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해도에서 육성된 벼 품종과 계통의 배(胚)무게 변이

        윤병성,추전중성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1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3 No.3

        수도직파 재배에 있어서 출아를 지배하는 요인을 해석하기 위하여, 北海道의 수도 품종·계통을 사용해, 초기생육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하나인 胚의 크기와 품종·계통간의 차이에 대하여 검토해 이하의 결과를 얻었다. 1. 北海道에서 육성된 약 20품종·계통에 대하여 胚의 크기를 조사한 결과 배의 무게는 작은 것은 0.44㎎ 큰 것은 0.76㎎으로 큰 변이를 보였다. 특히 Wasefukoku, Iburiwase, Dohoku 5호, Hayayuki, Mimasari, Norm 19호와 같이 배의 무게가 0.60㎎이상으로 상당히 큰 것이 존재했다. 2. 이들의 품종·계통에 대하여 얻은 배의 무게와 배유의 무게 사이의 상관은 낮고, 배유무게가 무거운 품종이 배의 무게가 무겁지는 않았다. 3. 北海道에 있어서 직파재배가 가장 성했던 시대의 주요보급품종(Fukoku, Bozu, Norm 20호 등)은 배의 무게가 반드시 무겁지는 않았다. Bozu계와 Norm 20호의 배 무게는 이앙재배 시대가 되고 난 후의 보급품종의 그것과 비교해 크지 않고, 발아계수도 크지는 않다. 4. 삿뽀로에서 채종한 재료에 대해서 본시험에서 얻은 배의 무게는 15℃의 발아계수(발아율/평균발아 일수)와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지만 (r²=0.651^(**)), 배유의 무게와 발아계수의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은 인정되지 않았다. (r²=0.157), 따라서 배가 큰 것은 저온하의 발아를 높이는데 기여하는 성질이라고 생각되지만 저장기관인 배유는 발아속도와 직접적인 관계를 갖고 있다고는 생각되지 않았다. To facilitate the efficient breeding of rice cultivars with improved seedling emergence in direct seeded cultivation in northern part of Japan, variation of the embryo weight of cultivars developed in Hokkaido was investigated to know whether the variation of embryo weight is related with seedling growth. Remarkable variation of embryo weight was observed with rice seeds of cultivars and lines developed in Hokkaido and harvested in Sapporo and it ranged from 0.44 to 0.76㎎. Those of Wasefukoku, Iburiwase, Dohoku 5, Hayayuki, Mimasari, Norin 19 was heavier than 0.60㎎.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eight of embryo and that of endosperm including all the cultivars and lines used in this experiment was poor (r²=0.246). This may indicate cultivars and lines with heavier embryo can not be selected dependent on the seed weight. Cultivars and lines with bigger embryo did not show any consistent relationship with the released year of them and the leading cultivars such as Fukoku, Bozu, lines and Norin 20 in the days when direct seeding was popular did not have bigger embryo although some cultivars in those days had bigger embryo and higher seedling emergence. The embryo weight of cultivars and lines harvested at Sapporo showed high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germination coefficient at 15℃ (r²= 0.651^(**)). However, endosperm weight was hardly related with germination coefficient(r²=0.157) .

      • KCI등재

        저온.담수토양에서 벼종자 $\beta$-아밀라제 유전자 발현과 호분층 인접 배유의 전분분해 양상

        윤병성,강원희 한국작물학회 2002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47 No.6

        온대 수도작에 있어서 발아시의 조건에 가까운 저온.담수 토양조건에서의 출아에 관련된다고 생각되어지는 $\beta$-아밀라제 유전자 발현과 발현 양상이 실제로 호분층 인접 부분의 전분 분해에 영향을 미치는지 in situ hybridization과 현미화학적방법으로 검토하였다. 1. $18^{\circ}C$의 저온.담수토양조건하에서 출아했던 장향도 품종은 호분층에서 $\beta$-아밀라제 유전자의 발현이 보였다. 2. $18^{\circ}C$의 저온.담수토양조건하에서 출아하지 못했던 수원 287호는 $\beta$-아밀라제 유전자의 발현이 보이지 않았다. 3. $\beta$-아밀라제 활성의 유무에 의해 배반세포에 인접한 배유부분의 전분분해량에 변화를 보여 $\beta$-아밀라제 활성이 높은 장향도, 은방주(Ginbozu), Fortana I-133가 $18^{\circ}C$의 저온.담수토양조건하에서는 $\beta$-아밀라제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 수원 287호와 시험한 모든 조건하에서 $\beta$-아밀라제의 활성이 보이지 않았던 농림(Norin) 6호, 고시히까리(Koshihikari) 보다 배반상피세포 및 배반상피세포에 인접한 호분층 근접 배유부분의 전분립 감소가 컸다. 이상의 결과 저온.담수토양조건하에서 벼 종자의 출아에 $\beta$-아밀라제 유전자의 발현과 전분 분해의 연관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beta$-amylase gene expression and degradation of starch granules in the endosperm near scutellar epithelium of rice cultivars under the submerged soil at hypoxia 18$^{\circ}C$, which is practically important condition for farmers in temperate regions. In case of cv. Janghyangdo, accumulation of $\beta$-amylase mRNA was detected in the aleurone layer on the ninth day after seeding. However that of cv. Suwon 287 and Norm 6 were not detected in the aleurone layer in submerged soil(hypoxia) at 18$^{\circ}C$. $\beta$-amylase of cv. Janghyangdo was synthesized de novo in aleurone cells not in the scutellar epithelium. Degradation of starch granules in the endosperm near scutellar epithelium of c.v. Janghyangdo and Ginbozu, which have a strong $\beta$-amylase activity, was greater than that of cv. Suwon 287 and Norm 6 with no $\beta$-amylase activity in submerged soil(hypoxia) at 18$^{\circ}C$. This result may indicate that $\beta$-amylase gene expression and degradation of starch granules of germinating rice seed are related to the emergence of rice under the submerged soil condition at low temperature.

      • 특집 - 사료 배합의 설계와 전자계산기

        윤병성 대한양계협회 1970 월간 양계 Vol.9 No.-

        현대는 전자시대다. 전자기기는 사회 각 부문에서 많은 인력을 감소시켜주고 아무리 복잡한 계산이라도 거침없이 해낸다. 전자계산기는 사료 배합의 미량성분의 믹서에도 응용된다. 여기서 전자계산기를 이용한 사료 배합례를 실어보았다.

      • KCI등재

        Status and Changes in Chemical Properties of Orchard Soils in Gangwon State

        윤병성,서영호,임수정,허수정,김동민,김경대 한국토양비료학회 2023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56 No.4

        The chemical properties of orchard soils in Gangwon state have been monitored every 4 years from 2002 to 2022 in orde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orchard soil fertility management. In 2022,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of orchard were 6.3 of pH, 0.82 dS m-1 of EC, 38 g kg-1 of organic matter (OM) and 803 mg kg-1 of available phosphate (Avail. P2O5). Exchangeable (Exch.) potassium (K), calcium (Ca) and magnesium (Mg) were 1.2, 7.2 and 2.0 cmolc kg-1,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 percentages within optimal range of pH were 43% in 2002, 30% in 2006, 45% in 2010, 41% in 2014, 39% in 2018, and 34% in 2022. The percentages for OM were 38% in 2002, 34% in 2006, 31% in 2010, 25% in 2014, 26% in 2018, and 29% in 2022. The excessive percentages for Avail. P2O5, Exch. Ca and Mg increased from 52% in 2002 to 71% in 2022, from 25% in 2002 to 55% in 2022, and from 19% in 2002 to 40% in 2022, respectively. In terms of heavy metals, mean contents of Cd and Hg were less than 5% of soil pollution standards (4 mg kg-1). Cu, Ni, Pb, and As were distributed to less than 20% of soil pollution standar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ertilize based on soil test in order to maintain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of the orchard soil within in an appropriate range.

      • KCI등재

        벼 품종별 배 무게 변이와 저온, 담수조건에서 출아속도와의 관계

        윤병성,조동하,김남수 한국육종학회 2002 한국육종학회지 Vol.34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mbryo and endosperm weight and with seedling emergence rate in submerged soil at 18℃ in germination chamber using 214 rice varieties of various origin from South and North Korea, IRRI, China, a

      • KCI등재

        엽온 및 광강도에 따른 대두품종간의 광합성능력에 관한 연구

        윤병성 한국자원식물학회 1995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8 No.2

        대두(大豆) 수량(收量)이 우수한 은하(銀河), 방사(放射), 팔달(八達) 재배품종(栽培品種)을 광합성활성폭사선(光合成活性幅射線) ((PAR) 범위(範圍)에서 5본엽기(本葉期)($V_5$)에 엽온(葉溫)을 달리하여 광합성속도(光合成速度)와 호흡속도(呼吸速度)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품종별(品種別) 엽(葉)의 특성인 비엽중(比葉重)(SLW), 엽녹소함양(葉綠素含量)과 광합성(光合成)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25^{\circ}C$에서 순광합성속도(純光合成速度)(Net Photosynthesis)는 은하(銀河) $21.5mgdm^{-2}h^{-1}$, 방사(放射) $20.2mgdm^{-2}h^h{-1}$, 팔달(八達) $18.5mgdm^{-2}h^{-1}$이었다. 2. 전품종(全品種) 모두 엽온(葉溫) $25^{\circ}C$에서 광합성속도(光合成速度)가 가장 높았고 은하(銀河) 품종(品種)이 우수(優秀)했으며, 엽형(葉型)은 은하(銀河) (Long) > 방사(放射)(Oval) > 팔달(八達)(Round) 순서였다. 3. 엽(葉)의 호흡연도(呼吸連度)는 은하(銀河), 방사(放射), 팔달(八達)에서 $15^{\circ}$ $0.56mgdm^{-2}h^{-1}$, $20^{\circ}C$ $0.79mgdm^{-2}h^{-1}$, $25^{\circ}$ $1,15mgdm^{-2}h^{-1}$, $30^{\circ}C$ $1.37mgdm^{-2}h^{-1}$였다. 4. 비엽중(比葉重)은 방사(放射)가 $3.1mg/cm^2$이었고, 은하(銀河)와 팔달(八達)은 $3.5mg/cm^2$이었으며 비엽중(比葉重)과 광합성(光合成)과는 유의성(有意性)이 인정되지 않았다. 5. 엽녹소(葉綠素) 함량(含量)은 은하(銀河)가 $2.48{\mu}g/gF.W.$으로 가장 높았고, 방사(放射)가 $2.19{\mu}g/gF.W.$이었고 팔달(八達)이 $1.67{\mu}g/gF.W.$로 가장 낮았으며 엽록소(葉綠素) 함량(含量)과 광합성(光合成)과는 유의성(有意性)이 인정되었다. 6. 광보상점(光補償點)은 $15^{\circ}C$에서는 $10{\mu}Em^{-2}s^{-1}$로 모두 같았으나, $20^{\circ}C$에서 은하(銀河)는 $12{\mu}Em^{-2}s^{-1}$이었고, 방사(放射)와 팔달(八達)은 $13{\mu}Em^{-2}s^{-1}$이었다. $25^{\circ}C$에서는 은하(銀河)와 방사(放射)가 $16{\mu}Em^{-2}s^{-1}$이었지만 팔달은 $18{\mu}$m^{-2}s^{-1}$이었고, $30^{\circ}C$에서는 은하(銀河)와 방사(放射)가 $22{\mu}Em^{-2}s^{-1}$이었지만, 팔달은 $23{\mu}Em^{-2}s^{-1}$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et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rates among the varieties of Soybean(Eunha, Pangsa and Paldal that have high yields) at various leaf temperature and light intensity at the stage of $V_5$. The relations between the Net photosynthesis rate and SLW(specific leaf weight) and chlorophyll content were also investigated. 1. Net photosynthesis rates at $25^{\circ}C$ were $21.5mgdm^{-2}h^{-1}$ in cv. Eunha, $20.2mgdm^{-2}h^{-1}$ in cv. Pangsa and $18.5mgdm^{-2}h^{-1}$ in cv. Paldal. 2. Most cultivars of Soybean showed the maximum rates of Net photosynthesis at $25^{\circ}C$, especially in cv. Eunha. Also Net photosynthesis rates differed depending on the leaf shape. Long leaf shape(cv. Eunha) was better than round leaf shape(cv. Paldal) in Net photosynthesis rate. 3. Respiration rates of leaves in Eunha, Pangse and Paldal were $0.56mgdm^{-2}h^{-1}$ at $15^{\circ}C$, $0.79mgdm^{-2}h^{-1}$ at $20^{\circ}C$ $1.15mgdm^{-2}h^{-1}$ at $25^{\circ}C$ and $1.37mgdm^{-2}h^{-1}$ at $30^{\circ}C$. 4. Specific leaf weight were $3.1mg/cm^2$ in Pangsa, $3.5mg/cm^2$ in Eunha and Paldal. No signlficant difference were showed in net photosynthesis rates and specific lear weight. 5. Leaf chlorophyll content were $2.48{\mu}g/gF.W.$ in Eunha, $2.19{\mu}g/gF.W.$ in Pangsa and $1.67{\mu}/g F.W.$ in Paldal. Significant difference were showed in Net photosynthesis rates and Leaf chlorophyll content. 6. The estimated compensation points at which net photosynthesis approached zero were $10{\mu}Em^{-2}s^{-1}$ in Eunha, Pangsa, and Palda at 1$5^{\circ}C$. The compensation point in cv. Eunha at $20^{\circ}C$ was $12P{\mu}Em^{-2}s{-1}$ while $13{\mu}Em^{-2}s{-1}$ in Pangsa and Palda. The compensation point in cv. Paldal at $25^{\circ}C$ was $18{\mu}Em^{-2}s{-1}$ while $16{\mu}Em^{-2}s{-1}$ in Eunha and Pangsa. The compensation point in cv. Palda at $30^{\circ}C$ was $23{\mu}Em^{-2}s{-1}$ Palda while $13{\mu}Em^{-2}s{-1}$ in Eunha and Pangsa.

      • KCI등재

        저온·담수토양에서 벼종자 β-아밀라제 유전자 발현과 호분층 인접 배유의 전분분해 양상

        윤병성,강원희 韓國作物學會 2002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47 No.6

        온대 수도작에 있어서 발아시의 조건에 가까운 저온.담수 토양조건에서의 출아에 관련된다고 생각되어지는 β-아밀라제 유전자 발현과 발현 양상이 실제로 호분층 인접 부분의 전분 분해에 영향을 미치는지 in situ hybridization과 현미화학적방법으로 검토하였다. 1. 18℃ 의 저온.담수토양조건하에서 출아했던 장향도 품종은 호분층에서 β-아밀라제 유전자의 발현이 보였다. 2. 18℃ 의 저온.담수토양조건하에서 출아하지 못했던 수원 287호는 β-아밀라제 유전자의 발현이 보이지 않았다. 3. β-아밀라제 활성의 유무에 의해 배반세포에 인접한 배유부분의 전분분해량에 변화를 보여 β-아밀라제 활성이 높은 장향도, 은방주(Ginbozu), Fortana I-133가 18℃ 의 저온.담수토양조건하에서는 β-아밀라제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 수원 287호와 시험한 모든 조건하에서 β-아밀라제의 활성이 보이지 않았던 농림(Norin) 6호, 고시히까리(Koshihikari) 보다 배반상피세포 및 배반상피세포에 인접한 호분층 근접 배유부분의 전분립 감소가 컸다. 이상의 결과 저온.담수토양조건하에서 벼 종자의 출아에 β-아밀라제 유전자의 발현과 전분 분해의 연관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β -amylase gene expression and degradation of starch granules in the endosperm near scutellar epithelium of rice cultivars under the submerged soil at hypoxia 18~circC , which is practically important condition for farmers in temperate regions. In case of cv. Janghyangdo, accumulation of β -amylase mRNA was detected in the aleurone layer on the ninth day after seeding. However that of cv. Suwon 287 and Norm 6 were not detected in the aleurone layer in submerged soil(hypoxia) at 18~circC . β -amylase of cv. Janghyangdo was synthesized de novo in aleurone cells not in the scutellar epithelium. Degradation of starch granules in the endosperm near scutellar epithelium of c.v. Janghyangdo and Ginbozu, which have a strong β -amylase activity, was greater than that of cv. Suwon 287 and Norm 6 with no β -amylase activity in submerged soil(hypoxia) at 18~circC . This result may indicate that β -amylase gene expression and degradation of starch granules of germinating rice seed are related to the emergence of rice under the submerged soil condition at low temp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