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말레이시아 반부패청(Anti-Corruption Agency)의 기능과 성과

        윤종설(Jong Seol Yun),정우성(Cheong Woo Seong) 한국부패학회 2005 한국부패학회보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organization, budget, function, power and performance of the Anti-Corruption Agency(ACA) of Malaysia and provide appropriat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Korea Independent Commission Against Corruption(KICAC). Anti-Corruption Act 1997, which is a basic act of ACA, prescribes definition of corruption, functions of ACA, powers of ACA agent such as investigation, and punishments in detail. In addition, the ACA relatively has suitable budget and human power size. On the basis of this act, budget and human power, the ACA has practical and effective role in monitoring and preventing corruption. The policy implications from functions and performances of the ACA are as follows : reinforcement of budget and human power, establishment of local branches of KICAC, systematic and stable partnership-building among related anti-corruption organizations, allowance of practical investigation power, and proactive education and communication to the nation, expansion and reinforcement of information and research, and advisory organ on supplement of the personnel, awarding, conferment of a decoration, selective retirement, promotion, remission righ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공공갈등 발생요인에 따른 갈등예방·대응지표 구축

        윤종설(Jong-Seol Yun) 한국정책개발학회 2014 정책개발연구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정책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 갈등유발요인 분석을 통한 갈등 예방지표를 구축하고, 이를 통한 갈등정책의 조기대응의 역량과 정부 갈등관리 총괄기능을 강화하고자 한다. 갈등발생영역은 크게 가치와 인식요인, 경제요인, 제도와 절차요인, 정치 사회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 다섯 가지 영역을 도출하였고, 다음 하위 항목을 각각 도출하였다. 첫째, 가치 인식요인에서 도출한 하위항목은 위험인식, 공공성, 정보인식, 기타항목이다. 둘째, 경제요인에서 도출한 하위항목은 보상, 경제와 관련된 편익 및 손실, 예산과 비용부담항목이다. 셋째, 제도와 절차요인에서 도출한 하위항목은 제도와 절차항목이다. 마지막으로 정치 사회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은 하위항목을 별도로 도출하지 않고 세부갈등요인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nstruct conflict prevention indicators through conflict factors analysis, enhance early response competencies and government conflict management functions. Five crucial dimensions of conflict are identified through a delphi study, including value or perceptual difference factor, economic factor, systemic or procedural factor, political-social factor, and environmental factor. Also, sub factors for each dimension are also chosen. First, value-perceptual difference factor include danger perception, public interests, information perception, and the others. Second, economic factor include compensation, economic benefit & loss, and the distribution of costs or reparation. Third, systemic or procedural factor include system and procedure. Last, political-social factor and environmental factor didn’t deduce sub factors, identified the details of conflict factor.

      • KCI등재후보

        지방자치단체 재해ㆍ재난관리 조직진단 평가모형

        윤종설(Yun Jong Seol) 한국정책개발학회 2011 정책개발연구 Vol.1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지자체 재난관리조직 시스템의 진단ㆍ평가모형을 제안하고, 모형의 적용ㆍ평가를 통해 재난예방과 발생에 따른 유기성, 현장 대응성, 전문성, 통합성이 높은 항구적 처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들 목적을 보다 구체화 하면다음 몇 가지로 제시된다. 첫째, 재난관리의 패러다임 변화와 접근방식 및 대응방식에 대해 재조명, 둘째, 지방조직의 재난 및 안전에 대한 상호 유기적 연계성과 현장대응성의 문제를 진단하고 개선방안 제시, 셋째, 지자체 재난관리조직의 진단ㆍ평가체계 마련, 넷째, 재난관리 조직체계, 운영체계, 조직간 연계성, 시민대응체계 등에 대한 진단ㆍ평가 방안 모색,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체계 벤치마킹 방안으로 주요 선진국 지방조직의 재난관리운영체계 분석, 다섯째, 지자체 재난관리조직의 진단ㆍ평가모형에 16개 광역시ㆍ도 적용을 통한 재난관리 조직의 문제점 분석 및 구체적인 활성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troduce a diagnosis-evaluation model for the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system, and to suggest the permanent measures that are highly connective, site responsive, professional, and comprehensive through the application of it. The specific objects are: To reilluminate the paradigm shift, approaches and response ways for disaster management; to diagnose the site responsiveness and problems of connectivity among local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s, and to introduce improvement schemes; to diagnose and evaluate the organizational operating system, organizational connectivity, and citizen response system of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s through a diagnosis-evaluation system; to analyze and benchmark the operating system of local disaster management in advanced countries; to analyze the problems of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s and suggest specific measures of vitalization by application of the model for 16 metropolitan governments.

      • KCI등재

        서울시 부조리신고엽서제의 성과에 대한 참여개혁적 접근

        윤종설(Jong-Seol Yun) 한국도시행정학회 2002 도시 행정 학보 Vol.15 No.2

        Under the local autonomous system, the justification for the existence of local governments would be lost if they fail to faithfully work for the benefit of the citizens and fulfill the needs and desires of the citizens. As a results, local governance that is firmly focused on the interests of the citizens should be implemented with continuing reforms to enable the reviled of services to the satisfaction of the citize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case of ‘Corruption Report Card to the Mayor’ among the series of participatory reforms being implemen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 the perspectives of the both the citizens and public officials. The method of this research, unlike other existing studies, comprised the study of earlier research through publication, examination of case and the questionnaire surveys.

      • KCI등재

        정부혁신의 이념적 성찰 : 정암, 율곡, 다산의 사회적 형평성을 중심으로

        윤종설(YUN Jong Seol) 한국부패학회 2005 한국부패학회보 Vol.10 No.3

        This study first started out by questioning the equivocality of existing definitions of government innovation laid down by preceding studies. Focusing on clarifying the definitions of values and concepts as to why and for what government innovation is necessary, attempts are made to identify flaws of the existing conceptual definitions and re-conceptualizing them. In the meantime, the study takes an approach of focusing on social equity theories of Jeong-Am, Yool-Gok, and Da-San, from a democratic standpoint. Also, it is suggested that as a political implication, the study could contribute to reflecting upon the current innovation pursued by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 KCI등재

        전자입찰제도의 시행성과와 개선방안 : 조달청과 서울특별시 사례를 중심으로

        윤종설(Jong Seol Yun) 한국부패학회 2002 한국부패학회보 Vol.7 No.1

        In the beginning with 21C, the new cyber field has expanded greatly with a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industry and spread of internet, so embodiment of e-government has been rising as urgent theme. Besides(Moreover) rapid progress and development of EC in private sector has a great effect on bidding system in public procurement sector, too. The purpose and introductory necessity of electronic bidding system which changes concept and basic philosophy of the existing bidding system can be presented in five. First, it can overcome the existing bidding system`s weakness and defects. Second, it can enlarge efficiency, transparency, confidence, and convenience of bidding contract. Third, it can execute national budget efficiently and reduce people`s tax burden. Fourth, it can raise public procurement bidder`s satisfaction. Fifth, it can strengthen national competitiveness under open circumstances of globalism. I choose, in this context, the thesis subject about `the enforcement result and improvement measures of electronic bidding system`. Three years have not passed yet since electronic budding system conducted by PPS(Public Procurement Service) and Electronic-Open-Private Contract System by SMG(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o draw a conclusion by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wo cases, therefore, is short-sighted action. But, I convince that any system can take root as a desirable system through periodic and continual evaluation and monitoring from its first stage.

      • KCI우수등재

        인사제도개선을 통한 부패신고자 보호방안: 전보전직전략의 도입을 중심으로

        윤종설 ( Yun Jong Seol ),김정해 ( Kim Jeong Hae ) 한국행정학회 2004 韓國行政學報 Vol.38 No.2

        본 논문은 부패신고자에 대한 실질적 보호 차원에서 새로운 전략의 도입을 제시하고자 한다. 종래 부패신고자의 원상회복에만 그치던 소극적 보호전략이 아니라, 신고자를 새로운 환경과 직위로 전직시키는 적극적이고 실질적인 보호전략이 그것이다. 우리의 경우, 부패신고자의 전직에 관한 규정이 부패방지법 상에 있으나 기존의 인사제도에 존재하는 제한으로 인하여 그 실효성을 얻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부패신고자의 보호전략으로서 원상회복전략(영국·캐나다)과 전보전직전략(미국·호주)에 대해서 비교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부패신고자에 대한 실질적 보호를 위한 전략모형을 정립하였다. 특히, 새로운 전략도입을 위해 우리 나라의 부패신고자 보호전략과 인사제도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보다 실질적으로 부패신고자를 보호하기 위해 전보전직제한의 면제와 같은 인사제도 및 법령의 개선과 부패방지위원회 별도정원 확보 등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introduce the new strategies for active protection provisions of whistle blowers. The new strategies are not a minimum protection like a restoration of damage but positive protection such as the transfer of position. In order for the new provisions to be successful, we have to improve a personnel system and alter the existing provisions for the public service personnel system. This study examines problems of protection strategy for whistle blowers and personnel system in Korea and suggests alternatives to the existing protection provisions. The new strategies include exemption from test for changing post, deregulation of the obligatory terms of service and insurance of the supplementary personnel in Korea Independent Commission Against Corruption(KICAC).

      • 혁신정부 실현을 위한 공공갈등조정제도 개선방안 연구

        윤종설 ( Yun,Jong-seol ) 한국행정연구원 2018 기본연구과제 Vol.2018 No.-

        1. 연구 배경 및 연구 모형 ○ 본 연구는 현재 공공정책이나 국책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공공갈등의 문제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바람직한 해법을 도출하기 위해 보다 민주적이고 과학적이며 혁신적인 해결 방안이 될 수 있는 갈등조정제도의 효율적 운영과 법·제도 개선 및 활성화 방안 모색 - 갈등조정제도의 운영 현황과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여 공공갈등관리의 종합적·체계적인 분석과 갈등문제 해결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 - 공공갈등조정과정을 생애주기적 특성과 결과의 인과성에 따라 연구하는 거시적 시각의 연구범위 확대가 필요 ○ 따라서 본 연구는 크게 ‘진단(diagnosis)’ → ‘연구 설계(designed research framework)’ → ‘분석·평가(analysis & evaluation)’ → ‘전략수립(establishment of a strategy)’의 4 단계로 연구 구성 - 1단계인 진단(diagnosis)으로, 갈등관리제도 전반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정부의 갈등관리역량 제고를 위한 갈등조정(협의회)제도의 배경과 목적 그리고 제도 실행 과정에서의 특징 등을 살펴보고, 현 갈등조정(협의회)제도의 효과와 한계, 그리고 문제점 등을 구체화 - 2단계인 연구 설계(designed research framework)로 1단계에서 논의된 갈등조정(협의회)제도의 운영 및 분석기준의 논리적 기초를 토대로 이 제도 운영과 관련한 문제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논리 적·방법론적 근거를 제시 - 3단계는 분석 및 평가(analysis & evaluation)에서는 2단계에서 설계된 각각의 분석기준을 토대로 갈등조정제도에 대한 국가 간(한국-미국-프랑스) 비교를 실시하고, 현행 우리나라 갈등조정(협의회) 제도와 운영 실태에 대한 델파이, 설문조사, 갈등조정 사례 등을 분석·평가 - 마지막 4단계인 전략수립(establishment of a strategy)으로 갈등 조정(협의회)제도의 운영 활성화와 효과 제고를 위한 구체적 실천전략을 수립 ○ 이러한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구성한 연구 모형은 다음과 같음 ○ 본 연구에서는 광의의 의미로 조정을 정의하여, 조정이 중립적인 제3자의 도움을 받아 갈등 당사자들 간의 대화와 협상을 통하여 당사자 스스로 수용 가능한 해결 방법을 찾는 것을 말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조정의 준비과정, 진행 및 조정 이후의 모든 과정을 조정이라 할 수 있음 - 이러한 광의의 의미인 조정은 정책형 ADR의 일부로서 공공정책, 공익사업, 국책사업 등에서 발생하는 공공갈등관리를 해결하기 위한갈등 해결 방안의 한 방식임 ○ 따라서 갈등조정을 광의의 개념으로서 갈등조정 절차를 크게 3단계에 걸쳐 사전준비, 조정 진행, 조정 이후 절차로 나눔 ○ 정부혁신을 위한 갈등조정 방향의 핵심은 숙의민주주의 및 참여민주주의에 대한 새로운 이념적 전환으로서 국민들의 참여가 정부정책 및 사업 결정에 핵심 요소로 여겨져야 할 것임 - 성공적인 정부혁신의 갈증조정제도는 다음과 정부 혁신 사항들을 고려해야 함 ○ 본 연구는 갈등조정제도 전반의 효율적 개선 방안을 위하여 갈등조정 제도의 핵심 이념들을 유형화(Ideal Typology) 한 후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갈등조정제도의 분석 유형을 나누고 Meta-Evaluation의 기법중 하나인 IPE(Input-Process-Effectiveness) 기법을 활용하여 갈등 조정제도 분석단계 기준을 구성 3. 국내외 갈등조정제도 운영체계 비교 분석 ○ 한국의 갈등조정제도는 미국과 프랑스에서 사용하는 재판 외 분쟁해결(ADR) 기법에서 정책형 ADR 기법을 추가하여 한국 고유의 공공갈등관리 체계로 운영되고 있으며 ‘공공기관의 합의이행과 해결에 관한 규정’을 바탕으로 갈등조정협의회를 구성하여 공공갈등조정을 수행하고 있음 ○ 그러나 우리나라는 미국의 갈등조정제도처럼 주정부와 민간단체 협력을 통한 지역조정센터에 대한 정부와 민간의 협력이 아직 부족한 상태이며, 프랑스의 사전적 갈등관리를 위한 국가공공토론위원회처럼 사전적 의미의 갈등관리에 대한 제도적인 부분을 더 발전 시켜야 할 것임 - 더욱이 미국과 프랑스의 경우 갈등 발생 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화와 토론의 장을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마련해 놓고 있으며, 이를 조정하고 협상하는 것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잘 갖추어져 있음 - 반면, 한국의 경우 갈등 발생 시 국민들이 이의 제기를 할 수 있는 방법이 행정부처별로 산재되어 있고 법률적으로 자세히 명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갈등을 사전에 해결하기 보다는 갈등이 증폭되고 나서야 여러 행정 기관들이 산발적으로 이에 대응하고 있음 ○ 미국의 경우 당사자주의에 입각하여 갈등의 직접 당사자가 이의를 제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한국의 경우와 다르지만 미국처럼 갈등 당사자들이 문제 제기를 할 수 있는 창구가 통합적으로 마련되어야 함 ○ 프랑스의 사전적 갈등 논의 제도인 국가공공토론위원회와 같이 정부정책 계획단계에서 해당 지역주민 및 관련 기관들의 의견을 충분히 듣고 함께 토론 할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임 4. 우리나라 갈등조정제도 운영실태 분석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갈등조정제도의 운영실태와 효율적 운영방안을 위해 이념적 유형화(Ideal Typology)와 Meta-Evaluation의 기법 중 하나인 IPE (Input-Process-Effectiveness) 기법을 활용, 단계별로 필요한 요인 및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델파이 및 설문을 통해 갈등조정 제도의 운영 실태를 조사 - 갈등조정제도를 진행해 본 경험이 있는 전문가들과 공무원들에게 현재 갈등조정제도의 운영방식과 문제점에 대하여 질문하고 실제 현장에서 경험한 것을 심층적으로 논의 하고자 델파이 질적 조사방법을 활용 -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2차에 걸쳐 진행 된 델파이 질적 조사에서 논의 된 갈등조정제도의 단계별 문제점, 운영실태, 분석 핵심 요소 및 개선방안에 대한 다수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추가적인 조사로서 진행 ○ 현행 갈등조정제도 운영 실태에 대하여 델파이 및 설문 조사를 분석 후 단계별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음 ○ 이를 바탕으로 밀양 765kv 조정 사례, 송산토취장 조정 사례, 신화리 조정 사례, 가락동 노점상 조정 사례의 네 가지 조정사례를 선정하여 갈등조정제도의 실태를 분석하였음 ○ 사례 분석 결과를 분석의 실효성, 적용 활성화, 운영 체계 개선, 제도화 측면으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음 6. 혁신정부를 위한 갈등조정제도 운영 개선 방안 ○ 본 연구의 분석 결과들을 바탕으로 갈등조정제도의 운영 개선 방안을 기간별(단기, 중기, 장기)로 나누어 제안하면 다음과 같음 - 갈등조정제도의 단기 운영 개선 방안은 현실적으로 단기에 실현 가능한 방안을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기존의 갈등조정제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방향으로 본 연구에서 진행한 조정 3단계인 사전, 진행, 이후 단계를 활용 - 갈등조정제도의 중-장기 운영 개선 방안은 기존의 갈등조정제도가 정부나 해당 사업 발주처에 의해 진행되어 이해당사자에 의한 직접적인 갈등 조정이 아닌 갈등의 원인을 제공하는 쪽에서 갈등 조정을 진행하는 소극적인 태도로 운영되었기에 이를 개선하고 시민사회와 정부의 협력에 의한 적극적인 갈등 조정제도 운영에 초점 - 중-장기 운영 개선안으로 마련된 갈등조정협회는 시/군 단위의 갈등 조정 단체들을 연결하고 지원하는 메인 허브(MB-Main Hub)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며, 갈등조정센터는 국회, 법원, 행정, 민간의 전문 위원들로 구성하여 국내 갈등조정 발전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컨트롤타워(CT-Control Tower)가 될 수 있을 것임 ○ 본 연구의 운영 개선 방안의 실현을 위한 법-제도의 개선 방안 또한 기간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7. 향후 연구 ○ 갈등조정제도의 새로운 개혁과 변화를 위하여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한 운영 개선안을 바탕으로 갈등조정의 활성화를 위한 _공공기관의 갈등 예방과 해결에 관한 규정_ 개정에 대하여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임 ○ 더불어 공공갈등관리 기본법 제정과 제도 활성화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며 사회적으로 갈등관리 및 갈등 조정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한 노력과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임 This study is about the operation of the conflict mediation system and actual cases of the conflict resolution management approach to realize an innovative government. In order to rationalize the resolution of public conflicts, various issues have been discussed and suggested in various fields. However, as the problems of modern society become more complicated and diverse, the possibility of generalization of the public conflict adjustment process is getting lower. In the past, it was relatively easy to structural conflicts with simple interests, but today, the scope of stakeholders has expanded, and their degree of influence is also different, making structuring of conflicts very difficult. Therefore,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study was conducted regarding the overall system of public conflict mediation,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ocess of mediation of public conflict in the macro perspective can be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studies by considering life cycle characteristics and causality. Most of the studies on public conflict mediation have focused on the issue after conflict has happened. However, this study defines the conflict mediation process from a macroscopic viewpoint, and suggests reasons to expand the scope of the study on the procedures and methods of public conflict resolution by systematically dividing it into the advance phase, the progressing, and post-phase. In addition,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mediation laws and systems of the United States and France in order to enhance the usefulness and effectiveness of the public conflict mediation system in Korea.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In Chapter 2, we present the theoretical basis for Delphi and questionnaire design for analyzing the reality of conflict mediation through the theoretical discussion on existing public conflict mediation, and constructed an analysis framework for analyzing conflict mediation cases. In Chapter 3, we present the reasoning and criteria for selecting comparative countries for conflict mediation, and discus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conflict mediation systems in Korea, the US, and France. In Chapter 4, based on the Input-Process-Effectiveness (IPE) research model discussed in Chapter 2 for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conflict mediation (mediation council) system, we conducted a Delphi and a survey for conflict management professionals and government officials. In chapter 5, we attempted to suggest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methods and practical methods for activating this system, by comparing and analyzing existing conflict mediation cases. Finally, in Chapter 6, based on the discussions in Chapter 4 and Chapter 5, we propose an improvement plan of the public conflict management system and of the legal system for the realization of government innovation. This study provides methods to improve the conflict mediation system and to secure the efficacy of governmental innovation that reflects the deliberative democracy process actively participating in policy implementation or governmental projects subject to public conflict adjustment. In order to do this, this research compares the advanced ADR system and the related laws. In addition, the study expanded the scope of research on the existing conflict adjustment system through macro and procedural approach. The research analysis framework of the conflict mediation system was applied to the ideological typification and the IPE (Input-Process-Effectiveness) research model. This study focuses on improvement of the conflict mediation system in Korea, which is divided into the pre-conflict mediation phase, the conflict mediation phase, and the post-conflict mediation phase, and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policy implications and related laws and systems. Therefore, this study has meaningful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e future, as it will be an important touchstone of the theoretical concept re-construction in the case study of conflict adjustment laws, institutional research, conflict management basic research, and the conflict adjustment process.

      • KCI등재

        갈등DB 구축방법의 국제비교 및 우리나라에의 시사점

        임동진 ( Dong-jin Lim ),윤종설 ( Jong-seol Yun )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7 行政論叢 Vol.5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의 주요 갈등DB 구축방법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갈등DB 구축 및 연구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의 4개 기관 갈등DB와 국외의 3개 기관 갈등DB(독일의 KOSIMO 갈등DB, 아프리카 사회갈등 갈등DB(SCAD), 유럽 시위 및 진압갈등DB(PCD))를 각각 비교분석하였다. 갈등DB 구축방법의 국제비교에 따른 우리나라에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갈등DB는 주로 국내의 공공갈등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반해, 외국 갈등DB는 주로 아프리카와 유럽 국가들의 사회갈등이나 국제분쟁 등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둘째, 갈등DB별로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 셋째, 국내 갈등DB도 갈등DB 구축 시 나타나는 일반화의 문제 등 DB 구축의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갈등DB자료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갈등DB 구축시 갈등코드북을 공개하여 갈등DB의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 여섯째, 갈등DB의 코딩방식을 새로운 컴퓨터 프로그램 등을 도입하는 등 다양한 방법의 모색이 필요하다. 일곱째, 갈등DB 유형구분을 보다 세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덟째, 국내 갈등DB 자료 공개와 활용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현재 구축된 갈등DB 자료를 토대로 다양한 갈등예방 및 해결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foreign and domestic conflict databases and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constructing and doing research with conflict database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compares conflict database from four academic institutions in Korea with three foreign conflict databases (KOSIMO, Germany; SCAD, Africa; and PCD, Europe). The research implications a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ile conflict databases in Korea are mainly focused on public conflicts inside Korea, foreign conflict databases target social conflicts and international disputes in African and European countries. Second, each conflict database in Korea needs to be differentiated. Thir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roblems of generalizability occurring in the field of conflict databases in depth. Fourth, it is necessary to find diverse methods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conflict databases. Fifth, the transparency of database references should be improved by opening the code book of conflict databases. Sixth, it is necessary to searching diverse coding methods using new computer programs in database coding conflicts. Seventh, the categories of conflict type need to be further subdivided. Eighth,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openness and utilization of conflict data. Finally, more detailed construction and active utilization of conflict databases can improve the prevention and resolution of public conflict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