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침굉 시가의 창작 동기와 지향

        육민수 ( Min Su Yook ) 반교어문학회 2013 泮橋語文硏究 Vol.0 No.34

        침굉(1616~1684)은 17세기의 불교 선사로서 선암사, 송광사, 징광사 등 주로 전라도 지역의 사찰에 주석하면서 쇠락한 불교계를 일으키고 타락한 수행 풍속을 일신하는 데 많은 힘을 쏟았다. 청정한 수행 가풍을 정립하기 위해 묵언회를 열고 가사 <태평곡>, <귀산곡>을 창작하였으며, 수행 생활 속에서 온축(蘊蓄)된 근원적 고뇌는 한시로 풀어냈다. 소요 태능의 법맥을 계승한 제일의 제자로서 선종(禪宗)을 이은 이력과 그 자신의 고난에 찬 체험이 바탕에 깔린 침굉의 실존적 목소리는 <태평곡>과 <귀산곡>에서 장엄하게 구현됨으로써 청정한 수행 가풍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였다. 일반적인 종류의 글로 수행 규칙을 적고 이를 암송하여 실천하도록 해도 되었겠지만 침굉은 문학 장르인 가사의 다양한 효용가치를 정확히 이해하고 있었고 또 적극적으로 활용한 것이다. 한편 침굉은 인간에 대한 깊은 배려심을 바탕으로 다양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점이 오히려 수행에 방해가 됨으로써 심각한 고뇌로 이어지게 되고 마침내 약을 써야 할 병[현기증]까지 얻게 되었다. 인간적 교유와 수행 사이의 갈등, 그리고 깨달음을 얻지 못한 데서 오는 이와 같은 내면의 고뇌를 응축하여 표출한 것이 바로 침굉의 한시이다. 현전하는 작품 중 이러한 고뇌를 직접 표출한 작품의 수는 비록 적지만 침굉 한시의 주조는 여기에서 찾아야 될 것이다. Korean orthography is established to what exists for grammatical interpretation, they marked the middle of the languages is closely related to the diachronic process. Synchronic grammatical function grammatical notation to identify and disclose the relationship may not work. ``부딪-/부딪치-/부딪히-`` in such a case, but derived from the actual grammar of the relationship so apparent; Can be perfected rev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rammatical not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at you consider all of the grammar of synchrony and diachrony.

      • KCI등재

        한국고전시가 분야에서의 주요 연구 성과와 기대지평

        육민수 ( Min Su Yook ) 한국한문학회 2015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7

        This article is to arrange the major research results and to expect the formal prospects in the field of Korean classical poetry. There are various ways to arrange the major research results of Korean classical poetry but I choose the method that focusing on the special issues of Korean classical poetry studies and surveying the representative discussions because It is the efficient way, I think. Korean classical poetry studies has been published 36 times since 1997 and it is placed the representative journal in the field of Korean classical poetry. I arranged the notable achievements from Korean classical poetry studies divided into 7 items such as genre theory, related aspect with a history of arts, study on thematic history, search for the new methodology, east Asiatic prospects, modernity and the paradigm of world literature and universal value of Korean classical poetry. On the other hand, I suggest 2 points, the restoration of unity with the world through song and pursuit of aesthetic of naturalness, as prospects for the future of Korean classical poetry. I arrange my thought what study on Korean classical poetry is focusing on search the statue as classic in our current life.

      • KCI등재

        이세보 애정시조의 표현 기법과 구성 양상

        육민수 ( Yook Min-su ) 국제어문학회(구 국제어문학연구회) 2021 국제어문 Vol.- No.89

        경평군(慶平君) 이세보(李世輔:1832∼1895)는 463수라는 최다 시조 작품을 창작한 작자이다. 그는 전대의 시조 담론뿐만 아니라 자기 작품의 구조, 시어, 발상 또한 차용하여 새로운 작품을 생성하였는데, 이 글에서는 이를 ‘다시 쓰기’로 명명하여 담화적 층위, 구조적 층위로 나누어 그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다작의 동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유졍:무졍’, ‘우숨:셔름’과 같은 대척점에 있는 시어들을 한 단어, 한 행, 한 작품 안에 압축·응집·치환하여 구성함으로써 애정 현장에서 나타나는 사랑의 충만과 이별의 결핍에서 발생하는 감정의 진폭을 효율적으로 형상화하였음을 밝혔다. 그리고 임을 두 유형으로 구분하여, 긍정적 임은 화자의 생각이나 상상 속, 혹은 미래나 꿈속의 임과 같은 가상적 특성이 농후한 존재인 반면, 부정적 임은 현실을 기반으로 모티프화된 존재임을 살펴 이세보가 이별이 일상인 풍류 애정 현장을 온전히 표현하고자 했음을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연작적 질서를 통해 이원적 시점의 확보, 사건의 시간적 전개, 대화, 장면 묘사 등이 가능해짐에 따라 현장감이 강화된 서술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xpression techniques and compositional aspects of the Sijo Lee Se-bo. He created new works using past sijos and his past works, which we will refer to as “rewrite.” I divided this rewrite into a discourse layer and a structural layer, examined its aspects, and found the cause of prolificity. The results showed that he effectively expressed feelings of fullness and deprivation by compressing poems with opposite meanings into his works. Additionally, his expression of love adopted two forms, a positive form as a character in the speaker’s imagination, and a negative one as a character existing in reality. Finally, the narrative aspect was found to be reinforced as securing a dual viewpoint, the temporal development of events, dialogue, and the description of scenes through a serial order became possib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여항 - 시정 가사의 담론 특성 -잡가집 수록 <과부가>를 중심으로-

        육민수 ( Min Su Yook ) 한민족어문학회 2013 韓民族語文學 Vol.0 No.65

        이 글에서는 여항-시정 문화권을 산출 기반으로 하는 가사 작품 중 <과부가>를 주요대상으로 삼아 그 담론 특성을 밝히려고 하였다. <과부가>를 연구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과부 담론의 보편적 정서라 할 수 있는 사별의 정한을 여항-시정 문화권에서는 이 문화권의 대표적 텍스트 생성 문법인 감상성과 자극성의 메커니즘 속에 활용하고 있는 점을 분명하게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었다. <과부가> 계열의 가사 작품(각편으로서)은 필자가 지금까지 조사한 바로는 15종이 있으며 이 중 13종은 규방문화권의 작품이며2종은 여항-시정 문화권의 작품이었다. 각편으로는 2종에 불과하지만 이 두 작품이 여항-시정 문화권에서 활발하게 향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항-시정 가사 2종은 <과부가>와 <쳥츈과부곡>인데 <과부가>는 14종의 이본이 있으며 <쳥츈과부곡>은 5종의 이본이 있다. 구체적 분석 과정에서는 여항-시정의 담론 특성을 온전히 간직하고 있는 <과부가>를 주요 대상으로 삼고, 이를 주로 규방문화권의 <과부가>류와 대비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실존적 성격을 지닌 인격적 서술자의 서술 유무, 사설 양상(부모 양육 대목과 혼인대목)의 차이, 동일 문화권 혹은 인접 문화권과의 공동담론 활용 등에 대하여 대비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규방문화권의 <과부가>류는, 작자의 실존성과 결합하여 과부로서의 고단한 일상을 일생 동안 살아야 할 처지에서 이에 매몰되지 않고 스스로‘주체로 서기’ 위하여, 그리고 同質的艱苦를 견뎌낸 규방 부녀자의 ‘共感’을 얻고 치유하기 위하여 창작되고 향유되었음을 파악하였다. 이에 비하여 여항-시정 가사 <과부가>는, 서술자의 애상적 탄식 대목의 집중적 서술, <규슈샹곡> 및 <사친가>류와의 공동담론의 활용, 인간 본연의 정감의 直情的토로 등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었는데, 이는 여항-시정 가사 <과부가>가 잡가집에 수록된 하나의 문화 상품으로서 작자의 실존성에 굳이 결합할 필요가 없는 텍스트이며, 불특정 계층인 도시 대중의 통속적 미감을 자극하기 위하여 산출된 작품이기 때문이라는 점을 고찰하였다. In this paper, I figured out the discoursive characteristics of Gasa works -especially <Guabu-ga> based on Yuhang - Sijung cultural area. The reason that studied the <Guabu-ga> is, it could clearly stand out the emotion of bereavement which is an universal emotion of the discourse about widow. This also could possible to stand out because the emotion was utilized in the mechanism of the stimulation and sentiment at Yuhang - Sijung cultural area. The number of Gasa works of <Guabu-ga> series(as a version) are 15 types in accordance with my investigation so far. 13 types of them are the works from a culture of boudoir, 2 types are from Yuhang - Sijung cultural area. There are only two types from Yuhang - Sijung cultural area but it was found that it had enjoyed actively in the cultural area. 2 types of Yuhang - Sijung Gasa are <Guabu-ga> and <Chyungchunguabu-gok>. There are 14 different editions of <Guabu-ga> and 5 different editions of <Chyungchungua- bu-gok>. In the course of the specific analysis, <Guabu-ga> kept characteristics of Yuhang - Sijung cultural area is the object and compared to <Guabu-ga> types of a culture of boudoir. The comparison is focused on whether being descriptions of the personal descriptor who has existing personality or not, differences of the aspect of phrases(on parts of marriage and supporting one`s parents) and the utilizing common discourse among the areas of adjacent culture or identical culture. As a result, <Guabu-ga> types of a culture of boudoir, combined with the existence of the author, were created and enjoyed in order to healing themselves, standing as a subject and gaining ‘sympathy’ by women from a boudoir who endured adversities. Compared to this, <Guabu-ga> from Yuhang - Sijung cultural area shows some characteristics such as concentrative depicting the part of sad sigh by the descriptor, using common discourses with <Gyusyusyangsa-gok> and <Sachin-ga> types, and sincere revealing emotions of human intrinsic because it was a work stimulating a popular esthetic sense to the random city public. There was no need to combine the existence of the author with <Guabu-ga> as a cultural goods included on the collections of Japga.

      • KCI등재

        백석정 신교의 국문시가에 나타난 담론 특성

        육민수 ( Yook Min-su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7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5

        백석정 신교(1641~1703)는 2편의 가사 작품과 22수의 시조 작품, 그리고 3편의 한시 작품을 남긴 인물로서 호서 지방을 대표할 수 있는 풍류시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가 남긴 적지 않은 작품에도 불구하고 본격적으로 문학적 특징을 논한 연구는 없는 형편이다. 그 이유는 신교 작품의 미적 수준이 탁월하다고 평할 만하지 못한 점이 주된 원인이다. 하지만 문학사의 주요 작품에만 관심을 갖는 연구자들의 연구 경향도 또 다른 원인이 된다. 백석정 신교의 작품은 세 가지 문학적 특징이 있다. 첫째, 귀거래(歸去來)에 대한 강한 지향을 보였다. 신교는 10년 가까운 관직 생활을 했는데 이 기간 중, 혹은 관직 생활을 마친 직후 귀거래를 바라는 작품을 집중적으로 창작하였다. 22수의 시조 작품 중에서 14수의 작품에서 귀거래 의식이 나타난다. 그뿐만 아니라 신교는 일반적 차원에서의 귀거래 의식뿐만 아니라 다소 독특한 차원에서의 귀거래 의식을 보여준다. 고향이 아닌 광주 임경정으로의 귀거래 의식이 그것인데, 이는 관직 생활에서 물러난 지 1년 안팎밖에 경과하지 않은 시점에서 강호 자연에 대한 지향과 정치적, 사회적 현실에 대한 지향이 착종되어 나타난 것이다. 둘째, 도도풍미(陶陶風味)를 추구했다는 것이다. `도도(陶陶)`는『시경집전』에 따르면 `화락지모(和樂之貌)`이다. 따라서 신교가 지향한 도도 풍미는 `화평하고 즐거운 풍류`라고 해석할 수 있는데, 순환론적 자연관과 순환론적 세계관에 기반을 둔 풍류 의식이다. 신교는 자연의 순환과 세계의 순환이 화평하고 즐거운 세계를 구현할 요체라는 인식 하에 山水와 거문고 등의 테마를 중심으로 이러한 내용을 작품에 구현하고자 하였다. 셋째, 신교 작품은 선행 문학담론을 많이 활용하였다. 정극인「상춘곡」의 “紅塵에 뭇친 분네 이 내 生涯 엇더ㅎㆍㄴ고”, 김상헌의 “가노라 三角山아 다시 보쟈 漢江水아”, 이순신의 “閑山셤 ㄷㆍㄹ ㅂㆍㄹ근 밤의 戍樓에 혼자 안자” 등 다수의 선행 문학담론을 차용하여 자신의 작품에 변용하여 사용하였다. 선행 작품 차용의 방식은 그대로의 모방보다는 자기화한 변용의 경우가 많았는데 대표적으로는 역사적 맥락의 강호시가화(江湖詩歌化)라고 할 수 있다. Baekseokjeong Shingyo(1641~1703) is a elegant poet who can represent Hoseo. He left 2 pieces of Gasa, 22 pieces of Sijo and 3 pieces of Chinese poetry. Despite the fact that he has not left much works, there is no in-depth research on his literary characteristics. The reason is that the aesthetic level of Shingyo`s works are not excellent enough to be outstanding. However, it is the another cause that research trends of researchers interested only in major works of literary history. There are thre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Baekseokjeong Shingyo`s works. First, it showed a strong tendency toward homecoming. Shingyo has been in public service for nearly 10 years, during this period, or after completing his official life, he intensively created works that desire to be transferred to home. 14 works out of 22 Sijo works, consciousness for homecoming are shown. Not only that, but the shingyo shows not only the ordinary consciousness for homecoming at the general level, but also the consciousness at the unique level. It is the consciousness of going to Limkyung-jung, not home[Gwangju]. This is because the aim toward the nature and the political and social reality has been entangled at a time when only about one year has elapsed from office life. The second is the pursuit of the `Dodopoongmi(陶陶風味)`. `Dodo(陶 陶)` means `和樂之貌` according to Sigyungjipjeon. Therefore, `Dodopoongmi` that Shingyo was aiming for can be interpreted as a `peaceful and pleasant Poongryu[love and enjoy the arts]`, which is based on the circularistic view of nature and the circularistic view of the world. Shingyo tried to realize the contents in the works centering on the themes of landscape[山水] and Geomungo under recognizing that the circulation of nature and the world are the key to realizing a peaceful and pleasant world. Thirdly, the Shingyo`s works utilized the antecedent literary discourses. He changed and used the several antecedent literary discourses in his works such as Jeong Keukin`s “紅塵에 뭇친 분네 이 내 生涯 엇더ㅎㆍㄴ고”, Kim Sangheun`s “가노라 三角山아 다시 보쟈 漢江水 아” and Lee seunshin`s “閑山셤 ㄷㆍㄹ ㅂㆍㄹ근 밤의 戍樓에 혼자 안자” etc. The way of deriving the antecedent works was rather changing as his version than the imitation as it is.

      • KCI등재
      • KCI등재

        강복중 시가문학의 담론 양상

        육민수 ( Yook Min Su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7 국제어문 Vol.0 No.74

        강복중(1563∼1639)은 17세기를 전후로 한 격동의 조선 사회에서 향촌 사대부로서의 삶을 살다간 인물이다. 65수의 많은 시조 작품과 2편의 가사 작품을 남기고 있어 17세기 시가 문학을 이해하는 데 꼭 짚고 넘어가야 할 작가이다. 이 연구에서는 그의 문학 작품의 세 가지 특성을 고찰하였다. 첫째, 17세기 『주자가례』의 도입에 따라 부계 조상 중심의 친족 개념 및 그에 따른 同氣意識이 새롭게 형성되었는데 강복중은 이러한 새로운 사회적 분위기 하에서 효행으로 芳名을 남긴 고조 강응정을 정신적 지주로 삼아 두 가지 방향에서 同氣意識의 실천에 힘썼다. 이념적 방향은 강응정의 효 정신과 실천력을 따라서 자기 스스로도 至孝의 삶을 사는 것이었으며, 현실적 방향은 강응정의 분산을 수호·회복하고 가문의 현실적 힘을 확대하는 것이었다. 둘째, 강복중의 강호시가 작품은 <수월정청흥가>로 종합되어 있는데 이 작품에서 강호자연은 그의 실존적 삶의 동반자이며 조력자로서 제시된다. 갈마산, 율령천을 선조의 유촉이 담긴 효자산천으로 이해했다고 하는데 이것이 그의 독특한 자연인식의 밑거름이 된 것이다. 따라서 강복중에게 강호자연 遊賞은 선현의 효행을 본받고 同氣意識을 실현하는 행동의 일환이었다. 셋째, 강복중 작품의 非整齊性과 非洗練性의 이유를 <위군위친통곡가>를 대상으로 삼아 가사 장르의 진술 특성과 연관지어 해석하였다. 가사는 1인칭 인격적 서술자에 의해 진술되는데, 분산 쟁송에 얽힌 삶을 진술하는 과정에서 이 인격적 서술자가 작품 전체를 객관적으로 統御하지 못한 채과도하게 몰입하게 됨으로써 작품의 非整齊性, 非洗練性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Kangbokjoong(1563∼1639) was a person who lived as a local gentry man of the Joseon Dynasty during the turbulent era around the 17th century. He created 65 works of Sijo and 2 works of Gasa and is a writer who must be clear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literature of 17th century poetry. I examined his literary works from three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First, in the 17th century, the adoption of Joojagarye led to the creation of a new concept of kinship based on the paternal line and same family consciousness[同氣意識]. Kangbokjoong tried to practice the same family consciousness in two directions. The ideological direction was to live a life of extreme filial affection according to the filial duty spirit of Kangeungjeong and his practical power. The realistic direction was to expand the power of the family according to protect and restore the dispersed property of Kangeungjeong. Second, Kangbogjoong`s poetry of the idealistic nature is synthesized as < Soowoljeongcheongheung-ga >, where the nature is presented as a companion and assistant of his existential life. It is said that he understood the Galma-san and Yulryeong-chun as the filial son`s mountain and river which contain the entrustment of the ancestors, which became the basis of his unique natural perception. Therefore, the remained reward of the idealistic nature was a part of behaviors to realize the same family consciousness and emulate the filial behavior of ancient sages to Kangbokjoong. Third, the reason of non-refinement and non-sophistication of Kangbokjoong`s works was analyzed in relation to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Gasa genre through < Wigunwichintonggok-ga >. The Gasa is described by the first-person personal narrator. In the process of expressing the life involved in the diversification dispute about the dispersed property, the personal narrator immersed in the situation deeply without being able to control the whole work. It brings the problems of non-refinement and non-sophistication to the works.

      • KCI등재

        시조 텍스트의 인물 소재의 양상과 이미지에 대한 탐구 (2) -『고시조대전』 작품에 등장한 강태공, 도연명, 유영을 중심으로-

        육민수 ( Min-su Yook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6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0

        이 글은『고시조대전』에 수록된 5,563수의 시조에서 강태공, 도연명, 유영 등의 인물 소재가 어떤 이미지로 구현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우선 인물별로 얼마나 다양한 이미지로 제시되었는지를 검토하고 작품별가집 수록 빈도를 정리한 후 가집 최고 수록 빈도 작품을 대상으로 이미지 구현의 실제 양상을 자세하게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강태공은 ‘위수변에서 주 문왕을 만나 주나라의 대업을 이룬 인물’ 등 네 유형의 이미지로 제시되었으며 가집 최고 수록 빈도 작품(『고시조대전』 4237번/44종 가집 수록)은 주로 19세기 후반 이후부터 20세기 초·중반의 시조집에 집중적으로 수록되었다는 특징이 있었다. 한편 도연명은 ‘귀거래를 한 인물’ 등 다섯 유형의 이미지로 제시되었으며 가집 최고 수록 빈도 작품(『고시조대전』5495번/73종 가집 수록)은 1761년에 편찬된『해아수』부터 1946년의『조선고전가사집』에까지 광범위하면서도 오랫동안 전승된 인기 있는 작품이었음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영은 ‘술과 관련된 인물’이라는 이미지만으로 제시된 점이 특징이었으며 가집최고 수록 빈도 작품(『고시조대전』2268번/66종 가집 수록)은 1728년에 편찬된 진본『청구영언』부터 1946년에 편찬된『조선고전가사집』에 이르기까지 200년이 넘는 장구한 세월 동안 인기를 누렸다. 이 논의에서는 인물 소재의 이미지 구현 양상을 가집 수록 빈도를 고려하여 파악함으로써 향유층의 실질적 호감도를 보다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었다. This paper is to study the patterns of the characteristic materials recorded on 5,563 Sijo included in Unabridged Dictionary of Gosijo. There are 493 People who are used as a material in the works that has been recorded in Unabridged Dictionary of Gosijo. The frequency of appearance is following in descending order. Jiang Shang, Tao Yan Ming and Liu Ling was appeared 29 times. In this paper, I present comprehensively the various implemented images by the characters and I analyzed the frequency of contain in collections of poems by works. Focused on the most included Sijo of the works, I examine the aspects of realization of the representative characters. As a result, Jiang Shang has imagined as a great strategist, helped the first king of the Zhou dynasty overthrow the Shang dynasty. Tao Yan Ming also has imagined as a person who had homecoming after his resignation from a government office. Liu Ling has imagined as a person who has reminded alcohol. I consider not only the frequency of appearance in an unit of the individual work but consider the frequency of contain in collections of poems. So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degrees of enjoying the characteristic materials more precisely. A discussion as above has the significance as a groundwork to reveal aesthetic charac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