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래턱뼈 절단면에서 턱뼈관의 위치

        윤양하,정화해,전유미,이상완,이준희,송용태,서윤경,백두진,백두진 대한체질인류학회 2007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0 No.3

        The complications and sequelae after the mandibular surgery are related to inferior alveolar neurovascular bundles, which pass through the mandibular canal. The knowledge of their positions would decrease the risk of mandibular surgery dramatically and would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new surgical techniqu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clarify the anatomical position of mandibular canal for the mandibular surgery. Forty four mandibules (23 males and 21 females average 66.5 years) obtained from the collection of Hanyang medical college were studied. The location of mandibular canal in the sections between premolars and molars were measured.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At first, the mandibular canal lay lingual to the distal part of the body of the mandible. It then ran anteriorly and to the buccal part of the mandible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premolars. In the sections between premolars and molars, the distance between the mandibular canal and the lower border of mandibular body was 8.9±1.9 mm at the position of the first molar, the distance between the deepest point of the alveolar socket and the mandibular canal was 9.5±3.5 mm at the second molar, which was the narrowest poi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ful to decrease the risk of the mandibular surgery and to develop the new techniques for mandibul surgery in the field of the dentistry and maxillofacial surgery. 아래턱뼈 수술에서 아래이틀신경과 혈관다발이 지나가는 턱뼈관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면 시술의 위험도 를 감소시키고, 새로운 시술의 개발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어, 아래턱뼈 절단면에서 턱뼈관의 위치를 해부 학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습시신 44구(남 23구, 여자 21구, 평균연령 66.5세)의 아래턱뼈 절단면에서 턱뼈관의 위치를 계측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획득하였다. 턱뼈관은 턱뼈몸통 먼쪽에서 안쪽에 위치하다 몸쪽으로 가면서 첫째와 둘째작은어금니 사이에서 바깥쪽을 향 하였고, 치아 가운데 턱뼈의 절단면에서 턱뼈관의 바닥높이는 8.9±1.9mm인 첫째큰어금니 위치에서 가장 낮았고, 둘째큰어금니 위치에서 가장 좁아 이틀오목 아래끝에서 턱뼈관까지는 9.5±3.5mm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래턱뼈 시술에서 합병증을 감소시키거나 새로운 시술개발에 필요한 턱뼈관 위치에 대하여 보편적 경향을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두개봉합부의 초기형태발생과정에서 BMP와 그 수용체의 발현 양상

        윤양하,이상원,박미현,류현모,남순현,김영진,김현정,Yune, Yang-Ha,Lee, Sang-Won,Park, Mi-Hyun,Ryoo, Hyun-Mo,Nam, Soon-Hyeun,Kim, Young-Jin,Kim, Hyun-Jung 대한소아치과학회 2002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9 No.3

        Bone morphogenetic proteins(BMPs)는 형태형성 및 세포 분화동안 다양한 조절 역할을 담당하는 신호전달 인자이다. 시상두개봉합부 발생시 BMPs와 그 수용체의 역할을 분석하기 위해, in situ hybridization방법을 이용하여 태생 15일에서 18일 시상두개봉합부에서 그 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BMP-2와 BMP-3은 태생 15일부터 osteogenic front와 두정골에서 발현을 보였으며 태생 16일부터 모낭에서 발현이 시작되었다. BMP-4는 osteogenic front에서 강하게 발현되었으며, 간엽조직 및 두정골에서 약하게 발현되었다. BMP-5는 모낭에서 발현되었다. 이전 연구에서 BMP-6는 비후된 연골세포에서 발현된다고 보고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BMP-7은 태생기에 두정골에서 발현되었다. BMPR-IB는 osteogenic front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발현되었으나, BMPR-IA는 발현되지 않았다. 이런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두개봉합부 초기 형태발생시 BMP-4는 미분화 간엽세포로부터 골아세포로 commit되는 초기단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BMP-2와 BMP-3는 전구 골아세포에서 골아세포로의 분화과정에, BMP-7은 좀 더 분화가 진행된 골아세포 및 골의 분화 유지에 중요하며, type I 수용체 중 BMPR-IB가 BMP들의 신호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예측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BMP 신호전달은 다양한 BMP 리간드들과 그 수용체들에 의해 골아세포 분화 전반에 걸쳐 관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Bone morphogenetic proteins(BMPs) are secretory signal molecules which have a variety of regulatory functions during morphogenesis and cell differentiation. To evaluate roles of BMPs and their receptors on mouse sagittal suture development, we have examined their expression patterns in serial sections of sagittal sutures by in situ hybridization during embryonic stages(E15-E18). BMP-2 and BMP-3 were expressed in the osteogenic front and parietal bone on embryonic 15day, from E16 in hair follicle. BMP-4 was strongly expressed in the osteogenic front and weakly expressed in the mesenchyme and parietal bone. BMP-S was expressed in the hair follicles. BMP-6 was not expressed in this study. BMP-7 was expressed in parietal bone during embryonic stage. BMPR-IB was expressed in the osteogenic front, but BMPR-IA was not. From these datas, we suggest that the BMP-4 regulates the early commitment of mesenchymal cells to the osteogenic lineages, the BMP-2 and BMP-3 may be involved in regulating the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 precursor cells. BMP-7 was involved in maintenance of differentiated osteoblasts. BMPs were key signaling molecules that regulate early calvarial bone morphogenesis, mediated by BMPR-IB.

      • KCI등재

        턱끝구멍 위치의 체질인류학적 고찰

        백두진,정화해,전유미,윤양하 대한체질인류학회 2007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0 No.1

        The Mental foramen is the exit of the mandibular canal through which the mental nerve pass. The location of the mental foramen, an anthropologically valuable structure, is not only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tooth attrition, age, loss of teeth, and alveolar bone resorption but also race, diet and geographical position.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clarify the anthrop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 of the mental foramina in the mandibles of the selected Korean population. Forty four mandibles (23 males and 21 females with average age of 66.5 years obtained from the collection of the department of anatomy and cell biology of Hanyang medical college were studied. The apparent position of mental foramen in relation to the mandibular teeth and the true position of mental foramen in relation to the body of the mandible were measured.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In 89% of 35 mandibular sides the mental foramen was located around the second premolar, the most commonly between the second premolar and the first molar, which belongs to type V according to Wang et al. (1986). The distances from the alveolar bone crest across the mental foramen to the lower border of the mandible was 27.4±2.4 mm. The mean distances from mental foramen to the alveolar crest and lower border were 12.1±2.3 and 13.1±2.0 mm, respectively. The mean position of mental foramen was 4.08 on the line between the second premolar and the first molar. The mental foramen of selected Korean population was located more posterioly when compared with many previous reports from various ra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ful to clarify the anthropological position of the mental foramen in Korean. 턱끝구멍은 턱뼈관의 끝으로 턱끝신경과 혈관이 나오는 구멍이며 치아마모상태, 연령, 치아탈락상태, 이틀 돌기 흡수상태 뿐 아니라 인종, 음식물, 지리적 차이 등의 영향으로 위치가 달라져 민족마다 차이가 나는 아래턱 뼈의 체질인류학적 구조물이다. 이에 저자들은 턱끝구멍 위치의 체질인류학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해부∙세포생물학 교실에서 보관중인 시신 44구의 아래턱뼈를 대상으로 치아에 대한 턱끝구멍의 상대적 위치와 턱끝구멍을 지나는 아래턱뼈 몸통 높이에서 턱끝구멍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턱끝구멍은 둘째작은어금니 주변에 90.3% 위치하였고, Wang 등(1986)의 분류 중 제5형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턱끝구멍을 지나는 턱뼈몸통의 높이는 27.4±2.4mm이었고, 아래턱뼈 바닥에서 턱끝구멍까지는 13.1±2.0 mm, 이 틀능선에서 턱끝구멍까지는 12.1±2.3mm이었다. 타민족과 비교하기 위하여 수치로 환산한 턱끝구멍의 평균 위치 는 4.00으로 둘째작은어금니와 첫째큰어금니 사이이고 다른 종족에 비하여 뒤쪽에 위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우리나라 사람에서 턱끝구멍의 체질인류학적 특성을 구명한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