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키르기스스탄의 외교정책과 대 중국 관계발전: 새로운 도전과 기회

        윤익중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5 국제지역연구 Vol.24 No.1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Kyrgyzstan's foreign relations have developed in the post-Soviet era according to its regimes by focusing on China which has recently been rapidly rising between the Russian federation and the US in the region of Central Asia. This paper also seeks to analyze several important bilateral issues between Kyrgyzstan and China. In a way of approach, the paper examines Kyrgyzstan's policy toward China by employing the perspectives of ‘neighbouringborderlinestates' and foreign policy of small-states'. As has been well known, theimportance of China for the foreign policy of Kyrgyzstan has been rapidlyincreasing. This indicates that China has become one of core states for Kyrgystan'spolicy among major powers including the US and the Russian federation under thenew circumstances in the region of Central Asia. This clearly demonstrates thatKyrgyzstan has been seriously under new 'challenge' which might greatly affect itsforeign policy direction in the future. Can Kyrgyzstan make this challenge into itsnew opportunity for its national interests? This paper has tried to emphasize the newlevel of geo-political importance of Kyrgyzstan in the region of Central Asia amongthe major powers. Simultaneously, the paper contends that Kyrgyzstan will notchange its previous pro-Russian policy in the near future although the rising ofChina in the region has greatly challenged to the foreign policy direction ofKyrgyzstan. This paper might contribute to the study of small-states's foreign policywhich has been under the competence of major powers, especially within the contextof geo-strategic advantages. 본 논문의 목적은 키르기스스탄의 대외관계 발전을 러시아와 미국 사이에서 부상하고 있는 중국에 초점을 맞추어 각 정권별로 고찰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더불어, 본 논문에서는 키르기스스탄-중국간의 주요 이슈에 대하여서도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적으로 본 논문은 키르기스스탄의 대 중국정책을 ‘접경국가’ 관점과 ‘약소국 외교’ 관점에서 분석한다. 주지하다시피, 키르기스스탄의 대외정책에있어 중국의 중요성은 최근 급격히 증가되어지고 있다. 이것은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중국이 러시아와 미국 사이에서 키르기스스탄 외교정책 다변화의 핵심국가로 급부상되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이러한 중국의 급부상은 키르기스스탄에게 분명히 새로운 ‘도전(challenge)’이되고 있다. 키르기스스탄은 이러한 중앙아시아 역내 국제관계의 동학을 ‘기회(opportunity)’로 만들 수 있을까?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중국의 부상이 러시아와 미국 사이에서 국익을 추구하는 키르기스스탄에게 심각한 도전이 되고 있지만, 당분간 키르기스스탄의 기존 친러시아적인 대외정책이 급격히 변화하지는 않을 것이다. 본 연구는 러시아와 미국 그리고 중국 등 세계 강대국들의 경쟁 사이에서 지정학적인 측면에서 전략적 가치를 지닌 국가가 어떻게 국익을 증진하는가에 대한 유용한 연구가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영국 스코틀랜드지역의 지방분권화 고찰

        윤익중 한국유럽학회 2003 유럽연구 Vol.17 No.-

        In general, Great Britain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ost developed countries in terms of devolution. In reality, devolution is seen to be a means for enhancing democratic control and accountability in the British political system. Supporters of such change have presented it as offering the prospect of a more consensual, transparent and inclusive form of new governance, in effect a new politics, with less executive dominance than at Westminster in London.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how Scottish devolution has developed within the system of local government in the United Kingdom under Blair since 1997. In particular, the paper tries to analyse such new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s and problems while focusing mainly on the new autonomy and accountability. 스코틀랜드 지역의 지방분권 발전은 전통적으로 자치에 대한 지역의식이 매우 높은 지역 주민들에 의하여서 뿐만이 아니라 집권여당(노동당)과 블레어 수상의 적극적인 지지를 받아 진행되었다. 더불어, 지방행정 개혁과정에 있어서도 상당한 정도로 자문문서, 백서 등을 통하여 업무일체를 민주적이고 포괄적으로 투명하게 처리하였다. 즉, 1997년 이후 스코틀랜드 지역에서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지방자치의 기본원칙인 '자율과 참여'라는 명제가 상당 수준 이상적으로 실현되고 있는 실정이다.스코틀랜드 지역의 지방분권 발전 사례에서 나타나듯이, 일반적으로 영국은 1990년 대 이후 가장 성공적인 지방분권을 실행하고 있는 국가로서 한국 등 지방분권 또는 지방자치를 추구하는 여러 국가들의 모범적인 사례로 평가되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국 스코틀랜드 지역의 지방분권 발전 사례에서 주목하여야 할 것은 그 성공적인 분권화의 긍정적인 측면과 더불어 그 이면에 나타나는 정치·경제·사회적인 측면에서의 문제점 등이다.

      • KCI등재

        한국-러시아 간 에너지협력 고찰: 소다자주의 협력 관점에서

        윤익중,이성규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8 슬라브학보 Vol.33 No.4

        Actual progress in the field of economic and energy cooperation between ROK and RF, which was discussed by researchers and government officials in ROK and RF is still far from expected due to domestic problems in both countries and unstable international environment in Northeast Asia. In this paper, the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 of relations in the economic and energy field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Moon Jae-in and Putin system, which seeks to develop new relations, not only at the bilateral level, it should be done simultaneously at the 'regional level' and the possibility of regional cooperation in terms of 'mini-lateralism' should be considered. In this context, this paper examines Korea-Russia energy cooperation as a "mini-lateralism" three-way cooperation. In conclusion, we argue that Korea and Russia should establish a regional energ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s a key country for cooperation among states in the region, and demonstrate visible results in a short period of time.

      • KCI등재

        Russo-Chinese Energy Collaboration and Divergence in the Arctic Ocean Region: from Yamal LNG to Arctic LNG 2

        윤익중,Maxim Nazarov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22 동유럽발칸연구 Vol.46 No.4

        The paper investigates mainly the financial aspects of the Arctic energy projects, as well as the strategic analysis of Russo-Chinese interest in the region.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increasing interdependence of the relevant policies of the two countries and the growing Chinese involvement in Russian LNG megaprojects. China-Russia economic and political relationships have many facets, and collaboration in the LNG area is a vivid example of how cooperation between the two nations is built. While Beijing was interested in supplies from the northern neighbor for decades, the economic relationship strengthened when China included Russian LNG projects in the BRI. The project finance framework was chosen to analyze the ongoing Sino-Russian efforts to deliver Yamal LNG and Arctic LNG 2 integrated plants. According to the framework, four areas, namely equity, debt, contracts, and offtakes, are shaped by the efforts of China and Russia. While cooperation in some areas is seamless and mutually beneficial, the results in other ones are less straightforward.

      • KCI등재

        러시아-미국 관계발전과 중앙아시아 지역:푸틴 3기 정권을 중심으로

        윤익중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6 중소연구 Vol.40 No.3

        How have Russia-US relations been developed in Central Asia during Putin’s 3rd presidency? How have Putin and Obama administrations been developing their bilateral relations in Central Asia? The main aim of this paper is to review and analyse recent developments of Russo-US relations in Central Asia from the period 2012. To do this, this paper attempts to analyse and discuss as the followings: 1) Russia’s and US foreign policy towards Central Asia; 2) Putin’s Policy towards the US and Obama’s policy towards Russia; 3) both countries’ competing for regional security and economic cooperation system in Central Asia. In particular, this paper has tried to analyse their bilateral relations within the context of regional security and economy from perspectives of cooperation and competing. In conclusion, Russia and US has been continuing conflicts in this region especially after 2014 Ukrainian crisis while failing to find the balance of their national interests. Such relations will be lasting for the time being in the near future. To make their bilateral relations for mutual understanding, there should be an ‘another reset’ relations under Putin and US President-elect Trump in the near future. 푸틴 집권 3기 동안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러시아와 미국 간 관계발전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러시아의 푸틴 정권과 미국의 오바마 정권은 동지역에서 어떻게 협력하고 충돌하고 있는가? 본 논문의 주요 목적은 2012년 푸틴 집권 3기 이후 2015년 말까지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러시아와 미국의 관계발전을 체계적이고 심도있게 고찰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첫째, 러시아와 미국의 대 중앙아시아 외교정책; 둘째, 푸틴의 대 미국정책과 오바마의 대 러시아 정책을 각각 분석한 후 셋째, 중앙아시아 지역안보․경제 협력체제에 대한 양국의 경쟁과 견제과정 등을 분석하고 논의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동지역에서의 러시아와 미국의 대외정책과 관계발전을 각각 ‘지역안보(regional security)’와 ‘지역경제(regional economy)’ 측면에서의 협력 및 경쟁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이해하고자한다. 요약하면, 푸틴 집권 3기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양국은 결과적으로 이해관계의 ‘균형’ 모색에 실패하며 경쟁과 충돌 양상을 지속하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동지역에서 양국 간 이해가 서로 너무 다르기 때문이다. 특히,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이후 양국관계는 장기적 불신시대로 접어들고 있고 이러한 상황은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어진다. 나아가, 양국 간 갈등은 가치 투쟁적 측면이 있으므로 단시일 내에 해소될 성질의 것이 아니다. 러시아와 미국 양국이 새로운 단계의 상호관계로 이행하려면 ‘또 다른 리셋(another reset)’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