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윤일홍,권해수 한국공안행정학회 2021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30 No.4
The literature on the risk factors for habitual drunk driving centers on socio-demographic variables, alcohol abuse and misuse, cognitive-behavioral factors, and personality and psychological variables. While the vast majority of the literature in the nation is generated based off questionnaire-based research, over-reliance on questionnaire-based research is not desirable because of its inherent bias and measurement error. The current paper, therefore, introduces neuro-scientific literature on habitual drunk-driving recently generated in the Western countries.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s on the impact of neuro-cognitive deficits and under-arousal of the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HPA). These deficits lead to the variation in morality, conscience, fear conditioning, and learning ability among individuals, which in turn lead to increased probability of habitual drunk driving. Based on this nascent knowledge, the authors argued for educational and therapeutic programs geared to meeting specific individual needs. 음주운전 재범의 위험요인에 대한 국내문헌은 대부분 설문조사에 의존한 연구를 바탕으로 인구사회학적 변인, 알코올 남용 및 오용, 음주운전에 대한 인지-행동적 요인, 성격 및 심리학적 변인들의 기술에 초점을 두고 있다. 설문조사는 편향과 오류발생 가능성을 내포하므로 음주운전 관련 지식의 창출이 설문조사에 과의존하는 현상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경성과학인 뇌신경과학적 입장에서 상습음주운전에 영향을 미치는 신경 인지 기능 훼손과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축(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HPA)의 비활성화에 대해 소개하였다. 음주운전 재범자나 상습범의 경우 이러한 뇌기능 손상으로 인해 정상인에 비해 도덕성, 양심, 공포 조건화 및 학습능력에 있어 차이가 나기 때문에 이러한 사실을 감안한 교육과 치료 프로그램 수립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우리나라 자살률 추이의 재해석: 좌절된 소속감과 유전자-문화 공진화론의 입장에서
윤일홍,권해수 한국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8 No.1
최근 들어 Thomas Joiner(2005)의 자살행동에 대한 대인관계이론이 높은 예측타당도, 이론적 체계성 및 간결성을 이유로 국내학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 이론의 주요 개념인 '좌절된 소속감'이 내포하고 있는 진화생물학적 의미와 뇌과학적 중요성 및 자살행동과의 관련성에 대한 설명은 국내 학계에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진화 과정 및 뇌발달과 관련하여 소속욕구가 인간의 정상적 발달과 관련하여 지니는 중대한 함의에 대해 설명하고, 더 나아가 인구유전학 지식을 접목하여 유전자-문화 공진화론이라는 새로운 시각에서 우리나라의 자살률 추이에 대해 새로운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우리나라 자살률 추이에 대한 기존의 경제관련 변수 위주의 해석에 비해 보다 통섭적이고 설득력 있는 설명을 가능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유전자-문화 공진화론의 입장에서 우리나라의 높은 자살률을 낮출 수 있는 실천적ㆍ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omas Joiner's interpersonal psychological theory of suicidal behavior has garnered a sizable academic attention among researchers due to its predictive validity, theoretical solidity, and parsimony. In particular, a great portion of scholars'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theory's main concept-thwarted belongingness. Nevertheles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the concept has with regard to evolutionary biology, brain development, and its relationship with suicidal behavior have not been fully understood by many scholars. Thus, we discussed the substantial impact 'the need to belong' has on the normal development of a human being in the context of evolution and brain development. Furthermore, we offered an analysis of the Korean suicide trends from a different tack based on population genetics and gene-culture coevolution theory. The conceptual framework we have offered here is quite different and unique from other scholars' frameworks mostly focused on economy-based variables, and we argue that ours is more consilient and persuasive than those previous attempts. Finally, we presented practical and policy-related implications with a view to bringing down the high suicide rates of South Korea.
Low Self-control and Moderated Mediated Effects of Child Maltreatment on Delinquency
윤일홍,홍상황,권해수 한국공안행정학회 2022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31 No.4
Low self-control theory, one of the most prominent and influential criminological theories, posits that monitoring of child behaviors and discipline of child misbehaviors by parents are the key drivers of instilling self-control in children. The developmental neuroscience literature, however, demonstrates that parental attachment behaviors, or lack thereof (child maltreatment), are causally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self-control. In the present study, drawing on the developmental neuroscience literature, we introduce the role that the orienting network in an infant's brain plays in the development of self-control. And then, in order to examine the complex pathways child maltreatment is linked to the two key correlates of delinquency, namely, low self-control and peer delinquency, we examined a mediated moderation as well as a moderated mediation using a South Korean adolescents sampl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direct association between child maltreatment and delinquency via low self-control is conditioned by the level of peer delinquency.
윤일홍 嶺南大學校社會科學硏究所 2002 社會科學硏究 Vol.21 No.2
본 논문은 有限名의 構成員들을 갖는 無限次元經濟들의 연구에 있어서 발생하는 특수한 문제들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유한차원경제의 연구에서는 발생하지 않지만 無限次元經濟의 연구에서는 수요의 존재와 연속성문제, 공급의 존재와 연속성문제, 경쟁균형의 존재문제, 파레토최적배분의 존재문제, 경쟁균형의 파레토최적성문제, 초기보유량 및 기업의 소유권의 적절한 재분배 이후에 파레토최적배분의 경쟁균형에 의한 지지성문제 등이 발생한다. 특히 무한차원경제에 있어서 均衡의 存在를 論證하는 과정에서 항상 제기되는 어렵고도 특수한 문제들로서 實現可能集合의 컴팩트性問題, 價格에 의한 選好集合들의 支持性問題 그리고 富寫像의 結合連續性問題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