을 중심으로 -

        이관희,윤주철,Lee, Kwan-Hee,Yun, Ju-Cheul 한국조경학회 2012 韓國造景學會誌 Vol.40 No.3

        본 연구는 문화현상을 기호의 체계로 설명할 수 있다는 기호론의 기본개념을 근거로 항구의 가로경관에 대한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항구경관의 인공적 요소들 중에서 가로경관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들을 문화현상을 전달하는 기호로 보았다. 기호학적 접근방식은 경관분석 과정에서 심리적 요인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경관의 물리적 특성을 이해하는데 주로 이용되었다. 연구대상지의 가로는 영덕군 강구항의 강구리와 오포리 가로이다. 가로의 간판 문자언어를 업종에 따라서는 17개의 업종으로, 의미론적으로는 13개의 의미로 분류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된 업종으로는 음식업이 강구리가 56.3%, 오포리는 61.8%를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로, 강구항 가로의 기호론적 의미는 주로 지역의 장소를 뜻하고, 사람들이 쉽게 부르고 기억하기 좋은 애칭을 뜻한다. 음식업종이 가장 많은 것은 이 지역 특산물인 영덕대게와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지역의 이름은 영덕대게의 상징성으로부터 나온 것이며, 사람들의 애칭은 판매고를 높이는 것과 관련된 것으로 사료된다. 끝으로 기호학적 접근은 가로경관의 전부를 포괄할 수는 없지만, 항구도시의 가로경관의 골격을 이해할 수 있는 언어적 도구라는 점에서 매우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s performed to light up the semiotic system of streetscape in the harbor on the basic concept of all cultural phenomena that could be described as a Semiotic System. The semiotic approach to landscape analysis was used for understanding landscape characteristics owing to implication of psychological process. Streets of the study were located at Ganguri and Opori on Gang-Gu Harbor and the signboard semiotics of streets were divided into 17 meanings according to the business category. The analysis of this category was applicable on semiotic meaning.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part of the business category was food. 56.3% of Ganguri and 61.8% of Opori had the name of food businesses. Second, the semiotic characteristics of Gang-Gu harbor streets mainly mean place name or friendly name. The food business could be related to the principal products of this district which are called Young-Duk Great Crab. Also, the place name could be from symbolic meaning of the crab and the friendly name could be connected with increasing the sales. Finally, the semiotic approach to landscape does not fully cover the streetscape but could be useful for understanding a skeleton of harbor streetscape.

      • KCI등재

        우리나라 조경공사 표준품셈의 시대적 변천 특성

        이관희,윤주철,Lee, Kwan-Hee,Yun, Ju-Cheul 한국조경학회 2009 韓國造景學會誌 Vol.37 No.1

        본 연구는 1962년부터 2007년까지 약 45년간 제정된 토목공사 표준품셈 공종에 속해 있는 조경공사 표준품셈을 대상으로 시대별 표준품셈의 변화의 흐름을 파악하여, 그 특성을 밝혀 향후 조경공사 표준품셈의 발전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경공사 표준품셈이 속해 있는 공종 명칭과 관련해서 최초에는 '토공사'에서 1974년에 '토공 및 조경공사' 그리고 1984년에는 '조경공사'로 명칭이 개정되었으나, 현재까지도 조경공사 표준품셈은 토목공사 표준품셈에 조경공사라는 공종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1972년에 조경공사와 관련해서 '식재'와 '전정작업' 품셈이 최초로 제정된 이후 현재는 '떼붙임 및 초류파종', '굴취', '식재', '뿌리돌림', '유지관리', '정원석 쌓기 및 놓기', '암 절개면 보호식재공' 등 총 7개 대공종과 29개 소공종으로 조경공사 표준품셈이 구성되어 있다. 시대별 특성을 10년 단위로 살펴보면 조경공사 표준품셈은 1960년대($1962{\sim}1969$)는 '잔디' 분야, 1970년대($1970{\sim}1979$)는 '수목식재' 분야, 1980년대($1980{\sim}1989$)는 '유지관리' 분야, 1990년대($1990{\sim}1909$)는 '절개면 보호' 분야 그리고 2000년대($2000{\sim}$현재)는 '신소재 및 신공법'과 '유지관리' 분야 위주로 조경공사 표준품셈이 제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조경공사 표준품셈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여 보면, '신소재 및 신공법' 품셈의 제정과 '유지관리' 분야의 품셈들이 더욱 세분화된 방향으로 발전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keep a sharp look-out on changes of estimated unit power and material in landscape architectural construction in Korea from 1962 to 2007 and to suggest basic information for its desirable direction in the near futur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At first, work classification of estimated unit power and material landscape architectural construction was included under the earth work and in 1974 it had the name which was called landscape architectural process with earth works, and in 1984 the estimated unit power and material of landscape architectural construction was separated from the earth work but it was still under name of estimated unit manpower and material of the engineering construction. In 1972 the estimated unit power and material began with a 'planting' and a 'pruning' and still consists of 7 work classification total: 'sodding and herbaceous sowing', 'digging out', 'planting', 'digging round the root', 'keeping and management', 'rubble masonry' and 'planting for protection of rocks split section'. The processes consist of 29 sub-processes in total. The lawn construction was mainly established in the 1960s, the planting construction in the 1970s, the keeping and management in the 1980s, split section protection in the 1990s along with new technology with keeping management in the 2000s. On the basis of these research results, the process to be added in the near future could be related to new material and new technology and the process might be much more subdivided.

      • KCI등재

        도시민의 여가 활동 만족도 분석 : 대구시민을 중심으로

        이관희(Kwan-Hee Lee),윤주철(Ju-Cheul Yun) 한국산림휴양학회 2009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13 No.4

        우리나라의 도시민은 현재 주5일제 근무 등으로 인하여 여가시간에 대한 새로운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성별, 직업, 연령별로 평일과 주말의 여가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서로 다를 것이라는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연구의 방법은 인터뷰 설문조사 방식으로 대구시민 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여가활동은 대부분 만족하며 주말에 더 많은 여가시간을 소비하며, 운동은 평일이나 주말 모두 중요한 여가 활동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사회적 속성 중에서 성별 및 직업에 따라서는 평일과 주말 여가 활동의 만족도는 차이가 없었으며, 연령별로만 만족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노인층이 젊은 층보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향후 젊은층이 노인층보다 여가에 대해 덜 만족하는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orean people have experienced the new exchange that the leisure time remarkably extends for introducing the working hours of 5 day works per a week recently. This research is concerned with leisure satisfaction to urban people in day and weekend. The research hypothesis are the differences of leisure satisfaction between gender, occupation and age groups (the significance level is p < 0.05). The research method depends upon the opened questionnaire with interviews, which 90citizen living in Daegu city are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Gender and occupation have shown the similarity of leisure satisfaction while age groups have shown the difference of it. The elder groups have shown more satisfaction than the younger group. Also the people hope to spend a more time in sports and tours if possible and a day leisure is mainly related to passive leisure and a weekend leisure, to active leisure. The further research will deal with why the young shows the less satisfaction than the elders.

      • KCI등재

        아파트 단지 지하주차장 상부에 식재된 교목의 생장 특성에 관한 연구

        장병관 ( Jang Byoung-kwan ),윤주철 ( Yun Ju-cheul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21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24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ly planted trees on top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s. The trees were planted 17 years ago and are now in good condition.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The planting depth of the trees was 0.9 - 1.3m. The horizontal roots of the trees were distributed in the depth of 0.2m ~ 0.6m, Growth condition was also considered to be good. Also, in the case of the straight root of the trees, the pine tree(Pinus densiflora ) grew near the bottom but tree root was very thin, and the Japanese hackberry tree(Celtis sinensis) and the zelkova tree(Zelkova serrata ) were seemed to bend at the bottom and to grow by changing direction. When trees were planted on artificial ground, the roots grew well horizontally, and the forces of growing vertically were much weakened. because the plants were planted in earth ball state. As a result, it was considered that the roots would hardly penetrate the bottom-pressing concrete floor.

      • 조경 기능공들의 직업교육에 대한 의식조사

        윤주철,장변관 대구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13 産業技術硏究 Vol.24 No.1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suggest ways to solve the problem with lack of skilled landscape architecture labor future for landscape architecture labor through on the vocational training. Survey Through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 preliminary survey to determine the awareness training for landscape architecture labor survey items were selected. 45 landscape architecture labor receive a response from the selected items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awareness of the landscape of skilled workers are First,the biggest causes of low participation in vocational training has been identified as the wag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training and compensation issues. Second, any education is provided by any educational institution, has been identified as a cause for the absence of information about the educational training to avoid participation. Third, no vocational training in the field of the current does not hel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vocational education and skilled workers with information about the provision of needs. Second, participation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during such period as compensation for the payment of wages and vocational education graduates who need vision. Third, the vocational education in the field to help landscape the skilled workers program should be mainly composed of. Landscape areas through which more skilled workers to participate in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in the field of landscape seems to hav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