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에 따른 학생 주도적 교실 환경 조성 및 교실환경에 따른 특수교육대상 초등 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차이 분석

        박영근 ( Yung Keun Park ),윤세열 ( Sae Yeol Yoon ),( Brian Hand ),( William Therrien ),김용욱 ( Yong Wook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이 통합학급 교사의 교수 환경 조성(학생 주도적, 교사 주도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또한 교사의 교수환경 조성에 따른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 먼저미국 중부 주정부 내 48개 일반 초등학교를,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의 하나인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을 실시한 24개의 실험집단 학교와, 이 중재학습을 실시하지 않은 24개의 통제집단 학교로 나누어, 해당 학교 통합학급에서 특수교육대상 초등학생들을 지도하고있는 교사들 및 학생들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첫째The Reformed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RTOP)를 수정한 mRTOP을 활용하여, 두 집단 교사들의 교수 방식(학생 주도적, 교사 주도적)을 비교하였다. 둘째, 비교집단의 교사가운데 학생 주도적인 교수환경을 조성하여 수업을 하는 교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비교집단 교사들을 두 번째 연구 목적을 위해서는 제외하고, 실험집단 학교의 교사들만 mRTOP점수에 따라 다시 ‘학생 주도적 교실’ 교사와 ‘교사 주도적 교실’ 교사로 나누었다. 그 후교사들의 수업 방식(학생 주도적, 교사 주도적)에 따라서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을 실시한 집단의교사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학생 주도적인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고,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을 학생 주도적 교수 환경에서 수행하는 교실의 학생들이, 논의를 강조한탐구 학습법을 교사 주도적 교수 환경에서 수행하는 교실의 학생들에 비해서 비판적 사고력의 향상정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과학’ 수업 시간을 통하여, 학생 주도적인 교수 방법에 의해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의 하나인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을 수행하는 것이 특수교육대상 초등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argument -based inquiry approach for creating a student-centered classroom environment and its relations with improving the critical thinking skills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such a classroom. This study will also introduce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as an argument-based inquiry approach to the field of Korean special education. From forty-eight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the American Midwest, twenty-four schools were designated as the treatment group and the remaining as the control group. All students had special needs and were in an inclusive classroom. Students in the treatment group were immersed in a learning environment where a strong emphasis was placed on student-centered argumentation, while those in the control group learned science in a teacher centered traditional manner. Teachers in the treatment group that use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instruction as an argument-based inquiry approach tended to create a more student centered classroom environment, while those in the control group had a more teacher-centered classroom. In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based on analyses of their performances, which were video-recorded, the treatment group teachers were designated either as student-centered group or as teacher-centered group. The students of the student-centered SWH classrooms showed a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critical thinking skills than the students from the teacher-centered SWH classrooms. The studentcentered argument-based inquiry approach emphasized dialogical interactions among students and their active engagement in scientific inquiry more than the teacher-centered argument-based inquiry approach. The former approach provides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through argumentation in a science classroom, and will contribute toward building the critical thinking skills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 KCI등재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에 따른 초등학교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및 과학 학업성취도 향상

        박영근 ( Yung Keun Park ),윤세열 ( Sae Yeol Yoon ),( Brian Hand ),( William Therrien ),( Mack Shelley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이 초등학교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및 과학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 은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이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능동적으로 과학 탐구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 미국 중부의 48개 일반 초등학교를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의 하나인,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을 실시한 24개의 실험집단 학교와, 이 중재학습을 실시하지 않은 24개의 통제집단 학교로 나누고, 각 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특수교육대상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비판적 사고력 검사와 과학 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을 경험한 특수교육대상 초등학생들이 1년간의 중재를 통해서 비판적 사고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가운데, 귀납적 사고력, 관찰적 사고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을 경험한 특수교육대상 초등학생들이 1년간의 중재를 받은 후에 중재를 받지 않은 학생들보다 과학 학업성취도 검사에서 유의미한 수준의 향상을 보였다.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과학’ 수업 시간을 통해,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을 활용하는 것이 특수교육대상 초등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 및 과학 학업성취도 향상을 함께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초등학교 ‘과학’ 수업 시간에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을 활용해 보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argument-based inquiry approach for improving the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scientific knowledge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This study would also introduce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as an argument-based inquiry approach. From forty-eight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the American Midwest, twenty-four elementary schools were designated as the treatment group and the remaining as the control group. The students in the treatment group were immersed in a learning environment where a strong emphasis was placed on argumentation, while those in the control group learned science in a traditional manner. All students were given the Cornell Critical Thinking Test.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ose students who were in the argument-based inquiry approach (treatment group) scored higher than those who were in the traditional science classroom (control group). In specific, these students scored higher in the sub-categories of critical thinking such as induction and observation.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all students` science scores on the state standardized test. The students in the treatment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on this test. Therefore, the argument-based inquiry approach also improved the scientific ability of the students. This approach provided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through argumentation in the science classroom, and would contribute to increase the critical thinking and scientific ability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 KCI등재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에 따른 초등학교 통합학생의 과학과 수학 학업성취도 및 비판적 사고력과의 관계분석

        박영근,윤세열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이 특별한 교육적 지원이 필요한 초등학교 통합학생들의 과학 및 수학 능력에 미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 미국 중부의 한 주(state)의 48개 일반 초등학교를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을 실시한 24개의 실험집단 학교와, 이 중재학습을 실시하지 않은 24개의 비교집단 학교로 나누어, 각 학교에서 통합교육 을 받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비판적 사고력 검사와 과학 및 수학능력 영향을 알아보고,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과 과학 및 수학 교과 능력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검사를 실시하였다. 두 집단 간에 비판적 사고력의 4개 하위범주인 귀납적 사고력, 연역적 사고력, 관찰적 사고력, 추정적 사고력 검사결과를 비교하였고, 비판적 사고력과 과학 및 수학 학업 성취도 간의 상관관계 분석 및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을 경험한 학생들이 1년간의 중재를 통해서 과학 능력 및 수학능력이 증가하였다. 학생들의 비판적 사 고력에 있어서는, 구체적으로 귀납적 사고력, 연역적 사고력, 관찰적 사고력은 학생들의 과학 및 수학능력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회귀분석을 통해서도 학생들의 귀납적 사고 력과 관찰적 사고력을 통하여 과학 및 수학능력 향상을 설명할 수 있는 회귀 모형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볼 때, 특별한 교육적 지원 요구를 가진 학생들의 과학 및 수학능 력 향상을 위해서는, 학생들로 하여금 좀 더 구체적인 경험 및 직접적인 관찰을 통해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비판적 사고력의 한 영역인 추 정적 사고력은 특별한 교육적 지원요구를 지닌 초등학교 통합학생들의 과학 및 수학능력 향상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판적 사고력의 핵심요소라 할 수 있는 추정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왜 중요한지, 후속 연구를 통해서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방법을 새롭게 고안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논의를 통하여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1) the effects of an argument- based inquiry approach on improving the science and math ability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2) the relation of critical thinking ability to the science and math ability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From forty-eight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the American Midwest, twenty-four schools were designated as the treatment group and the remaining as the control group. Students in the treatment group were immersed in a learning environment with a strong emphasis on argumentation, while those in the control group learned science in a traditional manner. Students’ math and science achievement levels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mean scores of the state-standardized test, and students’ critical thinking ability was assessed based on the scores of the Cornell Critical Thinking Test.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argument-based inquiry approach increased students’ test performances on science and math more significantly than the traditional approach. Specifically,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induction, deduction and observation, and science and math ability. In addition, the regression test indicated that students’ induction and observation abilities improved their science and math scores. Howev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rgument-based inquiry approach had no impact on students’ assumption ability. It would appear that assumption ability did not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science and math ability, although it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critical thinking ability. Th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udents with special needs with more inductive and observational experiences and opportunities for learning in the classroom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ir science and math ability. Additionally, future research must focus on approaches that can be used to cultivate the assumption ability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