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특발성 진성 성조숙증 여아에서 1년간의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효능약제 치료 전후 비만도의 관계
윤주영,이지은,강민재,김세영,서지영,양세원,이영아,정혜림,신충호 대한소아내분비학회 2011 Annals of Pediatirc Endocrinology & Metabolism Vol.16 No.3
Purpose: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itial body mass index (BMI) and BMI after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gonist (GnRHa) treatment in idiopathic true precocious puberty girls. Methods:The subjects were 99 idiopathic true precocious puberty girls treated with GnRHa for more than 1 year. The patient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initial BMI; normal weight group (BMI˂85 percentile) and overweight/obesity group (BMI≥85 percentile). We investigated chronologic age (CA), bone age (BA), BA advancement (BA-CA), height (Ht), Ht-standard deviation score (Ht_zs), BMI, BMI_zs, predicted adult height (PAH), and PAH_zs before initiation of GnRHa treatment and 1 year later. Results:Baseline CA, BA, BA-CA, Ht_zs, and PAH showed no differences between normal weight group and overweight/obesity group. BMI_zs increased only in normal weight group, and ∆BMI_z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itial BMI_zs (r = -0.501, P ˂0.001). PAH_zs increased less in normal weight group (∆PAH_zs=0.30) than in overweight/obesity group (∆PAH_zs=0.66) (P =0.02),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initial BMI_zs and ∆PAH_zs. ∆BA-CA and ∆Ht_z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either. Comparing patients with increased BMI_zs with those whose BMI_zs decreased or remained the sam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A-CA, ∆Ht_zs, and ∆PAH_zs.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MI_z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itial BMI_zs, and it showed no correlation with CA, BA, BA-CA, height, and dose of GnRHa. Conclusion:BMI_zs increased after 1yr of GnRHa treatment in idiopathic true precocious puberty girls whose initial BMI_zs was normal, and its incremen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itial BMI_zs. 목 적:특발성 진성 성조숙증으로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효능약제 치료를 받는 여아에서 치료 전후의 비만도 사이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2000년부터 2010년까지 서울대병원에서 특발성 성조숙증으로 진단받고 1년 이상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효능약제 치료를 받은 99명의 여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시작 시와 1년 후의 신장, 체중, 골연령, 체질량지수를 측정하고 Bayley-Pinneau method로 예측성인키를 구하였으며, 치료 전후의 체질량지수 표준점수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결 과:1년간 GnRHa 투여 후 BMI_zs는 정상 체중군에서만 증가하였고 과체중/비만군에서는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치료 시작시의 BMI_zs와 ∆BMI_zs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501, P˂0.001). PAH_zs는 정상 체중군(∆PAH_zs=0.30)에서 과체중/비만군(∆PAH_zs=0.66)에 비해 증가량이 작았으나(P=0.02), 치료 시작 당시의 BMI_zs와 ∆PAH_zs가 상관관계를 보이지는 않았다. ∆BA-CA, ∆Ht_zs는 정상 체중군과 과체중/비만군 사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BMI_zs가 증가한 군과 변화 없거나 감소한 군을 비교했을 때 두 군 사이 ∆BA-CA, ∆Ht_zs, ∆PAH_zs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에서도 ∆BMI_zs는 치료 시작시의 BMI_zs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이 외에 치료 시작 시 역연령, 골연령, 골연령-역연령값, 키, 약용량과는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 론:정상 체중이었던 환아들에서 1년간 GnRH agonist 치료 후 비만도가 증가하였으며, 치료 전 비만도가 낮을수록 치료 후 비만도는 더 많이 증가하였다.
윤주영 한국정부학회 2024 한국행정논집 Vol.36 No.4
불확실성의 급증으로 조직관리의 패러다임이 딜레마에서 패러독스로 전이되는 상황에서, 리더십 연구의 실제 파악과 이론적 체계화 그리고 현실적 실용성의 제고를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문헌고찰을 통해 관련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조망함으로써 리더십 연구에 대한 거시적 이해와 함께 선행연구의 성과와 한계를 파악하고 향후의 연구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분석에서 확인된 특징적 결과로 첫째, 연구동향에 대한 선행연구의 대다수가 패러독스 적 패러다임의 리더십을 분석 대상에 포함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동향에 대한 연구가 지녀할 포괄성을 충족하지 못하 고 있다. 둘째, 리더십의 통합을 시도하는 연구들이 상이한 가치의 동시 추구에서 나타날 수 있는 긴장과 갈등을 우려하 거나 실천의 현실적 가능성에 의구심을 제기하고 있는데, 이는 통합의 시도를 딜레마적 패러다임에서 전개하기 때문이 다. 셋째, 통합된 리더십모형을 분석한 다수의 연구들이 모형을 구성하는 상이한 가치를 하위유형으로 각각 구분하여 조직유효성이나 조직행태 등에 대한 영향 관계를 분립적으로 규명하는데 그치고 있다. 결국, 상이한 가치나 유형을 동시 에 추구하는 리더십은 모순성을 수용하는 패러독스적 패러다임을 전제한다는 점에서, 이들 리더십 연구가 패러독스적 패러다임에 기반하여 그 본질에 부합될 수 있도록 리더십을 구성하는 가치나 유형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과 분석 그리고 대안 제시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e rapid increase in uncertainty has shifted the paradigm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from a dilemma to a paradox, necessitating efforts to grasp the practical aspects of leadership research, establish a theoretical framework, and enhance its practical utility.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comprehensively review related studie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gaining a macro-level understanding of leadership research while identifying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to explore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e key findings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majority of previous studies on research trends do not include leadership within the paradoxical paradigm as part of their analysis, failing to meet the comprehensiveness expected of such studies. Second, studies attempting to integrate leadership often express concerns about the tensions and conflicts that arise from simultaneously pursuing different values or question the practical feasibility of such integration, which is because these efforts are based on a dilemma paradigm. Third, many studies analyzing the integrated leadership model are limited to dividing the different values that constitute the model into subtypes and separately clarify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r organizational behavior. In conclusion, leadership that seeks to pursue different values or types simultaneously presupposes a paradoxical paradigm that embraces contradictions. Therefore, leadership research must adopt an integrative approach that aligns with this paradoxical paradigm, requiring efforts to analyze and present alternatives that comprehensively address the values and types that constitute leadership
윤주영,신용현,정광화,Yun Ju-Young,Shin Yong-Hyoen,Chung Kwang-Hwa 한국진공학회 2005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14 No.3
This study proposes an accurate method of monitoring precursor consumption in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systems. Since precursor costs are significant, finding an efficient method to monitor precursor consumption is necessary One example is the use of non-contact and inexpensive ultrasonic sensors for determining the liquid level in a container. In this study, sensors based on ultrasonic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for monitoring the precursor consumption in a CVD system. Moreover, the prototype sensor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ful in the field of semiconductors.
D시 발생 폐목재의 SRF 전환을 위한 물리·화학적 특성 조사
윤주영,현재혁,최경훈,김영민,정구황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5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Vol.32 No.5
Global increase in energy consumption has been known to cause the depletion of fossil fuels, and results in the increase of coal and oil price. Recently, waste to energy policy has received attention more and more, Korea imports approximately 97% of its total energy consumed, and there is an urgent necessity for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energy source. Domestic waste management policy aims at zero waste community, which can be explained as the concept of 4R. The 4R consists of existing 3R (Reduce, Reuse and Recycle) and Recovery policies. Conversion of waste to energy, a form of renewable energy, has been known as an effective alternative for the increasing energy crisis. In this study, waste wood generated in D city was investigated as one of the alternative energy source. Expecially, the conversion of waste wood to solid refuse fuel (SRF) as an energy source was focused on. As an initial step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waste wood as the alternative energy source, the waste wood sample were characterized by a proximate analysis and element and heavy metal contents analyses. In addition, heating values of the waste wood were calculated by presumption equation and Dulong's equation, and measured by bomb calorimeter. In summary, waste wood can be considered as one of the alternatives for effective energy source by meeting Korea standards for the quality and grade of SRF such as in lowheating values, contents of moisture, sulfur, and chlorine, and heavy metal contents
Diamond-like carbon 및 titanium nitride 박막의 혈액적합성 연구
윤주영,배진우,박기동,구현철,박형달,정광화,Yun Ju-Young,Bae Jin-Woo,Park Ki-Dong,Goo Hyun-Chul,Park Hyung-Dal,Chung Kwang-Wha 한국진공학회 2005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14 No.3
의료용 임플랜트의 혈액적합성 개선을 위하여 박막코팅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특히 diamond-like carbon(DLC)과 titanium nitride(TiN) 박막은 우수한 화학, 물리적 성질은 물론 생체적합 특성까지 갖추고 있다. 따라서 이들 박막의 혈액 적합성과 물리적 특성과의 관개를 연구하기 위하여 박막표면의 모폴로지 및 젖음성과 fibrinogen흡착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혈액응고 원인이 되는 fibrinogen의 흡착량은 DLC보다 TiN의 경우가 적어, 보다 우수한 특성을 보였으며, 이것은 TiN박막 표면의 높은 친수성으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박막표면의 fibrinogen 흡착을 줄이기 위해 플라즈마 처리 및 노(爐) 열처리를 각각 수행하였다. 산소 플라즈마 및 열처리를 하였을 경우 DLC 박막은 큰 효과가 없는 반면 TiN 박막의 경우 fibrinogen 흡착량이 크게 줄어 보다 개선된 결과를 보였다.
화학증착 시스템에서의 파이프내 오염입자 관찰을 위한 초음파 및 진동 진단법의 비교연구
윤주영,성대진,신용현,이지훈,문두경,강상우,Yun Ju-Young,Seong Dae-Jin,Shin Yong-Hyoen,Lee Ji-Hun,Moon Doo-Kyung,Kang Sang-Woo 한국진공학회 2006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15 No.4
화학증착 시스템의 파이프내 발생하는 오염입자의 진단을 위하여 초음파 및 진동진단법을 각각 비교, 연구하였다. 초음파 진단의 경우 파이프 외벽에 초음파 센서를 부착하여 펄스를 가한 후 에코 분석을 통해 파이프내벽의 오염입자를 관찰하였고 진동 진단의 경우 파이프외벽에 부착된 진통발생기를 통해 파이프에 인위적인 진동을 발생시켜 여기에서 발생되는 주파수 차이를 분석, 파이프내의 오염입자 여부를 관찰하였다. 초음파 진단의 경우, 오염입자가 파이프 내벽에 부착되어 있을 때는 효과가 좋았으나 오염입자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건조되어 파이프 내벽에서 떨어져 나와 파이프 내벽과 오염입자사이에 틈새가 생길 경우 초음파 펄스는 이 공간을 통과하지 못하고 파이프 내벽에서 다시 반사되어 오염입자를 진단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초음파 진단법으로는 진공장비의 오염입자 관찰에 재현성을 보여주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진동진단법의 경우 위와 같이 일정시간이 지난 동일한 샘플의 경우에서도 오염입자에 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즉 파이프내 오염입자가 존재시 새 파이프에 비해 진동음이 저주파대로 떨어짐이 확인되어 추후 화학증착 시스템의 파이프내 오염입자 모니터링 연구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기대된다.
케미컬루핑 연소시스템을 위한 산소전달입자의 상온-상압 고체순환특성
윤주영,김하나,김정환,이도연,백점인,류호정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 2017 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논문집 Vol.28 No.4
Effects of operating variables on solid circulation rate were measured and discussed using two-interconnected circulating fluidized bed system at ambient temperature and pressure. OCN 706-1100 particles were used as oxygen carrier. The measured solid circulation rates increased as the lower loop seal gas flow rates and the solid height in the fuel reactor increased. Suitable operating conditions to avoid choking of the air reactor were confirmed. Continuous long-term operations of steady-state solid circulation were also demonstrated at two different conditions based on the operating window.
윤주영,배달희,백점인,류호정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 2016 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논문집 Vol.27 No.5
Effects of pressure, temperature, gas velocity, and fuel flow rate on reduction of three oxygen carriers,SDN70, OC-1, OC-2, were measured and investigated in a pressurized bubbling fluidized bed reactor. Among threeoxygen carriers OC-2 was selected as the best oxygen carrier in view of fuel conversion and CO2 selectivity. However, all oxygen carriers showed good reactivity even at high pressure conditions. SDN70 particle showedmaximum reactivity at 900°C and low reactivity at 950°C. However, reactivity decay of OC-1 and OC-2 particlesat high temperature condition was negligible. The fuel conversion and the CO2 selectivity slightly decreased asthe gas velocity increased, whereas they are slightly increased as the fuel concentration in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