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교사의 교원학습공동체 연구 동향 분석

        유희경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유아교사의 교원학습공동체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2003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20년간 RISS에 탑재된 국내 KCI 등재(후보)지 총 92편이다. 최종 선정된 분석대상 논문의 연도별, 대상별 동향을 알아보고, 키워드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주요 키워드와 키워드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연구의 현황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의 교원학습공동체 연구의 연도별, 대상별 연구 동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교사의 교원학습공동체 연구의 주요 키워드는 무엇인가? 연구문제 3. 유아교사의 교원학습공동체 연구의 주요 키워드 사이의 중심성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교원학습공동체 관련 연구의 연도별, 대상별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최근 3년간(2020년부터 2022년) 연구가 전체의 56.5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별로는 유치원교사가 41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어린이집교사가 22편, 예비교사가 12편, 혼합대상논문 이 10편, 그리고 기타와 관리자 논문이 각각 5편과 2편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원학습공동체 연구와 관련된 주요 키워드를 분석하였다. 키워드 추출 및 정제 작업을 통해 총 345개의 키워드가 산출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주요 키워드의 출현 빈도, 가중치, N-gram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세 가지 분석의 결과는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주요 키워드로는 ‘교사학습공동체’, ‘교육현장전문가’, ‘놀이중심교육과정’, ‘연구방법’, ‘수업모델’, ‘전문성’, ‘유아교육기관’, ‘수업활동’ ‘교사역량’, ‘협력학습’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요 키워드 사이의 연결 정도 중심성은 분석하였다. ‘교사학습공동체’, ‘교육현장전문가’, ‘놀이중심교육과정’, ‘연구방법’, ‘수업모델’, ‘전문성’, ‘유아교육기관’과 같은 키워드가 연결 정도 중심성이 높은 노드로 확인되었다. 이는 키워드들이 서로 간에 정보 교류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유아교사의 교원학습공동체에 관한 향후 연구가 보다 다양한 주제로 확대돼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 learning communit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a total of 92 KCI registered (candidates) in Korea that have been shared in RISS over the past 20 years from 2003 to 2022. Trends by year and target of the finally selected analysis target paper were investiga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keywords and general keywords was examined using the keyword network. Through this, it provides basic data that identifies the current status of the research and presen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research tren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 learning community research by year and by target? 2. What are the main keyword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research o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3. What is the centrality between the main keywor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earch o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trend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esearch related to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by year and by target were examined. Research trends by year, the research over the past three years (from 2020 to 2022) accounted for 56.53% of the total. By target, kindergarten teachers were the most common in 41 articles, 22 articles for daycare center teachers, 12 articles for pre-service teachers, 10 articles for mixed target, and 5 articles for others, and 2 articles for administrators were found in order. Second, the major keywords related to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esearch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keyword extraction and refinement, there were 341 major keywords in total related to the research. Based on this, keyword frequency of appearance analysis, keyword weight analysis, and N-gram analysis of major keyword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se three analyses showed similar results. And the main keywords were 'teacher learning community', 'educational field expert', 'play-oriented curriculum', 'research method', 'class model', 'professionalism',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class activity', 'teacher competency', and 'cooperative learning'. Third, the centrality of the degree of connection between major keywords was analyzed. Keywords such as ‘teacher learning community’, ‘educational field experts’, ‘play-oriented curriculum’, ‘research methods’, ‘class models’, ‘professionalism’. and ‘early education institutions’ have been identified as nodes with a high degree of centrality. It shows that keywords are actively exchanging information with each o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uture research o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expanded to more diverse topics.

      • 대학생의 자기초점주의 성향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유희경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초점주의 성향, 대학생활적응, 사회적지지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기초점주의 성향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도, 천안시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73명을 대상으로 자기초점주의 성향, 대학생활적응, 사회적지지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SPSS 24.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 문제는 첫째, 대학생의 자기초점주의 성향, 대학생활적응, 사회적지지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대학생의 자기초점주의 성향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는 매개를 하는가? 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일반적 자기초점주의 성향, 대학생활적응, 사회적지지의 관계에서 대학생들은 일반적 자기초점주의 수준이 대학생활적응 전체 및 사회적지지의 하위요인인 정서적적응, 신체적적응과는 낮을수록 부정적이었고, 사회적적응과 친구지지는 높을수록 긍정적이었다. 그리고 학업적적응, 대학에 대한 애착, 사회적지지 전체, 부모지지, 교수지지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자기몰입, 대학생활적응, 사회적지지의 관계에서 대학생들은 자기몰입이 대학생활적응 전체, 정서적적응, 신체적적응, 학업적적응, 대학에 대한 애착, 사회적 적응, 친구지지, 부모지지가 낮을수록 부정적이었고 교수지지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처럼 일반적 자기초점주의는 부적, 정적으로 낮은 관련성을, 자기몰입은 부적으로 높은 관련성을, 그리고 유의미하지 않은 상관으로 혼재된 결과를 나타냈다. 둘째, 부모지지, 교수지지, 친구지지는 일반적 자기초점주의 성향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모두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자기초점주의는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부모지지, 교수지지, 친구지지를 통해 두 변인 간에는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모지지, 친구지지는 자기몰입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수지지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자기초점주의의 부적절한 조절로 부적응을 호소하는 대학생들에게는, 자기 내면의 특성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에 있어 주의가 점유되지 않는 수준으로 적절한 융통성을 발휘하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대학생 자신이 가지고 있는 긍정적 지지자원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확장할 수 있도록 도우며, 상담 장면에서는 효과적인 자각과 통찰을 도와 적절한 자기초점주의의 조절이 적응적인 대학생활에 긍정적임을 파악하고 상담 목표를 설정하여 개입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주제어: 일반적 자기초점주의 성향, 자기몰입, 대학생활적응, 사회적지지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focused attenti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social support for college stud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between being self-focused attention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3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Cheonan City and collected data from the survey by using scales of self-focused attenti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social support.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4.0. The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self-focused attenti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Second, the question is whether the social support is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focused attention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university students' general self-focused Attentio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social support, university students were negative when the general self-focused Attention level was lower in emotional adaptation and physical adaptation, the sub-factor of social support, the higher the social adaptation and friendliness, the more positive. And the academic adaptation, attachment to college, social support, parent, and support were not significant. Next, in relation to self-absorptio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social support, college students found self-absorbing negative as a whole in adapting to college life, emotional adaptation, physical adaptation, academic adaptation, attachment to college, social adaptation, friend support and parent support were lower, and teaching status was not significant. Such general self-focus resulted in amulets, statistically low associations, self-involved high associations, and non-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parents' support, professors' support and friends' support were found to have no mediated effect in both their general self-focus tendencies and their relationship to college life adaptation. While general self-focus affects the adaptation of college life, it is found that parents support professors and friends do not intervene between the two sides. And it turns out that support of parents and friend support partially correlates with self-absorbing and college life adaptation, and teaching support is not mediated. These results could help college students who complain of disconformity with inadequate control of self-focused Attention, to exercise adequate flexibility to a level where attention is not taken to their inner characteristics. And helping to raise and expand awareness of the positive support resources that college students themselves have, and helping them gain effective awareness and insight in the counseling scene, identifying that the proper control of self-focus is positive in the adaptive college life, and intervening by setting consultation goals. Key words: general self-focused attention, self-absorbed, adaptation to college life, social support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오류에 대한 온라인 피드백 효과 연구 : 태국인 초급 학습자의 문법 오류를 중심으로

        유희경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ffect of Online Feedback o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Learner’s Writing Errors : Focusing on Grammar Errors by Beginners in Korean in Thailand Yoo, Hee Kyung Department of Global Korean Studies The Graduate School of Culture Creation Kyung Hee Cyber University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grammar errors in writing from Thai students, who major i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KSL), and to assess the effects of reducing the grammar errors in various online feedbacks. For the research, there are 52 KSL participants from Mahasarakham University, classified into 3 groups such as: online explicit feedback, online implicit feedback, and online metalinguistic feedback group. This study examines the way that all participants from each group write tasks in different genres using LINE(Social Network Services). To find out which feedback groups effectively reduce grammar errors in the writing, the research studies postpositional particles, connective ending, and tenses in writing tasks in different genres after standardizing categories of grammar errors. Lastly, there is a survey for all participants related to qualitative aspects (motivations and interests) with the online feedbacks for their writ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search question was for which online feedbacks effectively reduce grammar errors in writing tasks in different genre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of reducing grammar errors by all three online feedbacks compared to the pre-experiment and post-experiment writing. In other words, all online feedbacks by LINE were effectives for participants’ grammar errors in the various writing genres. Moreover, compared to all three online feedbacks, online explicit feedback was the most effective to decrease grammar errors followed by online metalinguistic and online implicit feedback. Also, the online explicit feedback by the teacher was far better than online implicit feedback for improving writing accuracy according to the statistics. Furthermore, based on analyzing grammar errors rat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experiment and post-experiment writing samples. Errors of postpositional particles and connective ending were highly frequent compared to errors of tense in both samples. To be more specific of error analysis from the writing samples, there were many substitution errors within postpositional particles, errors of cause and effects in connective ending, and substitution errors of the past and present within tense. Secondly, there was a survey with a questionnaire for all participants related to qualitative aspects(motivations and interests) with the online feedbacks for their writing. According to frequency analysis and average value of the survey, all three feedback groups showed positive reaction to teacher’s feedback by LINE, and were highly motivated and interested in various writing tasks. Especially, online metalinguistic feedback group was strongly motivated and positive in the writing rather than online explicit feedback group. Moreover, all participants preferred online metalinguistic feedback to other feedbacks due to that they wanted to know their mistakes from their writing, and then fix the errors of their sentences and paragraphs within the post-experiment writing. This study challenged and discussed the effectiveness of the types of the online feedbacks which is rarely explored in Korean writing education. It was an attempt to verify the effective online feedbacks in the various writing by SNS for the KSL learners from Thailand. This research could serve as a basis for a further research that is associated with reducing grammar errors in various writing tasks.

      • 高麗 顯宗代 景靈殿 설치와 그 의미

        유희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顯宗 11년(1020)~현종 12년(1021) 사이 景靈殿의 설치와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경령전은 吉禮 중 大祀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제2의 종묘인 原廟로써 태조와 현왕의 직계 4대조의 御容을 봉안하였으며 同堂異室의 5실로 구성되어 궁궐의 서북쪽에 세워졌다. 현종은 태조의 아들인 王郁과 景宗의 비였던 獻貞王后의 사통으로 태어나 康兆의 정변으로 즉위하게 되어 출생과 즉위과정에 정통성이 부족하였다. 게다가 현종은 즉위 직후 거란의 침략을 받아 나주까지 피난하였고, 개경이 함락당하여 궁궐과 태묘가 불에 타면서 권위가 추락하였다. 그리고 成宗代에 유교정치이념으로 국가의례를 정비하면서 팔관회와 연등회 등을 폐지하여 우리 고유의 이른바 토풍이 사라진 것에 대한 반발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여 사회를 통합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현종은 전란이 끝나 개경에 돌아온 후 부친인 안종을 종묘에 ?廟해야 하는 문제에 부딪쳤으나, 先王이었던 목종만 부묘할 수 있었다. 이미 親父인 대종을 종묘에 부묘했던 성종의 선례가 있었지만 안종은 불미스러운 일에 연루된 죄인이었기 때문에 종묘에 모실 수 없었던 것이다. 그래서 현종은 안종을 부묘할 수 있는 새로운 제사시설로 중국의 原廟에 관심을 가졌다. 당시 宋은 고려와 마찬가지로 거란과 전쟁에서 실질적으로 패배해 충격에 빠져있었다. 진종은 이를 극복하고 왕권을 회복하기 위해 天書 강림과 송 황실 趙氏의 시조 강림 설화를 만들어내는 데에 도교를 활용하였다. 그래서 진종은 泰山에서 봉선을 행하고, 聖祖가 강림한 곳에 道觀인 景靈宮을 세워 성조의 像을 봉안하였다. 현종은 고려와 시대적 상황이 비슷했던 송의 경령궁제를 수용하여 안종의 부묘문제를 해결하려 하였다. 그래서 경령궁과 경령전은 국왕 선조의 眞影을 봉안하며, 왕이 종묘의 예로서 親祭하여 태묘와 같은 위상을 지니고, 제수로 素饌을 사용한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진종이 송의 지배적인 종교인 도교를 국가제사에 이용하여 민심을 얻고 황제로서의 권위를 세우려 했다면, 현종은 고려에서 널리 신앙되던 불교와 토착신앙을 반영하였다. 그래서 송의 경령궁이 도교적 성격을 갖고 있었던 반면 고려의 경령전은 불교적인 요소를 가진다. 그리고 경령궁은 새로운 왕을 봉안할 때마다 별도의 殿을 지었던 데 반해, 경령전은 同堂異室의 5실로 구성되어 태조와 직계 4대친 만을 모셨다. 경령전이 先王 중심으로 운영되었던 태묘와 달리 직계 중심의 오묘제로 운영된 것은 신라와 고려 초기 종묘의 운영형태를 따른 것이다. 현종은 경령전을 설치하여 아버지 안종을 봉안하고, 안종과 어머니 헌정왕후의 진전사원인 현화사를 창건하여 부모의 신성성과 권위를 높였다. 그로 인해 현종 자신의 정통성도 강화되었으며 왕권도 회복되어 체제를 정비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Kyeongreongjeon(景靈殿) having been built during the period from 11th year (1020) of King Hyeonjong(顯宗) to 12th year(1021) and its meaning were observed. It was classified as a great shrine among Gilye(吉禮). And Kyeongreongjeon was consisted of 5 rooms that were individually different in the same shrine and it enshrined royal portraits of direct lineal 4 ancestors of King Taejo(太祖) and Hyeonjong as the original tomb that is 2nd royal private ancestral shrine located at the northwestern side of the palace. King Hyeonjong was born as an illegitimate child between Wangwook(王郁) who was a son of King Taejo and Queen Heonjeong who was a wife of King Kyeongjong(景宗) and crowned by the coup d'etat of Kang-jo(康兆) and under this background, he lacked legitimacy in a process of birth and accession. Furthermore, right after accession, King Hyeonjong had taken refuge to Naju in the wake of invasion from Qidan and as palaces and ancestor's shrine in Gaekyeong were burnt down, authority of King Hyeonjong was plunged. And as he arranged national ritual based on Confucian, political ideology during King Seongjong(成宗) era, he had to integrate the society considering public rejection for the native customs and manners being disappeared by abolishing Palgwanhoi and Yeondeunghoi. Coming back to Gaegyeong after the war was over, King Hyeonjong faced with a problem of having to enshrining Anjong in ancestral shrine but only Mokjong was permitted to be enshrined as ancestral king. There was a precedent case of king Seongjong that Daejong as a real father was enshrined at ancestral shrine but Anjong was unable to be enshrined at Jongmyo as he was a sinner of being involved in scandalous affair. And so, King Hyeonjong showed concern over Wonmyo(原廟) of China as a new ritual site where Anjong(安宗) could be enshrined. At that time, Kingdom Song was shattered by defeat in a war with Qidan. In order to overcome this defeat and recover royal authority, King Jinjong(眞宗) utilized Taoism by fabricating a fable of Cheonseo(天書) advent and advent of Cho family progenitor of royal family. And so, King Jinjong enshrined royal portrait of Seongjo(聖祖) by carrying out Bonseon(封禪) in Taesan(泰山) and building Kyeongryeonggueng(景靈宮) as The Taoist temple at the place where Seongjo was descended. King Hyeonjong tried to solve enshrining problem of Anjong by accommodating Gyeongryonggueng rite of Song of which historical situation was similar to that of Koryeo Dynasty. And so, Gyeongryeonggeung and Gyeongryeongjeon had something in common that both those two enshrined real portrait of ancestors of kings and the king personally attended the rite and served Sochan(素饌) as ritual food by having a status as Taemyo(太廟). While Jinjong tried to win public popularity and establish royal dignity as an emperor by capitalizing on Taoism that was a dominant religion during Kingdom Song as national rite, King Hyeonjong reflected Buddhism and native religion that were widely worshipped during Koryeo era. And so, while Gyeongreonggeung of Song had a nature of Taoism, Gyeongryongjeon of Koryeo had a buddhistic element. And while Gyeongryeonggeung built a separate shrine whenever enshrining a new king, Gyeongryeongjeon enshrined only Taejo and direct lineal 4 ancestors by composing 5 rooms having different room in the same shrine. Contrary to Taemyo that was operated based on ancestral kings, Gyeongryeongjeon followed operation form of ancestral shrine in Shilla and early Koryeo era by operating shrine based on Omyoje(五廟制) enshrining direct lineal ancestors. King Hyeonjong enshrined his father at Gyeongryeongjeon and raised divinity and authority of his father by establishing Hyeonhwasa(玄化寺) that was Jingeon shrine of Anjong and queen Heonjeong, his mother. By this, he could arrange national regime as his own legitimacy was strengthened and royal authority was recovered as well.

      • 양생방법에 따른 현장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비교연구

        유희경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Now a days, Concrete is the major part of the structural material of most construction. According to economic growth, Construction work became massive and complicated, the betterment of efficiency like high quality mechanical operation is needed and manufacture, conveyance, placing of concrete has improved greatly. The placing and curing is the grater part of concrete quality control. But in spite of the importance, it is frequently careless in field works. After in-placing concrete, the early aged concrete developed strength by hydration, and because good hydration related in mature strength, crack, durability of structure, special action needed to secure proper circumstance that influence on hydration. The important circumstantial factor is the temperature and moisture, and "curing" means the special action that keeping that circumstantial factor properly for the good hydration. To monitoring strength development, cylindrical specimens that cast when the concrete in-placed, regarded as an equivalent of that concrete structure itself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specimens is customary accepted as a strength of the structure in field works. the specimens usually cured under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in water tank, but real condition in field is differ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ata for establishing standard of difference in compressive strength according to curing condition. And curing condition was specified curing condition Ⅰ(natural exposure in field), curing condition Ⅱ(wet curing), curing condition Ⅲ(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in water tank). the result of compressive strength by curing condition was as )follows. 1) In 7-days compressive strength, the value in condition Ⅲ was higher than condition I as 8.0kgf/㎠, was higher than condition Ⅱ as 6.0 kgf/㎠. This results means that there is a difference of compressive strength in range of 2.86% - 3.8% between field curing and water-tank curing. 2) In 28-days compressive strength, the value in condition Ⅲ was higher than condition I as 32.0kgf/㎠, was higher than condition Ⅱ as 18.0kgf/㎠. This results means that there is a difference of compressive strength in range of 8.57% - 15.24% between field curing and water-tank curing. 3) As the curing term increase, the difference of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 So the difference of 28-days compressive strength is more than that of 7-days compressive strength. So tha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specimens curing in laboratory room is not an equivalence of strength of the structure. When we determine the strength of structure in field works, we must consider the factors that may reduce strength of the structure. The factors include constructional defect, compaction failure, weather, temperature, etc. Even if the target strength of concrete that used in field works more it is not sufficient to than standard design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secure the quality of concrete. Many interior and exterior factors influence on quality of concrete, especially the curing condition of early aged concrete. Hereafter, further and deeper studies on the curing condition of early aged concrete is needed for the intensive quality control of concrete.

      • 디지털도서관의 저작권 문제와 해결 방안에 관한 연구

        유희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 지식정보사회에서 세계 각국은 디지털 형태의 정보와 자료를 구축하여 컴퓨터 등 정보통신매체를 통해 이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이른바 디지털도서관의 구축을 목표로 노력하고 있다. 현재 디지털 도서관은 정보환경의 패러다임의 변화와 정보이용자의 다양한 정보요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하여 저작물 원문 자체를 디지털화하여 이를 자유로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원하는 곳에서 원하는 시간에 이용자에게 전달하는 정보제공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도서관의 실현을 위해서는 디지털도서관 환경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저작권법 규정이 뒷받침되어야 하고, 일반 저작물은 물론 고아저작물의 저작권 문제가 해결되어야 하며, 디지털화와 관련하여 그 중요성이 새롭게 대두되는 여러 가지 권리들의 문제를 논의할 필요가 있다. 우리 저작권법은 도서관에 대한 새로운 시대적 요청을 감안하여 2003년 저작권법을 개정하여 일정한 범위 내에서 디지털 형태의 정보제공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디지털도서관의 개념과 충돌하거나 또는 디지털도서관의 개념을 모두 포괄하지 못하는 불충분한 규정들이 존재하고 디지털도서관 구현에 필요한 보호가 미비되어 있는 부분도 있다. 그러므로 디지털도서관의 실현을 위해서는 디지털도서관의 개념들을 포괄할 뿐만 아니라 디지털도서관의 실현과 충돌되지 않는 조화로운 규정으로의 저작권법의 정비가 요구되어지고 디지털도서관 실현에 필요한 새로운 규정들의 도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저작물의 디지털화 복제 및 전송과 관련한 대표적인 저작권법 규정들 가운데 도서관등에서의 복제규정(저작권법 제31조)과 출판권 규정(저작권법 제57조)을 살펴보고, 디지털도서관 실현을 위해 도서관등에서의 복제의 허용 및 접근 범위를 확대하고, 동시열람부수의 제한문제를 개정하거나 디지털도서관을 위한 별도의 규정을 둘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전자출판의 활성화 방안으로 설정출판권 제도의 확대와 판면권의 신설 등을 검토해 보았다. 고아저작물의 저작권 문제 해결 방안과 관련해서는 미국, 영국, 일본 등 주요국의 입법추진 동향과 법정허락제도 개선 논의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 저작권법 하에서 법정허락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그리고 고아저작물 이용허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제도로서 상당수의 권리자를 대표하는 집중관리단체가 그 집중관리단체의 회원이 아닌 권리자들의 특정 저작물에 대해서도 이용허락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확대된 집중관리(ECL)제도의 도입을 검토해 보았다. 최근 전자책의 이용이 활성화되면서 도서관은 전자책을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충족시키는 또 다른 수단으로 여기고 있다. 도서관은 전통적으로 유체물인 종이책을 도서관에 보존하고 이를 이용자들에게 대여하는 형식을 취하여 왔다. 이러한 이용의 유형은 최초판매의 원칙에 따라 면책될 가능성이 높았다. 그러나 과거 유형의 복제물에 대한 자유로운 배포를 규정한 이 원칙이 매체와 저작물의 배포방식이 변화한 현실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지 재고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미국과 유럽연합 및 독일을 중심으로 디지털 최초판매원칙의 인정 여부와 관련한 논의를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종래의 유형적인 저작물 판매형태와 새로운 무형적 판매형태를 서로 달리 취급할 만한 정당한 근거가 없으므로, 입법론적으로 저작권법 상의 배포개념에 있어서 저작물이 유형적으로 전달되어야 한다는 요건을 포기하든지, 권리소진이론을 무형적 판매형태에도 확대 적용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서관의 사회적, 문화적, 공공적 기능을 고려할 때, 도서관에서 이용자에게 전자책을 대여하는 권리를 보장해 주도록 저작권법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학생과 비다문화학생의 비교

        유희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of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students had an effect on school life adaptation through self-esteem, looked at each variable in both groups,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Through this, the role of counseling and guidance was confirmed to help multicultural students, who are on the rise, adapt to school life and to help them establish themselves as members of society.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Parenting Attitude Scale, the Self-Esteem Scale, and the School Life Adjustment Scale for male and female students in grades 1 to 3 of middle school in Seoul, where the ratio of multicultural students is about 40% of the total students, and they participated in the survey. A total of 356 copies were analyzed, including only those who agreed to or responded in good faith.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ajor variables of multicultural students and non-multicultural students, only affection and hostility among the sub-factors of parenting attitud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verall scores of achievement, rational and irrational,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justment and all sub-factor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ediating path of parenting attitude through self-esteem to school life adaptation was also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o that the higher the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level, the higher the self-esteem and the higher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aptation differ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re are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multi-group analysis, the results of parenting attitudes,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aptation between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familie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path coefficients. This study is an opportunity to change the negativ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by empirically confirming that the parent-rearing attitude,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aptation of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students and the mediating path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self-esteem are similar. Counseling and guidance for them in the school fiel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made. 본 연구는 다문화학생과 비다문화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 두 집단에서 각 변인들을 살펴보며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증가추세에 있는 다문화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도움을 주고 이들이 사회구성원으로 잘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담과 지도의 역할을 확인해 보았다. 이를 위해 다문화 학생의 비율이 전체 학생의 약 40%인 서울 소재 중학교 1~3학년 남녀 학생들을 대상으로 부모양육태도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학교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 조사 참여에 동의하거나 성실하게 응답한 경우만 포함하여 총 356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다문화학생과 비다문화학생의 주요 변인들 간의 차이는 부모양육태도 하위요인 중 애정과 적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을 뿐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전체 점수 및 자율과 통제, 성취와 비성취, 합리와 비합리,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의 전체 점수 및 모든 하위요인들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부모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을 거쳐 학교생활적응으로 가는 매개경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드러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수준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아져서 학교생활적응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다집단분석을 통해 부모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 간 관계가 다문화가정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다문화가정과 비다문화 가정 사이에 부모양육태도,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의 경로계수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학생과 비다문화학생의 부모양육태도,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의 실태와 부모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의 매개경로가 유사하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여 다문화학생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바꿀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는 데 의의를 두며, 이들에 대한 학교 현장에서의 상담과 지도 방향,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하였다.

      • 골프웨어 소비자의 가치구조를 이용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 연구 : 20~30대 여성 골퍼를 중심으로

        유희경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스크린골프의 영향으로 골프가 대중 스포츠로 저변이 확대되면서 20-30대 젊은층을 비롯해 여성 골퍼들의 인구가 증가 추세에 있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골프웨어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아졌을 뿐 아니라 다양한 취향을 보이면서 골프웨어 시장도 점차 치열해지고 있다. 기존 골프웨어 브랜드와 함께 새로운 골프웨어 브랜드가 다수 등장해 소비자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 이에 본 논문은 최근 골프 시장에서 소비의 주체로 부각되고 있는 20-30대 여성 소비자의 쇼핑 가치구조를 분석하고, 그 구성요소를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 개발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20-30대 여성 소비자들의 특성과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개념과 중요성, 골프웨어에 대한 일반적인 고찰과 함께 20-30대 젊은층을 타깃으로 하는 브랜드별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수단-목적 사슬 이론(MEC:Means-End Chain Theory)에 근거한 래더링 방법론을 활용해 20-30대 여성 소비자들의 가치체계도를 도출해냈다. 이러한 소비자 가치구조 분석을 통해 마케팅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 개발을 위해 도출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래더링을 통해 골프웨어에 대한 소비자 가치구조에 대한 속성, 기능적·심리적 결과 그리고 가치의 항목에서 차별적인 내용들을 선별할 수 있었다. 속성 단계에서는 ‘디자인’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고, 그 외 ‘사이즈’, ‘브랜드’, ‘컬러’가 중요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20-30대 여성 소비자들은 골프웨어 구매 시 예쁘고 스타일리시한 디자인과 몸에 핏(Fit)되는 사이즈, 그리고 젊은층을 타깃으로 한 브랜드와 골프장에서 컬러감을 중요시하고 있다는 결과에 따라 브랜드는 다양한 디자인의 상품 개발과 함께 소비자 가치구조를 고려한 마케팅 기획에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다. 이러한 속성은 기능적 결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즉, ‘날씬한 몸매’, ‘경기력 향상’, ‘세련미’ 요소와 연결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기능적 결과는 심리적 결과인 ‘자신감’, ‘기분 전환’, ‘이미지 형성’과 연결되고, 또 심리적 결과는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최종 목적이자 가치인 ‘즐거운 삶’, ‘자아 만족’, ‘건강’과 연결되고, 지향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소비자 가치체계에서 좀 더 의미 있고 중요한 전체 단계별 항목의 연결은 ‘디자인-날씬한 몸매-자신감-자아 만족’, ‘디자인-세련미-기분 전환-즐거운 삶’, ‘사이즈-날씬한 몸매-자신감-자아 만족’ 그리고 ‘브랜드-경기력 향상-자신감-자아 만족’의 사슬이었다. 즉, 20-30대 여성 소비자들은 골프웨어에 대해 디자인과 사이즈를 가장 중요한 요소로 고려하고, 골프웨어를 통해 자신감과 날씬한 몸매를 추구하며, 궁극적으로는 ‘즐거운 삶’, ‘자아 만족’이라는 목적을 중요시 여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최근 골프웨어 시장이 새롭게 부상하면서 신규 브랜드들의 론칭도 잇따르고 있다. 이렇듯 신규 브랜드까지 가세해 경쟁이 점점 치열해지는 만큼 골프웨어 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서는 고객 가치 중심의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소비자가 추구하는 가치에 부합하는 메시지 요소를 바탕으로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좀 더 타당한 전략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수단-목적 사슬 이론의 소비자 가치구조를 토대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 개발에 적용하고자 했던 본 연구가 홍보·마케팅 실무자들이 소비자 이론을 마케팅 실무에 적용할 때 활용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As golf has expanded into a popular sport recently, in the underlying impact of the screen golf, the population of female golfers including the age of 20's and 30's is increasing. In accordance with this trend, as the public interest in golf wear increases, the golf wear market becomes more competitive by showing variety of tastes. Both Current golf wear brands and a lot of new golf wear brands broaden the range of consumer choic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value structure of the 20’s-30’s female consumers, who have emerged as subjects of the golf wear market, and utilize the components to develop the brand communication strategy.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vestigate the properties of 20’s-30’s female consumers, the concept and the importance of brand communication, general consideration about golf wear, and brand communication strategies of the brands which aimed 20’s-30’s young people through the research method. Then arrive the value structure of 20’s-30’s female consumers by using laddering methodology based on Means-End Chain Theory. By analyzing the consumer value structure, the result for the brand communication strategy development which can be used for marketing practice is as follows: First, Researcher was able to select discriminatory items among the attribute, functional and psychological outcomes of the consumer value structure about golf wear. On the attribute stage, ‘Design’ appears the most important element and ‘size’, ‘brand’ and ‘color’ appear the next. Therefore, golf wear market needs to focus on marketing strategy that considered the consumer value structure with product development of various design for 20’s-30’s female golf wear consumers who consider pretty and stylish design, the size that fit in the body, and brands which are aimed young people and colorfulness in the field the most important factors, Such properties affect the functional result that is related to ‘slender shape’, ‘performance enhancement’, and ‘refinement’. And these functional result is connected with psychological result, such as ‘confidence’, ‘refreshment’, and ‘image making’. Also psychological result is connected with ‘joyful life’, ‘self satisfaction’, and ‘healthy’ which are the final purpose and values of consumers. More meaningful and important item connections are ‘design-slender figure-confidence-self satisfaction’, ‘design-refinement-refreshment-joyful life’, ‘size-slender figure-confidence-self satisfaction’,‘brand-performance enhancement-confidence-self satisfaction’. That is, the 20’s-30’s female golf wear consumers consider design and size the most important factors and they search after confidence and slender figure by golf wear, and they count joyful life and self satisfaction as the most important purpose ultimately. Recently, golf wear market emerges new brand launching. As such new brands boost competition furiously, to win the competition, the consumer value oriented brand communication strategy is considered as more important factor than any other things, Increase the efficiency of work based on the message element to meet the value that consumers seek, because the believe that can contribute to a more reasonable strategy. Therefore, the researcher expects that this study can help PR, marketing workers to apply the brand communication based on the Mean-End Chain Theory of consumer value structure on consumer theory.

      • 아동학대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및 태도

        유희경 숙명여자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wareness of Children Maltreatment Notification System, their behavior toward the children who are maltreated and their need for education about child maltreatment prevention for teachers.204 teachers from nin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participated in filling out 78 self-reported questionnair. It is consisted of child Abuse behavior(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98), child Maltreatment Notification System(Kim, Ji Yoon, 2000; Child Welfare Law, 2000), child abuse syndrome(Jensen & Chevalier, 1990) and education about child maltreatment prevention for teachers(Kim, Eun Ryoung, 1997).The Statistical Analysis(SPS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form in terms of means, standard deviations, percentage and χ2tests.The results exhibited that; 1) Teachers consider the behavioral maltreatments of parents or person who care for children as child maltreatment. However, they did not recognize much about educative and emotional neglect. Most of the teachers did not know the existence of an emergency phone number for child maltreatment and child care center, which is publicized in the child welfare law. Furthermore they consider only the relatives or neighbors as those who are responsible for reporting child abuse despite the fact that teachers also have the responsibility to report such abuse. This exemplifies the fact that elementary teachers dont know much about child welfare law.2) Teachers who discover abused children behave passively for example they pay more attention to children or counsel parent. In addition, 50.7 percent of the teachers answered they would not report the case of the maltreated child because they think it is family business (49.1%) and it is not sure whether the child is maltreated (22.7%).3) Only 2 teachers of the 204 had participated is a prevention program for maltreated children. 81.4 percent of the teachers answered that they would participate the prevention programs for maltreated children if it would be held. This implies that the teachers need and would benefit from prevention programs for maltreated children. The teachers think it is good if the program includes responding sometime after discovery of an abused child ; as well as the methods for parent counseling. They prefer the prevention programs to be held during the semester and at their school or near the school as the location for program. They also favor seminars and lecture-typed training. 본 연구에서는 학대받는 아동을 손쉽게 관찰하고 도와줄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초등교사들의 아동학대신고의무제에 대한 인식과 학대받은 아동에 대한 대처행동을 알아보고, 교사를 위한 아동학대예방교육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 강동·강서·강남·강북 4지역에 소재한 9개 초등학교를 임의로 선정하여 그 곳에서 근무하는 교사 20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아동학대 행위(보건복지부, 1998; 허남순, 1993)와 아동학대신고제(김지윤, 2000; 아동복지법, 2000), 아동학대증상(Jensen & Chevalier, 1990), 그리고 아동학대예방교육(김은령, 1997)에 대한 총 78문항으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연구문제에 따라 χ2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학대신고제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을 살아보면 다음과 같다. 아동의 부모나 양육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에게 행하는 학대행위에 대해 많은 초등교사들이 아동학대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적·정서적 방임에 대해서는 매우 낮은 인식을 보였다. 아동복지법에 명시된 아동학대 신고용 긴급전화와 아동보호전문기관이 있다는 것에 대해 대다수의 초등교사가 모르고 있었다. 또한아동학대신고의무자에 대해서도 이웃주민이나 아동의 친인척으로 잘못 알고 있었다. 이는 대부분의 초등교사들이 2000년 7월 1일부터 시행된 아동복지법에 대해 잘 모르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많은 교사들이 아동학대신고를 의무제로 한다면 아동학대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87.7%). 이것은 초등교사들이 아동학대신고의무제에 대한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높게 인식된 신고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신고시 아동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로 응답한 경우가 27.2%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신고자의 비밀보장이 이루어져야 한다'가 18.0%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대받은 아동에 대한 초등교사의 대처행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난 1년간 학대가 의심되는 아동을 발견한 경험이 있는 교사는 전체 204명 중 28명(13.7%)으로 이들 교사들은 '아동에게 더 많은 관심을 갖거나 부모상담을 한다'는 매우 소극적인 반응으로 대처하였다. 또한 향후에 학대가 의심되는 아동 발견시 이에 대한 교사들의 대처행동도 이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배경변인에 따른 향후 대처행동의 차이를 살펴보면, 10년이하의 교직경력인 교사가 10년이상 교직경력을 가진 교사보다 '동료교사나 교장선생님께 의논한다'는 대처행동에 더 많이 응답하였다. 이는 젊은 교사들이 아동에 대해 경험이 많은 교사들에게 자문을 구하고 도움을 얻고자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향후에 학대가 의심되는 아동을 발견할 경우 50.7%의 초등교사가 신고를 하지 않겠다고 응답하였다. 신고를 하지 않는 이유로는 '신고가 개인 가정사에 개입하는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에'(49.1%)로 응답한 교사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발견한 아동이 '학대받은 아동인지 명확하지 않아서'(22.7%)가 많았다. 학대받은 아동의 증상에 대해 대부분의 초등교사들은 신고를 통해 도움을 요청하기보다는 아동에게 더 많은 관심을 갖고 따뜻하게 보살피거나, 아동의 부모나 보호자를 만나 상담을 한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교사를 위한 아동학대예방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요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난 1년동안 교사를 위한 아동학대예방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교사는 204명 중 2명(1.0%)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향후 아동학대예방교육이 마련한다면 '참여하겠다'는 교사가 81.4%로, 초등교사들이 아동학대예방교육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사를 위한 아동학대예방교육에 대한 교사의 요구를 살펴보면, 교사들은 현장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아동학대 발견 후 대처방법'과 '부모상담 방법'에 관한 교육내용을 필요로 하였다. 또한 교육시기로는 50대 교사를 제외하고는 학기중에 실시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교육장소로는 손쉽게 교육받을 수 있는 '근무하는 학교'나 '가까운 주변학교'를 많이 응답하였다. 교육매체로는 강의 방식의 연수 및 세미나를 원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