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라이프케어에서 수면시간이 심장호흡기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윤영제(Young-Jeoi Yoo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2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6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라이프케어에서 수면시간이 심장호흡기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수면부족군과 수면적정군으로 나누어 심장지구력 평가, 들숨능력 평가, 날숨능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심장지구력 평가에서 수면적정군은 수면부족군에 비해 최대산소섭취량과 최대에너지소비량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들숨능력 평가에서 수면적 정군은 수면부족군에 비해 최대들숨유속률, 최대들숨량, 평균들숨유속률, 평균들숨량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날숨능력 평가에서 수면적정군은 수면부족군에 비해 1초 노력성 날숨량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대학생의 라이프 케어에서 수면부족은 심장호흡기계 능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수면부족에 대한 위험성을 지각하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라이프 케어에서 심장호흡기계 능력과 관련하여 적정한 수면을 권장하는 자료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effect of amount of sleep on cardiorespiratory system capacity in life care of university students. Cardiac endurance evaluation, inspiratory capacity evaluation, expiratory capacity evaluation were conducted by dividing into SSG (suitable sleep group) and LSG (lack of sleep group).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cardiac endurance evaluation, the MOU (maximum oxygen uptake) and VO2Max (maximal oxygen consump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SG than LSG. In the inspiratory capacity evaluation, PIFR (peak inspiratory flow rate), PIC (peak inspiratory capacity), AIFR (average inspiratory flow rate) and AIC (averate inspiratory capac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SG than LSG. In expiratory capacity evaluation, SSG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FEV1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than LSG.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sleep deprivation in university student’s life care negatively affects cardiorespiratory system capacity. Therfor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isk of lack of sleep of university students should be perceived, an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uitable sleep should be recommended in relation to cardiorespiratory capacity in university student’s life care.

      • KCI등재

        스마트폰 중독이 대학생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윤영제(Young-Jeoi Yoo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1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이 대학생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G광역시의 H대학의 대학생을 스마트폰 중독군(11명)과 비중독군(12명)으로 나누어 보행 평가와 보행 시 척주세움근과 다리근육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보행 평가에서, 스마트폰 비중독군의 집단 내 비교는 스마트폰 사용하지 않을 때 활보장, 한발지지기, 입각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보행 시 근 활성도의 집단 간 비교에서, 스마트폰 사용 시 스마트폰 중독군의 왼쪽과 오른쪽 앞정강근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 중독군의 왼쪽과 오른쪽 앞정강근, 오른쪽 장딴지근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보행 시 근 활성도의 스마트폰 중독군의 집단 내 비교에서 스마트폰 사용 시 왼쪽과 오른쪽 척주세움근, 오른쪽 앞정강근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장딴지근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스마트폰 비중군의 집단 내 비교에서는 스마트폰 사용 시 왼쪽과 오른쪽 척주세움근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스마트폰 중독이 대학생의 일상생활에서 보행 시 균형 능력 감소와 척주세움근 및 다리근육의 과도하게 활성도를 높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overusing mobile phone on gait ability in collag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 students attending H university in G city and divided into two groups : overusing mobile phone group(n=11) and non-overusing mobile phone group(n=12). To achieve this purpose, gait pattern and muscle activity of sEMG pad attached on muscles of spine and lower extremity was measured walking. In gait pattern, Intra-group comparison of non-overusing mobile phone group was significant difference step(p<0.5) and single limp support(p<0.01), stance phase(p<0.5) between mobile phone use and mobile phone non-use. In muscle activity of spine and lower extremity, When mobile phone us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 muscle activity of left(p<0.5) and right(p<0.01) tibia anterior between overusing mobile phone group and non-overusing mobile phone group. When mobile phone non-us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 muscle activity of left and right tibia anterior, right gastrocnemius between overusing mobile phone group and non-overusing mobile phone group(p<0.5). Intra-group comparison of overusing mobile phone group was significant difference left(p<0.1) and right(p<0.5) erector spinae and right tibia anterior, right gastrocnemius (p<0.5) between mobile phone use and mobile phone non-use. The results found that overusing mobile phone on daily life in collage students affects gait pattern and muscle activity of spine and lower extremity.

      • KCI등재후보

        웰빙과 관련하여 환자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행위 인식도 및 실천도

        윤영제(Young-Jeoi Yoo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5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웰빙과 관련하여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개인정보보호법에 대한 지식과 환자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행위 인식도 및 실천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일부 지역 물리치료사 400명을 편의 추출하여 대상자가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작성하게 한 후, 불충분한 응답 42건을 제외한 총 358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교육 경험에 따라 개인정보보호법에 대한 지식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행위 인식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행위 실천도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대한 지식과 환자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행위 인식도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정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향 후 웰빙에 관련하여 물리치료사들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행위 실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개인정보보호법에 대한 지식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행위 인식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 지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ehavior perception and performance to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related to well-being of physical therapist. This study surveyed 400 physical therapist’s attending to answer to self-reported questions using a questionnaire and used 358 data of the responses except insincere ones for the final analysis. According to the education experience for the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owledge of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and behavior perception of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Behavior performance of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ositive correlation in knowledg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and behavior perception of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herefore, for increase physical therapist’s behavior performance of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related to well-being, it is thought to be necessary education and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management guideline for increase knowledg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and behavior perception of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 KCI등재

        하이힐 착용기간이 보행 시 하지 근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윤영제(Young-Jeoi Yoon),서상완(Sang-Wan Seo),이한결(Han-Gyeol Lee)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0 No.6

        본 연구는 하이힐을 신은 기간이 하지 근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상자는 항공서비스학과에 재학 중인 여학생 34명이었으며 2그룹으로 분류되었다 : 대조군 - 16명으로 하이힐을 한 번도 신지 않은 자, 실험군 - 18명으로 하이힐을 1년간 꾸준히 신은 자. 근 활성화는 EMG를 사용하여 앞정강근, 장딴지근, 넙다리곧은근, 척추세움근에 패드를 붙이고 맨발로 걸을 때와 하이힐을 착용하고 걸을 때 측정되었다. 연구결과, 평지 걷기에서는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계단 오르기에서 하이힐을 신었을 때 앞정강근(p<.05)과 장딴지근(p<.001)에서 실험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근 활성화가 증가하였다. 계단 내려오기에서 맨발일 때 척추세움근(p<.05)에서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근 활성화가 증가하였다. 계단 내려오기에서 하이힐을 착용했을 때 앞정강근(p<.01)과 장딴지근(p<.05)에서 실험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근 활성화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하이힐을 처음 신는 경우가 하이힐을 1년 동안 신은 경우보다 보행 시 하지 근 활성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period wearing high-heeled shoes on muscle activity of lower extremity during walk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 female students attending aviation services department and divided into two groups : control group – sixteen students in do not wear high-heeled shoes, experiment group – eighteen students in do wear high-heeled shoes. To achieve this purpose, muscle activity was measured when walking barefoot and wearing high-heeled shoes with EMG pad attached on tibialis anterior, gastrocnemius, rectus femoris, elector spinae. When flat-ground walk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muscle activity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 group. When going up stairs wearing high-heeled shoes, tibialis anterior(p<.05) and gastrocnemius(p<.001) muscle activity of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experiment group. When going down stairs barefoot, elector spinae(p<.05) muscle activity of experiment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control group. When going down stairs wearing high-heeled shoes, tibialis anterior(p<.01) and gastrocnemius(p<.05) muscle activity of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experiment group. The results found that wearing high-heeled shoes for the first time affects the lower extremity muscles activation during walking than wearing high-heeled shoes for one year.

      • KCI등재

        대학생의 라이프케어에서 시력 차이가 균형과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윤영제(Young-Jeoi Yoo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5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라이프케어에서 시력 차이가 균형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G 광역시에 소재의 H 대학교에 재학 중인 45명을 대상으로 안경과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지 않는 대조군(n=22)과 안경과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실험군(n=23)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안경과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logMAR 차트로 시력을 측정하고, BIOrescue로 균형능력을 평가하였으며, G-Walk로 보행능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시력 측정에서 대조군보다 실험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시력이 낮았다(p<.01). 정적 균형능력은 오른발의 무게중심 이동이 대조군보다 실험군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5), 동적 균형능력은 대조군보다 실험군에서 안정성 한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보행능력은 한발짝 거리와 한걸음 거리는 대조군보다 실험군의 오른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짧았으며(p<.05), 흔듦기는 대조군보다 실험군의 오른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대학생의 라이프케어에서 시력 차이는 균형과 보행능력의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학생의 라이프케어에서 시력이 낮은 대학생의 넘어짐과 부딪침을 예방하기 위해 안경 및 콘택트렌즈를 통한 시력 교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studied the effect of visual difference on balance and walking ability in college students" life care. The study was conducted on 45 students attending H University in G City, divided into control groups (n=22, not wearing glasses and contact lenses) and experimental groups (n=23, wearing glasses and contact lenses). In not wearing glasses and contact lenses, the subjects measured visual acuity with logMAR charts, evaluated their balance ability with BIOrescue, and evaluated walking ability with G-Walk.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vision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visual acuity measurement(p<.01). Static balance a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center of mass movement of the right foot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p<.05). Dynamic balance a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duce in limit of stability for groups of experiments compared to control group(p<.05). The walking a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shorter on step length and stride length, swing of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e right foot(p<.05).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visual difference in university students reduces balance and walking ability. Therefore, university students with poor visual acuity are recommended to correct of visual acuity to prevent collision and falls in their daily lives.

      • 휴대폰 중독이 대학생의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윤영제(Young-Jeoi Yoo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7 No.11

        본 연구는 휴대폰 중독이 대학생의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G광역시의 H대학의 대학생을 휴대폰중독군(11명)과 비중독군(12명)으로 나누어 보행 평가와 보행 시 척추 및 다리근육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보행 평가에서 휴대폰 비중독군의 집단 내 비교에서 휴대폰을 사용 시 활보장(p<.05), 한발지지기(p<.01), 입각기(p<.05)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보행 시 척추 및 다리근육의 근활성도에서 휴대폰 사용 시 휴대폰의 중독군과 비중독근의 집단 간 비교는 왼쪽과 오른쪽 앞정강근에서 중독군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p<.05),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중독군이 왼쪽과 오른쪽 앞정강근, 오른쪽 장딴지근의 근활성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휴대폰 중독군의 집단 내 비교에서 휴대폰의 사용 시 왼쪽(p<.01)과 오른쪽(p<.05) 척추세움근, 오른쪽 앞정강근과 장딴지근(p<.05)의 근활성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휴대폰 비중군의 집단 내 비교에서 휴대폰의 사용 시 왼쪽 오른쪽 척추세움근의 근활성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1).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휴대폰 중독이 대학생의 일상생활에서 보행 시 보행 패턴 보다 척추 및 다리근육의 과도한 근활성도를 높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overusing mobile phone on daily life in collag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 students attending H university in G city and divided into two groups : overusing mobile phone group(n=11) and non-overusing mobile phone group(n=12). To achieve this purpose, gait pattern and muscle activity of sEMG pad attached on muscles of spine and lower extremity was measured walking. In gait pattern, Intra-group comparison of non-overusing mobile phone group was significant difference step(p<0.5) and single limp support(p<0.01), stance phase(p<0.5) between mobile phone use and mobile phone non-use. In muscle activity of spine and lower extremity, When mobile phone us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 muscle activity of left and light tibia anterior between overusing mobile phone group and non-overusing mobile phone group(p<0.5). When mobile phone non-us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 muscle activity of left and light tibia anterior, gastrocnemius between overusing mobile phone group and non-overusing mobile phone group(p<0.5). Intra-group comparison of overusing mobile phone group was significant difference left(p<0.1) and light(p<0.5) erector spinae, light tibia anterior and gastrocnemius (p<0.5) between mobile phone use and mobile phone non-use. The results found that overusing mobile phone on daily life in collage students affects gait pattern and muscle activity of spine and lower extremity.

      • KCI등재

        백서의 척수손상 후 중강도 저체온법과 수중운동이 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

        윤영제(Young-Jeoi Yoon),이정훈(Jeong-Hun Lee),이병훈(Byung-Hoo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4

        본 연구는 백서의 척수손상 후 중강도 저체온법과 수중운동이 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신경학적 운동행동 검사와 면역조직화학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대상은 척수손상 유발 후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은 대조군(n=12), 척수손상 유발 직후 저체온법을 적용한 실험군 Ⅰ(n=12), 척수손상 유발 후 수중운동을 실시한 실험군 Ⅱ(n=12), 척수손상 유발 직후 저체온법을 적용한 후 수중운동을 실시한 실험군 Ⅲ(n=12)으로 나누었다. 모든 실험군은 3일, 7일, 14일, 21일에 신경학적 운동행동 검사를 실시하였고, 3일, 7일, 21일에는 면역조직화학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BBB 척도에서 14일에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군 Ⅱ와 Ⅲ이 통계학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1), 격자걷기 검사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군 Ⅲ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면역조직화학적 평가에서, BDNF의 발현량은 실험군 Ⅲ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중강도 저체온법과 수중운동이 척수손상 후 운동기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ild hypothermia and Aquatic exercise on function Activity after experimental Spinal Cord Injury(SCI) rats.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the control group (non-treatment after SCI induction), group Ⅰ(hypothermia after SCI induction), group Ⅱ(exercise after SCI induction), group Ⅲ(hypothermia and exercise after SCI induction). After operation, rats were examined neurological motor behavior test at 3, 7, 14, 21 days and Immunohistochemical assessment at 3, 7, 21 days.Each other 14 days wer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rol group and group Ⅱ , Ⅲ(p<.001) in BBB scale, between control group and group Ⅲ(p<.05) in grid walk test. In mmunohistochemical assessment, there was appeared highest express in group Ⅲ. Based on these results, mild hypothermia and exercise was effected functional Activity after SCI.

      • KCI등재

        카페인 중독이 20대 성인 여성의 심장호흡기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윤영제(Young-Jeoi Yoo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8

        본 연구에서는 20대 여성의 카페인 중독이 심장호흡기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G 광역시 소재의 H 대학교 여학생 35명을 카페인 중독자(n=17)과 카페인 비중독자(n=18)가 참여하였다. 심장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사이클 에르고미터를 사용하여 최대산소섭취량, 최대에너지소비량, METs를 측정하였으며, 호흡기계 능력은 파워브리드 K5를 사용하여 최대들숨압, 평균들숨압, 최대들숨유 속, 평균들숨유속, 최대들숨량, 평균들숨량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심장능력에서 카페인 중독군은 카페인 비중독군에 비해 최대산소섭취량과 METs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호흡기계 능력에서는 카페인 중독군이 비중독군에 비해 최대들숨압, 평균들숨압, 최대들숨유속, 평균들숨유속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카페인 중독은 20대 여성의 심장호흡기계 능력의 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20대 여성의 카페인 중독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twenties female caffeine addiction on cardiorespiratory capacity. For this study, we divided 35 female students at H university into caffeine addict group(n=17) and none caffeine addict group(n=18). Measure maximal oxygen uptake, maximal energy consumption and METs using Cycle Ergometer to assess cardiac capacity. Measure peak inspiratory pressure, peak inspiratory flow rate, peak inspiratory capacity, average inspiratory pressure, average inspiratory flow rate, average inspiratory capacity using Power Breathe K5 to assess respiratory capacity. As a result, cardiac capacit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maximal oxgen uptake and METs compared caffeine addict group to none caffeine addict group(p<.001). respiratory capacit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peak inspiratory pressure(p<.05), peak inspiratory flow rate(p<.01), average inspiratory pressure(p<.01), average inspiratory flow rate(p<.01), compared caffeine addict group to none caffeine addict group. Combin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 could see that caffeine addiction reduces the cardiorespiratory capacity in twenties female. Therefore, it could be used as a basis date to prevent caffeine addiction for twenties femal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