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비자』에 반영된 선행 법가

        수임 ( Hwang Soo-im ),무학 ( Yun Mu-hak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7 儒學硏究 Vol.41 No.-

        이 글은 법가의 선구자로 평가되는 관중과 자산, 초기 법가로 분류되는 이회와 오기의 사상이 현행본 『한비자』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고찰한 것이다. 전체적으로 한비는 자신의 법, 법치, 변법, 신상필벌 등의 이념을 선양하는 측면에서 선행 법가 모두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수용하였다. 그러나 선행 법가의 구체적인 정치 방안에 따라서는 평가를 달리하였다. 한비의 선행 법가에 대한 평가를 종합해 보면 모든 평가 기준은 궁극적으로 군주와 국가 정치의 안정이다. 『한비자』에서는 선행 법가의 대표적 성공적인 사례로서 관중이 제나라를 패자로 만든 일과 상앙이 진나라를 강자로 만든 일을 수시로 병칭하였다. 반면에 일시적으로 변법에 성공하였지만 불행한 결말로 귀결된 사례로서 오기와 상앙을 병칭하였다. 한비가 보기에 그들의 불행은 현명한 군주를 만나지 못한 것, 기득권을 기반으로 한 대신들의 질시와 모함, 백성들이 현실에 안주하려는 심리 등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요약하면 변법 과정에서 법술세 세 가지를 적절히 활용하지 못한 데 있다. 따라서 본문의 논의를 통해 보면 한비의 법술세 관념이 선행 법가에서 비롯된 것은 분명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한비는 자신의 관점에서 선행 법가의 사례를 비판적으로 계승하고 활용한 것이다. In this paper, it was examined how the thoughts of Guan Zhong and Zichan evaluated as the pioneers of the School of Law and those of Li Kui and Wu Qi categorized as the early School of Law were reflected in the existing edition of 『Han Feizi』. Overall, Han Feizi evaluated positively and accepted all the preceding School of Law in the respect of enhancing his own laws, constitutional government, law revision, dispensation of justice both to services and crimes, and etc. Yet, regarding the specific political measures of the preceding School of Law, he had different assessments. When Han Feizi's evaluations on the preceding School of Law were synthesized, his standard of all the assessments was ultimately the stability of the king and the politics of the nation. In 『Han Feizi』, as a representative case of success of the preceding School of Law, the case of Guan Zhong making Qi state a loser, and that of Shang Yang making Qin dynasty a strong party were frequently ranked together. On the other hand, as a case of temporary success in changing the law but unfortunate ending, Wu Qi and Shang Yang were mentioned together. According to Han Feizi, their misfortune resulted from that they didn't meet a wise king, vassals envied and entrapped them based on their vested rights, and people had a complacent attitude and etc., but, to sum up, that they failed to make a proper use of three things of laws, tricks and power in the process of law revision. Therefore, according to the discussion in the main text, it's certain that Han Feizi's ideas of laws, tricks and power were from the preceding School of Law, yet, on the other hand, Han Feizi inherited critically and used the cases of the preceding School of Law from his own viewpoint.

      • KCI등재

        韓非의 歷史觀

        수임,무학 동양철학연구회 2016 東洋哲學硏究 Vol.85 No.-

        The advanced Schools of Thought had similar contents in general in describing historical events and figures before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and showed the common tendency of respecting and idealizing ancient culture. Yet, each of them held a different political and ethical viewpoint. It was also applied to selecting historical records of ancient times, and they reinterpreted them by projecting their own viewpoints. Superficially, Han Feizi seems to have stuck to an age distinction theory, but in terms of contents, his theory showed a strong tendency of dichotomy that separated the old from the present. To put it concretely, he set the rule of law as the standard, divided ancient figures and cases into what should be modeled and what should be cautioned, and intended to model his nomocracy on them. As for the transition of history, Han Feizi regarded it as a replacement process of ‘government one time, and chaos another time(一治一亂)’ rather than as a continuous process of development. Even though it's clear that as times are changing, men of virtue appear, humans' environments for survival improve, and technology develops, from the viewpoint of the rule of law, enlightenment of public wisdom is considered as rather undesirable. The role of a king is being emphasized in the transition of history, but in Han Feizi's nomocracy, a monarch is merely the representative for legislation and government of a country, and people are just the target to apply them to. As explained above, Han Feizi's view of history was certainly a nomocratic one. Yet, it's remarkable that even though he criticized Confucianism and Mohism in general, he didn't pass detailed judgment on their views of history. In brief, the interpretation of the historical facts of the Schools of Thought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perspectives, which is in order to secure political and social legitimacy of those times. In addition, the view of history of the day cannot help but depend on its interpreter's foundation, and accordingly, diversity in the interpretation of history is inevitable. The problem is how to secure diversity and in what direction history should develop. From today's standpoint, history is the process of expanding democratic values, and therefore, in addition to diversity, the sympathy of majority of social members is required. In this respect, the ideologies reflected in Han Feizi's nomocratic view of history could be useful as the ground for the idea of unity of Qin dynasty in the historical condition of those days, but show definite limitations from a today's perspective. 선진 제가는 춘추시대 이전의 역사적 사건과 인물에 대한 서술에서 내용상 대체로 유사하며 공통적으로 상고주의적 경향을 갖고 있다. 그러나 그들 각자가 견지한 정치 윤리적 관점에 따라 차이가 난다. 한비는 피상적으로는 시대 구분론을 견지한 것 같지만, 내용상에서 보면 그것은 옛 것과 지금 것을 구분하는 이분법적 경향이 뚜렷하다. 구체적으로 보면, 그는 法治를 표준으로 삼아 상고의 인물과 사례 가운데 본받을 만한 것과 경계해야 할 것을 양분하여 모두 당대 법치의 귀감으로 삼고자 하였다. 역사의 변천에 있어서 한비는 지속적 발전 과정이라고 하기보다는 ‘一治一亂’의 교체 과정으로 보고 있다. 비록 시대의 변천에 따라서 성인이 출현하면서 사람의 생존 환경의 개선을 이루고 기술적 측면에서 발전하는 것은 분명하지만, 법치의 각도에서 보면 民智의 개화는 오히려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한다. 역사 변천에 있어서 군주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지만, 한비의 법치에서 보면 立法과 治國의 대리자일 뿐이며, 人民은 그것의 적용대상일 뿐이다. 이상에서 보면, 한비의 역사관은 법치적 역사관이라 할 만하다. 그런데 한비가 개괄적으로 유가와 묵가를 비판하였지만, 구체적으로 그들의 역사관에 대한 비판적 내용이 없는 것은 특이한 일이다. 요컨대 제가의 역사적 사실에 대한 해석은 관점에 따라 달라지며, 그것은 당대의 정치 사회적 정당성 확보를 위한 것이다. 또한 당대의 역사관은 해석자의 기반에 근거할 수밖에 없고 따라서 역사 해석의 다양성은 필연적이다. 문제는 다양성을 확보하면서 역사 발전은 어떠한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가이다. 오늘날의 관점에서 본다면 역사는 민주주의적 가치의 확대 과정이며 따라서 다양성과 아울러 이에 대한 사회구성원 다수의 共感을 얻어야 마땅한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보면 한비의 법치적 역사관에 반영된 제반 사상은 당시 역사적 조건하에서 秦나라의 통일 이념의 근거로 유용할 수 있었지만 오늘날의 관점에서 보면 분명한 한계점이 드러난다.

      • KCI등재

        한비 인성론의 연원과 특징 ― 묵가 및 선행법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수임 ( Hwang Sooim ),무학 ( Yun Muhak ) 온지학회 2017 溫知論叢 Vol.0 No.53

        춘추전국기의 대변혁기에서 야기된 백가쟁명의 주제의 하나로서 인성론(人性論)은 각 학파의 정치 윤리의 이론적 기반이었다. 그것은 당시 정치사회적 혼란의 원인 분석과 그에 대한 대안의 제시였기 때문이다. 본문에서 묵가로부터 선행 법가 및 한비의 인성론에 이르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추론이 가능하다. 첫째, 선진 유가를 제외한 학파에서 인성론의 주요 의제는 선악(善惡)의 문제가 아니라 “이익을 좋아하는”(好利) 인성의 실제 내용 즉 “인정”(人情)이었다. 둘째, 묵가와 법가는 공통적으로 인성의 이러한 측면에 주목하였지만, 양자는 그것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에 차이가 있다. 묵가는 자신들의 이념을 선양하기 위해 신비적인 상제와 귀신의 권위에 의존하였지만, 법가는 법이라는 현실적이고 강제적인 수단을 활용하였다. 셋째, 법가는 공통적으로 인성의 실제 정황을 그대로 긍정하고 치국방안에 활용하였다. 다만 관자학파는 기본적으로 법치를 강조하였지만, 도덕에 대한 긍정과 아울러 덕치를 병행하였다. 이 점에서 오직 법치만을 강조한 상앙학파 및 한비와는 구별된다. 인성론의 측면에서 보면, 한비는 상앙학파를 답습하고 공통적으로 법치를 강조한 것처럼 보인다. 또한 법술세를 결합시킨 한비사상의 특징으로 지적되는 “술”(術)이나 “우민” 내지 “약민”의 경향이 선행법가에 이미 보이고 있다. 그러나 한비가 부자 관계를 비롯한 모든 인간관계를 냉혹하고 무자비한 “계산지심”과 “자위심”을 끼고 있다고 파악하고, 치국방안에 구체적이고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강조한 측면은 선행 법가에서 찾아보기 어렵다. As one of the subjects of Hundred Flowers Campaign brought about during the era of great changes in the Spring And Autumn Warring States Period, ideas of human nature(人性論) were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each school's political ethics. It was because they offered the analysis into the reasons for the political and social chaos of those times and alternatives for them. In the main text, the process from Mohism to early School of Law and Han Feizi's ethology was examined briefly. Through which, the following deductions are possible. First, the main agenda of the ethology of the schools except early Confucianism was not the matter of good and evil(善惡), but the actual condition of human nature that “likes gain”(好利), that is, “human heart”(人情). Second, both Mohism and School of Law focused on this aspect of human heart, bu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n them in the ways to practice it. While Mohism depended on ㅇmysterious heavenly king and authority of ghosts in order to enhance their ideology, School of Law used the realistic and vompulsory means of law. Third, School of Law commonly acknowledged the actual condition of human nature as it was, and used it to govern the nation. Yet, Guanzi's school basically emphasized ruling according to laws, but also acknowledged ethics and also practiced ruling with virtue side by side. In this respect, it is differentiated from Shang Yang and Han Feizi that stressed only on ruling by law.

      • KCI등재

        ▣ 일반논문 : 한비(韓非)의 역사관(歷史觀) -제가(諸家)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수임 ( Sooim Hwang ),무학 ( Muhak Yun ) 동양철학연구회 2016 東洋哲學硏究 Vol.85 No.-

        선진 제가는 춘추시대 이전의 역사적 사건과 인물에 대한 서술에서 내용상 대체로 유사하며 공통적으로 상고주의적 경향을 갖고 있다. 그러나 그들 각자가 견지한 정치 윤리적 관점에 따라 차이가 난다. 한비는 피상적으로는 시대 구분론을 견지한 것 같지만, 내용상에서 보면 그것은 옛 것과 지금 것을 구분하는 이분법적 경향이 뚜렷하다. 구체적으로 보면, 그는 法治를 표준으로 삼아 상고의 인물과 사례 가운데 본받을 만한 것과 경계해야 할 것을 양분하여 모두 당대 법치의 귀감으로 삼고자 하였다. 역사의 변천에 있어서 한비는 지속적 발전 과정이라고 하기보다는 ``一治一亂``의 교체 과정으로 보고 있다. 비록 시대의 변천에 따라서 성인이 출현하면서 사람의 생존 환경의 개선을 이루고 기술적 측면에서 발전하는 것은 분명하지만, 법치의 각도에서 보면 民智의 개화는 오히려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한다. 역사 변천에 있어서 군주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지만, 한비의 법치에서 보면 立法과 治國의 대리자일 뿐이며, 人民은 그것의 적용대상일 뿐이다. 이상에서 보면, 한비의 역사관은 법치적 역사관이라 할 만하다. 그런데 한비가 개괄적으로 유가와 묵가를 비판하였지만, 구체적으로 그들의 역사관에 대한 비판적 내용이 없는 것은 특이한 일이다. 요컨대 제가의 역사적 사실에 대한 해석은 관점에 따라 달라지며, 그것은 당대의 정치 사회적 정당성 확보를 위한 것이다. 또한 당대의 역사관은 해석자의 기반에 근거할 수밖에 없고 따라서 역사 해석의 다양성은 필연적이다. 문제는 다양성을 확보하면서 역사 발전은 어떠한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가이다. 오늘날의 관점에서 본다면 역사는 민주주의적 가치의 확대 과정이며 따라서 다양성과 아울러 이에 대한 사회구성원 다수의 共感을 얻어야 마땅한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보면 한비의 법치적 역사관에 반영된 제반 사상은 당시 역사적 조건하에서 秦나라의 통일 이념의 근거로 유용할 수 있었지만 오늘날의 관점에서 보면 분명한 한계점이 드러난다. The advanced Schools of Thought had similar contents in general in describing historical events and figures before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and showed the common tendency of respecting and idealizing ancient culture. Yet, each of them held a different political and ethical viewpoint. It was also applied to selecting historical records of ancient times, and they reinterpreted them by projecting their own viewpoints. Superficially, Han Feizi seems to have stuck to an age distinction theory, but in terms of contents, his theory showed a strong tendency of dichotomy that separated the old from the present. To put it concretely, he set the rule of law as the standard, divided ancient figures and cases into what should be modeled and what should be cautioned, and intended to model his nomocracy on them. As for the transition of history, Han Feizi regarded it as a replacement process of ``government one time, and chaos another time(一治一亂)`` rather than as a continuous process of development. Even though it`s clear that as times are changing, men of virtue appear, humans` environments for survival improve, and technology develops, from the viewpoint of the rule of law, enlightenment of public wisdom is considered as rather undesirable. The role of a king is being emphasized in the transition of history, but in Han Feizi`s nomocracy, a monarch is merely the representative for legislation and government of a country, and people are just the target to apply them to. As explained above, Han Feizi`s view of history was certainly a nomocratic one. Yet, it`s remarkable that even though he criticized Confucianism and Mohism in general, he didn`t pass detailed judgment on their views of history. In brief, the interpretation of the historical facts of the Schools of Thought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perspectives, which is in order to secure political and social legitimacy of those times. In addition, the view of history of the day cannot help but depend on its interpreter`s foundation, and accordingly, diversity in the interpretation of history is inevitable. The problem is how to secure diversity and in what direction history should develop. From today`s standpoint, history is the process of expanding democratic values, and therefore, in addition to diversity, the sympathy of majority of social members is required. In this respect, the ideologies reflected in Han Feizi`s nomocratic view of history could be useful as the ground for the idea of unity of Qin dynasty in the historical condition of those days, but show definite limitations from a today`s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