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국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매개효과: 제7기 2016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활용한 이차자료 분석
유혜연 한국자료분석학회 201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1 No.2
This study is a secondary data analysis study to investigate mediating effect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and impact factor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using data of the first year (2016) of the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subjects were sampled nationwide using the stratified cluster sampling method. The extracted data were analyzed by composite sample general linear model t-test, and composite sample logistic regression model.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proposed by Kenny (2008) and Mackinnon, Dwyer (1993) was conducted. Then the mediating effect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was validated using the formula of Sobel (1982). In results, the number of comorbidities, HbA1c and hs-CRP mediated through subjective health status indirectly influence on HRQoL. And the number of comorbidities mediated by depression and indirectly affect HRQoL, respectively. Therefore, further study is needed comprehensive approach for program considering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to improve HRQoL of Korean adults.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의 1차(2016년)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이차자료 분석연구이다. 추출된 자료는 복합표본 일반선형모형 t-검정,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모형, 다중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범주형 변수인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MacKinnon, Dwyer(1993)가 제안한 내용을 바탕으로 Kenny(2008)의 공식을 적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Sobel(1982)의 공식을 활용한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일반적인 특성을 통제한 후 한국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동반질환 개수,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이 건강관련 삶의 질의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동반질환 개수, HbA1c, hs-CRP는 주관적 건강상태를 매개하여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고, 동반 질환 개수는 우울을 매개하여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한국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평소 건강상태에 대한 관리 수준을 높이고 신체적 영역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심리적 영역의 우울을 통합적으로 스크리닝할 필요가 있으며 건강문제 대처 능력과 자가 간호를 증진할 수 있는 통합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체계적인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성공적 관상동맥 중재술 후 심질환 재발과 시술 전 hs-CRP 및 대사증후군 간의 관계: 후향적 조사
유혜연,손연정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0 No.1
Background: Elevated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and metabolic syndrome are well-known predictors of coronary atherosclerosis. However, few data are available on the roles of hs-CRP and metabolic syndrome on recurrent cardiac events in patients having undergone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This retrospectiv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re-procedural hs-CRP and metabolic syndrome on recurrent cardiac events in patients who underwent successful PCI. Methods: This study included one hundred patients (with recurrence group=35, without recurrence group=65) in their twenties to eighties admitted to a university hospital. Data were collected by a questionnaire and medical records using convenience sampling. Results: Pre-procedural hs-CRP levels were higher in the ‘with recurrence’ group than in the ‘without recurrence’ group (P=0.002).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currence of cardiac event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lineate the factors affecting recurrent cardiac events and showed that pre-procedural hs-CRP (P=0.002) was the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ameter for the recurrence of cardiac events. In terms of risk for recurrent cardiac events, pre-procedural hs-CRP level of ‘above 3 mg/L’ was higher than that of ‘below 3 mg/L’ by 9.27 fold. Conclusion: Our study showed that pre-procedural hs-CRP may predict recurrent cardiac events after successful PCI. Prospective studies conducted on larger populations would be needed to strengthen our findings. 연구배경: 고감도 C반응성 단백질 및 대사증후군은 관상동맥 질환 발병과정의 강력한 예측인자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성공적 관상동맥 중재술 후 심질환 재발관련 위험요인으로서는 그 인과관계가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관상동맥 중재술 후 심질환 재발과 시술 전 hs-CRP 및 대사증후군간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는 충청남도 C시 소재 S대학 종합병원 순환기 내과에서 성공적인 관상동맥 중재술 후 6개월이 경과된 환자 중 심질환 재발로 응급실 또는 외래를 경유하여 입원한 재발군 35명과 비재발군 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1. 심질환 재발군과 비재발군의 시술 전 hs-CRP 수치의 경우 심질환 재발군은 평균 7.18±9.55 mg/L, 비재발군은 1.44±10.79 mg/L로 심질환 재발군에서의 수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훨씬 높았으며, 3 mg/L를 전후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에서도, 3 mg/L 이상의 수치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심질환 재발군에서는 54.3%로 비재발군 23.1%에 비해 훨씬 많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2). 심질환 재발군과 비재발군의 시술 전 대사증후군 유병률 차이에서는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관상동맥 중재술 후 심질환 재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시술 전 hs-CRP (P=0.002)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었는데, 즉 시술 전 hs-CRP 수치가 ‘3 mg/L 이상’인 사람이 ‘3 mg/L 미만’인 사람에 비해 심질환 재발 위험이 9.27배로 훨씬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 관상동맥 중재술 후 심질환 재발의 위험요인으로서 시술 전 hs-CRP 수치가 중요한 생리적 표지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후향적 연구로서 한계가 있으므로 추후 심질환 재발여부의 조사기간을 시술 후 1년 이내로 확대하고 대상자를 충분히 확보하여 전향적 코호트 연구를 통해 인과성을 검증해 볼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Emotion and Sentiment Analysis from a Film Script: A Case Study
유혜연,김문현,배병철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7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8
Emotion plays a key role in both generating and understanding narrative. In this article we analyzed the emotions represented in a movie script based on 8 emotion types from the wheel of emotions by Plutchik. First we conducted manual emotion tagging scene by scene. The most dominant emotions by manual tagging were anger, fear, and surprise. It makes sense when the film script we analyzed is a thriller-genre. We assumed that the emotions around the climax of the story would be heightened as the tension grew up. From manual tagging we could identify three such duration when the tension is high. Next we analyzed the emotions in the same script using Python-based NLTK VADERSentiment tool. The result showed that the emotions of anger and fear were most matched. The emotion of surprise, anticipation, and disgust, however, scored lower matching.
마이크로인터랙션의 활용을 통한 키오스크 경험디자인-영화관 매점 키오스크를 중심으로
유혜연(Haeyeon You),이문환(Moonhwan Lee) 한국HCI학회 2020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2
언택트(Un-tact)마케팅과 인건비 상승 등 의 결과로 사람이 서비스를 제공하기보다 키오스크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장이 늘어가고 있다. 그동안 키오스크는 공공시설 안내용으로 많이 이용 되어 왔지만, 최근 상업시설 내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기로 사용되는 추세에 따라 그전보다 더욱더 많은 사람들이 키오스크를 사용하게 되었다. 지금까지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수요에 맞도록 사용성을 높이는 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있었다. 하지만 키오스크 사용성 연구 논문에는 GUI 디자인, 즉 정적인 그래픽적인 요소만을 고려한 키오스크 인터페이스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연구가 대다수이고, 동적인 인터랙션 측면에서 키오스크 디자인을 고려했던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기능적, 감성적 경험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마이크로인터랙션을 활용한 키오스크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경험디자인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마이크로인터랙션을 적용한 키오스크의 사용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함으로써 마이크로인터랙션이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내었다. 이 연구는 마이크로인터랙션의 키오스크 인터페이스에의 적용 방안에 대한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텍스트 스토리에서 등장인물간 감정 흐름 그래프를 이용한 행위소 모델 기반의 등장인물 역할 인식
유혜연 ( Hye-yeon Yu ),김문현 ( Moon-hyun Kim ),배병철 ( Byung-chull Bae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1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2 No.1
스토리에서 등장하는 인물들을 식별하고 인물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은 스토리 이해를 위해 중요한 과정이다. 본 논문은 그레마스의 행위소 모델(Actantial model)에 기반하여 스토리 속에서 등장하는 인물들 중에서 주체자(Subject,또는 주인공)를 식별하고, 등장인물들간의 상호작용으로 생성되는 관계에 기반한 감정 흐름을 분석하여 조력자(Helper)/반대자(Opponent)의 관계를 자동으로 식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3단계로 구성된다. 먼저, 텍스트 스토리에서 등장하는 객체(인물)를 식별한다. 다음으로, 이들의 상호관계를 통한 관계 정보를 추출하여 관계정보로 표현되는 텍스트에서 감정을 분류한다. 마지막으로, 등장인물들간 감정의 흐름을 방향성 그래프로 도출한다. 그래프에서 차수가 가장 높은 노드 (즉, 가장 많은 관계 정보를 형성하는 노드)는 주체자로 간주하며, 주체자에 긍정적/부정적인 감정을 가장 많이 보내는 노드를 조력자/반대자로 각각 간주한다. 본 연구는 텍스트 스토리로부터 행위소 모델의 세 가지 구성요소들(즉, 주체자, 조력자, 반대자)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계산 모델을 제공함으로써 컴퓨터를 이용한 서사 이해에 기여한다. Identifying characters who appear in a story and analyzing their relationships is essential to understanding the story.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two actants (or character roles) as Helper and Opponent in Greimas's Actantial model by identifying Subject (i.e., protagonist) and analyzing the emotional interactions between the Subject and the two actants (Helper/Opponent). Our proposed method consists of three steps. First, we identify objects (i.e., characters) appearing in the text story. Next, we extract relational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characters, and then classify emotions in the text expressed as relational information. Finally, we represent the flow of emotional relations among characters as a directed graph. The node with the highest degree is considered as the Subject because it includes the most relational information. The node that sends the most positive/negative emotions to the Subject is considered as the Helper/Oppenent, respectively. Our research contributes to the computer-based narrative understanding by providing a computational method that automatically extracts the three key character roles (Subject, Helper, and Opponent) from the text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