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新聞을 活用한 學習 프로그램이 글짓시 能力 伸張에 미치는 影響
This research has shown that writing to make using can succeed in children in many ways. 1. I made gradual teaching curriculum about writing used it in my classes. In result my Students got effective improvement of ability to write, to imagine, to express. And the vocabularies were increased amazingly in their sentences. They became to build short sentences with the various way of thinking. 2. The use of assistant program in writing has many practical benefits. Assistant program has enabled the students to develop writing about many things, such as imaginative writing, story of their experience and so. This also allows the students to build up self-confidence and also allows to be participated in writing with a light heart. 3. They could also learn to write a diary more merrily and the theme of diary became very various. They are not only more useful, but also has remarkably improved in their mother tongue. 4. Creative thinking was very important. It gave them writing skill and affected big result. Especially the students did not hesitate before writing and didn't have difficulty in writing. In this way it is helping to solve the problem that has been replaced by the writing institute. 5. They had contacted with newspapers many times. And the ability of reading, writing, talking were enlarged by newspapers. Then they could have analytic power that they had found necessary material by themselves. And them they had creativity that they could use analyzed materials. Also they became to have interested in social issue and recognized it to be various opinions and value. At last they got positive effects that formed their own opinions on various theory and phenomena.
두 개의 모세의 노래에 관한 연구 : 출15:1-18과 계15:2-4의 비교
모세의 노래는 구원받은 자들이 부르는 합창으로서 출애굽기 15:1-18과 요한계시록 15:2-4에 나타나 있다. 출애굽기 15:1-18에 나타난 모세의 노래의 저작 시기에 대해서는 여러 견해--모세 당시와 모세 이후 솔로몬 시대, 모세이후 첨부되었다고 주장하는 견해--가 있으나 이 노래에 나타난 시적 분위기가 하나님의 기적적인 구원에 대한 감격적이고 생생한 표현 및 가나안에 도착하기까지 하나님께서 무사히 인도하실 것에 대한 확신의 찬양을 근거로 하여 모세 당시로 보고 있다. 또한 이 노래의 저작자에 대해서 이 노래의 문학적 기교와 표현력을 근거로 모세 당시로 저작 수준으로 볼 수 없다고 주장하는 학자들이 있다. 그러나 모세가 바로의 왕궁에서 40년간을 애굽의 왕세자로서 그 나라의 통치를 위한 모든 교육을 받았음을 생각해 볼때 모세가 출 15:1-18의 노래의 저자로서 이해하는 것이 타당성 있는 견해이다. 요한계시록 15:2-4에 나탄나 모세의 노래는 모세 시대 이후 약 1600년이 경과한 하도 요한의 시대에 기록된 노래이지만 이 노래의 배경과 그 동기 및 구조와 내용상의 특징, 노래하는 자의 정신 자세등을 고려해 볼 때 출애굽기 15:1-18의 모세의 노래를 모형으로 또 하나의 모세로서 신학적으로 서로 연관된 노래임을 알 수 잇따. 본 연구를 통해 위에 나타난 두 개의 모세의 노래를 서로 비교 연구하면서 다음과 같은 공통점을 발견하게 되었다. 첫째, 두 개의 모세의 노래의 배경과 동기는 박해하는 대적들에게 내리시는 하나님의 재앙들을 무시하고 끝까지 회개하지 않고 하나님의 백성드를 죽이려는 자들의 추격속에서 진퇴양난의 위기를 맞아 하나님의 기적적인 도움을 힘입어 구원을 얻어 부르게 되는 구속의 경험의 노래이다. 둘째, 두 노래는 그 장소가 모두 위기를 이미 벗어난 바닷가이며, 온 회중의 합창으로서 죽음의 위기속에서도 끝까지 하나님의 신뢰한 충성의 노래이다. 셋째, 노래의 내용에 있어어 두 노래는 모두 자신을 부정하고 구원하시는 능력이 오직 하나님께 있음을 찬송하는 진실된 믿음의 노래이다. 넷째, 두 개의 모세의 노래는 그 적용과 교훈에 있어 믿는 자들이 제일 먼저 경험할 침례의 상징으로서 언급된 거듭남의 노래이며, 끝까지 인내하고 충성한 자들에게 최후의 승리가 이미 선언된 승리의 노래이다.
ABSTRACT Characterization and Synthesis of EVA (Ethylene-co-Vinyl acetate) for Photovoltaic Module Encapsulation Yoo, Tae Hee Dept. of Chemical engineering The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rmal stability of EVA encapsulation including cross-linking agent and nanoclay. The EVA (Ethylene-co-Vinyl acetate) has been widely used in PV (Photovoltaic) to prevent cell in the module from environment. Conventional EVA encapsulant film/sheet including cross linking agents did not have sufficient thermal stability. Thus, we prepared and investigated the cross-linked EVA, incorporated EVA and cross-linked EVA/Clay nanocomposite. Thermal analysis showed that crossed EVA/Clay and measured of gel content, improve the thermal stability due to the synergic effect of clay cross-linking agents. From the results, the increased thermal stability in due to the chemical cross-linking and physical cross-linking of cross-linking agent and nanoclay, respectably The EVA sheet in thermal stability in premising materials the encapsulates of PV modules Keyword: EVA encapsulate, Photovoltaic (PV) module, Cross-linked; Thermal stability, NanoClay, Nanocomposites.
서울시내 특1급 호텔 연회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과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태희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7 국내석사
호텔에 대한 고객의 기대와 욕구가 다양해지면서 전문적이고 차별화된 고품질 서비스 제공을 통한 고객만족이 요구되고 있다. 호텔 서비스 산업에서 서비스 품질에 대한 연구는 기업의 주요한 성공요인이며 서비스 품질 향상에 총력을 기울일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호텔 연회 서비스 품질을 3차원 서비스 품질 모형을 토대로 연회 식음료 서비스 품질, 연회 인적 서비스 품질, 연회 물적 서비스 품질로 구분하여 고객만족과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성별에 따른 호텔 연회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과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국내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 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서울시내 특1급 호텔 연회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자기기입법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350부를 배포하여 회수된 320부 중 분석에 적합한 304부만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연구 결과 및 그에 따른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호텔 연회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과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진단한 결과, 호텔 연회 서비스 품질의 하위요인 연회 식음료 서비스 품질, 연회 인적 서비스 품질, 연회 물적 서비스 품질은 고객만족과 모두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으며, 고객만족과 재방문 의도 또한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호텔 연회 서비스 품질의 3가지 하위요인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력 크기를 비교한 결과, 연회 식음료 서비스 품질, 연회 물적 서비스 품질, 연회 인적 서비스 품질 순으로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성별에 따른 호텔 연회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과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진단하기 위하여 남성 집단과 여성 집단으로 구분하여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남성 집단과 여성 집단 모두 호텔 연회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과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별에 따른 호텔 연회 서비스 품질 3가지 하위요인들과 고객만족의 영향력 크기를 비교한 결과, 남성 집단의 경우 연회 식음료 서비스 품질, 연회 인적 서비스 품질, 연회 물적 서비스 품질 순으로 나타났고, 여성 집단의 경우 연회 물적 서비스 품질, 연회 인적 서비스 품질, 연회 식음료 서비스 품질 순으로 나타났다. 호텔 연회 서비스 이용객의 고객만족과 재방문 의도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호텔 연회 서비스 품질을 통한 고객만족은 호텔 연회 서비스 부문의 매출과 직결되는 고객의 재방문 의도를 높임으로써 호텔 서비스 산업의 학문적 실무적 의의를 갖는다. 또한 성별에 따른 호텔 연회 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의 비교 분석 연구는 호텔 연회 행사를 유치하는 연회 세일즈 측면에서 주요한 연회상담 포인트가 될 수 있으며, 연회 판매촉진 프로모션의 마케팅적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As the customer’s expectation and desire for the hotel becomes diversified, the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the provision of the professional and differentiated high-quality service is being required. The study on the service quality is a major success factor of the enterprise in the hotel service industry and relevant executives cannot help devoting all their energies to the improvement of the service q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ort the hotel banquet service quality into the quality of food & drink service, quality of personal service, and quality of material service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revisit intention. Also, it was intended to systematically compare·analyze the effect relation of the hotel banquet service quality by gender among the demographic natures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revisit intention. The study model and hypothesis were set based on the domestic/foreign precedent studies to carry out this study and the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consumers having experience in using the banquet service of the five-star hotel in Seoul. Only 304 questionnaires appropriate for the analysis among 320 collected ones after distributing 350 on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nd the study result and the following implica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diagnosing the effect relation of the hotel banquet service quality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sub-factors of the quality of hotel banquet service such as the quality of food & drink service, quality of personal service, and quality of material service had a significant effect relation with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relation with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revisit intention.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ize of the influence of 3 sub-factors of the hotel banquet service quality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it was shown that they influenced the customer satisfaction in order of the quality of food & drink service, quality of material service, and quality of personal servic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relation after assorting into the male group and female group to diagnose the effect relation of the hotel banquet service quality by gender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hotel banquet service qu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in both male group and female group. Fourth,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3 sub-factors of the hotel banquet service quality by gender with the influence size of the customer satisfaction, it appeared in order of the quality of food & drink service, quality of personal service, and quality of material service in the case of male group, and it appeared in order of the quality of material service, quality of personal service, and quality of food & drink service in the case of the female group.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relation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the hotel banquet service users, the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the quality of the hotel banquet service has an academic and practical significance of the hotel service industry by raising the customer’s revisit intention directly connected to the sales of the hotel banquet service sector. It is estimated that the comparative analysis study of the hotel banquet service quality by gender and the customer satisfaction will be an important banquet consultation point in terms of the banquet sales for holding the hotel banquet event, and be the marketing data of the banquet sales promotion.
지역 문예회관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전북 한국소리문화의전당을 중심으로
유태희 호서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21세기 문화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갖는 중요한 시점이다. 근대화 정책이 추진된 이래 한국사회 발전 과정에서 문화는 그다지 중요한 요소가 아니었다. 대개의 경우가 문화는 경제적 생산을 위해 필요한 수단이자 재충전의 메커니즘 정도로 그 의미가 있었다. 문화적 관점이 배재된 사회 발전의 과정 속에서 공동체 문화의 기반이 파괴되고 해체 되었다. 하지만 21세기에 진입한 경우사회는 매우 급박한 전환기의 소용돌이를 통과하고 있다. 문화 영역 역시 예외가 아니다. 오히려 문화가 경우사회를 이끌고 가고 있는 것이 아닌지 생각이 들 정도이다. 문화산업과 시장의 규모는 지금 엄청난 속도로 팽창하고 있다. 매우 진전되고 있는 정보통신 기술의발전은 문화산업의 규모 확장의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또한 공연예술이 활성화 되어 문화산업의 큰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문화 발전 속에 공연예술을 담아낼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문예회관은 공연시설은 나름대로 분류되지만 최근 들어 문예회관은 복합문화시설로 발전하여 문화를 창출하고 담아낼 수 있는 공간이 된 것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한국소리문화의전당은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전문성을 인정받아 민간위탁 체제로 운영되어지고 있다. 민간위탁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에 대한 지적들이 나타나지만 실제적으로 본인이 경험한 바로는 한국소리문화의전당 규모와 운영에 있어 경험하지 못하고 전문성이 배제된다면 매우 어려운 단계에 이를 것이라 판단된다. 복합문화 예술 공간은 여러 장르의 예술행위를 펼칠 수 있는 공간이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엮어 상승효과를 거두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복합 예술 공간의 몇 가지 공통점이 있다. 지역사회와 밀접한 관계가 형성되었고, 지역 문화예술인들과 교류를 통한 지역문화예술 가능성을 파악하고 있다 . 또한 여러 가지 예술 프로그램들이 무대에서 펼쳐지고 있다. 지방문화 예술 공간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점을 몇 가지 지적하자면 다음과 같다. 문화예술복합성 때문에 무엇보다도 전문적인 운영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지역의 문화예술 공간이 대부분 관료사회 문화를 바탕으로 한 인족 구성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문화예술 공간을 지원하는 공공기관이 갖고 있는 운영철학과 비젼에 따라 문화예술회관의 정체성이 정립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역 문화복합공간의 운영은 창의성을 절대적으로 필요로 하는 만큼 관료사회와 민간 전문분야와의 유기적인 협력 체계가 절실하다. 기본적으로 관에서 운영되는 문예회관을 살펴보면 문화예술조직이 필요로 하는 운영시스템과는 부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문화예술에 대한 행정위주의 운영보다는 문화예술의 창의력이나 창조성을 감안하여 탄력적인 운영시스템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볼 때 문예회관은 민간전문가들에게 위탁하는 법인화가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한국소리문화의전당이 좋은 견본이 될 수 있다. 지역문예회관이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중앙중심의 문화에 대한 지격 분배와 공연예술 제작에 있어 지역문예회관 공동으로 제작, 중앙으로 진출할 수 있는 좋은 계기도 될 것이다. 21세기 글로벌 무한경쟁의 시대에 들어서면서 중앙과 지방의 문화적 격차는 더욱 넓혀놓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지역문화예술의 저변확대는 곧 문예회관의 활성화와 연결되기 때문에 문화예술 콘텐츠를 공유하고, 상호 유익한 시너지를 얻을 수 있는 방안을 찾는다면 매우 유익할 것이다. 한국소리문화의전당이 전문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적극 모색하여야 한다. 수탁기관의 정체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문예회관의 경영은 종전의 행정관리 개념이 아니라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새로운 공공방식의 거버넌스여야 한다. 민간위탁 운영의 시스템에서는 무엇보다 경영 리더쉽이 중요하다. 그런 점에서 한국소리문화의전당의 경영 이념은 차별화 되어야 한다 .문예회관은 관리운영이 아니라 리더쉽 경영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동안 우리는 문예회관이라는 창의적인 공공 서비스 영역을 기계적 관리 운영의 개념으로 접근해 왔다. 그러나 이제는 예술의 창의성, 조직의 경제성 환경의 포용성을 효율적이며 효과적으로 통합하는 리더쉽 경영의 방식으로 혁신해야 한다. 한국소리문화의전당의 예술사업 부문은 지역주민들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지역의 문화감성을 확산시키는 촉매역할을 하여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예술이 생활화되어 있는 선진사회 일수록 문화향유의 평준화가 이루어져 있으며, 문예회관의 역할이 중요해지게 되는 것이다. 전통음악을 중요시 하는 지역의 문화적 특성과 산업기반의 취약, 인구 규모의 협소는 그동안 클래식과 같은 순수 문화장르의 관객 인프라가 형성되지 못하는 구조가 될 수밖에 없었다. 지역 주민들의 품격 높은 문화향수 욕구를 자체 지역 내에서 충족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장르의 공연물을 유치하여 무대에 올림으로써 공연기획의 3대 요소 중의 하나인 관객이라는 예술시장의 터전을 마련할
퍼스널컬러를 적용한 헤어컬러가 인상형성과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퍼스널컬러를 적용한 헤어컬러가 인상 형성과 외모만족도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성인남녀 374명에게 수집한 자료를 SPSS 23.0 Package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헤어컬러에 따른 퍼스널컬러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차가운 타입과 따뜻한 타입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 였다. 차가운 타입이 브라운과 오렌지 헤어컬러에서 평균이 가장 높았 고, 따뜻한 타입이 오렌지, 와인, 에쉬 에서 평균이 가장 높았다. 이는 현재하고 있는 컬러는 차가운 타입은 대부분 퍼스널컬러 적용이 되고 있지 않았으며, 따뜻한 타입은 오렌지가 잘 어울리므로 어느 정도 적용 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희망하는 헤어컬러에 따른 퍼스널컬러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차가운 타입과 따뜻한 타입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차 가운 타입은 브라운과 와인을 희망하였으며, 따뜻한 타입은 골드, 오렌 지, 와인을 희망하였다. 이는 퍼스널컬러가 차가운 타입은 차가운 색상 을 선호하지 않고 따뜻한 타입은 따뜻한 색상을 희망하였다. 셋째, 염색기준에 따른 퍼스널컬러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차가운 타 입과 따뜻한 타입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퍼스널컬러를 적용한 헤어컬러가 인상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 아보기 위해 눈동자 색을 고려한 염색이 인상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을 실시한 결과, 눈동자 색을 고려한 염색을 할수록 인상 형성의 친근성과 품위성이 높아졌다. 자신감을 높여주는 염색은 자신 의 단점은 커버 되고 장점은 드러나게 하여 자신감을 높여준다. 화사한 이미지 염색은 역동성, 친근성, 품위성이 높아졌다. 의복 색을 고려한 헤어컬러를 할수록 인상 형성의 역동성, 친근성, 품위성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 ii - 다섯째, 퍼스널컬러를 적용한 헤어컬러가 외모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눈동자 색을 고려한 염색을 할수록 외모 만족도도 높아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감을 높여주는 퍼스널컬러를 적용한 염색 을 할수록 외모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화사한 이미지 염색을 할수록 외모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 색을 고 려한 헤어컬러를 할수록 외모 만족도도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여섯째, 퍼스널컬러가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차가운 컬러는 역동성에 영향을 미치고, 따뜻한 계열은 품위성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퍼스널컬러가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따뜻 한 컬러일수록 외모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퍼스 널 컬러가 따뜻한 타입이 헤어 색상을 선택할 때 퍼스널컬러의 적용을 잘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외모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고유종 사슴벌레붙이 (딱정벌레目, 사슴벌레붙이科)의 생태 및 발육 특성
한국고유종인 사슴벌레붙이(Leptaulax koreanus Nomura, Kon, Johki & Lee)는 Nomura 등에 의해 1993년 기재된 이후 종의 특성이나 생활사 등과 같은 기초조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들의 야외에서의 생태정보를 조사하고 실내사육을 통해 기초적인 생태정보와 발육특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5년 5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경기도 포천시 광릉숲 일원을 중심으로 채집조사 및 실내사육을 실시하였다. 사슴벌레붙이 성충의 체장은 2-2.4cm이며, 체색은 광택이 있는 검정색을 띤다. 전체적으로 납작한 형태이고 머리의 이마부분에는 매우 복잡한 치상돌기가 발달해 있다. 유충은 가슴 및 복부의 마디마다 1쌍의 긴 강모가 나있는 것이 특징적이며 뒷다리가 작게 퇴화하여 4개의 다리로 이동한다. 사슴벌레붙이는 광릉숲 일원의 축축하고 습기가 있는 참나무류와 서어나무의 고사목에서 서식한다. 사슴벌레붙이는 굵기 7.8cm, 수피두께 0.7cm 이상의 고사목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월동처로는 지면에 접하고 습도가 높은 고사목을 선호하였으며 일부는 서식처를 떠나 굵은 고사목에서 월동을 하는 것도 관찰되었다. 대부분 2개체 또 그 이상으로 무리지어 월동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일부 단독으로 하는 경우도 관찰되었다. 실내조건(25℃, 70% RH, 16L: 8D)에서 발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암컷은 산란기 동안에 산란처를 만들어 알을 낳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암컷 1개체가 최소 12개, 최대 63개의 알을 산란하며 평균 32개의 알을 산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산란 직후 알의 색깔은 적갈색이나 점차 성숙함에 따라 녹색으로 바뀌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의 온도에 따른 부화기간을 조사한 결과, 15℃ 17.57(±1.43)일, 20℃ 13.68(±3.43)일, 25℃ 11.76(±2.24)일, 30℃ 8.35(±2.65)일로 나타났다. 각 태별 기간은 1령기 9.8(±2.2)일, 2령기 8.6(±1.4)일, 3령기 15.6(±2.4)일, 용기 7.2(±1.8)일 그리고 성충 수명은 1년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슴벌레붙이 유충의 실내사육을 위해 공시한 5가지 톱밥사료 중에서 참나무발효톱밥에서 가장 높은 생존율(93%)과 체중이 나타났다. Leptaulax koreanus Nomura, Kon, Johki & Lee is an endemic species of Korea that has been found only in Gwangreung Forest, Pocheon-si, South Korea. Basic research on this beetle species, with respect to it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life cycle, has not been conducted since its description as a new species by Nomura et al (1993).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cology and behavior of L. koreanus in nature, and to investigate the reproductive behavior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his species through rearing in the laboratory. collecting surveys were conducted in Gwangreung Forest, Pocheon-si, and an rearing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2015 to October 2016. The length of adult L. koreanus is 2.0-2.4 cm, and its color is glossy black. Its adult shape is flattened, and complex odontoid processes are developed in the forehead region. The larva has a characteristic pair of long bristles in its thorax and abdomen, and small atrophied hind legs; thus, only 4 legs are used for movement. L. koreanus inhabits damp dead oak and hornbeam in the Gwangreung Forest. This beetle inhabits trees with a thickness of ca. 7.8 cm and bark thickness of ca. 0.7 cm. During winter, L. koreanus inhabits dead timber with high humidity and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Further, some of these beetles leave their typical habitat and reside inside dead timber in the winter. Most of these beetles were in groups of 2 or more, but some were observed solitarily. Ovipositing behavior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in the laboratory, with environmental conditions set at 25℃, 70%Rh, and a photoperiod of 16 h light and 8 h dark (16L:8D). Ovipositing behavior of female L. koreanus included making a ovipositing place, and then laying from 12 to 63 eggs (average 32 eggs). Results of analysis of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incubation period showed that incubation period was 17.57 (±1.43) days at 15℃, 13.68 (±3.43) days at 20℃, 11.76 (±2.24) days at 25℃, and 8.35 (±2.65) days at 30℃. The period for each developmental stage was 9.8 (±2.2) days for the 1st instar, 8.6 (±1.4) days for the 2nd instar, 15.6 (±2.4) days for the 3rd instar, 7.2 (±1.8) days for the pupa stage, and over 1year for the adult stage. Among the 5 types of artificial diet in rearing of L. koreanus larvae, the larvae fed with oak fermentation sawdust, showed the highest final weights and survival rate (93%).
유태희 인하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Hepatitis C virus (HCV)가 1989년 발견된 이후로, HCV 감염은 인류의 건강을 해치는 전 세계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HCV 바이러스는 single open reading frame에 single-stranded RNA 유전체를 포함하는 작은 외피 보유 바이러스이다. 약 310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polyprotein은 구조 (core, E1, E2)와 비구조 폴리펩타이드 (P7, NS2, NS3, NS4A, NS4B, NS5A, NS5B)로 분열 되어진다. HCV에 대한 많은 실험연구가 수행되었지만, HCV 바이러스가 어떻게 숙주세포에 진입해서 숙주세포와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한 기본적인 메커니즘을 완전히 밝혀내지 못해서 HCV 바이러스 간염을 막을 수 있는 치료제가 아직 개발되지 못하였다. HCV 단백질을 번식시킬 만한 작은 실험용 동물이 최근까지도 없었기 때문에 HCV 바이러스에 대한 조직배양이 어려워서 HCV 와 인간 단백질의 상호작용에 대한 실험이 쉽지 않다. 실험연구와는 반대로 몇몇의 계산연구에서는 HCV 단백질과 인간단백질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의 일환으로 본 논문에서는Support Vector Machine (SVM)으로 HCV 결합체 내의 단백질간의 결합부위의 예측을 시도하였다. Protein Data Bank (PDB)에서 추출한 HCV 단백질 결합체 중에서 중복되는 것을 제거하는 작업을 거쳐 얻어진 18개의 HCV 단백질 복합체의 결합부위를 평균 76%의 sensitivity, 75%의 specificity로 예측할 수 있었다. 예측된 결과는 HCV 바이러스와 인간 단백질간의 상호작용 연구에서 결합 부위의 후보의 범위를 좁히고 HCV 바이러스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와 신약 개발에 도움을 줄 것이다. 향후 HCV의 결합부위에 대한 더 많은 물리적, 생화학적 특징 분석 결과를 feature vector에 반영하고, SVM의 매개변수, 가중치 행렬 등을 단백질 복합체내의 결합부위를 찾는 작업에 맞도록 최적화하고, 결합부위 예측에 맞는 특별한 커널 함수를 개발하여 사용한다면 더 좋은 예측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電氣驅動 異動形 人工呼吸器의 性能向上 및 내구성 측정에 關한 硏究
In order to measure durability and improve the performance in the electrically driven portable ventilator, in this research is focused on the measurement of the friction and leakage of the seal. In this research, we used a lip seal in order to seal the pressurized air side to the environment The lip seal in this study is made of the teflon which has a self-lubrication ability. The optimum outer diameter of lip seal was 167mm and thickness was 0.68mm from the result of previous study. In case of air leakage test, lip seal made of pure teflon is the best among them. But the lip seal made of teflon 90% and graphite 10% showed the best results in friction test and air leakage test. To select optimum coupling which is used to connect the motor shaft and ball screw, two couplings are measured their stress-strain relationship using INSTRON. All of them are acceptable in using in the pressure range in the cylinder. Also, to use NTC Thermistor as a flow sensor, we compared floe-potential differ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domestic thermistor and thermistor made by Sensor scientific in U.S. Generally, thermistor of Sensor Scientific is excellent in the respects case of durability, response time and reliability. We designed one-way valve of the inlet & outlet port of plate and pressure drop test apparatus are made and the pressure drop across the valve are measured. In measuring of pulsatle flow from the cylinder, an integrating volume flowmeter may not be adequate to measure. Therefore, we verified accuracy of integrating flowmeter using pitot and hot-wire anemometer. In future study, the main point in developing of piston ventilator is to develop Air-Oxygen mixing device and verify it's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