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월인천강지곡』의 부안 실상사 소장 경위와 그 전래 과정

        안승준(Ahn, Seung-jun),유학영(Yu, Hak-young)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 장서각 Vol.0 No.32

        사찰에 소장되었던 고서는 그 출처와 소장내력을 잘 알지 못하는 것들이 많다. 월인천강지곡 또한 마찬가지이다. 필자는 평소 사찰 문헌이 원래의 소장처와 그 전래 경위가 밝혀지지 않은 것에 대해 많은 의문을 품어왔다. 이 글에서는 『월인천강지곡』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기탁을 계기로 본 도서의 이동 경로 및 그 원인과 배경을 구명하였다. “세종대왕이 지은 歌詞 월인천강지곡이 어떻게 외진 전라도 변산반도의 실상사에 보관되어 있었는가? 실상사와 월인천강지곡, 그리고 효령대군과는 어떠한 因果가 있었는가?”라는 근본적 물음에서부터 동학농민전쟁, 일제강점기, 6·25전쟁이라는 근대사 전개과정에서 월인천강지곡의 소장 경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요컨대 이 글은 월인천강지곡이란 책자가 1462~1466년 실상사 奉安된 이후 1960~1970년대까지 약 500년간 역사적 공간을 추적해 그 傳存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15세기 중엽 효령대군에 의해 부안 실상사에 월인천강지곡이 佛腹藏됨 20세기 초, 1462년과 1466년에 작성된 실상사 三尊佛 조성을 위한 普勸詞(勸善文) 2건과 실상사 중창 發願文 1건이 발굴되었다. 이 3건의 고문서를 통해 효령대군에 의해 실상사 삼존불이 조성되었고, 4년 뒤에 실상사가 중창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삼존불 조상과 사찰의 重建을 계기로 월인천강지곡이 효령대군에 의해 佛腹藏되었다. 실상사에 월인천강지곡이 소장된 것은 이 절이 바로 세조의 願堂으로서 사회·경제적 위상이 높았기 때문이었다. ② 19세기 말 동학농민이 실상사 불상을 파괴하면서 월인천강지곡이 세상에 나오게 됨 1894년 동학농민들은 실상사 부처의 몸에 금은보화가 숨겨져 있다는 말을 믿고 불상을 파괴하였다. 이때 금은보화는 발견되지 않고 다수의 고서와 고문서가 불복장속에서 쏟아져 나왔다. 이때 월인천강지곡이 세상에 나왔으나 이를 알아보는 사람은 없었다. ③ 1914년 白鶴鳴 스님이 부안 實相寺 불복장에서 월인천강지곡을 발견함 1914년 봄, 부안 來蘇寺에서 20리 거리에 있는 실상사의 법당이 퇴락하고 本尊佛도 더 이상 수리할 수 없게 되자 당시 내소사 주지였던 백학명 스님이 불상의 腹中에 봉안된 월인천강지곡 상권 1책을 발견하였다. ④ 1918년 鞠?潭 스님 인수함 1918년 10월, 국묵담(1896~1981) 스님이 내소사에서 당시의 실상사 주지 金性連스님에게서 ‘월인천강지곡 상’을 인수해 왔다. 이후 국묵담 스님의 주석처를 따라 백양사 청류암, 담양 용화사에서 보관, 관리하였다. ⑤ 1961년 光州遞信廳 陳錤洪 청장 인수함 1961년 1월 23일, 국묵담 스님이 「월인천강지곡을 陳遞信廳長님께 드리는 말씀」이라는 서한과 함께 월인천강지곡을 당시 광주체신청 청장이었던 진기홍 씨에게 인계하였다. 1963년 9월 2일, 문화재청은 진기홍 씨가 소장하던 월인천강지곡을 보물 제398호로 지정하였다. ⑥ 1972년 大韓敎科書 주식회사 金光洙 사장 인수함 1972년 7월 21일, 대한교과서 주식회사(현 ㈜미래엔) 김광수 사장이 진기홍 청장으로부터 월인천강지곡을 인수하여 회사에서 收藏하였다. ⑦ 2013년 韓國學中央硏究院 藏書閣에서 위탁 관리함 ㈜미래엔에서 월인천강지곡을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寄託, 2013년 6월 26일 기탁식을 거행하였다. 이때 (주)미래엔 김영진 사장,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정길 원장 등이 참석하였고, 이때부터 장서각이 관리의 주체가 되었다. Many old books stored in temples are without reliable source of their origin and sequence of possession, including Weolincheongangjigok. The author has been interested in the origin of temple books and started a research taking the opportunity that the book is deposited in Jangseogak librar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This article traces the original place where the book was stored and the sequence of possession including background. How the book written by King Sejong was stored in the remote place of Silsangsa temple in Byeonsanbando peninsula in Jeollado province? How Silsangsa temple, the book, and Prince Hyoryeong were related? How the book was handed down through Donghak peasant revolution,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Korean war? This article tracks the historical space of the book’s existence from 1462-1466 when it was stored in Silsangsa temple to 1960-70, covering about 500 years. The findings are as follow. ① In mid 15th century, it was stored inside of a buddha statue in Silsangsa temple, Buan, by prince Hyoryeong. 2 articles 普勸詞 (勸善文) written in 1462 and 1466 encouraging donation to build triple buddha 三尊佛 in Silsangsa temple and an article 發願文 for rebuilding the temple were found in early 20th century. The three documents confirmed that the triple buddha in Silsangsa was built by prince Hyoryeong and the temple was rebuilt 4 years later. At the time the book was stored inside the buddha. Silsangsa was a prestigious temple 願堂 dedicated for the heavenly peace of King Sejo. ② In 1894 Donghak devotees destroyed the buddha to find gold and silver treasures inside the buddha believing in a rumour. Instead, old books and documents came out. However no one paid attention to the book, Weolincheongangjigok, among them. ③ In the spring of 1914, monk Hakmyeong Baek 白鶴鳴 who was in charge of Naesosa 來蘇寺 temple, about 20-ri (8km) away from Silsangsa temple, discovered volume 1 of the book inside a buddha in Silsangsa, Buan. At the time the building and buddha in Silsangsa were decayed and impossible to repair. ④ In 1918, monk Gukmukdam 鞠?潭 (1896~1981) took over the volume 1 from the chief monk 金性連 of Silsangsa at the time. Monk Gukmukdam stored and maintained the book in his residences of Cheongryuam in Baekyangsa temple and Yonghwasa temple, Damyang. ⑤ On January 23rd, 1961, monk Gukmukdam hand over the book to Gihong Jin 陳錤洪, chief officer of Gwangju Regional Communication Office 光州遞信廳, with an accompanying letter words (a letter) sending a book, Weolincheongangjigok, to chief officer Jin of Gwangju Regional Communication Office. The book possessed by Jin was designated as treasure no. 398 by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⑥ On July 21st, 1972, Gwangsu Kim 金光洙, c.e.o. of Daehangyogwaseo Korea textbook 大韓敎科書 company (later Mirae N) took over the book and stored in the company. ⑦ On June 26, 2013, Mirae N Co., Ltd. deposited the book to Jangseogak library and hold a ceremony with the presence of c.e.o. Yeongjin Kim of Mirae N. and president Jeonggil Jeong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From then on, Jangseogak maintains the boo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