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재 유방선의 태재집 검토 - 초간본과 중간본의 검토를 중심으로 -

        윤재환 한민족어문학회 2024 韓民族語文學 Vol.- No.103

        태재 유방선은 조선 전기 우리 문학사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특히 시문학 분야에서 그의 영향이 적지 않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문학사적인 위상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한 연구는 소략하기 그지없으며, 현재 전하는 그의 문집에 관한 구체적인 검토조차 이루어지지 않았다. 유방선의 문집 초간본과 중간본을 살펴보면 중간본은 초간본의 작품을 정리하여 편차를 달리하고, 여기에 부록을 첨부하여 5권 1책본을 5권 2책본으로 정리한 정리본임을 알 수 있다. 유방선의 문집 초간본과 중간본을 비교해보면 작품 배열의 차이 이외에는 초간본의 시 1제 5수가 중간본에서 누락된 것 이외에 다른 차이가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상은 유방선의 문집 중간본이 초간본의 간행 이후 새로운 자료를 확보하지 못했지만, 초간본의 산일과 판본의 훼손, 정부의 서원 억제 정책과 송곡 서원 배향 인물간의 관계, 지방 유림의 공의 등 다양한 상황에 의해 간행된 것임을 보여준다. Taejae YooBangse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Korean literature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However, despite his importance in literary history, there is very little research on him, and no specific review has been conducted on his collection. When comparing the first and second editions of YooBangseon's collection, it is evident that the second edition is a summary of the five-volume 1 book, organized differently into five volume 2 books. The only difference between the works in the second edition and the first edition is the omission of one title and five poems, with the arrangement of the works being the main distinction. This indicates that the second edition of YooBangseon's anthology does not contain new data compared to the first edition. However, it was published due to various circumstances, such as damage to the first edition, the government's policy to suppress memorial halls for past scholars and loyal subjects, the relationship with the figures enshrined at Songgokseowon, and the opinions of local Confucian scholars.

      • KCI등재

        문학적 관점에서 본 醉琴軒 朴彭年-醉琴軒 朴彭年에 대한 文學的 接近을 위한 試論

        윤재환 한국한문교육학회 2017 한문교육논집 Vol.49 No.-

        Until now, most of the discussions about the Chuikeumheon have been made with attention to his fidelity to one's principle. However, he was a representative scholar of the day who worked as a scholar in the Jiphyenjeon for 18 years, and was a person who was named as a master of all kinds of scriptures, writing, and calligraphy. The necessity of literary approach to the Chuikeumheon can be easily recognized by the evaluation from his. The sentence of the Chuikeumheon was basically optimized for public use. However, his writing has a great advantage of conveying accurate contents through concrete and clear description, but it is likely to fall into the disadvantage that it can be relatively long or boring. As such, his writing can be negatively evaluated as lack of attention to aesthetic values ​​and emotional expressions of the sentence. However, his writing boldly abandons the compression of the sentence and expresses the meaning directly and clearly by describing the specific shape of the object or the contents to be talked about in detail. The sentence of the Chuikeumheon has a clear advantage that the texts centered on the formula can be relatively distant from the possibility of misreading or misreading. The poem of the Chuikeumheon shows the attention to the public function. Most of the poems of the Chuikeumheon emphasize the loyalty to the state and wages. The poem of the Chuikeumheon was made up of expressions that anyone could easily understand, excluding difficult letters and difficult quotes. Most of the quoted testimonies are based on the moral culture, and the contents do not deviate much from the category of morality. However, his poetry shows an attempt to move away from the actuality world. This kind of appearance in his poem is a person who lived a life of bureaucratic life based on a world of Confucianism- based consciousness, but he can not be seen only as a scholar or bureaucrat. It is because it can clearly feel the poetry of the Chuikeumheon which is conflicting and agonizing in the reality even through the poetry which is only a small number of poetry. That is why we need a full-fledged literary exploration of the Chuikeumheon. 지금까지 취금헌에 대한 논의는 대부분 그의 절의에 주목하여 이루어졌다. 그러나 그는 18년간 집현전에서 학사로 활동했던 당대의 대표적인 학자였고, 經術과 文章 그리고 筆法이 모두 뛰어나 集大成이라는 칭호를 받은 인물이었다. 취금헌에 대한 문학적 접근의 필요성은 그에 대한 평가로 볼 때 쉽게 인정할 수 있다. 취금헌의 문장은 기본적으로 公的 용도에 최적화된 글이었다. 따라서 그의 글은 구체적이고 선명한 서술을 통해 내용을 정확하게 전달한다는 큰 장점을 가지지만 상대적으로 장황하거나 지루해질 수 있다는 단점에 빠지기 쉽다. 그런 만큼 그의 글은 문장 그 자체의 美的 價値나 감성적인 표현에 대한 주목이 부족하다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그의 글은 문장의 압축을 과감하게 포기하고 대상의 구체적인 모습이나 이야기하고자 하는 내용을 하나하나 자세하게 서술하여 직접적이고 분명하게 의미를 전달한다. 취금헌의 문장은 수식을 중심으로 하는 글들이 빠지기 쉬운 의미 전달의 오류나 誤讀의 가능성에서 상대적으로 멀어질 수 있다는 분명한 장점을 가진다. 취금헌의 詩 역시 공적 기능에 주목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취금헌의 시 대부분이 국가와 임금에 대한 충정이나 유가적 내면 수양을 강조한 것이다. 취금헌의 시는 험벽한 글자나 난해한 전고를 배제하고,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표현으로 이루어졌다. 인용된 고사 역시 대부분 유가의 경전을 바탕으로 하며, 내용 또한 유가적 수양론이나 도덕론의 범주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그의 시에는 세상의 榮辱을 벗어나 유유자적하고자 하는 의지를 담은 시도 보인다. 그의 시에서 볼 수 있는 이런 모습은 그가 비록 유가적 의식세계를 바탕으로 한평생 관료의 삶을 살았던 인물이지만, 그를 학자나 관료로만 볼 수 없게 한다. 그것은 취금헌의 불과 얼마 되지 않는 문집 속 시를 통해서도 현실 속에서 갈등하고 고뇌하는 문인 취금헌을 분명하게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그에 대한 본격적인 문학적 탐색이 필요한 이유이다.

      • KCI등재

        『三唐集』을 통해 본 조선 중기 문인들의 이별 그리고 그리움의 변주 - 삼당 사이의 교유시를 중심으로 -

        尹載煥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09 고전과 해석 Vol.7 No.-

        이 글은 조선 중기를 대표하는 시인이었던 三唐詩人 상호간에 주고받은 시를 대상으로 이들이 서로에 대해 가지고 있었던 정서의 시적 표출 양상에 대해 확인해 보고자 한 것이다. 三唐詩人이란 조선 중기의 대표적 시인인 孤竹 崔慶昌(1539~1583)․玉峯 白光勳(1537~1582)․蓀谷 李達(1539~1612(?))을 지칭하는데, 이들은 공통된 시적 성향을 지녔을 뿐만 아니라 상호간에 밀접한 교유관계를 지니고 있었다. 友情과 友道를 관념적 도덕의식으로 규정하고 있었던 조선 중기 사회에서 시를 통해 진솔한 인간 정서를 표현하고자 했던 삼당시인의 교유 관계를 확인하고, 시속에 구현된 이들의 정서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은 관념적 지향으로 轉化된 우정이 문학 작품 속에서도 그 관념성을 온전히 유지할 수 있었는가에 대한 확인 작업으로 일정한 의미를 지닐 것이라고 생각한다. 삼당시인 상호간에 주고받은 시를 살펴보면 대부분 이별과 그리움의 정조로 가득 차 있다. 삼당 사이의 교유시가 보여주는 이런 성향은 이들에게 벗이란 언제나 그리움의 대상으로 존재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벗이 그리움의 대상으로 존재한다는 것은 벗과의 관계가 情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조선 중기 관념적 도덕의식으로 정의되고 있었던 友道와 상당한 거리가 있다. 삼당에게 벗이란 자신의 덕을 기르고 인을 채우는 도덕적 동반자가 아니라 자신과 마음을 나누고 정을 키울 수 있는 정서적 대상이었다고 볼 수 있다. 도덕적 동반자라고 해서 마음을 나누거나 정을 키울 수 있는 대상이 되지 않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벗을 도덕적 동반자라고 규정하였을 때와 정서적 대상으로 인지하였을 때 벗을 대하는 의식이 같을 수는 없다. 그리고 그 벗을 그리워하고 기다리는 행위 역시 동일한 선상에서 논하기 어렵다. 도덕적 동반자의 필요 이유는 수양을 위한 것이지만, 정서적 대상의 존재 이유는 안식이기 때문이다. 삼당 상호간 주고받은 시를 살펴보면 삼당에게 서로는 정서적 대상이었다고 생각된다. 이 정서적 대상에게 서로가 자신의 정을 전하기 위해 사용한 것이 시였다. 따라서 삼당의 시에서는 벗을 기다리는 애절한 그리움이 그대로 묻어 나온다. 이그리움은 당대의 관념적 도덕의식을 벗어나는 것이다. 하지만, 관념적 도덕의식으로 규정하기 어려운 현실의 삶 속에서 인간적 정서를 추구했던 당대의 대표적 시인삼당에게는 당연한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This letter is trying to check the emotional exposure for each other in the poems that written by Samdang school poets representing the middle of Chosun. Samdang school poets stand for the representative literary in the middle of Chosun Kojook Choi Kyeong-Chang(1539~1583), Okbong Baek Kwang- Hoon(1537~1582), Songok Lee Dal(1539~1612), and they have very similar inclination in poetry and achievement and also has very close relationship each others. See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amdang school poets who tried to show the sincere people's emotional feeling in the middle of Chosun prescribing friendship and the reason making a friend as ideal moral consciousness, and looking around their emotional feeling in their poems to see the ideality changed from the friendship in the literary works that can be maintained. By the way, it is confirmed that the poems that exchanged between Samdang school poets are fully covered by the separation and sentiment of yearning. This is showing that friend meaning for them is always meaning yearning. Friend being existing as yearning is showing the meaning that the relationship with friend is mainly builded up by sentiment. This is far distance from the reason making a friend considered as ideal moral consciousness. Friend meaning by Samdang is not a company to study morality and benevolence but the emotional object can share the mind and build up the sentiment. It is not saying that morality company can't share the mind or build up the sentiment, but the thinking for the friend stand for the moral company and recognize as emotional object can't be same. And it is hard to say the yearning and waiting are all same. The necessary of the morality company is for training, but the reason that existing emotional object is for rest. While seeing the exchanged poems between Samdang, Samdang are considered as emotional object for each others. The poems are used to let others know their yearning to each others. So the pathetic yearning for each others are easily shown in their poems. This yearning is quite far from the ideal moral consciousness in their time. But for Samdang representing poets in their age and pursuing humanly feeling in the rality being hard to prescribing the ideal moral consciousness, it might be natural.

      • KCI등재

        端磎 金麟燮 문학 연구 시론

        윤재환 동방한문학회 2022 東方漢文學 Vol.- No.93

        Dangye Kim Insup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writers and scholars in the Yeongnam area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at Kim Insup formed his own scholarship based on the study of learned by his grandfather and Sungjae Heo Jeon and Jungjae Yu Chimyeong, the approach to Kim Insup is important for understanding the academic topography of Yeongnam area in the late Joseon Dynasty. Kim Insup thought that literature was a tool for promoting personal and social values through genuine content and honest expression. This perception of literature lies on the same axis in the essential part as the universal literary view of scholars who have continued to the time when Kim Insup lived, but there is a slight change. It is because his recognition of literature can not return to the ancient times, which was the basis of literature, but with the recognition that current literature can have sufficient value, and he consider that the influence of literature is worthwhile even if it stays on a personal level. Comparing Kim Insup's perception of literature to Heo Jeon shows no difference in its essential parts. In particular, the basic perception of literature is similar to that of the general scholars of the time, and the method of creation is similar to that of metropolitan Seongho School. It is also the same that they tried to give value and meaning by affirming the literature of the time, but Kim Insup is one step behind Heo Jeon in terms of setting and learning of canon, pursuit of individuality and originality. 端磎 金麟燮은 조선 말기 영남지역의 대표적인 문인이자 학자의 한 사람이다. 그런데 김인섭이 조부에게 익힌 가학과 성재 허전, 정재 유치명의 학문을 근간으로 자신의 학문을 형성하였다는 점에서 그에 대한 검토는 김인섭이라는 한 인물에 대한 접근을 넘어서 조선 말기 영남지역의 학문 지형도 파악을 위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김인섭이 생각했던 문학은 ‘진실한 내용과 정직한 표현을 통해 개인과 사회의 가치를 증진하고 담아내는 도구’였다고 할 수 있다. 이런 문학 인식은 본질적인 부분에서 김인섭 당대까지 이어져 왔던 학자 일반의 보편적인 문학관과 같은 축에 놓여 있는 것이지만, 미세한 변화가 보인다. 그것은 그의 문학 인식에서 더 이상 문학의 근본이었던 고대로 되돌아갈 수 없지만, 현재의 문학도 충분한 가치를 지닐 수 있다는 인식과 함께 문학의 영향이 개인적인 차원에 머무른다고 하더라도 가치 있다는 생각이 보이기 때문이다. 김인섭의 문학 인식을 허전과 비교해보면 본질적인 부분에서 차이점이 보이지 않는다. 특히 문학에 대한 기본 인식은 이들 사이의 동일함을 넘어 당대의 보편적인 학자들과 유사하고, 창작 방법에서는 근기 성호학파와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또 이들이 당대의 문학을 긍정하여 가치와 의미를 부여하려고 했다는 점도 동일하다. 하지만 전범의 설정과 학습, 개성과 독창성의 추구라는 부분에서 김인섭은 허전과 비교하여 한 걸음 뒤처져 있는 모습을 보인다.

      • KCI등재

        『皇華集』의 編纂 意圖와 文學的 價値 再考 - 『皇華集』 逸序文과 『皇華集』 關聯 資料를 中心으로 -

        尹載煥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6 고전과 해석 Vol.21 No.-

        『皇華集』은 조선의 의도와 명나라 사신들의 정치적 목적이 결합한 결과물이다. 조선은 『황화집』을 통해 조선의 문화적 수준을 밝히고 이를 통해 명나라로부터 주변의 여타 국가와는 다른 차별적 지위를 인정받고 싶어 했으며, 조선에 사행 온 명나라 사신들은 조선에서 간행된 『황화집』을 통해 황제와 명나라 조정으로부터 자신을 善政官, 牧民官으로 인정받고 싶어 했는데, 각기 다른 두 가지 목적의 달성에 『황화집』이 적지 않은 도움이 되었다고 보인다.『황화집』의 간행에는 당대 조선의 대표적인 문인들이 거의 모두 투입되었지만, 그들의 詩文은 다양한 한계를 지닌다. 그것은 『황화집』에 수록되어 있는 그들의 시문이 전적으로 명나라 사신의 시에 대한 次韻과 和答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황화집』에 수록되어 있는 조선 문인들의 시는 기본적으로 창조성이 제한된 형식적 완벽성에 치중한 시가 될 수밖에 없었다. 그런 점에서 조선 문인들의 시는 근본적으로 문학성, 예술성이 제한된 시라고 볼 수밖에 없다. 특히 『황화집』에 수록된 시가 문학적 성취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의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었다는 점에서 그 한계는 더욱 커졌을 것이다. 하지만 그 시문의 창작 주체가 당대 조선 최고의 문인들이었고, 그들이 명나라 사신들과 주고받은 시의 평가를 통해 그 자신의 문학적 성가를 분명하게 인정받고 드러내려 했었다는 점에서 『황화집』의 문학적 가치의 검토는 『황화집 의 편찬 의도와 가치, 그리고 당대 조선 문인들이 가지고 있었던 의식과 함께 『황화집』이라는 문집의 특수한 상황과 『황화집』 소재 시문을 창작했던 창작자들의 특수한 처지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만 할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황화집』의 문학적 가치에 대한 어떠한 평가도 그 자체의 타당성을 상실할 수밖에 없으리라 보인다. Hwanghwajip is the result of combining Joseon’s aim and Ming dynasty envoys’ political aim. Joseon, through Hwanghwajip, wanted to prove the level of Joseon’s culture and to have Ming dynasty recognize her distinctive status differentiated from other nations neighboring Ming; and Ming dynasty envoys wanted Ming dynasty court to recognize themselves as good governors through Hwanghwajip published in Joseon. Hwanghwajip seems to have helped to reach those two different aims. Although the publication of Hwanghwajip consumed almost all best representative writers of Joseon of the time, their poems and proses implied various limits because their poems and proses recorded in Hwanghwajip were entirely to rhyme lines in reciprocation for the poems of Ming dynasty envoys. Thus, Joseon writers’ poems in Hwanghwajip were basically for formal perfection with limited creativity. From such a perspective, Joseon writer’s poems were of limited literary and artistic value. Especially, since poems in Hwanghwajip were not for literary achievement but for a nation’s political aim, their limits must have become even more limited. However, as the subjects of creating those poems were best writers of Joseon of the time, and as the writers attempted to have their literary achievements be revealed and be recognized through evaluating the poems given and taken between Ming dynasty envoys and themselves, the literary value of Hwanghwajip should be evaluated within the consideration of the aim for publishing Hwanghwajip, of the consciousness of Joseon’s writers of the time, and of the unique situation of Hwanghwajip, as well as the consideration of the unique circumstances of the writers creating poems and proses in Hwanghwajip. Otherwise, every evaluation on the literary value of Hwanghwajip would lose its own validity.

      • KCI등재

        星湖 李瀷의 詩論과 星湖學 - 시론 내적 간극의 해명과 성호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윤재환 동방한문학회 2017 東方漢文學 Vol.0 No.73

        Ingeniousness and reality are discussed as a representative method that Seongho Lee Ik paid attention to for the creation of poetry. However, in the writings of Seongho, the originality that Seongho noticed is not the creative method but the contents of the artist's feelings or poetry created by one poem. Reality is not a way of creating, but a means of truth. Although Seongho emphasized originality and realistic portrayal for the individual feelings and the truth of the object in poetry, he recognized that the realistic description could be denied at any time if it did not match the truth. Seongho's theory on poetry is based on the realistic situation in which he was living, while the consciousness of the soul about the value and meaning of poetry is embodied. It is a way of creating your own as a result of deep worries about originality and realistic description. And it is the result of the meeting and self-confidence of the Seongho's about the creative method to achieve the essential purpose of poetry. In that sense, it can be explained in the general category of Seongho-Studies. The theory on poetry of Seongho has an essential limit in that it can not be a concrete creative method. Despite these limitations, however, his theory on poetry led to a full-fledged concern about the creation method of realistic depiction, which had not been fully established until the time of Seongho. And it means that what we want to include in poetry and what we are act of holding something in order to make meaning of how to put it is extended to ideas. The greatest meaning of the theory on poetry of Seongho is that it opened the door for the next generation. 星湖 李瀷이 詩의 창작을 위해 주목했던 대표적인 방법으로 獨創性과 寫實性이 거론된다. 그러나 성호의 글을 보면 성호가 주목했던 독창성은 창작을 위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형상화의 방법이 아니라 한 편의 시가 만들어내는 작가의 意境과 감정 또는 시의 내용이었다고 생각된다. 寫實性 역시 실질적인 형상화의 방법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眞實을 위한 수단으로 가치를 지닌다. 성호는 시 속에 구현된 개성적 意境과 대상의 眞實을 위해 독창성과 사실적인 묘사를 중시했지만 사실적 묘사가 眞實과 부합하지 않을 경우 언제든 부정될 수 있는 것으로 인식했다. 성호의 詩論은 詩文의 가치와 의미에 대한 성호의 의식이 구체화된 것이면서 동시에 그가 처했던 현실적 처지와 상황에 기반한 것으로, 독창성과 寫實的 묘사에 대한 성호의 깊은 고민의 결과 만들어 낸 자기만의 창작론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성호의 시론은 자신의 현실적인 상황과 처지를 기반으로 하여, 시의 본질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창작 방법에 대한 성호의 회의와 자득의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星湖學의 일반적인 범주에서 설명이 가능하다. 성호의 시론은 구체적인 창작 방법이 될 수 없다는 점에서 본질적인 한계를 가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한계에도 불구하고 그의 시론은 성호 당대까지 본격화되지 못했던 사실적 묘사라는 창작 방법에 대한 본격적인 고민을 이끄는 계기가 되었고, 시 속에 무엇을 담고자 하느냐는 것에서 나아가 무엇을 담는 행위가 의미 있기 위해서는 어떻게 담아야 하는가 하는 고민으로 확장되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성호 시론의 가장 큰 의미는 다음 세대를 위한 문을 열었다는 점에 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지식의 개념과 형성 과정에 대한 검토

        윤재환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23 일본학연구 Vol.68 No.-

        “지식은 무엇이고, 왜 그것을 지식으로 보아야 하는가.” 하는 문제는 아직까지 논란 속에 있는 물음이다. 이 글은 이와 같은 논란에 대해 새롭게 접근해보기 위해 지식을 관념적 사유의 결과물로 보기 보다 일반적이고 일상적인 행위의 결과물로 간주하고 접근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지식의 사전적 개념을 논의의 중심에 두고 지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런데 어떤 방향에서 지식에 접근하더라도 지식의 개념 규정에서 가장 큰 문제가 되는 것은 지식의 진실성에 관한 것이다. 이 진실성을 절대적 진실 즉 진리로 간주한다면 지식은 성립될 수 없다. 하지만 이 진실을 현재적 진실, 상대적 진실로 본다면 지식은 “알고 있는 어떤 것 중에서 스스로 진실하다고 믿고 있으며 또 아직까지 그 진실함이 유지되고 있는 것”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따라서 알고 있는 어떤 것의 진실성에 대해 스스로 확신하지 못할 경우, 그것은 자신의 지식이 될 수 없다. 그리고 “학습과 경험 또 감각적 인지 작용 등을 통해 무엇인가에 대해 알게 되면서부터 알게 된 그 무엇인가에 대해 진실하다는 확신을 가지기 이전까지”는 배움의 시간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간은 지식을 만들어가는 시간이다. 이 글을 통해 분명하게 말하고자 하는 것은 지식은 존재한다는 것이고, 움직인다는 것이고, 더 나은 지식을 찾아간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인간은 지식의 발전을 돕기도 하지만 발전을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가 되기도 한다는 것이다. The question of “what is knowledge, and why should it be viewed as knowledge” is still a controversial question. In order to take a new approach to such a controversy, this article attempted to regard and approach knowledge as a result of general and everyday actions rather than as a result of ideological thinking. To this end, this article will examine knowledge with the dictionary concept of knowledge at the center of discussion. No matter what direction you approach knowledge, the biggest problem in the conceptual regulation of knowledge is the authenticity of knowledge. Knowledge cannot be established if this authenticity is regarded as absolute authenticity, that is, truth. However, if you look at this authenticity as a present authenticity, a relative authenticity, knowledge can be defined as “I believe that I am authenticity among what I know, and that authenticity is still maintained.” Therefore, if you are not sure about the authenticity of something you know, it cannot be your own knowledge. And it is a time of learning “until you are convinced that you are authenticity to something you have learned since you learned something through learning, experience, and sensory cognitive function.” This time is the time to make knowledge. What I want to say clearly through this article is that knowledge exists, it moves, and it seeks better knowledge. And in the process, humans help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but they are also the biggest obstacle to development.

      • 콘크리트중의 철근부식에 대한 비파괴 진단방법에 관한 연구

        윤재환 한국콘크리트학회 1992 콘크리트학회지 Vol.4 No.2

        염분을 함유한 철근콘크리트중의 철근부식에 관한 2년 촉진시험으로부터 콘크리트표면에서 측정한 자연전위값과 실제의 철근 부식상황과를 비교한 결과 철근의 수식상황을 자연전위법을 이용하여 비파괴적으로 진단하는 방법이 유효함을 알았다. 포화칼로멜전극을 사용했을 경우 -300mV이하이면 부식이 발생하였으며 -200mV이상이면 부식이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부시공시체에 대한 휨강도시험도 행하였으며 중성화에 대한 검토로 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