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너지 수집형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선택적 데이터 압축을 통한 동적 센싱 주기 제어 기법

        윤익준,이준민,정세미,전준민,노동건,Yoon, Ikjune,Yi, Jun Min,Jeong, Semi,Jeon, Joonmin,Noh, Dong Kun 대한임베디드공학회 2016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Vol.11 No.2

        In wireless sensor networks, increasing the sensing rate of each node to improve the data accuracy usually incurs a decrease of network lifetime. In this study, an energy-adaptive data compression scheme is proposed to efficiently control the sensing rate in an energy-harvesting wireless sensor network (WSN). In the proposed scheme, by utilizing the surplus energy effectively for the data compression, each node can increase the sensing rate without any rise of blackout time. Simulation result verifies that the proposed scheme gathers more amount of sensory data per unit time with lower number of blackout nodes than the other compression schemes for WSN.

      • KCI등재

        하천관리 일원화를 위한 법제도적 고찰-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의 역할을 중심으로 -

        윤익준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22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22 No.1

        As a lot of damage occurred due to the flood in 2020, the need to unify the river management system increased. In 2018, the Framework Act on Water Management was enacted, and to a large extent, water management functions were transferred to the Ministry of Environment, but river management unification still requires improvement or paradigm shift in many areas. In terms of stream management and policy improvement, the problems of river management policy in terms of upstream and downstream of rivers, water quality management, facilities and projects, and roles of each subject are reviewed to establish maintenance directions and improve redundancy.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unified foundation for river management by establishing the concept of river management and clarifying the subject of management affairs. Due to the nature of water management work, where the limit of responsibility is ambiguous, it may be difficult to actively perform the work or clearly identify the whereabouts of responsibility due to unclear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To this end, it is required to change the role of the main body or participants in river management, such as the state and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institutions, and to improve the specific legal system. Next, it is necessary to promote integrated management of river basin units in order to unify river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unify river management or improve the river management system as soon as possible in order to maintain and manage national and local rivers, preserve the water environment, water quality and quality. Finally, it is necessary to prevent overlapping budgets and waste of administration by improving the river management system and improving consistency between legal systems. Before the unification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2022,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ad already pointed out the problem of budget waste due to overlapping river management projects. Representatively, the issue of economic inefficiency continued to be raised due to overlapping investments in the Ministry of Environment's ecological river restoration project and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local river maintenance project. At this point, however, river management is still advantageous in consider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by different management entities between national and local rivers, but system consistency and linkage are required in terms of integrated management and disaster prevention due to climate change. Key Words Water Management, River Management, River Act, Basin Management, Local Governments 2020년 홍수로 인하여 많은 피해가 발생하자 하천관리체계 일원화의 필요성이 높아졌다. 2018년 「물관리기본법」이 제정되었고, 상당 부분 물관리 기능이 환경부로 이관되었지만 하천관리 일원화는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물관리 법체계의 개선 또는 패러다임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하천관리의 일원화 및 정책 개선의 측면에서 하천의 상류와 하류, 그리고 수량과 수질의 관리, 시설이나 사업의 측면에서 하천관리 정책의 문제점을 검토하는 한편, 관련 법제도 현황을 살펴보고 각 주체별 역할에 대해 검토함으로써 하천관리 일원화를 위한 정비방향을 설정하고, 중복성의 해소와 효율성의 제고를 강구하고자 한다. 먼저, 하천관리의 개념 정립, 관리사무의 주체를 명확히 함으로써 하천관리의 일원화 기반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책임 한계가 모호한 물관리 업무의 특성상, 권한과 책임이 불명확한 상황으로 인해 적극적인 업무수행이 어렵거나 책임 소재를 명확히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국가와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 하천관리의 주체 또는 참여자 간의 역할 변화와 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법제도 개선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하천관리 일원화를 위해 하천의 유역 단위 통합관리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국가하천과 지방하천의 계획 수립에서 유지·관리, 생태계 복원을 비롯한 물환경 보전, 이·치수 기능의 향상, 상·하류의 조화와 수량·수질·수생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유역 단위 통합물관리 정책 추진을 위해서는 조속한 하천관리 일원화 또는 하천관리체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끝으로 하천관리체계 정비 및 법제도간 정합성 제고를 통해 예산의 중복과 행정의 낭비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2022년 환경부로의 일원화 이전까지 환경부와 국토교통부의 하천관리사업 중복으로 인한 예산 낭비 문제는 이미 감사원 등에서 지적한 바 있다. 대표적으로 환경부의 생태하천복원사업과 국토교통부의 지방하천정비사업 중복 투자로 인한 경제적 비효율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그러나 현 시점에서도 여전히 국가하천과 지방하천간 관리 주체를 달리함으로써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하천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유역이나 국가 차원의 통합관리와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 예방이라는 측면에서 체계 정합성과 연계성 제고가 요구되며, 관리 주체별 구체적 역할 분장이 필요하다.

      • KCI등재

        무선 전력 전송 드론을 활용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수집 관리 기법

        윤익준,노동건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8 No.9

        To increase the lifetime of the network in wireless sensor networks, energy harvesting fro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wireless power transfer is being used. In addition, to reduce the energy imbalance and increase the amount of data gathered, a method using mobile sink nodes that visit sensor nodes to gather data has been us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technique to reduce the load on the relay node and collect a lot of data evenly in this environment. In the proposed scheme, sensor nodes construct Minimum Depth Trees (MDTs) considering the network environment and energy, and allocate the data collection amount.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technique effectively suppresses energy depletion and collects more data compared to existing techniques.

      • KCI등재

        인류세(멸종시대)에서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국가의 역할과 공법의 과제

        윤익준 한양법학회 2023 漢陽法學 Vol.34 No.4

        In the geological era, problems such as habitat destruction, lead fishing, and the influx of foreign species, including human activities that caused the climate crisis today, are causing a global change of the sixth extinction. Paradoxically, scientists argue that ecosystem services provided by existing biodiversity in mitigating or adapting to this climate crisis can be the key to solving it. From the perspective of preserving biodiversity, the problem of the climate crisis may be a crisis and a process that must be adapted and overcome from the perspective of evolution. Regionally, it can cause disasters, increased disasters, irreversible loss of species and habitats, but the dynamics of the ecosystem can be secured through the emergence or domination of species that can adapt or adapt to the changed climate. Of course, introducing new management techniques, policies, and systems can be one way to do this. Fundamentally, efforts to prevent direct loss of biodiversity due to human activities should be preceded, and on the other hand, in relation to the climate crisis,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vulnerability and risk of the region around local governments and then allocate the priorities of necessary adaptation polic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cosystem. This may be inappropriate in terms of improving existing efficiency, and there is a risk of increasing financial burden and various disagreements and disputes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However, the problem of "diversity" in biodiversity also means the diversity of species or ecology with unique characteristics, but disturbances in ecosystems caused by natural causes such as wildfires and floods can induce the health of the ecosystem and the improvement of the services provided by it. 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problem of 'diversity' of 'biology' as a problem of securing resilience that can be changed or promoted to a state other than extinction. Since this process can take a relatively long period of time and increase the financial burden, the equity of all policymakers, residents of conservation and management areas, and users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공공택지 조성 및 공급에 관한 법체계 개선방안

        윤익준,소성규 한국부동산법학회 2023 不動産法學 Vol.27 No.1

        The supply of housing and housing sites in Korea has been mainly centered on public development. However, such public development-oriented supply does not properly respond to changes in the social structure, such as changes in population and household structure and diversification of housing demand. In the case of the first and second new cities, which are representative public developments, development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different supply purposes based on the 」Housing Site Development Promotion Act「. In the case of the recent third new city, the ground law was changed to the Special Act on Public Housing, not the 「Housing Site Development Promotion Act」, and factors to meet social demand were reflected. However, based on various special laws in supplying large-scale public housing sites centered on new cities, problems often arise due to inconsistencies with existing national space plans or urban plans or lack of connection with higher plans.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creation and supply of large-scale public housing sites, the real estate economic recession due to short-term oversupply, unsold problems, regional conflicts, and distortion of housing supply and demand. Problems with reckless development or bed towns arise as the housing site supply plan does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focuses on specific policy purposes such as the dispersion of the popul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Furthermore, problems include inconsistency between plans and laws in the public housing supply legal system, inefficiency and rigidity in business procedures and housing site supply methods, and lack of urban function and project disconnection due to bias centered on the supply of large-scale housing sites. Accordingl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egal system for the creation and supply of public housing sites, measures to improve the legislation for efficient and sustainable cities were proposed. It suggested improvement direction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goals, policy directions, functions, and roles of the 「Special Act on Public Housing」, which is the basis for the supply of public housing sites, and suggested ways to improve the consistency of the legal system. In addition, measures to strengthen the functional elements of the city were reviewed by creating large-scale public housing districts centered on the 「Special Act on Public Housing」, efficient management of the created housing sites, and acceptance of social changes. Above all, in order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the city,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in the overall legal system was suggested, from the planning stage to urban management after the supply of housing sites. 우리나라의 주택 및 택지 공급은 주로 공영개발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공영개발 중심의 공급은 인구・가구구조 변화, 주택 수요의 다양화 등 사회구조의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 대표적 공영개발인 1기와 2기 신도시의 경우, 「택지개발촉진법」을 근거로 각기 다른 공급 목적에 따라 개발이 이루어졌다. 최근의 제3기 신도시의 경우에는 「택지개발촉진법」이 아닌 「공공주택특별법」으로 근거법을 전환하였고, 사회적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요소들을 반영하였다. 그러나 신도시를 중심으로 대규모 공공택지 공급에 있어 각종 특별법을 근거로 함으로써 기존의 국토공간계획이나 도시계획과의 부정합이나 상위계획과의 연계 부족에 따른 문제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공공 중심의 대규모 택지 조성 및 공급 결과, 단기적 공급 과잉으로 인한 부동산 경기침체, 미분양 문제나 지역갈등 및 택지수급의 왜곡을 초래하기도 하기도 한다. 택지공급계획에 있어서도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수도권 인구 분산 등 특정 정책목적에 치중함으로써 난개발 또는 베드타운의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나아가 공공택지 공급 법체계에 있어 계획 및 법률 간의 부정합, 사업절차와 택지공급방식에 있어 비효율성과 경직성, 대규모 택지의 공급 위주의 편향성으로 인한 도시적 기능 미비와 사업의 단절성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공공택지의 조성 및 공급에 관한 법체계 분석을 통해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한 법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현행 공공택지 공급의 근거법인 「공공주택특별법」의 목표 및 정책방향, 기능과 역할 변화에 따른 개선방향을 제시하고, 국토공간계획과 「공공주택특별법」상의 공공택지 공급계획 등 법체계의 정합성을 제고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함께 「공공주택특별법」을 중심으로 한 대규모 공공주택지구 조성과 조성된 택지의 효율적 관리 및 사회 변화의 수용을 통한 도시의 기능적 요소 강화방안을 검토하였다. 무엇보다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해서 계획단계부터 택지 공급 이후의 도시관리에 이르기까지 법체계 전반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개인정보 보호법의 문제점과 법적 대안 - 가명정보를 중심으로 -

        윤익준,이부하 경북대학교 IT와 법연구소 2021 IT와 법 연구 Vol.- No.23

        The main contents of the revise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re: First, clarification of the conceptual system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second, definition of pseudonymized information and establishment of basis for processing, third, reinforc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controller's responsibility, and fourth, agreement within reasonable scope. Establishment of the basis for collecting, using, and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that is not available. Fifth, the supervisory body is unified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mmittee. The main contents of the revised 「Enforcement Decree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include first, additional use and provision of personal information, second, procedures for combining pseudonymized information, third, measures to ensure safety of pseudonymized information, and fourth, information on race or ethnicity in sensitive information. Problems of the revise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re: First, the liquidity of the concept of personal information, pseudonymized information, and anonymous information, second, the problem of handling pseudonymized information. (1) Processing of pseudonymized information without the consent of the data subject, (2) handling of pseudonymized information without consent to limited matters, (3) obligation to destroy pseudonymized information, and third, the risk of using pseudonymized information. (1) handling of sensitive information, (2) scope of application of pseudonymized information, (3) There is a problem of combining data with pseudonymized information, and (4) There is a problem with the designation and operation of a specialized data organization. It is necessary to stipulate clear regulations on how public officials or public institutions should pay expenses without cost handling regulations in the pseudonymization and combination processing steps, and in cases where pseudonymized information is provided or provided by pseudonymization. In the case of combining pseudonymized information, if personal information is leaked, there is a possibility of civil and criminal liability,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regulations on immunity for this.

      • KCI등재

        해양동물 보호 관련 국내 법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윤익준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3 환경법과 정책 Vol.31 No.3

        해양은 인류의 생존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 공간으로 육상보다 넓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해양 생태계와 생물종에 대해서는 육상의 그것보다 덜 중요하게 인식되어 왔다. 해양동물의 경우, 그동안 경제적 이용의 측면에서 ‘수산자원’으로 다루어졌을 뿐 그 보호대상으로의 가치 인식은 육상동물보다 뒤늦게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여전히 해양동물의 보호는 ‘이용’과 ‘보호’를 어떻게 융합하고 조정할 것인가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해양생태계법 등 해양동물 보호관련 법제와 수산관련 법제 간의 정합성 제고와 가시성 측면에서 차이를 보이는 육상에서의 야생동물 보호와 해양동물 보호의 차별적 접근방법에 대한 검토가 요구된다. 나아가 관할권 이원지역의 해양생물 보전 등 국제사회가 지향하고 있는 해양동물 보호 체계를 어떻게 국내법적으로 수용할 것인가, 기후위기로 인한 해양의 변화를 해양동물 보호의 관점에서 어떻게 고려하여야 할 것인가, 해양생태계 중심의 접근방법과 특정 해양동물의 보호를 위한 생물종 중심의 접근방법을 어떻게 하나로 융합하여 제도화 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해양동물의 보호에 있어서 육상동물과의 차이점과 이에 따라 환경부 소관 법률의 보호규정과 유사한 해양동물 보호체계의 변화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법정계획의 수립이나 지정체계에 있어 미흡한 부분의 보완이 요구되지만 해양동물의 보호조치나 관리체계는 육상에서의 멸종위기 야생동물의 보호나 관리체계와 구별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해양생태계법이 규정하고 있는 해양보호구역과 보호동물 지정체계의 개선, 행위제한 규정의 구체화, 보호구역에서 포획 등이 제한되는 해양생물의 지정 고시의 마련, 벌칙의 중복규정에 대한 법제 개선이 요구된다. The ocean is a space closely related to human survival and occupies a larger part than land, but marine ecosystems and species have been recognized as less important than that of land. In the case of marine animals, it has been treated as a “fisheries resource” in terms of economic use, but recognition of their value as a protected object began later than that of land animals. Still, the protection of marine animals can be said to be a matter of how to fuse and adjust ‘use’ and ‘protection’.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differential approach to wildlife protection on land and marine animal protection, which differs in terms of visibility and consistency between marine animal protection-related laws such as the Marine Ecosystem Act. Furthermore, discussions should continue on how to legally accept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marine animal protection system, such as the preservation of marine life in the dual area of jurisdiction, how to consider changes in the ocean due to the climate crisis from the perspective of marine animal protection, and how to integrate and institutionalize a marine ecosystem approach and a species approach to protect specific marine animals. In this paper, the difference between land animals in the protection of marine animals and the need to change the marine animal protection system similar to the protection regulations unde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as presented. Although insufficient parts of the legal plan or designation system are required to be supplemented, the protection or management system of marine animals needs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protection or management system of endangered wildlife on land.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designation system of marine protected areas and protected animals stipulated by the Marine Ecosystem Act, specify regulations on restrictions on behavior, prepare a notice on the designation of marine life that is restricted from capturing in protected areas, and improve legislation on overlapping regulations on penalties.

      • KCI등재

        「물환경보전법」상 공공수역 관리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윤익준 ( Ickjune Yoon ) 한국환경법학회 2021 環境法 硏究 Vol.43 No.3

        우리나라는 물론 비교법적으로 일본의 사례에서도 물환경의 관리에 있어 애초부터 그 대상을 공공수역으로 보았다. 즉, 공유재로 활용되는 물에 대하여는 그 오염을 방지하고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 하에 관련 법률이 제정되었다. 오늘날 「물환경보전법」으로 제명을 변경하고, ‘수질’이라는 제한된 범위에서의 물관리에서 물순환을 고려한 수질과 수생태 및 그 연속성에 대한 고려의 측면에서 물환경 관리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그 대상인 공공수역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범위의 설정이 요구된다. 또한 공공수역의 보전 및 관리에 있어 그 동안 선언적이고 정책적으로 제시된 규정들을 보다 구체화함으로써 기존의 수질관리에서 본격적으로 물환경의 관리를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앞서 제시한 바와 같이 개별 규정에서 다루고 있는 물환경 보전 조치나 수생태복원 등 관련 계획의 수립 등에 있어 그 주체와 방법, 절차 등에 대한 세부적인 규정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최근 물관리에 있어 이용뿐만 아니라 환경측면을 고려한 지속가능한 하천관리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하천법」과 「물환경보전법」상의 접점을 두어 목적을 달리하면서 동일한 규율 대상을 다루는 법률 간의 정합성을 확보해가고 있다. 나아가 각종 개발사업 및 오염물질 배출시설의 증가로 물환경에 대한 오염원 관리가 요구된다. 더불어 각종 개발사업 관련 계획에 있어 공공수역의 관리 및 시설계획 등을 사전에 반영하고, 지역의 주요 현안, 향후전략, 정책수요 등을 파악하여 지역간 통합적 환경관리 방안의 마련이 요구된다. 또한 일본의 수질오탁방지법의 경우에는 규제 중심의 강행규정을 두기보다 지방자치단체에 일정한 조치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사업자 스스로 방지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반면 「물환경보전법」의 경우에는 ‘공공수역’에 대하여 과도하게 행위제한 규정을 두고 있다. 공공수역의 보전 및 관리에 있어서는 행정편의적이거나 권위적인 규제 행정보다는 협력적이고 지원과 인센티브 중심의 제도 설계가 요구되며, 행정주체뿐만 아니라 사업자와 일반 국민 모두가 공공수역의 보전 및 관리에 동참할 수 있는 상향식 거버넌스 중심의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Japan's case of comparative law, the target was considered a public water zone in the management of the water environment from the beginning. In other words, relevant laws were enacted under the recognition that it is important to prevent and properly manage water used as a public good. Today,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name to the Water Conservation Act and to establish a clear understanding and scope of the water environment in terms of considering water circulation, water ecology and continuity in the limited scope of water qualit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the water environment in earnest from existing water quality management by further elaborating the previously declared and policy-published regulations in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public waters. To this end, as previously suggested, detailed regulations on subjects, methods, procedures, etc. need to be revised in establishing related plans, such as water environment conservation measures and aquatic ecological restoration. Furthermore, as policy interest in sustainable river management has increased in water management, considering not only its use but also its environmental aspects, it has secured convergence between laws dealing with the same discipline while having different purposes. Furthermore, the increase in various development projects and pollutant emission facilities requires the management of pollutants in the water environment.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prepare integrated environmental management measures between regions by reflecting public water management and facility plans in advance in various development projects, and understanding major regional issues, future strategies, and policy demands. In addition, Japan's water pollution prevention law stipulates that businesses can take preventive measures themselves by granting local governments a certain right to take measures rather than imposing regulations centered on regulation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Water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there is an excessive restriction on conduct in the “public area”.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public waters requires cooperative, support and incentive-oriented system design rather than administrative convenience or authoritative regulatory administration, and a bottom-up governance system is needed for both operators and the general public to participate in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public waters.

      • KCI등재

        외래종 규제를 위한 법적 과제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윤익준 ( Ick June Yoon ) 한국환경법학회 2013 環境法 硏究 Vol.35 No.2

        오늘날 생물다양성 감소의 직접적 원인의 하나로 외래종의 유입이 지적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생태계 교란은 물론 심각한 생물다양성의 손실을 야기하고 있다. 더욱이 기후변화는 새로운 외래종의 유입 및 침해의 발생에 일조하고 있다. 이러한 외래종에 대한 규제는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이루어져 왔으나, 2012년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정에 따라 관련 규정이 이관되었다. 생물다양성법은 외래종의 개념 및 규제대상으로서 생태계교란 생물의 정의규정을 두고 있으며, 외래생물관리계획, 위해우려종의 반입 승인 및 생태계위해성심사, 위해성평가 및 생태계교란 생물의 지정, 생태계교란 생물의 관리, 생태계교란 생물의 방제, 생태계교란 생물의 사육 허가 취소 및 자연생태계로의 방출 원인자 책임, 그리고 벌칙규정을 두고 있다. 동법상 이러한 규제들은 기존의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한 규제보다 강화되었으나, 여전히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특히 규제대상 외래종 개념과 관련하여 법률상 생태계교란 개념의 미비, 생태계교란 생물의 범위에 있어 시간적, 생물학적, 지역적(국내 외래종) 요소들의 고려에 있어서 상당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더욱이 새롭게 도입된 위해우려종 관리·규제와 관련하여 블랙리스트 방식의 규제의 한계를 극복한다는 점에서 예방적 차원의 위해우려종의 지정 및 반입 규제는 사전배려원칙에 입각하여 의의를 지닌다 할 것이나, 생태계위해성심사의 방법이나 생태계교란 생물과의 관계 그리고 위해성심사 기간의 부재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근본적으로 생태계교란 생물의 관리·규제에 있어 생태계교란 생물의 지정과 위해성평가에 있어 기 도입된 외래종만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규제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 더욱이 사육등의 금지외의 생태계교란 생물의 관리방법 및 기준이 부재하며, 생태계교란 생물의 방제에 있어서도 방제와 복원 등에 필요한 적절한 방법과 기준이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 특히 생태계교란 등에 원인을 제공한 자를 특정할 수 있는 경우에도 그 원인자에 대해 책임원칙과 비용부담원칙을 부과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동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위해성평가의 강화와 사전배려원칙의 적극적인 적용이 요구된다. 특히 국내에 도입되지 않은 위해우려종의 목록을 지정하고, 사전배려원칙에 따라 위해성평가 및 심사 이전에 그 도입을 제한하도록 규제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외래종 피해에 대하여 원인자책임원칙의 적용을 확대하여 오염원인자에게 방제등의 비용을 부담토록 하여야 할 것이다. 나아가 외래종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자에 대해서는 야생동물에 의한 피해 구제에 준하여 구제에 관한 규정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방제등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자에 대한 손실보상 등의 규정이 신설되어야 할 것이다. Introduction of alien species has been regarded as a threat to global biological diversity. Increasing global trade and travel amplified introduction of alien species to native ecosystem, some alien species lead to significant impact of native environment or ecosystem. Invasive Alien Species(IAS) intentionally or unintentionally have formed its habitat, which may harm the environment,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Recently, majority of countries across the globe may suffer from severe damages with their ecosystem, economy, and public health due to the invasion of IAS. In order to cope with this threat,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CBD) recommended the integrated management act and prevention scheme for IAS control. The recently promulgated Biodiversity Act (Act on th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Biological Diversity) of 2012, also, regulates the alien species such as ecosystem disturbing species, Potential Risk Species(PRS). This Act, however, is insufficient to prevent the introduction of IAS, and effectively control its establishment and spread in Korea. Lack of definition on ecosystem disturbance causes the limitation of regulating objects of IAS(or ecosystem disturbing species) and uncertainty of risk assessment.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e review on this Ac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t bears the problem that it fails to consider timely, ecological, and geographical limitation of alien species and it has no period of ecological risk analysis to potential risk spe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ighten regulations on alien species. Thus I suggested the key improvements of this Act, as follows: a) designing Potential Risk Species, b) regulating PRS before the risk assessment or risk analysis in accordance with precautionary principle, c) establishing the specific criteria and methods for the management of alien species, d) adopting the polluter pays principle.

      • KCI등재

        국내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법적 과제

        윤익준(Yoon, Ick June)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서강법률논총 Vol.2 No.1

        Under the objectives of CBD, Korean legislations on the conservation of biological diversity may be classified as the conservation law of biodiversity, the law on sustainable use of biological resource, and the law on the fair and equitable sharing of the benefits arising out of the utilization of genetic resources. Korean legislation on the conservation of biological diversity has considerably developed during a few decades such as the designation of protected area, the biodiversity management contract, the ecosystem conservation cooperation charge etc. These law and regulations, however, was not sufficient to conserve the biodiversity relating to restoring degraded ecosystem, ensuring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local community, accessing to genetic resources and sharing of the benefits. In this paper, I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rearrange complicated laws relating to biodiversity conservation in Korea. The key improvements of domestic law, as follows: First, the designation criterion of protected area should be subdivided and established syst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to avoid the duplicated jurisdiction of protected area(ie. applying IUCN category system to protected area). Second expanding the target area on the biodiversity management contract and conservation agreement, securing finances, and providing a tax favor. Third the law should be changed to promote sustainable use in conservation area and reinforce the ecosystem approach. Fourth, incentives and community support programs according to designation of protected area should be expand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nhance cooperation between land planning and environmental planing in governmental plan, impose obligation for restoring degrade ecosystem, and secure domestic biological/genetic resou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