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빌리티스(Mobilities) 개념의 주요 구성요소 및 측정변수 분석

        윤신희,노시학 국토지리학회 2016 국토지리학회지 Vol.50 No.4

        Recently, the advance of new mobilities theory has induced various research activities in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in general. Most of the research activities, however, have concentrated on theoretical perspectives of the subject, and empirical researches of the subject are very limited. But mobilities include both theoretical and empirical dimensions, and it is about real world phenomena not about abstract phenomena. Accordingly, a necessity of empirical researches of the subject arises, and systematization of major concepts of the mobilities theory and development of measurement variables for the concepts are much needed to advance empirical research activities of the field. In these contexts, concepts of mobility capital and network capital which are the two major conceptual framework of the mobilities theory are systematized. Also several factor and measurement variables related with the concepts are developed in this research. 최근 뉴 모빌리티스 이론의 등장은 지리학을 비롯한 다양한 사회과학 및 인문학 분야에서 이에 대한 매우 다양한 연구들을 유발하였다. 그러나 연구의 많은 부분들은 주로 이론적 연구에 집중되어 있으며, 경험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매우 미진한 실정이다. 그러나 모빌리티스는 이론적 차원과 더불어 경험적 차원의 문제이며 추상적 현상이 아니라 구체적 현상이다. 따라서 모빌리티스 관련 연구의 향상을 위해서는 이에 관련된 경험적 연구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된다. 그리고 이러한 경험적 연구의 진전을 위해서는 모빌리티스 이론을 구성하는 주요 개념의 체계화와 이러한 개념에 포함되는 요소들 그리고 이러한 요소들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변수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모빌리티스 이론을 구성하는 대표적 개념인 모빌리티 자본과 네트워크 자본의 개념을 체계화하고 그리고 이러한 개념들을 구성하는 요소 및 측정변수를 분석 개발한다.

      • 흰쥐에서 내측 편도핵의 전기 자극에 의한 췌액 분비 증가 기전

        윤신희,한상준,조양혁,Yoon, Shin-Hee,Hahn, Sang-June,Jo, Yang-Hyeok 대한생리학회 1989 대한생리학회지 Vol.23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an electrical stimulation of medial amygdaloid nucleus in rats increases pancreatic secretion. And an involvement of vagus nerve or plasma secretin in this process was also studied. In fasting rats anesthetized with urethane, a monopolar stainless steel electrode was stereotaxically inserted into the right medial amygdaloid nucleus. Pancreatic juice was collected for 20 minutes, during which physiological saline or 0.01 N HCI (0.18 ml/min) was perfused into the duodenum with or without bilateral subdiaphragmatic vagotomy. In the medial amygdaloid group, an electrical stimulation wa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medial amygdaloid nucleus during the perfusion period. After collection of pancreatic juice, blood was drawn from the abdominal aorta for determination of the plasma secretin lev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electrical stimulaion of the medial amygdaloid nucleus did not influence the pancreatic secretion in response to intraduodenal saline perfusion. 2) The stimulation of the medial amygdaloid nucleu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ancreatic secretory response (volume, bicarbonate output) to the intraduodenal 0.01 N HCI perfusion, and the increases were abolished by vagotomy. 3) The plasma secretin concentration after the intraduodenal 0.01 N HCI perfusion was higher than that after the saline perfusion. However, neither the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medial amygdaloid nucleus nor vagotomy affected the plasma secretin concentration during the intraduodenal perfusion with saline or 0.01 N HCI. It is, therefore, suggested that the medial amygdaloid nucleus facilitates the pancreatic secretion (volume, bicarbonate) elicited by intraduodenal HCI perfusion through the vagus nerve.

      • KCI등재

        새로운 모빌리티스(New Mobilities) 개념에 관한 이론적 고찰

        윤신희,노시학 국토지리학회 2015 국토지리학회지 Vol.49 No.4

        현대 사회는 고도의 이동성을 전제로 조성된 사회이며 따라서 이동이라는 요인이 사회적 과정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이러한 배경에서 서국 국가에서는 물리적 현상으로서의 이동에 대한 전통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사회적 현상으로서 이동 현상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심에 ‘새로운 모빌리티스’개념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지리학계에서 이에 대한 논의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네트워크 공간, 모빌리티 자본, 모빌리티 역량 그리고 네트워크 자본 등의 주제를 중심으로 새로운 모빌리티스 개념의 의미를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분석하여 향후 이에 관련된 분야에 대한 보다 본격적인 이론적 그리고 경험적 연구를 위한 기초적 토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oday’s society is organized on the basis of high mobility systems, and the impact of mobility on the social process in general is very important. In this context, there are very active research efforts to understand mobility not as a physical phenomenon but a social phenomenon in western countries, and the concept of ‘new mobilities’ is at the center in this process. There is, however, no research effort for the subject in Korean academic circle of geography. Key concepts of the new mobilities such as network space, mobility capital, and network capital are discussed in this paper in order to provide a basis for the further researches of this field.

      • KCI등재

        새로운 공간개념으로서의 모빌리티스

        윤신희 국토지리학회 2018 국토지리학회지 Vol.52 No.4

        The study of movement and movement systems has been a subject of study in various fields for a long time. However, the new theory of mobilities differs from the previously discussed paradigm. It is focusing on the reorganization of social space and social relations through the combination of various mobility and information/communication devices. A modern society where physical and virtual movements are rapidly increasing and related technologies are actively being developed should be understood as a network movement spaces for connectivity and relationships. In other words, the high-mobilities era requires us to have a new perspective on space. 이동과 이동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어 오는 주제이다. 그러나 최근 논의되고 있는 새로운 모빌리티스 이론은 기존의 연구들과는 맥락을 달리하는 주제로 다양한 모빌리티와 정보통신 기기의 결합에 의한 사회공간의 재구성과 사회적 관계에 주목하고 있다. 물리적 그리고 가상적 이동이 급속히 증가하고 이와 관련된 기술들이 적극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현대 사회는 연결과 관계의 네트워크 이동공간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고도의 모빌리티 시대는 공간에 대한 새로운 관점으로의 재해석을 요구한다.

      • KCI우수등재

        모빌리티스 주요구성요인의 타당성 검증

        윤신희(Shin Hee Yun) 대한지리학회 2018 대한지리학회지 Vol.53 No.2

        지리학 및 사회과학 그리고 최근 인문학 분야에까지 뉴모빌리티스 담론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국내 지리학계에서 이에 대한 논의는 활발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서구 학계에서 모빌리티스 관련 이론적 연구는 매우 적극적으로 수행되고 있으나 이와 관련된 경험적 연구는 이론적 논의의 발달에 비해 미진하다. 모빌리티스는 이론적 차원에서만 논의 될 수 있는 주제가 아니며, 우리 삶의 전면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들과 직접적으로 연계되는 주제이다. 따라서 모빌리티스 관련 연구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모빌리티스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더불어 이를 기반으로 한 경험적 연구가 병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모빌리티스 관련 경험적 연구를 위한 기초적 연구의 일환으로 모빌리티스 이론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인 모빌리티자본과 네트워크자본의 개념을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그 개념들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구성요인 및 측정지표의 측정도구로서의 타당성을 고차원 확인적 요인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검증한다. Recently, discourse on the issue of new mobilities spreads very rapidly in the field of geography and other social sciences. However, studies of the subject are very limited in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Even though theoretical researches on the mobilities are actively carried out in international level empirical studies on the subject are relatively insufficient. The subject of mobilities, however, should be discussed not only in theoretical dimension but also in empirical dimension too. Accordingly, empirical studies on the mobilities should be carried out side by side with theoretical studies in order to achiev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field. In these contexts, operational definitions of mobility capital and network capital which are the major elements comprising the concept of mobilities are defined and some measurement criteria of the elements are developed in this study. And the validities of the elements and measurement criteria are tested by High-ord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 흰쥐에서 내측 편도체가 위산 분비와 혈장 Gastrin 농도에 미치는 영향

        윤신희(Yoon, Shin-Hee),김정진(Kim, Chung-Chin),김명석(Kim, Myung-Suk),조양혁(Jo, Yang-Hyeok),한상준(Hahn, Sang-June),김미혜(Kim, Mie-Hye),최현(Choi, Hyun) 대한생리학회 1989 대한생리학회지 Vol.23 No.1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dial amygdala on the gastric acid secretion and plasma gastrin concentration in the rats with chronic gastric fistula. After the medial nucleus of amygdala was damaged bilaterally by radiofrequency a. c. through stereotaxically inserted electrodes, the gastric juice was collected in the basal and histamine-stimulated states for 1 hour. The gastric juice was also collected while the medial nucleus of amygdala was stimulated with biphasic square wave in the both states. After the collection of the gastric juice, blood samples were drawn from the abdominal aorta for the radioimmunoassay of plasma gastri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amage of the medial amygdala significantly decreased the gastric juice volume and the acid output in the histamine-stimulated state. 2) The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medial amygdala significantly increased the gastric juice volume and the acid output in the histamine-stimulated state, and the acid output in the basal state. 3) The damage of the medial amygdala significantly decreased the plasma gastrin concentration but the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medial amygdala did not affect the plasma gastrin concentration. It is therefore suggested that the medial amygdala has a facilitatory influence on the histamine-stimulated gastric acid secretion in rats, and the influence may not be attributed to gastrin rel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