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n Vitro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of Lycium barbarum Hot Water Extract and Optimization of Production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유호종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23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40 No.6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optimiza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hot water extract containing antioxidant activity from Lycium barbarum, traditionally known to have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optimization process,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of response surface methodology(RSM) was used. Thirteen extraction processes were performed by encoding the independent variables, extraction temperature (65.9oC–94.1oC) and extraction time (2.59 hr–5.41 hr).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optimal manufacturing conditions for the extract were 340.0 mg/100 g of GAE at an extraction temperature of 94.1oC and an extraction time of 5 hr. The maximum yield of flavonoids was 22.44 mg/100 g of HES at an extraction temperature of 94.1oC and an extraction time of 4 hr. The conditions for producing the extract with the maximum antioxidant capacity (DPPH 92.12%) were 90oC and 4.5 hr extraction time. Therefore, the optimal manufacturing process conditions for extracts containing total phenol content, flavonoid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hich are dependent variables, were extraction temperature of 90-95oC and extraction time of 4 hr, whic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actual values. Therefore, Lycium barbarum extract rich in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 related to antioxidant function is expected to be used as a functional food and cosmetic material.

      • 열전퇴형 적외선 검출기의 개발연구

        유호종,이현철,김진섭,이종현 경북대학교 센서기술연구소 1997 연차보고서 Vol.1997 No.-

        열전퇴형 적외선 검출기의 개발연구를 위해, 센서의 핵심 구성요소인 열차단막, 열전퇴 및 적외선 흡수체에서 각각 요구되는 특성들을 검토하였고, 이들 특성을 실현하는 공정기술의 검증을 위한 시험소자로서 적외선 열원 대신에 Pt 히터 또는 NiCr 히터가 내장된 Bi-Sb 열전쌍 또는 열전퇴를 제작하였으며, 이들의 열응답 특성을 주로 고찰하였다. Pt 히터 저항에 대한 다이아프램 형성전후의 전류-전압 특성 차이 및 이 히터가 내장된 Bi-Sb 열전쌍에 대한 공기 및 진공중에서의 열감도 변화로부터 Si_3N_4/SiO_2/Si_3N_4다이아프램의 열차단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또한 히터의 저항 온도계수를 측정함으로써 인가된 전력에 의한 Pt 히터의 온도를 알 수 있었다. Pt 히터가 내장된 Bi-Sb 열전쌍 시험소자의 열기전력은 히터와 열전쌍 사이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였고, 열전쌍의 열전계수는 약 97㎶/K였다. Pt 또는 NiCr 히터가 내장된 Bi-Sb 열전퇴 시험소자의 전압감도는 열전퇴를 구성하는 열전쌍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히터와 열전퇴의 고온 접합부 사이의 거리 및 고온 접합부와 실리콘 림 사이의 거리에 크게 의존하였으며, 또한 진공중에서의 전압감도가 공기중에서의 전압감도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상기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열전퇴형 적외선 센서의 시험제작을 위한 공정 설계와 공정용 마스크의 설계 및 제작을 완료하였다. For the development of a thermopile-type infrared detector, the respective characteristics required in thermal isolation layer, thermopile and infrared absorber, which are the core components of the detector, were studied first of all. The Bi-Sb thermocouples and thermopiles with Pt- or NiCr-heater instead of the infrared radiation source have been fabricated as the test devices for the verification of the process technologies to fulfill respective characteristics, and their thermal responsivities were mainly investigated. The thermal isolation of Si_3N_4/SiO_2/Si_3N_4-diaphragm was confirmed by Ⅰ-Ⅴ characteristics difference of the Pt-heaters before and after the diaphragm formation, and the thermal sensitivities change of the Bi-Sb thermocouples in the air and vacuum. It could be known that the thermal loss in the heater is caused by the air, and the heater temperature with input power could be estimated by the measurement of the resistance temperature coefficient of Pt-heater. The thermoelectric voltage of the Bi-Sb thermocouple with Pt-heater decreased exponentially as the distance between heater and thermopile increased, and its thermoelectric coefficient was about 97 ㎶/K. The voltage responsivity of the Bi-Sb thermopile with Pt- or NiCr-heater increased as the number of thermocouples increase, was strongly dependent on the distance between heater and hot junction of the thermopile, and between hot junction and silicon-rim, and the voltage responsivity in the vacuum was higher than that in the air.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the process design and preparation of the process mask set for the test fabrication of a thermopile-type infrared sensor have been completed.

      • KCI등재후보

        행복교육과 도덕교육

        유호종 한국도덕교육학회 2004 道德敎育硏究 Vol.16 No.1

        The pursuit of moral is often opposite to the pursuit of one's own happiness. In such a situation, not only the life in which one pursues moral alone but also the life in which the two pursuits are well united can be ideal. The object of school education is the masses. School education must aim at the life in which the two pursuits are well united. Therefore, both moral education and happiness education are necessary in school. So far, in Korean school education, the moral education has been considered to be more important than the happiness education. Moreover, in moral education, obligation and supererogation have not been distinguished. Such problems must be solved. 타자의 행복을 배려하는 도덕적 추구는 자기 행복에의 추구와 상반될 때가 적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 순전히 도덕적 추구만을 하는 삶은 도덕적 완전함에 이르고자 하는 삶으로 존경받아 마땅하다. 하지만 이런 삶 외에도 ‘도덕적 추구와 자기행복 추구가 잘 통합된 삶’ 즉 ‘의무에 벗어나지 않게 자기행복을 추구하는 삶’ 또한 바람직한 삶이 될 수 있다. 학교 교육은 대중 교육이므로 학교 교육이 목적으로 삼아야 할 바람직한 인간이란 무엇보다 ‘도덕적 추구와 자기 행복 추구가 잘 통합된 삶’을 사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학교 교육에서는 자기 행복에 대한 판단 능력을 키우는 행복교육과 도덕적 행동에 대한 판단 능력을 키우는 도덕교육이 모두 필요하다. 지금까지 우리 학교 교육은 행복교육에 비해 도덕교육을 훨씬 더 중요시했으며 도덕교육의 내용에 있어서도도덕적 의무와 의무 이상의 훌륭한 행위의 구별을 명확히 하지 않았다. 이런 교육은 오히려 도덕에 대한 반감이나 체념을 조장할 위험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는 행복교육을 더 강화함으로써 도덕 교육과 행복 교육이 균형을 이루도록 해야 한다. 또한 도덕적 의무와 의무 이상의 훌륭한 행위를 분명하게 구별함으로써 최소한 도덕적 의무는 반드시 지켜야 한다는 태도를 형성시켜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유전정보를 모를 권리’의 윤리적·법적 근거와 실현 방법

        유호종 한국의료법학회 2014 한국의료법학회지 Vol.22 No.1

        앎은 전통적으로 좋은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자기 유전정보에 대한 앎은 불안감이나 초조함 같은 피해만을 줄 수 있다. 그래서 독일법 등에서는 이 유전정보를 모를 권리를 인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유전의학 연구에서 이 권리가 침해되지 않도록 논의를 시작해야 할 때이다. 윤리적으로 보면 ‘서로에게 해악을 입히지 않을 의무’로부터 ‘서로로부터 해악을 입지 않을 권리’가 도출된다. 그리고 이 권리에서 ‘유전정보를 모를 권리’가 도출된다. 법적으로는 헌법 10조에 규정된 ‘인간의 존엄 및 행복 추구권’으로부터 역시 이 권리를 이끌어 낼 수 있다. 이렇게 ‘유전정보를 모를 권리’는 윤리적·법적으로 뒷받침된다. 그런데 유전체 제공자는 자기 유전정보에 대해 ‘모를 권리’ 이외에 ‘알 권리’ 역시 가지고 있다. 따라서 모를 권리는 이 알 권리와 잘 조화되도록 보장해야 한다. 그 방법은 첫째, 유전체 제공자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것이다. 즉 자기 유전정보를 통보받을 것인지를 유전체 제공자가 선택하게 하는 것이다. 둘째, 유전체 제공자의 자율성을 존중하기 어려울 때는 그 가족 등이 대리 결정하게 하거나 연구자나 의사가 통보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현재 우리 연구현장에서는 이 자기 유전정보에 대한 ‘알 권리’와 ‘모를 권리’에 대한 자각이 부족한데 그 한 이유는 법률상의 미비 때문이다.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서는 유전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는 것에 대한 규정만 있다. 여기에 더해 그 정보를 유전체 제공자 본인에게 통보하는 것에 대한 규정 등이 추가되어야 한다.

      • KCI등재

        14일 이전 배아의 도덕적 지위

        유호종 대동철학회 2001 大同哲學 Vol.15 No.-

        오늘날 쟁점이 되고 있는 ‘배아의 연구나 이용은 정당화될 수 있는가’라는 물음에 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배아에게 생명권이 있는가를 따져 보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인간 성인을 살펴 그 생명권의 근거는 무엇인지 밝힌 다음 이 근거를 배아도 가지고 있는가 확인해 보면 된다. 성인을 죽이면 주변의 사람들은 극심한 불안과 공포를 느끼게 되므로 이런 해악을 방지하기 위해 성인에게 파생적으로 생명권이 부여된다. 하지만 배아의 죽음은 주변에 극심한 불안과 공포를 불러 일으키지 않으므로 이런 근거에서는 생명권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성인을 죽이는 것은 또한 그로부터 정신적인 고차원의 삶을 박탈하므로 성인은 이런 해악을 입지 않을 생명권을 갖게 된다. 배아는 만약 그것이 그로부터 자라날 성인과 동일한 존재라면 같은 근거에서 생명권을 갖겠지만 아직 쌍둥이 가능성이 있어서 그렇게 볼 수 없다. 실제로 배아가 죽임을 당할 때 빼앗기는 것은 십수일의 무의식적인 삶으로 생명권의 근거가 되기에는 미흡하다. 그렇다고 배아로 부터 자라날 성인의 ‘존재할 권리’에서 배아의 생명권이 파생된다고 볼 수도 없다. 이렇게 어떤 근거에 비추어 보아도 배아에게 생명권이 있다고 인정하기는 힘들어 보인다. In order to answer the question whether or not the using of an embryo is justified, we must answer first whether or not the embryo has the right to life. We can answer this question by considering whether or not the grounds of the right which we can find in an adult are found in an embryo. When an adult is killed, people who are around the one feel extreme fear and anxiety. This is one ground of the right. But when an embryo is killed, its death does not evoke same fear and anxiety. Therefore it can not have the right to life on this ground. When an adult is killed, he is deprived of his high-level and spiritual life. This is another ground of the right. If an embryo were same with the adult who is grown from the embryo, it would have the right. But we can not see like this because the embryo has the possibility of twins. When an embryo is died he is only deprived of a few unconscious days. We can conclude that an embryo has no right to life.

      • KCI등재

        고통의 관찰 가능한 의미와 초월적 의미

        유호종 대동철학회 2004 大同哲學 Vol.26 No.-

        이 글은 고통의 의미와 그 함축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먼저 고통은 '행복의 한 요소나 수단' 이나 '인격 성숙의 계기' '위험에 대한 신호'라는 관찰 가능한 의미를 갖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이런 의미를 부여할 수 없는 잉여 고통 역시 남는다. 이런 잉여 고통에 대해서는 그것이 초월적 의미를 가져 유의미하다는 입장과 그런 초월적 의미란 존재하지 않으므로 무의미하다는 입장이 맞선다. 이 중 어떤 것이 옳은지는 더 이상 객관적으로 입증될 수 없으며 따라서 두 입장은 주관적 체험과 같은 나름대로의 내적 근거에 입각한 것일 때 모두 합리적일 수 있다.이 중 전자의 입장을 취할 때 고통은 완화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런 입장에 선 사람은 고통을 무조건 없애려 하기보다 그 초월적 의미를 실현하도록 우선 노력해야 한다. 후자의 입장을 취할 때에도 흔히 생각하는 것처럼 고통이 견디기 힘든 것이 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무의미한 고통은 부당하다'는 전제가 반박될 수 있으며 이런 고통에 대해서는 무시와 경멸의 태도를 취해도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런 무의미한 고통은 그 자체로만 본다면 최대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자기나 남의 좋음을 증진시키기는 데 필요하므로 견딜 이유가 있는 경우도 있다. 이상의 논의는 '고통은 무의미할 수 있다'는 것이 갖는 함축에 대해 지나치게 비관적으로만 생각하지 않도록 주의를 일깨워 준다. 고통의 무의미함이 인생마저 무의미하게 만드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인생의 의미가 그 자체로는 무의미한 고통에 대해서도 견뎌야 할 이유를 우리에게 부여해 주는 것이다. In this article, I try to explicate the meaning of suffering and its implications. Sometimes, suffering has observable meaning such as 'an element or method of happiness' 'a moment of development of personality' 'sign of danger'. But there are many cases of 'surplus suffering' which do not have such observable meaning. Some claim that the surplus suffering has transcendental meaning, but the other assert that surplus suffering has no meaning. Both two claims can be rational because they both are metaphysical claims. If we accept the former then our suffering is apt to be alleviated. And if we accept the latter then the suffering, contrary to commonsense, also can be alleviated because meaningless suffering does not mean unjust suffering. The meaningless of suffering does not make life to be meaningless. Conversely, the meaning of life give the reason enduring suffering to meaningless one.

      • KCI등재

        고통과 인식: 인식 전환을 통한 고통극복 방법의 인식론적 정당성 검토

        유호종 철학연구회 2004 哲學硏究 Vol.0 No.65

        문】고통은 인간에게 제일 큰 문제 중의 하나인 만큼 철학의 피할 수 없는 주제이다. 고통에 대한 바람직한 대응 양식은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대개의 경우는 제거하는 것이 제일 바람직하다. 고통을 제거하는 방법에는 외적 상황을 바꾸는 방법, 주체의 조건을 바꾸는 방법, 상황에 대한 주체의 인식을 바꾸는 방법이 있는데 본 논문은 이 중 인식을 바꾸는 방법에 대해 초점을 맞추었다.마르크스 등은 이 인식 전환에 의한 고통극복의 방법이 기만적이라고 비판한다. 그들에 따르면 이 방법은 ‘새로운 인식은 이전의 인식보다 인식적으로 덜 정당한 것이어서는 안 된다’는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방법의 두 종류, 즉 ‘이전의 인식을 부정하고 새로운 인식을 갖는 것’과 ‘이전의 인식에서 새로운 인식으로 초점을 바꾸는 것’ 모두에서 이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경우들이 상당수 있다는 것을 필자는 밝혔다. 이를 근거로 필자는 적어도 인식론적 관점에서는 인식 전환을 통한 고통 극복 방법이 정당하게 성립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