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숏폼(shortform) 동영상을 통한 한국어학습이 학습 관련 요인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박지연(Park, Jiyeon),유훈식(Yoo, HoonS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7

        목적 본 연구는 최근 외국어 교수·학습 도구로서 주목받고 있는 뉴미디어 중 숏폼(shortform) 동영상 플랫폼인 틱톡(TikTok)을 대상으로 하여 기존 한국어학습과 비교 분석하였다. 한편, 틱톡(TikTok)을 통한 한국어학습이 학습 관련 요인(학습내용, 효능감, 몰입, 불안, 학습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또. 학습자의 학습 유형 및 성별에 따라 영향력이 달라지는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방법 한국어 관련 교육 프로그램(ex: 대학 부설 어학당, 사설 학원/ 독학 제외) 참여 경험이 있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 55명을 대상으로 2021년 4월 중 틱톡 한국어수업 영상을 시청하게 했으며, 바로 이어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다. 틱톡 한국어수업 영상과 학습 관련 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학습 내용, 몰입도, 불안, 효능감, 만족도에 대한 설문 문항을 구성했다. 다섯 가지 종속 변수에 대해 두 집단(기존 한국어 교육-숏폼(shortform)을 통한 한국어 교육)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했다. 다음으로 한국어 학습자의 두 가지 한국어 학습 유형(드라마 및 영화 활용 선호, 집단 내에서의 활동 선호)이 숏폼(shortform)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식에 따른 다섯 가지 종속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종속변수와 독립변수 모두 연속형 데이터로 SPSS의 선형 회귀 분석 방식을 통해 분석을 실시했다. 결과 다섯 가지 요인 모두에 대해 기존 한국어학습이 숏폼(shortform) 동영상을 통한 한국어학습에 비해 효과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학습 내용의 경우 결과값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한국어학습에 비해 틱톡을 통한 한국어학습이 여성 학습자들의 정의적인 요인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틱톡을 통해 한국어를 학습할 때 남성에 비해 여성 학습자들의 몰입도가 크게 높아지며 불안감이 많이 줄어든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드라마 및 영화를 통한 학습을 선호하는 학습자의 경우 틱톡을 통해 한국어학습을 했을 때 학습내용에 대한 이해 및 몰입도가 높아졌고 불안은 감소했다. 한편, 그룹 학습을 선호하는 학습자의 경우는 틱톡한국어학습을 통해 불안이 유의미하게 낮아졌다. 결론 본 연구는 숏폼(shortform) 동영상과 관련한 한국어교육 연구가 아직 전무한 가운데 처음 시도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숏폼(shortform) 동영상을 통한 한국어교육·학습이 학습자들의 학습 유형 및 성별에 따라 어떤 영향을 주며 학습 관련 요인들에 따라 그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밝힘으로써 앞으로 틱톡을 통한 한국어학습 콘텐츠를 개발해 나가는 데 참고할 수 있는 좋은 자료를 마련한 데 의의가 있다. 특히 새로운 학습 환경이니만큼 기존 학습 환경과 비교했을 때 학습자들의 정의적 요인에도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여 함께 살펴본 것 역시 의미있는 시도였다고 생각한다. 학습자 중심 교육에 있어 꼭 필요한 여러 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틱톡 한국어수업 콘텐츠 개발에 참고 자료로 잘 사용되리라 본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raditional learning and learning through a short-form video such as TikTok, one of the new media drawing attention as a foreig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tool. Studies on students individual factors, learning performance, and other learning-related factors have been on the rise. In respons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learning Korean through TikTok on the learning-related factors(content, self-efficacy, flow, anxiety, and satisfaction). This study also explores if the effects change depending on the learners learning style and their gender. Methods 55 foreign Korean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watched the TikTok Korean language class video in April 2021, followed by an online survey. Results Comparing the effects of traditional Korean learning and the learning with a short-form video, understanding the contents was higher using the conventional metho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at had different learning methods was remarkable. The results were especially significant for the learning content. Considering more than half(69.1%) of participants of this experiment were advanced learners, it is expected that the advanced learner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content of TikTok videos having beginner-level content in general. Therefore, more content that fits the language proficiency of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is required. Secondly, Learning Korean through TikTok had a more significant impact on the affective factors of female learners than traditional learning. In other words, Female learners learning flow increased, and the anxiety decreased notably compared to men. Lastly, when the learners who prefer to study through dramas and movies learned Korean through TikTok, their understandings of the contents and their learning flow increased while their anxieties decreased. Also, the learners who prefer to study in groups significantly had lower anxiety when they learned using TikTok.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is the first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 to shortform video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prepare good materials for developing Korean language learning contents through shortform video in the future by showing how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learning through shortform videos affect learners learning type and gender. In particular, it was also a meaningful attempt to find out whether learners affective factors change in a new learning environment compared to their previous learning environment.

      • 사물인터넷(IoT)의 서비스 디자인을 위한 블루프린트에 관한 연구

        김소라(Kim, Sora),유훈식(Yoo, Hoonsik),이지현(Lee, JiHyu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5 디자인지식저널 Vol.33 No.-

        ICT의 발전을 통해 미래 사회는 초연결사회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세계 사물인터넷 시장 분야도 급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사물인터넷 관련 서비스디자인 분야는 매년 큰 폭으로 성장하며 미래 사물인터넷 시장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현재 사물인터넷 관련 서비스 디자인 분야에 적합한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이 부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기반으로, 사물인터넷 시대의 서비스 디자인에 적합한 블루프린트 모델을 제시하고 각 영역의 사용방법과 가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사물인터넷의 서비스 디자인을 위한 서비스 블루프린트는 사용자, 서비스제공자, 이해 관계자뿐 아니라 사물, 비가시적 요소인 센싱, 네트워킹, 정보 처리의 역할 및 관계를 파악할 수 있으며 특히, 사람과 사물의 상호 관계를 더 세밀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Future Society is rapidly changing through advances of ICT and also IoT market area is on a fasting-growing trend. Especially, the Service Design area which is IoT related field is developed sharply every year and it has remarkable prospects and high ranking in future IoT market. However, there is not a service design methodology, which is suitable for the service design field related IoT. On this paper, a service blueprint model which is suitable for the service design of IoT era is presented and the aim is proposing of the usage of each section and the value.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e of processing sensing is user, service provider, not just the stakeholders, things, invisible sensing element, networking in service blueprints of Internet of Things(IoT), especially , and has been developed to be able to express in more detail the interaction of people and things.

      • KCI등재

        가상현실(VR) 매체를 활용한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 방안

        심은지(Sim Eungi),유훈식(Yoo Hoons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5

        본 연구는 인공지능(AI) 매체를 활용한 교육의 효과성에 주목하여, 특히 외국어 학습자들이 심리적 부담감을 가장 많이 느끼는 말하기 훈련에 있어 AI 매체를 활용한 한국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수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상현실(VR) 매체를 사용한 언어 교육을 실시할 경우에 현존감 있는 콘텐츠 제공으로 인해 학습의 몰입도와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콘텐츠는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ImmerseMe, Mondly의 기술 구현 방식을 기반으로, 대화 상대방의 발화를 듣고(듣기), 적절한 대답을 보기에서 골라서(읽기) 그것을 소리 내서 말하면(말하기), 기기가 음성을 인식하여 제대로 발음하면 대화 상대방이 이에 반응하여 대답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VR 콘텐츠는 학습자가 실제 방문하는 장소의 분위기와 대화 상대방 음성을 현장감 있게 체험하도록 하여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실생활 대화에 대한 공포감을 해소해준다. 또한 은행 이용과 같이 결혼이민자들이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데 긴요하지만 전통적인 방식의 한국어 교재에서는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는 실제적인 도움을 준다. 본 연구는 비교적 상용화되어 있는 VR 기기를 정부 지원으로 활용하여 초급 숙달도의 여성결혼이민자 한국어 학습자가 교실 학습 이외에 자기주도적인 언어 학습을 할 수 있는 블렌디드 러닝 교수 방안을 제안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an effective method of Korean language teaching using AI tools. Korean marriage immigrant women are supposed to face not only language barriers but also cultural differences, among which having proper relationship with family members is crucial for them to be immersed into Korean society. When culture-based language education is performed utilizing AR(Augmented Reality), or VR(Virtual Reality) media, intensity and efficiency of education can be far improved due to its sense of presence. The content this study suggests here is based on the manner of technical realization used in ImmerseMe and Mondly, the well known VR application programs, and it also provides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for the learners. The suggested content is composed of listening to what the counterpart of dialogue talks(listening), choosing the right answer for that(reading), reading aloud the answer(speaking) and learning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from how the talker responds. Such process could possibly reduces fears of daily life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will go through otherwise and help them to acquire both linguistic and cultural knowledge.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차량 내 디스플레이 위치에 따른 정보 및 기능에 대한 국가별 선호도 비교 연구

        김영상 ( Kim¸ Youngsang ),유훈식 ( Yoo¸ Hoonsik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21 디자인융복합연구 Vol.20 No.5

        본 연구는 5개 국가 총 823명의 응답자(한국 160명, 미국 161명, 중국 164명, 러시아 167명, 브라질 171명)를 대상으로 5개 디스플레이(헤드업, 클러스터, 센터페시아, 보조석, 뒷좌석) 각각에 설치되길 원하는 4가지 기능(차량 주행 정보, 안전 정보, 편의 기능, 인공지능 비서)별 선호도를 비교 분석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들은 차량 주행 정보 및 안전 정보의 경우 헤드업이나 클러스터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술 수용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중국과 브라질 응답자들은 이들 정보가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설치되는 것을 선호하는 반면 기술 수용도가 낮은 한국, 미국, 러시아는 클러스터 디스플레이를 선호하는 편이었다. 또한, 편의 기능 및 인공지능 비서 기능의 경우에는 센터페시아, 보조석, 뒷좌석이 설치되기에 적합하다는 응답이 많았으며 안전에 대한 인식이 비교적 관대한 중국 응답자들은 헤드업과 클러스터 디스플레이를 더 선호했다. This study analyzes a total of 823 respondents from 5 countries(Korea, USA, China, Brazil, and Russia)’s preference for 5 displays(head-up, cluster, center fascia, passenger seat, rear seat) assuming that each display had 4 functions(vehicle driving information, safety information, convenience function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ssistant). According to the results, respondents preferred that vehicle driving information and safety information be installed on the heads-up or cluster display. In particular, respondents from China and Brazil, which have relatively high technology acceptance, prefer that this information is installed on head-up displays, while Korea, the United States, and Russia, which have low technology acceptance, prefer cluster displays. In addition, in the case of convenience function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ssistant functions, respondents from five countries answered that the center fascia, passenger seat, and rear seat were suitable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Chinese respondents, who are relatively generous with their safety awareness, preferred the head-up and cluster display more.

      • IoT/IoE 서비스 디자인을 위한 이해관계자와 사물맵 모델에 관한 연구

        윤소연(Yoon, Soyeon),유훈식(Yoo, Hoonsik),이지현(Lee, Jihyu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5 디자인지식저널 Vol.33 No.-

        서비스디자인 분야에서 이해관계자들의 관계와 서비스 구조를 파악하는 것은 서비스를 명확하게 이해하도록 돕고 문제점이나 새로운 서비스 기회 영역을 찾도록 돕는다. IoT/IoE 시대가 도래하면서, 이러한 사람과 사람 사이뿐만 아니라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도 중요해졌다. 이해관계자맵(Stakeholder Map), 아티팩트 모델(Artifact Model) 등 서비스 디자인 분야에서 기존의 관계들을 시각화하여 보여주는 모델들은 있으나 사물인터넷, 만물 인터넷 시대에 맞게 생성된 새로운 관계들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모델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비스 디자인분야에서 관계를 시각화하는 모델들의 구성요소와 구조를 조사하고, IoT/IoE 서비스의 새로운 관계들과 성격, 인터랙션 등을 종합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요소들을 추출, 적용하여 새로운 관계도 모델인 이해관계자와 사물맵(SNT Map)을 제안하고 그 구성요소와 작성법을 정의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IoT의 대표 사례인 PiiX 사례와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가상 서비스에 적용함으로써, 모델로서의 가치를 검증하였다. 본 모델은 IoT/IoE 관련 서비스 구성요소간의 영향력과 상호작용 등의 전반적인 파악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서비스의 이해와 기회발견을 돕고, 서비스 블루프린트 작성에 기반이 될 수 있다. 다만 향후 스마트 홈 같은 다양한 디바이스와 여러 데이터를 주고받는 사례에 적용함으로써 SNT맵의 복잡성이 고려된 심화된 사례연구와 검증이 필요하다. In service design field, the relation of stakeholder and service structure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ervice clearly and find the new opportunity to design. With the advent of IoT/IoE era, as well as between the person and the person, the relation between things and things became important. There are many relation models like Stakeholder Map and Artifact Model. But they don’t show a comprehensive model about new relations in IoT/IoE. Through research the component and structure of relation models, this study suggests a new comprehensive model, SNT Map that can show new relations and interactions of IoT/IoE. It was examined through the PiiX of IoT examples. It is valuable as it can help us to understand the IoT /IoE Service and be based on the service blueprint. but it need to study about the more complicated service model in the future.

      • KCI등재

        자율주행차량 내 다중 디스플레이 사용자 경험을 위한 콘텐츠 요소 가이드라인 연구

        이윤희(Yoonhee Lee),유훈식(Hoonsik Yoo),반영환(Younghwan Pan) 대한인간공학회 2017 大韓人間工學會誌 Vol.36 No.6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provide guidelines to define the priorities of contents offered according to driving situation and each display’s location within an autonomous vehicle in a multi-display environment. Background: As various multi-display types have become recently installed within vehicles, the contents used become diverse. Vehicles have evolved as a contentconsuming platform and beyond a means of transportation. Method: This study set driving as two situations: general driving situation (driver’s driving) and autonomous driving situation. A total of six locations of multi-display installations within a vehicle were defined on the basis of driver’s seat. The content system offered within a vehicle was established as a form of communication,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With all these considered, this study targeted 102 drivers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The displays showing statistical differences in user needs between the general driving and autonomous situations were cluster, wind shield, door window glass, and ceiling.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vealed in the HUD and center fascia between the driving situations mentioned above. Conclus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user needs between the general driving environment and autonomous driving environment, big differences in user needs were shown in the displays that did not exist in the existing general driving environment or whose content use scope was limited. According to a cross analysis result based on gend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only in the general driving situation, and there was no item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Applicatio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e study to draw guidelines offering useroriented contents provided through autonomous vehicle displays. The study results have a meaning in that they proposed user needs-focused content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