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논문2> 불교의 한국적 변용과 특징: 한국적 독법을 통한 불교의 대중화 : 재가불자의 수행현황과 수행방법에 대한 고찰: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윤종갑 ( Joung Gab Yu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2

        재가불자의 중생 교화에 대한 전통은 붓다 당시부터 나타나는 것으로, 상구보리(上求菩提) 하화중생(下化衆生)은 불교가 지향하는 근본 가르침이다. 그런데 특히 중생 구제에 대한 염원은 대승불교에서 강조되었던 것으로, 대승불교를 표방하는 한국불교에서도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재가불자 교화의 핵심은 재가불자를 바른 수행으로 이끌어 깨달음에 이르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어떠한 수행법으로 재가불자를 교화할 것인가 하는 수행방법의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재가불자의 수행현황과 수행방법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즉, 부산지역은 한국불교의 메카라 할 수 있는데, 재가불자와 사찰의 현황과 관계, 그리고 어떠한 수행방법에 의해 재가불자를 지도하고 있는 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앞으로 한국불교가 나아가야 할 재가불교의 수행 방향과 방법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he tradition of Married Buddhist`s educate mankind was appeared from the then Buddha. ‘Upward there will be gain enlightenment. downward there will be educate mankind(上求菩提 下化衆生)’ was the basic teaching of Buddhism. Especially the wish to relieve mankind was stressed by Mahayana Buddhism. And, In korea Buddhism`s tradition, it has been important topic. The point of Married Buddhist`s educate mankind is to make them enlightenment. So the point is what kind of method can be. Pusan is korea buddhism`s mecca. So this paper research that the relations between Married Buddhist and Buddhist temple`s present ascetic condition and way of ascetic practices, and what method is used to educate Married Buddhist. And through this research, it will be get to point out a important guidelines about ascetic direction and way of ascetic practices.

      • KCI등재후보

        인권의 보편성과 유교윤리 - 서구의 인권 개념과 케어윤리를 통한 유교윤리의 현대적 모색

        윤종갑 ( Yun Joung-gab ),신순정 ( Shin Soon-jeong ) 한국윤리학회 2016 윤리학 Vol.5 No.1

        본 논문은 서구적 관점에 바탕한 기존의 인권개념을 유교윤리를 통해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유교윤리가 갖고 있는 인권에 대한 현대적 함의가 무엇인지를 고찰하였다. 서구의 인권개념은 자유주의와 보편주의라는 두 축을 바탕으로 하여 체계화 되었다. 그런데 유교윤리는 인권개념의 두 축이 되는 자유주의와 보편주의와 배치되는 것으로 간주되어 비판되기도 하였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이러한 평가가 정당하지 못하며 오히려 유교윤리는 서구의 인권개념을 보완할 수 있는 현대적 함의를 갖고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서구의 현대윤리 가운데 하나인 케어의 윤리와 비교론적으로 고찰하면서 유교윤리의 독자성과 보편성을 주장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ritical study for the concept of Human Rights based on occidental view. So to study What is the modern meaning of Confucian Ethics. The occidental concept of Human Rights is systematized by two axles that liberalism and universalism. But Confucian Ethics come under criticism, because it is regarded as a contrary thinking about liberalism and universalism. So I think that these estimations are not fair, and try to propose Confucian Ethics have a modern meaning to supplement of the concept of occidental Human Rights. Especially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about Care ethics which one of the occidental modern ethical theories, to claim about identity and universality of Confucian Ethics.

      • KCI등재

        일반논문 : 반야중관 경론에서의 번뇌론

        윤종갑 ( Joung Gab Yu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0

        반야중관의 번뇌론은 기존의 번뇌론 교리 체계를 비판하거나 부정한 것이 아니라 실재론적·자성론적인 관점에서는 그러한 교리 체계가 성립하지 않음을 무자성 공의 논리를 통하여 논증하고자 하였다. 즉 무자성 공의 논리에 의하면 번뇌는 물론이고 열반조차도 실재하지 않는 집착의 대상[相]에 지나지 않는다. 왜냐하면 번뇌와 열반 모두 무자성 공으로 번뇌 또는 열반이라고 할만한 실체[자성]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반야중관에서는 ``번뇌즉열반``(煩惱卽涅槃), ``윤회즉해탈``(輪廻卽解脫)이라는 등식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번뇌(윤회)가 열반(해탈)이라는 반야중관의 번뇌론의 특징을 이제설(二諦說)과 희론적멸(戱論寂滅)을 통해 살펴보았다. Madhyamika has closely examined the intellectual processing situation of the ceaselessly and variably changing phenomenal world by means of Prasanga, a dialectical theory, to argue against it in the high-dimensional manner that reveals unconditional and unutterable nature of the ultimate reality, upgrading it, as a result, to the higher level than reason. As all beings in the existing phenomenal world are the products of subjective design thanks to intellectual function, its processing situation is instinctive and unconscious. In fact, they lack the reality of being and, by thus, can not exist of their own accord but appear only through dependence. Madhyamika do not set forth any of their own theses concerning reality but thoroughly analyze the theories or standpoints of other schools, negate(prasaj yapratisedha) their contradictions, if any, as they fear that the reality may be hidden by views or ignorance.

      • KCI등재

        <특집논문2> 인도불교의 중국적 변주-반야와 현학, 그리고 유학 : 마음의 본성 탐구와 개발에 대한 유교와 불교의 관점

        윤종갑 ( Joung Gab Yu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1

        본 논문은 ‘마음의 본성[심성]’을 유교와 불교에서는 어떻게 파악하고 있으며, 이를 어떻게 개발하는지에 대해 비교론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유교는 마음에 대해 본성의 선악문제를 중심으로 심성론을 전개시킨데반해 불교는 불성(佛性)을 중심문제로 하여 깨달음을 목적으로 심성론을 전개시켰다. 즉 유교의 대표적인 경전 가운데 하나인 『대학』에서 “마음이 여기에 있지 않으면 보아도 보이지 않고 들어도 들리지 않고 먹어도 맛을 알지 못한다”(心不在焉, 視而不見, 聽而不聞, 食而不知其味)고 하여, 인간의 주체로서 마음을 중시하여 ‘정심(正心)’을 강조하고 있으며, 맹자 역시 인간 성품의 본바탕으로서 ‘불인인지심(不忍人之心)’, ‘적자지심(赤子之心)’, ‘양심(良心)’, ‘본심(本心)’을 제시하여 “학문의 도리는 다른 것이 아니라 흩어지는 마음을 찾아 들이는 것일 뿐이다”(學文之道無他, 求其放心而已矣)라고 하며, 진심(眞心).지성(知性)하여 지천(知天)하고 존심(存心).양성(養成)하여 사천(事天)하는 과정을 제시함으로써, 유학이 마음을 다스리는 공부임을 강조하였다. 불교에 있어서도 마음은 이론과 실천의 근간이 된다. 불교는 마음을 지칭하는 여러 용어 중에서 심(citta), 의(manas), 식(vinana) 세 가지가 대표적이다. 이 가운데 심과 의는 초기불교에서 강조되었던 것이고 식은 대승불교, 특히 유식불교에서 중요시되었다. 불교는 이들 세 개념에 의거해 수행의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심(心)이 정의(情意)적 측면, 의(意)가 지(知)적인 측면을 지니는데 좁은 의미로는 분별[了別]작용, 넓은 의미로는 의식 일반을 가리키는 말로 보고, 식(識)은 오감(五感)과 연관되어 외계인식의 중추라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유불의 심성론에 있어 공통점은 ‘마음의 철학’이라는 점이다. 유불 모두 심을 중시한 마음의 철학이라 할 수 있다. 유교는 인간의 선한 성품의 근거로서 심(心)을 말하고 있으며 불교는 깨달음의 근거로서 심을 말한다. 결국 유교와 불교에서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이상적 인간인 성인과 부처 모두 심에 바탕하고 있는 것이다. This paper purposed to comparative study about development of the nature of Mind on Confucianism and Buddhism’s viewpoint. Confucian developed their theory about The nature of Mind is Good or Bad. But Buddhist purposed to enlightenment, so they developed about the nature of Buddha. On the Great leaning(大學), one of the great Confucianism sutra, “If there were not Mind, I can’t see anything even if I see.” SoConfucianism put emphasis on Mind as the subject of man. Mencius underlined that the way of study is just gather one’s scattered mind(求放心). He suggested ‘Conscious’, ‘Original Heart’ etc. So he stressed that Confucianism is the study of mind control. In Buddhism, Mind is foundation of theory and practice. The typical word is Mind(citta), Will(manas), Sense(vinana). Mind(citta) and Will(manas) stressed by early buddhism, but Sense(vinana) is important to Mahanaya Buddhism. On the basis of these three concept, Buddhism deals with practice asceticism. Buddhism and Confucianism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philosophy of Mind. Both of them stressed on Mind. Confucianism considered Mind is basis of kind nature. Buddhism considered Mind is basis of enlightenment. The holy man or Buddha, their ultimate aim is based on Mind.

      • KCI등재

        동아시아 선문학의 표현과 논리

        윤종갑 ( Joung Gab Yu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5

        동아시아 禪文學의 출발점은 동아시아 禪思想이다. 그리고 동아시아 선사상은 중국 선사상을 모체로 한다. 중국 선사상은 인도불교를 수용하여 새롭게 창안된 중국식 불교로 한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의 선사상의 본류이기도 하다. 중국문학사에서 간과할 수 없는 영역 가운데 하나가 禪과 문학의 관계이다. 특히 선과 관련해서는 문학 가운데서도 詩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러한 사실을 인식하여 金代의 元好問은 『答俊書記學詩』에서 “시는 禪家에서 수를 놓는 비단이요, 선은 詩家에서 옥을 다듬는 칼이다.”라고 하였다. 이와같은 비유는 詩와 禪이 서로 어우러질 때 그 맛이 더욱 깊어지고 다채로워 지는 것으로, 선과 시는 서로 불가결한 관계, 즉 禪詩로 자연스럽게 결합되었음을 표현한 것이다. 동아시아 선문학의 가장 두드러진 논리적 특징 가운데 하나가 ‘卽非의 논리’이다. 즉 비의 논리는 스즈키 다이세츠(鈴木大拙, 1870-1966)가 제창한 것으로, 禪의 사고가 통상의 형식논리를 초월한다는 것을 정식화 한 것이다. 즉 비의 논리는 『金剛經』에 선명히 나타나는데, 동아시아 선문학에서도 형식적논리를 초월한 ‘깨달음의 논리’로서 표현되고 있다. 즉, 즉비의 논리는 체험을 바탕으로 한 ‘禪의 논리’이다. 본 논문에서는 동아시아 선문학의 표현을 가장선명하게 보여주는 중국 禪詩에 나타난 표현과 그리고 그 표현을 깨달음의 논리로 드러낸 것으로 생각되는 『금강경』의 즉비의 논리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Zen of East Asia is the starting point of Zen literature. And Zen of East Asia is based on Chinese Zen thought. Chinese Zen thought was accepted Indian Buddhism, then it became the main stream of East Asia. On the Chinese history of literature, the relation of Zen and literature can’t be ignored. Especially about Zen, Poem is very important. So recently Yuan hao won wrote that Poem is embroider of silk in the Zen sect, Zen is trim the prison knife in the poetry. A metaphor, like this when poem and Zen is in harmony it is more deeper and varied and refreshed. So it is expression th Zen and poem is indispensible relationship. The marked logical character of East Asia’s Zen literature is ‘the logic of Just-not(卽非)’ it has declared by Suzuki Daisetsu(1870-1966). His opinion has formalized that Zen Thinking transcend usual Formal logic. ‘The logic of Just-not’ is clearly showed in Vajra-sutra, it is expressed logic of enlightenment in the East Asia Zen literature. This paper study the expression of the Chinese Zen poem which most clearly showed about the expression of Zen literature and ‘the logic of Just-not’ in Vajra-sutra.

      • KCI등재

        인도철학의 실재관과 인과성에 대한 용수의 비판 - 용수의 『중론』을 중심으로 -

        윤종갑 ( Yun Joung-gab ) 한국동서철학회 2016 동서철학연구 Vol.0 No.81

        인도철학에 있어 실재의 문제는 깨달음의 문제와 직결되는 것으로, 인식론적ㆍ존재론적인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실천론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불교가 발생하게 된 사상적 배경 중의 하나가 바로 고정불변한 실재를 주장하는 인도정통사상을 비판하기 위해서였으며, 반야사상을 비롯한 대승불교가 새롭게 일어난 것도 사상적인 측면에서 볼 때, 부파불교(아비다르마)의 실재관에 대한 부정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런데 실재의 문제는 존재의 생성과 변화의 관한 문제로 인과의 문제와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특히 인도정통철학은 궁극적 실재의 생성 원리를 인과론에서 찾고 있다. 이러한 인도정통철학의 실재관과 인과론에 대해 무자성 공의 입장에서 철저하게 비판한 불교 학자가 용수(N.g.rjuna, 대략 A.D. 150-250)이다. 본 논문은 아뜨만에 근거한 인도정통철학의 실재관과 인과론이 용수의 무자성 공관에 의해 어떻게 비판되는지를 『중론』(Madhyamaka-Sastra)을 중심으로 살펴 본 것이다. This paper purposed to study about The sturacture of Madhyamika thought’s enlightment and nirvana on the basis of Sunyata, prapanca, and Two Truths of Nagarjuna’s Madhyamaka-Sastra. Madhyamika thought assertion is nihsvabhava, so nothing can exist by substantly. Then Madhyamika thought prescripe nirvana as a Non-differentiating world gaining by expierience and self-awareness about Sunyata. So in that world samsara is True-Self acting by Non-dualistic, Equity, and holistic. Nirvana and samsara are not abandoned and pursued. Nagarjuna deny all kind of distinctive thinking through Four Phrases-Negation. Nirvana isn’t establised on the point of svabhava. Because If Nirvana is being’s svabhava, it could not achievable for its own Consistency, difference, and independence. On the other hand If Nirvana is nonbeing’s svabhava it will be the same. So Madhyamika thought’s nirvana is the structure of samsara that is nirvana. This logic can be explaning by Two Truths of Madhyamika thought, in other words samsara and nirvana are one world. Passion’s life can be reach nirvana of ‘Musim``, Renunciation, that is Madhyamika thought’s nirvana.

      • KCI등재

        < 연구논문 > : 중국 불교와 장송의례 -중국인의 불교 수용과 신멸,신불멸 논쟁을 중심으로

        윤종갑 ( Joung Gab Yu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3

        중국인은 불교의 수용을 통해 기존의 내세관과 신앙관, 그리고 윤리관을 새롭게 확립하였다. 조상의 영혼을 추모하는 제사 외에 별다른 종교 의식이 없었던 중국인들에게 윤회와 업사상 등은 중국인의 인생관과 세계관, 그리고 윤리적 도덕의식을 확립하는데 매우 중요한 원천을 제공하였다. 즉 중국인들은 불교를 통해 죽음 이후의 세계에 대해 새롭게눈 뜬 것이다. 그 결과 윤회와 영혼[神]의 불멸 여부를 둘러싸고 신멸(神滅)ㆍ신불멸(神不滅) 논쟁이 전개되었으며, 다비(茶毘)와 회향(廻向)에 바탕한 불교식 장송의례(葬送儀禮)가 행해지게 되었다. 이 글은 중국불교와 장송의례의 전체 내용 가운데 전반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중국인의 불교 수용과 신멸ㆍ신불멸 논쟁’에 관해 고찰한 것이다. 즉 인도불교의 윤회사상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중국에 수용되며, 그 결과 제기된신[영혼]의 유무 문제가 어떻게 전개되는지를 살펴 본 것이다. 중국불교와 장송의례의 후반부에 해당하는 ‘중국불교의 장송의례의 변화와 다비[火葬]’에 관해서는 다음 차례에 살펴 볼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alternative understanding of the Early Chinese Buddhists’ theory of Funeral Ceremony. Chinese people had just simple religious ceremony to their ancestor. But samsara and karma theory provided very important source to their view of afterlife, view of faith, and view of ethics. It renewed Chinese cognition about afterlife. Then the actual arguments developed in the discourse on the Funeral Ceremony, and it can be more richly and closely read if we regard them as early Chinese Buddhists’ take on the nature of human perceptual response. This paper argues that the Chinese Buddhism acceptance and the arguments of Imperishable Spirit, and this is the first half part of the “Chinese Buddhism and Funeral Ceremony”. I argue this thesis from analyse of early Chinese translations of Indic Buddhist texts which postulation of Imperishable Spirit lacks any clear evidence of Sinitic influence. And also early Chinese Buddhists’ perception of the doctrine in which absolute majority regarded Imperishable Spirit as an unquestionably orthodox position of the “original” Indian Buddhism. These facts suggest that the idea of Imperishable Spirit in early Chinese Buddhism was yet to be another independent canonical doctrine which could have been employed and appropriated for multifarious purposes. Then that the theory of Funeral Ceremony must also accordingly be approached just as another case of Sinitic interpretation of an “Indian” Buddhist doctrine. And next time I’ll be treat about ‘The change of Chinese Buddhists’ Funeral Ceremony and cre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