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지역사회와 지역커뮤니케이션의 구조―인천광역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윤상길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1 한국민족문화 Vol.39 No.-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theory of local communications in order to restore the communicative meaning of local places, and examine preliminarily the present conditions of local-participatory media policies focusing on the case of Incheon city. This paper examined the structure of local communication focusing on ‘space media', and examined the past five years's activities of two organizations, Incheon Foundation of Arts and Culture[IFAC] and Juan Community Access Media Factory[CAMF]. The point will b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e of local communications in Incheon, especially 'space media' as place of local communications began to be transformed about the late 2000s. Two cases, in which CAMF was establishing ties with local tiny library and undertaking media literacy, and in which IFAC was establishing ties with Su-Bong Public Library and Yeong-Jong Library and undertaking operation of cultural public library, shows how public library serves adequately as social space for interaction through social relations of local community. Also, local festivals of Incheon served mainly as place for communicating between local residents in that most of participants was local residents of Incheon. Secondly, IFAC carried out policy of arts and culture in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relations between artists and various stratum of local residents, and carried forward Urban Renaissance Project and Public Art Project. These activities of IFAC built up a stable basis of local communications, facilitating participation in cultural events. Thirdly, CAMF built up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local communities such as community centres, and carried out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various stratum of local residents. These activities of CAMF tried to find a way connecting between 'space media' and 'information media' within local society. 본 논문에서는 지역장소의 의미를 복원하기 위한 이론적 틀로서 지역커뮤니케이션의 의미를 논의하고, 그 틀에 기반하여 인천광역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참여적 미디어 정책의 현황을 시론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우선, 본고는 지역장소의 의미를 복원하기 위한 이론적 틀에 대한 모색으로서, 확장된 미디어 개념에 입각해 참가형의 지역커뮤니케이션은 도시공간의 토지성을 매개로 한 다양한 ‘스페이스 미디어’에 의존하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틀에 입각하여, 본고는 스페이스 미디어를 중심으로 인천광역시의 지역커뮤니케이션 현황을 살펴보는 한편, 지역커뮤니케이션의 구조에 개입하고자 하는 차원에서 시도되었던 지난 5년간의 참여적 미디어정책 현황을 인천문화재단과 주안영상미디어센터의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고의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천의 지역커뮤니케이션 구조, 특히 지역커뮤니케이션 활성화의 장소적 거점으로서 스페이스 미디어는 대체로 2000년대 말 무렵부터 변화의 징후가 뚜렷하게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영상미디어교육을 지역의 작은도서관과 연계해서 추진하는 주안영상미디어센터의 사례나 수봉도서관과 영종도서관을 지역과 화합을 이루는 문화적 공공도서관으로 운영하고자 한 인천문화재단의 사례는 공공도서관이 지역정보센터로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2009년 이후 인천의 지역축제는 참가자가 주로 지역민이었다는 점에서 지역민 간 소통의 장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발전된 것으로 평가된다. 둘째, 인천문화재단은 일반 지역주민, 교사, 이주노동자, 새터민, 장애우학생 등과 같은 다양한 계층의 지역주민을 문화예술인과 관계 맺도록 하는 참여적 문화예술정책을 펴는 한편, 문화적 활력을 잃어버린 구도심 지역의 도시재생사업과 공공미술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지역장소에 벌어지는 다양한 문화활동에 대한 지역민의 참여를 통해 지역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셋째, 주안영상미디어센터는 협동조합, 주민센터, 마을도서관 등과 같은 다양한 지역공동체와의 적극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이주민여성, 노인층, 장애우 등과 같은 지역사회 내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정보미디어에 대한 교육을 추진함으로써, 지역사회 내 스페이스 미디어와 정보미디어 간의 연계를 적극적으로 모색하였다.

      • KCI등재

        한국 방송의 기원들에 대한 미디어고고학적 분석

        윤상길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7 No.8

        This study started with the awareness that the review of the historical origins of Korean broadcasting will be of great significance in exploring the future of Korean broadcasting, and examined the various "origins" of Korean broadcasting - colonial, Cold War, totalitarian, neoliberal.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media archaeology", the historical 'origin' of Korean broadcasting was applied to track the origin of Hallyu(the Korean Wave) in the 21st century by comprehensively examining the political and economic motives of the time, the state's situational awareness of problems, major broadcasting policies and broadcasting real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came to the tentative conclusion that the historical origin of the Hallyu, which began to be formed in the 1980s, originated from the three origins of Korean broadcasting and the "synthetic mixture" in the subsequent development process. 본 연구는 한국 방송의 역사적 기원들에 대한 검토가 한국 방송의 미래를 모색하는 데에도 큰의의를 가질 것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한국 방송의 여러 ‘기원들’(origins) - 식민지적 기원, 냉전적 기원, 전체주의적 기원, 신자유주의적 기원 - 을 검토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국 사회의 미디어 현실에서 출발하면서 그 현실이 세계사와 어떠한 연쇄구조와 단절구조를 가지는지를파악하려는 시각이 필요하다는 포스트콜로니얼 역사서술의 입장에서, 단선적으로 미디어역사를바라보지 않는 대안적인 시각으로 등장한 ‘미디어고고학’(media archaeology)의 이론적 입장을 채택했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에 입각하여, 한국 방송의 역사적 ‘기원들’을 당대의 정치경제적 계기와국가의 상황적 문제의식, 주요 방송정책과 그 방송정책 속애서 전개된 방송현실들을 개괄적으로살펴보고, 이를 21세기 한류의 기원을 추적하는 데 적용했다. 연구결과, 한류의 역사적 기원이1980년대부터 형성되기 시작한 신자유주의적 기원이 이후 전개과정에서 한국 방송의 세 기원과‘융합적으로(synthetically) 혼재함’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라는 잠정적 결론에 도달했다.

      • KCI등재

        1980년대 정부의 일본TV방송 전파월경 대책과 부산사회의 반응

        윤상길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0 항도부산 Vol.40 No.-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objective overall picture of the spill-over of Japanese TV Broadcasting in Busan of the 1980s, focusing on two main pillars: the government's countermeasure to the spill-over of Japanese TV broadcasting and the responses of Busan's cable broadcasting industry and Busan citizens. As can be seen from this study, the government tried to respond to the media's offensive in the 1980s that Japanese TV broadcasting waves were infiltrating the Korean Peninsula and threatening Korea's cultural identity. As part of its measures, the government took technical measures such as changing the transmission method, increasing broadcasting output, and expanding broadcasting stations, as well as cracking down on illegal cable TV operators that broadcast Japanese TV or promoting the campaign of 'Don’t Watching Japanese TV Broadcasting Movement'. However, due to the absence of a more fundamental cultural policy on Japanese mass culture contents amid de-colonialistic conditions, technical and administrative responses aimed at blocking the spill-over of Japanese TV broadcasting were not enough to prevent the spill-over of Japanese TV broadcasting. This gap is especially evident in the reaction of the Busan community.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phenomena was the consumption of broadcasting contents through cable TV in Busan, which is much more active than other regions, and the other was the emergence of a new perception of Korean broadcasting reality stemming from the peripheral circumstances.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 alternative perception created by the Busan people's boundary experience contributed to policy discussions on the opening of Japanese mass culture in the 1990s. 본 연구는 1980년대 부산지역 일본TV방송 전파월경의 객관적인 전체상을 정부의 대응책이라는 축과 이에 대한 (국내방송 뿐만 아니라 일본방송의 직접수신이 원활하지 못했던 상황에서 산업화되었던) 부산지역 유선방송업계와 부산시민의 반응이라는 두 가지 축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두 가지 축을 통해 1980년대 일본TV방송의 전파월경을 살펴보려고 한 것은 전파월경이 만들어내는 경험이 특정한 국가의 역사적 맥락과 그 시공간을 관통하는 글로벌과 로컬의 역학에 의해 전혀 다른 인식과 감정을 생산해 낸다고 보았기 때문이었다. 즉, 국가권력에 의한 문화정체성 전략(전파월경 대책)과, 일본TV방송의 전파월경에 항시적으로 노출되었던 부산이라는 주변의 ‘경계적 공간’ 안에서 벌어졌던, 지역적으로 특수한 다수의 역사적 현실과 다양한 인간 경험 사이에는 일정정도 괴리가 있었을 개연성이 있음을 감안한 연구전략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던 바, 1980년대에 걸쳐 정부는 일본의 방송전파가 한반도에 침투하여 한국의 문화정체성을 위협하고 있다는 언론의 공세에 대응하고자 했고, 그 대책의 일환으로 송출방식의 변경이나 방송출력의 증대, 방송국이나 중계소를 확충하는 등의 기술적 대응과 일본TV방송을 중계하는 불법적인 유선TV방송사업자를 단속하거나 ‘일본방송안보기 운동’추진과 같은 행정적 대응을 하였다. 그러나 탈식민지적 조건 속에서 일본의 대중문화 콘텐츠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문화정책이 부재한 상황이었기에, 전파 차단을 목적으로 한 기술적·행정적 대응만으로는 일본TV방송의 전파월경을 막기엔 역부족이었다. 특히 이러한 괴리 현상은 부산 지역사회의 반응에서도 확인된다. 대표적인 현상 중의 하나는 다른 지역보다 훨씬 활발한 부산지역의 유선TV을 통한 방송콘텐츠의 소비였고, 또 다른 하나는 국가와 언론에 의해 규범적인 언어로 제시되는 ‘왜색’(倭色)이라는 호명을 낯설게 느끼게 하는 주변부적 상황에서 비롯된 한국 방송현실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등장이었다. 그리고 부산민의 경계적 경험이 탄생시킨 대안적 인식은 1990년대 일본대중문화개방에 대한 정책적 논의에 기여했던 것으로 이해된다.

      • KCI등재

        상상된 아시아의 화합축제, 극동올림픽 : 극동올림픽 관련 스포츠이벤트에 대한 조선인의 인식을 중심으로

        윤상길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3 한국민족문화 Vol.47 No.-

        본 연구는 아시아의 일원이면서 동시에 일본의 직접적 식민 지배를 받았던 일제강점기의 한국은 동아시아에서 특수한 지위를 점하고 있었기 때문에 아시아에 대한 사고가 매우 복합적이고 모순적인 양상을 보일 것이라는 연구시각으로부터, 극동올림픽과 연관된 사건들을 중심으로 극동올림픽에 대한 식민지조선 지식인들과 대중들의 인식과 반응을 살펴봄으로써, 극동올림픽에 대한 사고 속에 투영된 당대 식민지 조선인의 아시아에 대한 사고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고는 대체로 세 가지의 극동올림픽 관련 이벤트를 중요한 사례로 삼아 이 이벤트에 대한 식민지 조선인의 반응과 그 반응 속에 투영된 아시아에 대한 사고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일제강점기 조선인의 극동올림픽에 대한 반응과 그를 통해서 볼 수있는 아시아 연대에 대한 인식은 대부분 ‘기대감과 의구심 사이의 어느 영역에 속한 것’이거나, 혹은 1927년 극동올림픽 일본대표 와세다 대학 축구단의 식민지 순회초청경기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상상적인 차원에서 극동올림픽에 아시아의 일원으로 참가하게 되었다는 ‘자기최면’에 가까운 것이었다. This paper aims to discuss colonial Korean’s contemporary thoughts about Asia, by examining colonial Korean’s contemporary thoughts about sports events related to the Eastern Championship Game. Also this paper tried to reveal complex aspects of colonial Korean’s contemporary thoughts about Asia. To examine colonial Korean’s contemporary thoughts about Asia, this paperselected three sports event related to the Eastern Championship Game.As a result of this examination, this paper argued that colonial Korean’scontemporary thoughts about Asia belonged to 'in-between understanding'between a feeling of expectancy and a feeling of suspicion, or to self-hypnosisof imagining taking part in the Eastern Championship Game.

      • KCI등재

        냉전기 KBS의 ‘자유대한의 소리’ 방송과 對日라디오방송: 동아시아 문화냉전의 파열과 수렴

        윤상길 한국언론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5 No.4

        ‘Voice of Free Korea’ broadcasting of Japanese language by KBS constitutes a historical example of the cultural aspect of the East Asian Cold War that “did not exist as a single conflict” of “Communist vs. Freedom”. While KBS, which was in charge of one of the pillars of the East Asian radio war, had a ruptured sound in the U.S-led Cold War radio war through its broadcast to Japan, it had shown a very close cooperation system with Taiwan, which was the first country in which Korea established diplomatic ties. In this study, we wanted to take a look at the process of the emergence and transformation of KBS's Japan-tarketed broadcast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upture and convergence’ of the East Asia Cold War, focusing on the early 1960s when KBS's international broadcasting was strengthened from around the time of its launch in 1955. The beginning of the rupture of the East Asian Cultural Cold War was given from the colonial period, but the rupture began in earnest through the Korean War. NHK's broadcasting power could be boosted by the use of NHK network by the UN Command for broadcasting of VOA and VUNC, which were psychological warfare media during the Korean War, which inadvertently led to the Korean Peninsula being included in the de facto Japanese broadcasting zone. This has clouded the cultural boundaries between Korea and Japan under the geopolitical conditions of the Cold War order, which allows them to listen to Japanese broadcasts on a daily basis even after the war. Amid this blurring cultural boundaries with Japan, the ‘Voice of Free Korea’ broadcasting of Japanese language by KBS was launched around 1955, when the diplomatic row between Korea and Japan over the maritime border intensified, at the instruction of President Syngman Rhee, who wanted to intensify the propaganda campaign by sending broadcasts into the territory of the other country. However, as the 4.19 revolution raised social expectations for the free press, broadcasting to Japan also showed signs of gradually converging the rupture of the cultural Cold War created by the diplomatic confront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as was removed from the conventional one-sided propaganda-oriented method. The launch of the independent broadcasting station “Seoul International Broadcasting Station” on July 1, 1961, shortly after the 5.16 military coup, was the first starting point for the reconvening of the East Asian cultural Cold War, which was ruptured in terms of the birth of the cradle of psychological warfare, a step taken from the technological and institutional framework of the previous period'. Most of all, it was because the model of the Seoul International Broadcasting Station was a psychological warfare broadcast by Taiwan, which was an anti-communist country in the same situation. It was also the result of a policy aimed at enhancing the anti-Japanese character by preventing ideological departures and treason of ethnic Koreans in Japan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s policy toward Japan, which ostensibly sought to normalize diplomatic relations with Japan for economic development. As a result, the rupture line of the East Asian Cultural Cold War in the 1950s changed in the 1960s to converge into the original principle of the Cultural Cold War. 냉전기 KBS의 자유대한의 소리 일본어방송은 동아시아 냉전의 문화적 양상이 ‘공산 vs 자유’라는 ‘하나의 충돌로 존재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방증하는 역사적 사례에 해당한다. 본 연구에서는 KBS의 자유대한의 소리 일본어방송이 개시된 1955년 전후 시점부터 KBS의 대외방송이 강화되는 1960년대 초반기를 중심으로 하여 동아시아 문화냉전의 시각에서 KBS의 대일(對日)방송이 등장, 변용되어가는 과정을 동아시아 문화냉전의 ‘파열과 수렴’이라는 시각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동아시아 문화냉전이 파열되는 시초는 식민지 시기로부터 주어졌지만 파열은 6.25전쟁기를 거치며 본격화되었다. 6.25전쟁기 사상심리전 매체였던 VOA와 VUNC의 중계를 위해 유엔사령부가 NHK네트워크를 활용하게 됨으로써 NHK의 방송출력은 증강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의도치 않게 한반도가 사실상의 일본방송 권역에 포함되는 상황이 연출되었던 것이다. 이로써 한국과 일본 간의 문화적 경계는 냉전질서라는 지정학적 조건에 의해 흐려지게 되었고, 이는 전쟁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일상적으로 일본방송을 청취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일본과의 문화적 경계가 흐려지는 1950년대 초의 시대적 상황 속에서, 해양의 국가경계를 둘러싼 한일 간의 외교적 마찰이 격화되는 1955년 무렵, 상대 국가의 영토로 방송전파를 보냄으로써 선전전을 강화하고자 한 이승만 대통령의 지시에 의해 ‘자유대한의 소리 일본어방송’은 개시되었다. 그러나 4.19 혁명으로 인해 자유언론에 대한 사회적 기대감이 컸던 만큼, 대일방송 또한 일정정도 기존의 일방적인 선전 위주의 방식에서 벗어나게 됨으로써 한일 간의 외교적 대립이 만들어내는 문화냉전의 파열은 점차 수렴되는 징후를 보였다. 5.16군사쿠데타 직후인 1961년 7월 1일에 단행된 독립방송국 ‘서울국제방송국’의 출범은 이전 시기의 ‘2중방송’의 기술적․제도적 틀에서 한 단계 도약한‘심리전의 요람’의 탄생이라는 측면에서 파열되었던 동아시아 문화냉전이 다시 수렴되는 첫 출발점이었다. 무엇보다 서울국제방송국의 모델이 같은 처지의 반공국가였던 대만의 심리전 방송이었다는 점에서 그러했다. 또한 1961년 7월‘서울국제방송국’의 발족 이후 표면적으로는 대일방송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나아갔지만, 경제개발을 위해 일본과의 국교정상화를 추진했던 박정희 정부의 대일정책 변화에 대응하여 재일교포의 사상적 이탈과 반역을 예방하는 방식으로 대일방송의 성격을 대공적 성격을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전환시키고자 한 정책이 낳은 결과였다. 이로써 1950년대 동아시아 문화냉전의 파열선은 1960년대에 들어 본래 문화냉전의 기조로 수렴되는 방식으로 변화되었다.

      • KCI등재

        1980년대 ‘유선방송관리법’ 제정과정에 대한 역사적 연구: 입안부처의 변화와 주요 쟁점을 중심으로

        윤상길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20 언론정보연구 Vol.57 No.4

        From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research that the specific description of facts about the changes in the legislative body surrounding the enactment of the Cable Broadcasting Management Act in the 1980s, the reasons for the change in the legislative body, and the major positions of ministries were not carried out at all, this study sought a basic understanding of the legislation process, focusing on documents from the National Archives. More specifically, the reasons for the change in the relevant ministries, the main contents of the drafting process and bills, the positions of other ministries submitted to the bills, and the policy logic of the other ministries and agencies on the major issues of each bill were reviewed for the period from 1981 to June 1987 when it was the first starting point for the enactment of the Cable Broadcasting Management Act. The research confirmed empirically that internal coordination between the ministries and the Blue House was made over the axis of conflict between industrial promotion and media management, the desire of the private sector and the management of the administration. In particular, it was intended to show that the process of enacting the Cable Broadcasting Management Act until it was enacted and promulgated in late 1986 could be an example of the fact that the 'broadcasting' policy of the 1980s was not all of the communication policies at that time, but rather a policy that emerged amid conflicts and compromises, prioritizing among various policy goals amid economic-industrial changes at that time. It also drew implications for policy discussions over the reorganization of the OTT-led media ecosystem triggered by the advent of Netflix. 1980년대 유선방송관리법 제정을 둘러싼 법안주체의 변화과정과 법안주체 변경의 이유, 그리고 각 부처의 주요 입장에 대한 구체적인 ‘사실 기술’(description of facts)이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는 연구사적 배경으로부터, 본 연구는 국가기록원 문서를 중심으로 법 제정과정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시도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선방송관리법 제정의 첫 출발점이었던 1981년 문화공보부안(案)부터 1987년 6월 시행령 제정까지의 시기를 대상으로, 각 시기별로 주무부처 변경의 이유, 입안과정과 법안의 주요 내용, 그리고 법안에 대해 제출된 타 부처의 입장들, 각 법안의 주요 쟁점에 대한 주무부처와 타 부처의 정책논리를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산업진흥과 언론관리라는 갈등의 축, 민간의 욕구와 정권의 관리라는 갈등의 축을 둘러싸고 부처와 청와대 내부의조정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1986년 말 제정·공포되기까지의 유선방송관리법 제정과정은 1980년대의 ‘전일적 공영화’라는 ‘방송’ 정책이 당시 커뮤니케이션 정책의 전부가 아니라, 당시의 경제-산업적 변화 속에서 다양한정책 목표 중 우선순위를 두고 갈등과 타협 속에서 나타난 결과였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사례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또한 넷플릭스’의 등장으로 촉발된 OTT 주도의 미디어 생태계 재편을 둘러싼 현재의 정책논의에 던지는 시사점도 도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1983년 AFKN-TV의 위성중계방송 실시를 둘러싼 한미 교섭과정에 대한 연구

        윤상길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8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gress of negoti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AFKN's satellite broadcasting on October 4, 1983, as well as the opposition of domestic public opinion, which emerged as an important variable in the negotiation process.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historical facts necessary to interpret the negotiation process between the two countries over the implementation of AFKN's satellite broadcasting in the context of world history of cultural globalization. As a research method, the historical literature research method was used, focusing on archive documents stored in diplomatic archives. The study revealed that public opinion's movement toward cultural imperialism under domestic political conditions, which had authoritarian control over the media, served as an accidental factor to help carry out the regime's interests of regime protection. Through these findings, this paper interpreted that AFKN-TV's satellite broadcasting, which was implemented under the U.S. Department of Defense plan without the prior consent of the Korean government, clearly shows that Korea has been "semi-forced" into the U.S.-led cultural globalization order. 본 연구는 1983년 10월 4일 AFKN의 위성 중계 방송 실시와 관련한 양국 간의 교섭 추이와 함께, 교섭 과정에서 중요한 변수로 등장했던 국내 여론의 반발과 이에 대한 한국 정부의 대응을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AFKN의 위성 중계 방송 실시를 둘러싼 양국 간의 교섭과정을 문화적 세계화라는 세계사적 맥락 속에서 해석하는 데 필요한 역사학적 사실의 단초를 마련하고자 했다. 연구방법으로는 외교사료관 등에 소장되어 있는 아카이브 문서를 중심으로 역사적 문헌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차원에서 문화제국주의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는 사실과 함께, 미디어에 대한 권위주의적 통제를 가하고 있던 국내 정치적 조건에서 문화제국주의에 대한 사회 내 여론의 움직임은 정권 보호라는 정권적 이해관계를 관철시키는 데 도움을주는 우발적인 요소로 작용했음을 밝혔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본고는 한국 정부의 사전 동의 없이 미 국방성 계획에 의해 실행되었던 AFKN-TV의 위성 중계 방송은 한국이 미국 주도의문화적 세계화 질서에 ‘반강제적으로’ 편입되었음을 단적으로 잘 보여준다고 해석하였다.

      • KCI등재후보

        시사만화로 보는 1950년대 중후반 한국 라디오 문화의 풍경

        윤상길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한국문화기술연구소 2017 한국문화기술 Vol.22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capture the landscape of radio culture in 1950s of Korea, analysing editorial cartoon related to radio (broadcating) of 1950s.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misconceptions between realities represented in radio programs and social realities was very frequent. Sometime, authors of editorial cartoon have imperialistic awareness about misconceptions. Secondly, the privatized experiences of radio audiences were represented in editorial cartoons related to radio (broadcasting) of 1950s. Thirdly, the symptoms of ‘schizophonia’ were captured by authors of editorial cartoon. Finally, symptoms that culture consuming radio sound began to emerge towards the end of 1950s were represented in editorial carto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