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시기 京城전화 네트워크의 공간적 배치

        윤상길(Yoon, Sang-Gil)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09 서울학연구 Vol.- No.34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look at technological and institutional elements of telephone system, and spatial distribution of telephone system in Seoul during colonial period. For this purpose, technological and institutional elements of telephone system was regarded as °Æenvironment of use°Ø which determine user°Øs behavior, and its polit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In chapter 2, the political and military characteristics of technological telephone system are founded from the fact that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GGK) had depended on primarily alterations of telecommunication mode, instead of depending on of extensive installation of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as essential measure of coping with diverse problems, such as contradiction between low-grade of transmission technology and increasing telecommunication demand. For example, GGK depended primarily on °Æsimultaneous telegraphy and telephony°Ø mode. Also, institutions related to telephone subscription, phone call, and charge of telephone fee were established in the direction of keeping a firm on not so much irregular phone call as regular call. Telephone system of this sorts had been diffused throughout Seoul city. In chapter 3 and chapter 4, the transfiguration of local telephone service area in Seoul and its spatial bias were examined. At first, local telephone service area in Seoul was changed roughly three times during colonial period. Local telephone service area began to be kept in order in 1910s, and was established systematically as telephone exchange system consisting of one head office and two branch office in 1923. And one more branch office was added in eastern area of Seoul in 1942. Even though there were more or less alterations, spatial distribution of telephone facilities in Seoul was hardly changed. Local service area of head office, covering business zone and Japanese place of residence, had exceeding 50% of the number of total telephone. If including Yong-San branch office covering military zone, the proportion was over 70%. On the other side, Gwang-Hwa-Moon branch office covering Korean place of residence about 30%. As a result, Korean people had to go to usually post office or public telephone nearby their place of residence. In sum, spatial structure of telephone diffusion in colonial Seoul was under bias toward nation.

      • KCI등재

        Sendust와 Mn-Zn Ferrite를 이용한 PCB로부터의 전자파 방사 억제용 전파흡수체 개발

        윤상길(Sang-Gil Yoon),김동일(Dong Il Kim),송영만(Young-Man Song),박수훈(Soo-Hoon Park) 한국전자파학회 2008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9 No.2

        본 논문에서는 Sendust와 Mn-Zn ferrite를 이용하여 2.4 ㎓ ISM 대역 PCB 노이즈 제거용 전파흡수체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Sendust와 Mn-Zn ferrite를 바인더인 CPE와 혼합하여 조성비별 전파흡수체 샘플을 제작하였고, 이를 분석한 결과 최적의 조성비가 Sendust : Mn-Zn ferrte : CPE=70:5:20 wt.%임을 확인하였다. 전파흡수체 샘플로부터 계산되어진 재료 정수를 이용하여 두께에 따른 흡수능의 변화를 시뮬레이션 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전파흡수체를 실제작하여 전파 흡수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측정 결과는 잘 일치하였으며, 중심 주파수 2.4 ㎓에서 흡수능 5.4 ㏈, 1.4~4.1 ㎓ 대역에서 3 ㏈ 이상의 흡수능을 보였으며, 이때 두께는 0.85 ㎜이었다.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fabricated the EM wave absorber consists of Sendust and Mn-Zn ferrite for suppressing EM wave noise from PCB in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band of 2.4 ㎓. We fabricated several samples in different ratios of Sendust to Mn-Zn ferrite with CPE(Chlorinated Ploy-ethylene) as binder and confirmed that optimum composition ratio of absorbing materials was Sendust : Mn-Zn ferrite : CPE=70:5:20 wt.%. The absorbing abilities were simulated according to different thickness of EM wave absorber as the function of material constants calculated by measured data. Measured absorption ability was analyzed and compared with simulated result. The simulated result agree well with the measured ones. As a result, the developed EM wave absorber with thickness of 0.85 ㎜ has absorption ability of 5.4 ㏈ at 2.4 ㎓ and over 3 ㏈ in frequency rage of 1.4~4.1 ㎓.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신문용지의 사회경제사

        윤상길(Sangkil Yoon) 한국언론정보학회 201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77 No.3

        본고는 광복 이후 한국 신문용지 시장의 역사적 변화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문용지 수급 상황에 대한 경제사적 관점과 함께 신문용지의 시장 상황에서 벌어지는 시장행위자들 (국가, 제지업계, 신문업계)의 시장행동에 대한 사회사적인 관점을 통해서, 한국 신문용지 시장의 일반적인 역학(dynamics)을 규명하는 데 있다. 한국 신문용지 시장의 일반적인 역학과 상호작용은 우선 부존자원 부족이라는 자연적 제약 탓에 외부 시장의 요인에 의해 지속적으로 영향 받았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광복 이후 신문용지의 자유무역화가 이뤄졌던 1967년 이전 시기까지, 국가는 관세를 통한 가격 통제와 수입 허가 통제를 통해 외부 시장의 힘을 조절하고자 하였고, 이 과정에서 제지업계에 대한 외자(外資) 지원 정책을 통해 (수입 대체 효과와 자급 체계 구축을 실현시킴과 동시에) 제지업계에 대한 통제와 언론계에 대한 통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1967년 이뤄진 신문용지 수입 개방은 신문용지 시장의 일반적인 역학이 ‘외부 시장의 통제되지 않는 효과’에 노출되는 계기였다. 이에 따라 신문용지 자급 체제가 이뤄진 이후에도 오일쇼크 등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신문용지 가격이 출렁거리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또 정부의 정책은 제지업계와 신문업계 사이에서 갈팡질팡하였고, 민주화 국면에서 발생했던 신문업계 내의 경쟁 심화라는 상황 속에서 제지업계는 수입 신문용지와 경쟁하기 위해 과잉 시설투자를 하였다. This paper deals with historical changes in the market of Korean newsprint paper since 1945. Particularly, this paper does not examine only the structure of supply and demand in the newsprint paper market, but also general dynamics of the market from a perspective of Harold Innis’s socioeconomic history. As a result,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general dynamics of Korean newsprint paper market has persistently responded to a stimulus from external markets due to a scarcity of natural resources. To more concretely put it, until 1967 when the newsprint paper market was opened, Korean government had tried to control both newspaper industries and paper manufacture businesses by the matters of price and distribution of the newsprint paper. But since the market was opened, a general dynamics of the Korean newsprint paper market has been vulnerable to uncoordinated properties of external markets. Consequently, even though ‘self-sufficiency’ of newsprint papers was achieved in 1974, the price of newsprint papers has been often rising and falling.

      • KCI등재

        일제강점기 전화교환시스템 구성과 교환노동의 표준화 및 성별화

        윤상길(Sangkil YOON)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1 언론과 사회 Vol.19 No.2

        이 글은 일제강점기 전화교환시스템의 도입과 전개과정에서 진행되었던 전화교환 노동의 표준화와 성별화 과정을 역사적으로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어떠한 역사적 맥락에서 전화교환수 노동과 직업이 성별분업화되고 표준화되었는지를 추적하고, 이 과정에 개입되어 있는 식민주의적인 기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제국 일본에서의 젠더관계가 투영이 된 전화교환시스템이 식민지 조선으로 일방적으로 이식되는 과정에 식민지 조선의 문화적 상황이 작용함으로써, 식민초기 전화교환 노동의 표준화는 제국의 그것과는 달리 상대적인 자율성이 허용되는 다소간 불완전한 형태로 진행되었다는 특징을 가졌다. 또한 여성화되고 표준화된 교환노동이 식민지적으로 재편되는 과정에서, 예산부족과 그로 인한 교환기 도입의 지체는 식민국가기관에 의한 식민지 여성의 채용이라는 이례적인 현상을 낳았다. The paper aims to reveal the historical process of standardization and feminization in switchboard-operating labor during the colonial period, focusing on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telephone exchange system. More concretely, the paper tried to reveal colonial mechanisms intervened with that process. When the telephone exchange system of Japanese proper was introduced in colonial Korea, The standardized and feminized switchboard-operating labor of Japanese proper was also transplanted into the telephone exchange system of colonial Korea. But that of colonial Korea was different from Japanese proper. Because switchboard operators in colonial Korea of 1920s were somewhat allowed to speak freely on a restricted basis, unlike the very strict standardization of Japanese proper. Also, in the process of switchboard-operating labor’s standardization and feminization in colonial Korea, time delays caused by budgetary deficit in the introduction of advanced telephone switching equipments resulted in the employment of colonial women by colonial government as very exceptional case in the history of colonialism.

      • KCI등재

        1970, 1980년대 한국 정부의 외국방송 전파월경 통제 : ‘북한의 전파방해’ 논란과 한일 간 외교교섭을 중심으로

        윤상길(Sangkil Yoon) 한국언론정보학회 2021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09 No.-

        이 연구는 ‘전파월경’에 대한 국가의 대책이 기본적으로 일종의 변경지대라 할 수 있는 전파월경과 그에 따른 전파의 섞임(混信), 그리고 그에 대한 시청취자들의 경험에 ‘기술적 국경’을 세우는 구성적 행위라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다. 이 문제의식으로부터 본 연구는 외국방송의 전파월경을 둘러싼 국제분쟁의 두 사례-북한의 1975년 ‘TV방해전파’ 및 1979년 ‘통혁당목소리’ 방송과 1979년 이후 ‘한일 주파수조정회의’에서의 외교교섭-를 중심으로 1970, 1980년대 한국 정부의 전파월경 해결역량이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권위주의적 군사정부의 통제하에서 TV채널의 수나 콘텐츠의 다양성이 제한받았던 1960, 1970년대 한국의 일반대중들이 다양한 방송콘텐츠에 대한 갈증을 풀 수 있는 주요한 통로 중의 하나는 한반도로 유입되는 여러 해외방송의 전파를 수신하는 것이었지만, 국가 간 전파월경 문제를 해결할 근거인 국제협약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당시 한국 정부는 해외방송의 전파월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직된 내셔널리즘적 사고의 자장 안에서 국내적 해결에 주안점을 두었다. 그러나 1970년대 중반 이후 법적인 수준에서 진행되고 있었던 세계화의 역학은 외국방송의 전파월경에 대한 한국 정부의 통제방식을 뒤바꾸어 놓았다. 1975년 제네바에서 개최된 ITU회의에서 의결된 ‘중파방송 지역협정’은 전파분쟁 당사국 간의 긴밀한 협의를 요구하였다. 그러나 ‘북한의 전파방해’와 ‘통혁당목소리’ 방송 사례에 대한 정부의 대응은 주로 북한을 비난하기 위한 정치적인 레토릭에 머무는 수준이었다면, 지역협정이 효력을 발휘하기 시작한 직후부터 ‘합법적인 전파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차원에서 정례화된 ‘한일 주파수조정회의’는 양국 간의 외교교섭을 통해 전파분쟁 해결의 실무적 실마리를 마련하는 성과를 거두고, 또 이를 통해 전파월경해결의 국가역량을 높일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에 대해 본 연구는 1970년대 후반 ‘중파방송 지역협정’가입 이후 한국 정부의 전파월경 문제에 대한 통제 방식/역량의 변화가 한국 사회가 저작권법이라는 글로벌한 법률 체계에 기반을 두고 미디어 콘텐츠의 월경적인 유통을 통제하는 글로벌한 통제 패러다임으로 편입되고 있었음을 징후적으로 보여주는 명백한 사례라고 평가하였다. The study started with a sense that the state’s countermeasures against the spill-over of foreign broadcasting are basically to establish a ‘technical border’. In the 1960s and 1970s, when the diversity of TV channels and contents was limited under the authoritarian military government, one of the main ways for the Korean public to quench the thirst for various broadcasting contents was to receive broadcasting contents through the spill-over of foreign broadcasting. With no international agreement in place to resolve the issue of the spill-over of foreign broadcasting between countries, the Korean government focused on domestic solutions in the lull of rigid nationalistic thinking to solve the spill-over of foreign broadcasting. However, the dynamics of globalization at a legal level since the mid-1970s have reversed the Korean government’control over the spill-over of foreign broadcasting. FINAL ACTS of the Regional Administrative LF/MF Broadcasting Conference (Regions 1 and 3), which was resolved at the 1975 ITU Conference in Geneva, required close consultation between the parties involved in the radio conflict. However, if the government’s response to ‘North Korea’s radio interference’ and ‘Unification Party’s Voice’ Broadcasting was mainly a political rhetoric to denounce the North, ‘the South Korea-Japan Frequency Coordination Conference’ has achieved practical resolution through diplomatic negoti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is study clearly shows that the change in the Korean government’s control method/competence over the issue of the spill-over of foreign broadcasting after joining the ‘MF Broadcasting Regional Agreement’ in the late 1970s was incorporated into a global control paradigm that controls the trans-boundary distribution of media content based on a global legal system called copyright law.

      • KCI등재

        초기 부산 노래방 문화 형성의 사회적 맥락과 매체사적 의미

        윤상길(Sangkil YOON),장일(Il CHA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1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77 No.3

        본고의 연구 목적은 일본산 가라오케가 부산에 유입된 사회경제적 배경을 검토하고, 1980년대 부산 지역을 중심으로 번졌던 가라오케 문화가 1990년대 노래방 문화의 태동과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는지를 기술의 사회적 구성주의론이라는 시각에서 해명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 1980년대 가라오케의 부산 유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사회경제적 배경에는 1970년대 동아시아 기생관광산업의 구조 변동 속에서 정부의 관광객 유치 정책에 의해 부산을 방문하는 일본인 관광객이 늘어났다는 요인이 자리를 잡고 있지만, 1982년 정부의 국제여행 알선업체의 등록제 전환과 그에 따른 여행업체와 가라오케 업소 간의 사업적 제휴, 가라오케 업소 간의 일본인 관광객 유치 경쟁 또한 부산 지역 가라오케의 증가를 가져온 요인이었음이 밝혀졌다. 한편, 1980년대 부산의 노래방 문화 형성이 가라오케 문화와 맺는 관련성을 매체사적인 시각에서 살펴본 결과, 초창기 직접적으로 노래방기계를 접했던 부산 지역의 사람들은 노래방의 ‘새로움’을 주로 전자오락기와의 비교를 통해 인지했었던 데 반해, 가라오케와 노래방을 비슷한 것으로 잘못 인식해 노래방을 ‘왜색 문화’라고 비판했던 언론은 비록 부정적 방식이긴 하더라도 노래방의 사회적 인지 확대에 매우 큰 역할을 담당했음이 밝혀졌고, 그런 점에서 1980년대 부산의 가라오케 문화는 노래방의 사회적 인지 획득 과정에 연관되어 있음이 드러났다. This study analyzes the socio-economical contexts of Japan’s Karaoke inflow in Busan of the 1980s,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Karaoke culture of the 1980s and ‘Noraebang’ culture of the early 1990s in Busa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COT(social construction of technology) theory. By the end of 1970s, Japan’s Karaoke was introduced under the contexts of structural transformations of a geisha tourism in the East Asian regions. Karaoke culture in Busan of the 1970s and 1980s has formulated social recognitions of the novelty of Noraebang culture in the 1990s, although it has done so through the ways of misunderstandings and Nationalism.

      • KCI등재

        한국의 지역사회와 지역커뮤니케이션의 구조

        윤상길(Yoon Sang-Kil)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1 한국민족문화 Vol.39 No.-

        본 논문에서는 지역장소의 의미를 복원하기 위한 이론적 틀로서 지역커뮤니케이션의 의미를 논의하고, 그 틀에 기반하여 인천광역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참여적 미디어 정책의 현황을 시론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우선, 본고는 지역장소의 의미를 복원하기 위한 이론적 틀에 대한 모색으로서, 확장된 미디어 개념에 입각해 참가형의 지역커뮤니케이션은 도시공간의 토지성을 매개로 한 다양한 ‘스페이스 미디어’에 의존하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틀에 입각하여, 본고는 스페이스 미디어를 중심으로 인천광역시의 지역커뮤니케이션 현황을 살펴보는 한편, 지역커뮤니케이션의 구조에 개입하고자 하는 차원에서 시도되었던 지난 5년간의 참여적 미디어정책 현황을 인천문화재단과 주안영상미디어센터의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고의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천의 지역커뮤니케이션 구조, 특히 지역커뮤니케이션 활성화의 장소적 거점으로서 스페이스 미디어는 대체로 2000년대 말 무렵부터 변화의 징후가 뚜렷하게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영상미디어교육을 지역의 작은도서관과 연계해서 추진하는 주안영상미디어센터의 사례나 수봉도서관과 영종도서관을 지역과 화합을 이루는 문화적 공공도서관으로 운영하고자 한 인천문화재단의 사례는 공공도서관이 지역정보센터로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2009년 이후 인천의 지역축제는 참가자가 주로 지역민이었다는 점에서 지역민 간 소통의 장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발전된 것으로 평가된다. 둘째, 인천문화재단은 일반 지역주민, 교사, 이주노동자, 새터민, 장애우학생 등과 같은 다양한 계층의 지역주민을 문화예술인과 관계 맺도록 하는 참여적 문화예술정책을 펴는 한편, 문화적 활력을 잃어버린 구도심 지역의 도시재생사업과 공공미술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지역장소에 벌어지는 다양한 문화활동에 대한 지역민의 참여를 통해 지역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셋째, 주안영상미디어센터는 협동조합, 주민센터, 마을도서관 등과 같은 다양한 지역공동체와의 적극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이주민여성, 노인층, 장애우등과 같은 지역사회 내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정보미디어에 대한 교육을 추진함으로써, 지역사회 내 스페이스 미디어와 정보미디어 간의 연계를 적극적으로 모색하였다.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theory of local communications in order to restore the communicative meaning of local places, and examine preliminarily the present conditions of local-participatory media policies focusing on the case of Incheon city. This paper examined the structure of local communication focusing on ‘space media', and examined the past five years's activities of two organizations, Incheon Foundation of Arts and Culture[IFAC] and Juan Community Access Media Factory[CAMF]. The point will b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e of local communications in Incheon, especially 'space media' as place of local communications began to be transformed about the late 2000s. Two cases, in which CAMF was establishing ties with local tiny library and undertaking media literacy, and in which IFAC was establishing ties with Su-Bong Public Library and Yeong-Jong Library and undertaking operation of cultural public library, shows how public library serves adequately as social space for interaction through social relations of local community. Also, local festivals of Incheon served mainly as place for communicating between local residents in that most of participants was local residents of Incheon. Secondly, IFAC carried out policy of arts and culture in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relations between artists and various stratum of local residents, and carried forward Urban Renaissance Project and Public Art Project. These activities of IFAC built up a stable basis of local communications, facilitating participation in cultural events. Thirdly, CAMF built up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local communities such as community centres, and carried out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various stratum of local residents. These activities of CAMF tried to find a way connecting between 'space media' and 'information media' within local society.

      • KCI등재

        1930년대 목포지역 전화 확산의 위계구조와 특성

        윤상길 ( Yoon Sang Kil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4 호남학 Vol.0 No.55

        본 연구는 1936년 목포 전화번호부 분석을 통한 목포지역 전화확산의 물리공간적·사회공간적 특성에 대한 사례 연구로서, 전화확산 패턴에 나타나는 목포 지역사회의 특수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 선 일제강점기 전화의 전체적인 확산패턴과 그 속에서 목포가 차지 하고 있는 위상을 검토한 결과, 일제강점기 도시별 전화가입자 분포 에서 목포가 차지하는 위상은 대체로 낮아 대체로 10위권에 위치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본고는 1936년 목포부전화의 물리공간적 배치양상이 전화 채택자의 사회경제적 위계에 따라 공간적으로 패턴화 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목포가 수위도시 경성으로부터 멀 리 떨어진 항구도시라는 지역적 특성에 따라, 전화의 배치양상이 소 상공업자의 비율이 여타 항구도시보다 높고 장거리 전화의 가입비율 이 높으며 식민경제 부문의 가입자 비율이 높게 나타났음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examine the hierachial structure and various features of telephone diffusion in mok-po city of 1930`s, by analyzingtelephone directory issued by Mok-po communications agency in 1936. At first, this article examined the relative phase of telephone diffusion in mok-po city, comparing with the overall patterns of telephone diffusion during colonial period in Korea. As a result, this article suggested that mok-po`s phase was the 10th place in the overall patterns of telephone diffusion during colonial period in Korea. Secondly, this article suggested that the hierachial structure and various features of telephone diffusion in Mok-po city of 1930`s was based on the socio-economic status of telephone subscriber. Finally, this article suggested that patterns of telephone diffusion in Mok-po city of 1930`s was related closely with local features of Mok-po port city, showing that ratios of telephone subscriber in small business was high, that ratios of long-distance telephone subscriber was very high, and that ratios of telephone subscriber in colonial economy sector was high, comparing with that of other cities during colonial period in Korea.

      • KCI등재

        박정희 정권 시기 신문배달원 신화 창출의 사회적 맥락

        윤상길(Sangkil YOON)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4 언론정보연구 Vol.51 No.2

        본 연구는 1980년대 전후 한국 사회에서 대중화되었던 신문배달원 신화가 어떠한 불순한 것들을 통해 그 신성함을 획득하였던 것인가라는 의문으로부터 출발하여, 박정희 정권 시기를 중심으로 어떠한 사회적 맥락 속에서 신문배달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변화하였고, 이러한 변화과정에 개입했던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박정희 정권기의 신문배달원 신화는 근대 이후 한국 사회에 형성되었던 입신출세주의의 신화와 그로부터 산출되었던 ‘고학생’ 신화를 출발점으로 하여, 광복 이후 신문배달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를 원형으로 하여 주조된 산물이다. 특히 한국전쟁 직후 양산된 고아 신문배달원에 부착되었던 부랑아 이미지를 원형으로 한 1960년대 신문배달원의 신화화 과정은 산업화 단계에 접어들었던 신문업계와 박정희 정부가 공통적으로 주로 청소년으로 구성된 신문배달원에 대한 규율관리의 필요성을 느꼈던 것에서 비롯되었던 것이었다. 그러나 이 신문배달원의 성공신화는 IMF 이후 학생 신문배달원에 대한 사회적 인식변화에 따라 거의 소멸되는 단계에 이르렀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social context of paperboy mythopoeia in the Park Chung?Hee regime, starting from the perception that ‘paperboy myth’ popularized in 1980’s get some divineness from some impure elements. Paperboy myth in the Park Chung?Hee regime was based on the cult of success and ‘self?supporting student’ myth in modern Korea, and was invented by change of paperboy’s social perception after 1945. ‘Urchin’ image attached to orphan paperboys who were growing tremendously after Korean War was starting point of paperboy mythopoeia in 1960’s. Particularly, paperboy myth in the Park Chung?Hee regime was related closely with social context that both newspapers who were in corporatization phase and the Park Chung?Hee regime which worked for social purification felt the necessity of disciplined paperboy. But paperboy myth was in evaporation phase after IM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