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언사>의 담론 특성과 텍스트 형성

        육민수 동양고전학회 2013 東洋古典硏究 Vol.0 No.52

        이 글은 <만언사>의 산출 기반이 여항-시정 문화권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기존 논의에서는 <만언사>의 특성을 양면성, 즉 사대부 문학 특성과 서민 문학 특성의 공존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이는 작자의 신분이 중인이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으로 보았다. 하지만 <만언사>의 양면성은 작자의 신분이 중인이어서 나타난 현상이기보다는 사대부 문화권, 서민 문화권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원천 소재를 가져오되 이를 불특정 다수 대중의 흥미와 관심에 따라 새롭게 재창조하는 여항-시정 문화권에서 <만언사>가 산출되었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만언사>의 산출 기반이 여항-시정 문화권임을 밝히기 위해 <만언사>가 첫째, 공동 담론에 의한 사설 짜임, 둘째, 반복적 확장을 통한 흥미성의 제고, 셋째, 대중적 전고의 나열이라는 여항-시정 문화권의 텍스트 형성 문법을 따르고 있음을 논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만언사>는 조선왕조실록 순조 10년의 변창감 처벌 사건과 상당히 흡사한데 이 사건이 궁중을 중심으로 회자되다가 여항-시정의 재미있는 이야기 거리가 되고 <만언사> 산출자가 이 소재를 중심에 두고 여항-시정의 공동 담론화 한 사설을 엮어 텍스트를 산출했을 개연성이 높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만언사>는 실존적이며 역사적인 개인에 의해 진지성을 기반으로 하여 텍스트가 산출된 것이 아니라, 여항-시정 문화권의 텍스트 형성 문법에 따라 대중 독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것이면서 동시에 유배라는 문맥에 걸맞은 소재들을 선택하되, 작자성을 상실하고 공동 담론화 한 텍스트의 사설들을 엮어 풍부한 읽을거리를 갖춘 대중적 독서물로서 산출된 것이다. I determined that had been created from the Yeohang-civic culture through this article. For now, most discussions have figured characteristics of out the double-sided character like the coexistence of the characteristics both gentry literature and popular literature. This situation was understood what had happened because of author’s social position as the middle class of people. But the double-sided character of is not come from its author’s position. The situation is come from that was created from the Yeohang-civic culture which newly recreated the original materials from both sides gentry culture and popular culture by the concern and interest of the unspecific general public. I take notice of the three points to determine the base of is the Yeohang-civic culture. First, the lyric of was organized by the joint discussion. Second, interest was reconsidered through repeated extensions. At last, it was followed the text developing grammar of the Yeohang-civic culture. In addition, is highly probable to being created by compiling other lyrics based on Byon Chang-gam incident in Sunjo 10th year written o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I studied that the incident was turned on the famous story at the Yeohang-civic culture after it had been the talk of the court, and then the author of compiled lyrics which had been the joint discussion of the Yeohang-civic culture. is not created of being based on the seriousness by a historical and existential individual. Although the materials of had been selected by both inducing interest of public readers through the text developing grammar of the Yeohang-civic culture and commensurating with the context as the main theme ‘exile’, was compiled of the texts which had lost its authorial tendency and had been the joint discussion of the time. was created as a reading for the general public including plenty interested reading matters.

      • KCI등재

        초한고사를 소재로 한 국문시가 장르의 실현 양상

        육민수 동양고전학회 2014 東洋古典硏究 Vol.0 No.54

        이 글은 초한고사를 소재로 한 국문시가 장르 중에서 가사, 시조, 잡가를 대상으로 하여 그 실현 양상과 특성을 살펴보 았다. 초한고사는 중세 지식인의 기초적 역사․문예 담론으로서, 『서한연의』등의 연의류, <초한전>, <항우전>과 같 은 소설 및 수십 종의 목판본, <초한가>(잡가․단가) 및 <우미인가>(가사)와 수십 종의 이본들, 백여 편에 이르는 초한고 사 소재 시조, 서거정의 <虞美人辭>, 신흠의 <鴻門謠>와 같은 한문학 작품 등 거의 모든 장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 큼 광범위한 범주에서 그 문예적 가치를 실현시켜 왔다. 그중 이 글에서는 가사, 시조, 잡가를 대상으로 고찰하였다. 우 선 초한고사 소재 가사는 규방 문화권에서 주로 향유된 <우미인가>를 대상으로 삼아, 이 텍스트가 당대의 시대 담론인 여항-시정 문화권의 영향력과 실질적 향유 공간인 규방 문화권의 특성이 텍스트 안에 혼효됨으로써, 통속화된 역사와 규범적 이념의 交織이라는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시조의 경우에는 초한고사 속 인물 중 항우가 가장 많이 시조화 하였기 때문에 항우가 등장하는 시조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항우는 천하장사(영웅)나 우미인과 이별하는 인물 로 이미지화 한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시조 향유 공간의 연희적 특성에 起因하는 것으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잡가는 낯 익은 역사 담론의 자극적 재편이라는 특성을 중심으로 실현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초한가>가 선행 담론인 『서한연의』의 내용을 원천으로 삼았지만 그대로 변용하기만 한 것은 아니며 도시 대중의 흥미를 끌기 위해 悲感의 深化나 현 실화, 유행하는 이미지의 활용과 같은, 정감을 자극할 수 있는 방향으로 텍스트가 짜였음을 논하였다. This article is to search the aspects of realiz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Gasa, Sijo, Japga among the Korean poetry genre based on Chohan-gosa. Chohan-gosa is a basic literary and historic discourse for the medieval intellectuals. The story had been realized its own literary value at almost every genres such as Chinese literature, novels, Gasa, Japga and Sijo etc. I focused on Gasa, Sijo and Japga among the genres in this article. First of all, I subjected to Wumiin-ga enjoyed in a area of boudoir culture from Gasa based on Chohan-gosa. I catch the meaning that the text has a characteristic that popularized history and normative ideology are mingled in through it. In the case of Sijo, I focused on the Sijo which Xiang Yu is appeared in because Xiang Yu has been most quoted person from people of Chohan-gosa. Xiang Yu was described as a strong man[hero] or a man who part with the beauty Wu. I understand that this point is caused by the theatricalized characteristic of the place where Sijo have been played. For the last time, Japga is played with the characteristic of stimulative reediting of the familiar normative ideology. Chohan-ga is based on contexts of former discourse eohan-yeonui but it was not plagiarized. Chohan-ga was organized for the way which attracted the interest of the public and stimulated the emotion of the public through using popular imagery or intensifying the sorrow.

      • KCI등재

        18세기 가집 편찬의 두 가지 문제에 대한 탐색 -『병와가곡집』 편찬 시기와 『청진』의 위상을 중심으로-

        육민수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1 No.2

        Byeongwagagokjip is the important collection of poems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alities of performing Korean songs and the compositions of compiling the collections at the late Chosun dynasty. Byeongwagagokjip has been compiled in the late 18th century, but there are several issues which are verified the book had been complied in early 18th century. Compiling <Hyobinga>․<Nongamga> and <Saengilga> was based on Guijeonrock(1553 or its copy edition). I research the possibilities that Byungga was compiled in early 18th century by Lee Hyung-sang through the lyrics were made in 18th century faster than Haebak, Sibak, Chungjang. In the other hand, Kim Cheon-taek’s works were compiled restrictively in later collections of poems differ to other works and his works were com- piled in few collections of poems of the front and rear 18th century. Through the points, I revealed that the probability which Kim Cheon-taek had added and compiled his works and some works to Chungjin based on the former collections of poems is high. According to this reason, I argue that the statue of Chungjin to date is reconsidered 『병가』의 最終 編纂은 18세기 후반에 이루어졌지만 『병가』에는 18세기 초반에 편찬된 정보 또한 존재한다. 『병가』의 「효빈가」․「농암가」․「생일가」는 농암 이현보의 『귀전록』(1553, 혹은 그 사본)을 저본으로 삼아 收錄된 것인데, 그 노랫말이 『해박』, 『시박』, 『청장』보다 빠른 18세기 초반의 것이라는 점을 통해 이형상에 의하여 『병가』 편찬이 18세기 초반에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한편 『청진』에 수록된 김천택의 작품이 여타 작가들의 작품이 활발하게 수록된 것과는 다르게 이후 가집에 제한적으로 수록되어 있는 점, 그리고 김천택 작품이 18세기 전후의 소수 歌集에만 수록되어 있는 점을 통해, 『청진』은 『청진』 이전의 어떤 가집을 저본으로 삼아 김천택이 여기에 자신의 작품 및 몇몇 작품을 추가하여 編纂했을 개연성이 높다는 것을 밝혔으며 이에 따라 지금까지의 『청진』의 位相은 재고되어야 한다는 점을 논하였다.

      • KCI등재

        가사 < 오륜가(五倫歌)> 의 담론 양상

        육민수 한국시가학회 2001 韓國 詩歌硏究 Vol.9 No.-

        The object of this writing is to study the discourse modality of the text of Kasa titled (Oryunka). Of Kasas titled (Oryunka). most of them which we know the time of precisely were the works from late 19th century to the mid 20th century. Among them, we see the discussion in text of (Oryunka) 'Kyujangkakbon'. 'Jangseokakbon', 『Jangpyunkajib』 and 『Chodangmundab』. In (Oryunka) of Hwang-rib, the writer clarified motives of <Oryunka> because lewdness spread among the people, that disgraced public morals, therefore, the country was not civil. And to refine the public morals, he wrote <Oryunka> composed elaborately by Hwang-rib existed a narrator. We see these features in a narration of listner-oriente, an order, the closing end of a word and a conclusive usage. Compared with it, 'Kyujangkakbon', an alternate version of Hwang-ribs <Oryunka>, said in addition q prevalent idiomatic expression those days an excessive expansion of a narration. The aspect meant that the text lose the author's nature, therefore, the intention of purifying the public diluted. The dilution of the purifying in <Oryunka> meant the loss of a transmission of Sung Confucianism idea and an individual enjoyment faking an author's nature. However, because 'Oryun' included the characteristics showing practical principles of daily life though the work was enjoyed personally by an narration losing an author's nature. Like this there are 『Jangpyunkajib』-<Oryunka> and 『Chodangmundab』-<Oryunka> which were enjoyed cultually. But texts have different characters, the object of 『Chodangmundab』-<Oryunka> was culture, that of 『Jangpyunkajib』-<Oryunka> was an enjoyment. In this manner <Oryunka> was created as an enlightment modality. but it was enioyed as a culture modality. With an elaborate plot based an author's nature, <Oryunka> as an enlightment modality presented the public theme, showed a thought and an act in accord with the Sung Confucianism principles. Compared with it, because <Oryunka> as a culture modality lost the author's nature, the plot of it became loose. Therefore, it was enjoyed a culture level, diluting the meaning, the key of a ruling idea.

      • KCI등재
      • 『農夫歌』類 작품의 談論 樣相

        육민수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14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gure out an aspect of the discourse of Nongboogatype works. Between 17th century and early 20th century, many Nongbooga typeworks were produced formed various genre such as Gasa(歌辭), gapga(雜歌) andyoohaengminyo(流行民謠). I study Nongbooga type Gasa(歌辭) by focusing onNongbooga(「농부가」) by Choi Nae hyun. This text let people know the ideas ofNeo-Confucianism and practice them in their lives. This text performed at the samepossessed places with Oryunga's. In the other hand, I also study Nongbooga typegapga(雜歌) and yoohaengminyo(流行民謠) by focusing on Nongbooga(「농부가」)from the compendium of traditional Korean songs and Shinjye Nongbooga(「신졔농부가」). These texts were mainly enjoyed at the places for playing. The lyrics havemany overlapping parts with other texts because they were edited with similaremotions. 이 글은 「농부가」류 작품의 담론 양상을 살피는 데 목적을 두었다. 17~20세기초, 가사를 비롯해 잡가, 유행민요 등 다양한 장르에서 「농부가」가 산출되었는데,「농부가」류 가사는 교훈 대상에게 성리학적 이념과 질서를 알게 하고 또 이를 현실에서 실천하게 하는 교화 담론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오륜가」와 동일한 향유 공간에서 실현되었음을 최내현의 「농부가」를 주요 논의 대상으로 삼아 고찰하였다. 한편 잡가 및 유행민요 「농부가」는 주로 유흥(놀이) 공간에서 향유되었으며, 노랫말이 다른 텍스트와 많은 부분이 닮아 있어, 개인 창작이라기보다는 동일 담론 공간에서 형성된 텍스트라는 점을 「신졔 농부가」 및 『한국가창대계』「농부가」를 대상으로 삼아 살폈다. 교화 담론으로서의 「농부가」인가 유흥 담론으로서의 「농부가」인가에 따라 농부의 작품 속 의미도 다르게 나타났는데, 전자의 경우는 교화의 대상으로서 후자의 경우는 정서적 상관물로서의 의미를 지녔음을고찰하였다.

      • KCI등재

        「居昌歌」 敍述 構造의 특성

        육민수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5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3 No.1

        The pattern of the first half part of which had criticized the reality of the 19th century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latter half part. In the latter half part describes the real state of affairs that the people of Geochang had experienced under the greedy corrupt official. The first half part, on the contrary, has contents that describes landscape of Hanyang or Let's playing until they died. It is described as a familiar expression as if we have ever seen it somewhere. Clearly, Kasa Geo- changga was written to accuse reality of Geochang. But, the first half part has a form of description that is made up of heterogeneous and familiar contents. Through the text of the first half part, people intented to circulate it rapidly and widely make relation to public opinion all over the nation. Kasa Geochangga has two sided system like this. While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passing down(transmitting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t showed an aspect that moves a point of description. In the end, the text is circulated that called Ejo- Geochangga or Geocheonggira without mentioning the problems of Geochang. 19세기 현실비판 가사인 居昌歌는 前半部와 後半部의 서술 패턴이 異質的이다. 후반부에서는 居昌民이 겪는 貪虐의 실상이 핍진하게 그려지고 있는데 비하여, 전반부에서는 이와 관련없는 내용, 즉 漢陽의 風物을 서술하거나 혹은 人生을 마치기 전에 놀아보자는 내용이 어디에선가 본 것 같은 낯익은 表現으로 서술되어 있다. 거창 현실을 고발하고자 한 거창가에서 전반부를 이처럼 이질적이면서도 낯익은 서술 패턴으로 構成한 것은, 텍스트의 活潑한 流通을 통해 거창 문제를 廣範圍하고도 빠르게 公論化하려 한 의도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二元的 敍述 構造를 지닌 거창가는 享有 過程에서 향유자들이 敍述의 焦點을, 거창 현실을 보고하는 후반부에서 태평 성대의 구가를 말하는 전반부로 옮겨가며 향유하는 양상을 보이는데, 그 결과 거창 문제를 언급하지 않고도 이조거창가나 거??기라라는 제목을 지닌 텍스트가 유통된다.

      • KCI등재

        백석정 신교의 국문시가에 나타난 담론 특성

        육민수 ( Yook Min-su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7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5

        백석정 신교(1641~1703)는 2편의 가사 작품과 22수의 시조 작품, 그리고 3편의 한시 작품을 남긴 인물로서 호서 지방을 대표할 수 있는 풍류시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가 남긴 적지 않은 작품에도 불구하고 본격적으로 문학적 특징을 논한 연구는 없는 형편이다. 그 이유는 신교 작품의 미적 수준이 탁월하다고 평할 만하지 못한 점이 주된 원인이다. 하지만 문학사의 주요 작품에만 관심을 갖는 연구자들의 연구 경향도 또 다른 원인이 된다. 백석정 신교의 작품은 세 가지 문학적 특징이 있다. 첫째, 귀거래(歸去來)에 대한 강한 지향을 보였다. 신교는 10년 가까운 관직 생활을 했는데 이 기간 중, 혹은 관직 생활을 마친 직후 귀거래를 바라는 작품을 집중적으로 창작하였다. 22수의 시조 작품 중에서 14수의 작품에서 귀거래 의식이 나타난다. 그뿐만 아니라 신교는 일반적 차원에서의 귀거래 의식뿐만 아니라 다소 독특한 차원에서의 귀거래 의식을 보여준다. 고향이 아닌 광주 임경정으로의 귀거래 의식이 그것인데, 이는 관직 생활에서 물러난 지 1년 안팎밖에 경과하지 않은 시점에서 강호 자연에 대한 지향과 정치적, 사회적 현실에 대한 지향이 착종되어 나타난 것이다. 둘째, 도도풍미(陶陶風味)를 추구했다는 것이다. `도도(陶陶)`는『시경집전』에 따르면 `화락지모(和樂之貌)`이다. 따라서 신교가 지향한 도도 풍미는 `화평하고 즐거운 풍류`라고 해석할 수 있는데, 순환론적 자연관과 순환론적 세계관에 기반을 둔 풍류 의식이다. 신교는 자연의 순환과 세계의 순환이 화평하고 즐거운 세계를 구현할 요체라는 인식 하에 山水와 거문고 등의 테마를 중심으로 이러한 내용을 작품에 구현하고자 하였다. 셋째, 신교 작품은 선행 문학담론을 많이 활용하였다. 정극인「상춘곡」의 “紅塵에 뭇친 분네 이 내 生涯 엇더ㅎㆍㄴ고”, 김상헌의 “가노라 三角山아 다시 보쟈 漢江水아”, 이순신의 “閑山셤 ㄷㆍㄹ ㅂㆍㄹ근 밤의 戍樓에 혼자 안자” 등 다수의 선행 문학담론을 차용하여 자신의 작품에 변용하여 사용하였다. 선행 작품 차용의 방식은 그대로의 모방보다는 자기화한 변용의 경우가 많았는데 대표적으로는 역사적 맥락의 강호시가화(江湖詩歌化)라고 할 수 있다. Baekseokjeong Shingyo(1641~1703) is a elegant poet who can represent Hoseo. He left 2 pieces of Gasa, 22 pieces of Sijo and 3 pieces of Chinese poetry. Despite the fact that he has not left much works, there is no in-depth research on his literary characteristics. The reason is that the aesthetic level of Shingyo`s works are not excellent enough to be outstanding. However, it is the another cause that research trends of researchers interested only in major works of literary history. There are thre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Baekseokjeong Shingyo`s works. First, it showed a strong tendency toward homecoming. Shingyo has been in public service for nearly 10 years, during this period, or after completing his official life, he intensively created works that desire to be transferred to home. 14 works out of 22 Sijo works, consciousness for homecoming are shown. Not only that, but the shingyo shows not only the ordinary consciousness for homecoming at the general level, but also the consciousness at the unique level. It is the consciousness of going to Limkyung-jung, not home[Gwangju]. This is because the aim toward the nature and the political and social reality has been entangled at a time when only about one year has elapsed from office life. The second is the pursuit of the `Dodopoongmi(陶陶風味)`. `Dodo(陶 陶)` means `和樂之貌` according to Sigyungjipjeon. Therefore, `Dodopoongmi` that Shingyo was aiming for can be interpreted as a `peaceful and pleasant Poongryu[love and enjoy the arts]`, which is based on the circularistic view of nature and the circularistic view of the world. Shingyo tried to realize the contents in the works centering on the themes of landscape[山水] and Geomungo under recognizing that the circulation of nature and the world are the key to realizing a peaceful and pleasant world. Thirdly, the Shingyo`s works utilized the antecedent literary discourses. He changed and used the several antecedent literary discourses in his works such as Jeong Keukin`s “紅塵에 뭇친 분네 이 내 生涯 엇더ㅎㆍㄴ고”, Kim Sangheun`s “가노라 三角山아 다시 보쟈 漢江水 아” and Lee seunshin`s “閑山셤 ㄷㆍㄹ ㅂㆍㄹ근 밤의 戍樓에 혼자 안자” etc. The way of deriving the antecedent works was rather changing as his version than the imitation as it is.

      • KCI등재

        이세보 애정시조의 표현 기법과 구성 양상

        육민수 ( Yook Min-su ) 국제어문학회(구 국제어문학연구회) 2021 국제어문 Vol.- No.89

        경평군(慶平君) 이세보(李世輔:1832∼1895)는 463수라는 최다 시조 작품을 창작한 작자이다. 그는 전대의 시조 담론뿐만 아니라 자기 작품의 구조, 시어, 발상 또한 차용하여 새로운 작품을 생성하였는데, 이 글에서는 이를 ‘다시 쓰기’로 명명하여 담화적 층위, 구조적 층위로 나누어 그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다작의 동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유졍:무졍’, ‘우숨:셔름’과 같은 대척점에 있는 시어들을 한 단어, 한 행, 한 작품 안에 압축·응집·치환하여 구성함으로써 애정 현장에서 나타나는 사랑의 충만과 이별의 결핍에서 발생하는 감정의 진폭을 효율적으로 형상화하였음을 밝혔다. 그리고 임을 두 유형으로 구분하여, 긍정적 임은 화자의 생각이나 상상 속, 혹은 미래나 꿈속의 임과 같은 가상적 특성이 농후한 존재인 반면, 부정적 임은 현실을 기반으로 모티프화된 존재임을 살펴 이세보가 이별이 일상인 풍류 애정 현장을 온전히 표현하고자 했음을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연작적 질서를 통해 이원적 시점의 확보, 사건의 시간적 전개, 대화, 장면 묘사 등이 가능해짐에 따라 현장감이 강화된 서술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xpression techniques and compositional aspects of the Sijo Lee Se-bo. He created new works using past sijos and his past works, which we will refer to as “rewrite.” I divided this rewrite into a discourse layer and a structural layer, examined its aspects, and found the cause of prolificity. The results showed that he effectively expressed feelings of fullness and deprivation by compressing poems with opposite meanings into his works. Additionally, his expression of love adopted two forms, a positive form as a character in the speaker’s imagination, and a negative one as a character existing in reality. Finally, the narrative aspect was found to be reinforced as securing a dual viewpoint, the temporal development of events, dialogue, and the description of scenes through a serial order became possib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