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토양(土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에 미치는 유기물(有機物)의 연용효과(連用效果) -I. 유기물연용(有機物連用) 답(畓)의 토양화학적(土壤化學性) 변화연구(變化硏究)

        유철현,김종구,박건호,김성조,Yoo, Chul-Hyun,Kim, Jong-Gu,Park, Keon-Ho,Kim, Seong-Jo 한국토양비료학회 1988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21 No.3

        유기물연용(有機物連用) 답토양(沓土攘)의 화학적(化學的) 특성(特性) 및 유기물연용시(有機物連用時)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 수준(水準) 구명(究明)코져 하해혼성평탄지(河海混成平坦地) 토양(土壤)인 전북통(全北統)에서 유기물(有機物)(무시용(無施用), 생약(生藥)500, 퇴비(堆肥) 1,000 kg/10a) 처리(處理)하고, 질소수준(窒素水準)(0, 15, 20kg/10a)을 달리하여 1979~1987년(年)까지 9년(年)동안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土壤)의 pH는 유기물(有機物) 무시용구(無施用區)에서 9년간(年間) 큰 변화(變化)가 없었으나 퇴비구(堆肥區) 는 3~4년차(年次), 생고구(生藁區)는 5~6년차(年次)에서 가장 낮았다. 2. 토양중(土攘中)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은 유기물연용(有機物連用)이 경과(經過)할수록 증가(增加)하였으나 연용(連用) 5년차(年次) 이후(以後)부터 생고연용구(生藁連用區)의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이 퇴비구(堆肥區)보다 높았다. 3 유효규산(有效珪酸) 및 인산함량(燐酸含量)은 유기물(有機物)을 연용(連用)하므로서 표(表) 심토(心土) 공(共)히 급격(急激)히 증가(增加)하였으며, 퇴비구(堆肥區)보다 생고연용구(生藁連用區)에서 증가(增加) 폭(幅)이 컸고 무시용구(無施用區)에서는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었다. 4. 토양중(土攘中) 치환성(置換性) 양(陽)이온 (Ca, Mg, K) 및 전질소함량(全窒素含量) 유기물연용구(有機物連用區)에서 증가(增加)되었으며, 특(特)히 생고연용구(生藁連用區)에서 높았고 무시용구(無施用區)에서는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었다. 5 토양(土壤)Eh는 무시용(無施用)>퇴비(堆肥)>생고구(生藁區) 순(順)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으나, 유기물연용(有機物連用)으로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에서 출수기(出穗期)까지 급격(急激)히 환원(還元)되어 Eh값이 증가되었다. 6. 수량구성요소중(收量構成要素中) $m^2$ 당(當) 수수(穗數) 및 수당입수(穗當粒數)는 생고연용구(生藁連用區)에서 가장 높고 각(各) 처리(處理) 공(共)히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이 증가(增加)할수록 많았으며, 천립중(千粒重)은 유기물연용(有機物連用)의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 낮을수록 무거운 경향(傾向)을 보였다. 7. 유기물연용시(有機物連用時)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의 권장 수준(水準)은 생고(生藁)(500kg/10a)연용시(連用時) 1~3년(年)은 21kg/10a, 4~6년(年)은 24kg/10a, 7~9년(年)은 20kg/10a였으며, 퇴비(堆肥)(1,000kg/10a) 연용시(連用時)는 1~3년(年)은 16kg/10a, 4~9년(年)은 19kg/10a으로 추정(推定)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ong-term applications of organic matters on the chemical properties and on the application levels of nitrogen in Fluvio-Alluvial plain of Jeonbug series. The amounts of application of rice straw and compost, the sources of organic matters, were 500 and 1,000 kg/10a in combined with the different nitrogen levels of 0.15 and 20 kg/10a, respectivel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9 year's experiment during 1979 to 1987 were summarized as follows: I. In long-term application of Organic matter the soil pH showed the lowest value in the 3rd-4th year at rice straw and 5th-6th year at compost but it varied less in control plot for 9 years. 2. Organic matter content in the soils was gradually increased by yearly application of organic matter, while it was higher in rice straw than in compost since the 5th year. 3. The contents of available silica and available phosphate in soil were rapidly increased by long-term application of organic matter and it was especially higher in rice straw than compost, but it was gradually decreased in control plot. 4. The contents of exchangable cations (Ca, Mg and K) and the total nitrogen were increased by long-term application of organic matter they were in rice straw than in compost. But they showed decreasing tendency in control plot. 5. The soil Eh was lower in order of rice straw, compost and control plot however application of orgnic matter resulted in increasing soil Eh due to the rapid reduction of soil from panicle formation to heading stage in rice cultivation. 6. The number of panicles per $m^2$ and the number of granis per panicle were increased by increment of nitrogen levels in all treatments and especially largest in rice straw application. But 1,000 grain weight increased in low nitrogen level with long-term applications of organic matter. 7. It was estimated that the application levels of nitrogen by long-term application of organic matter were 21, 24 and 20 kg/10a for 1st-3rd, 4th-6th and 7th-9th year in rice straw application, and 16 and 19 kg/10a for 1st-3rd and 4th-9th year in compost application, respectively.

      • KCI등재

        Latex 피복요소시용(被覆尿素施用)과 고온(高溫)이 건답직파(乾畓直播) 벼의 질소이용효율(窒素利用效率)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

        유철현,신복우,정지호,강승원,한상수,김성조,Yoo, Chul-Hyun,Shin, Bog-Woo,Jeong, Ji-Ho,Kang, Seung-Weon,Han, Sang-Soo,Kim, Seong-Jo 한국토양비료학회 1998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31 No.4

        본 연구(硏究)는 2년간('96~'97)의 이상고온(異狀高溫)해에 벼 건답(乾畓) 직파재배시(直播栽培時) 완효성시료(緩效性試料)(LCU)의 시용(施用)에 따른 시비질소(施肥窒素)의 토양중(土壤中) $NH_4-N$발현량(發現量),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 및 이용율(利用率), 수량성(收量性) 변이(變異)를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호남평야지(湖南平野地) 논토양(土壤)의 대표토양(代表土壤)인 전북통(全北統)에서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할 수 있다. 시비질소(施肥窒素)의 용출(溶出)은 완효성비료(緩效性肥料)의 기비전량(基肥全量) 전층시비시(全層施肥時) 무효분얼기(無效分蘖期)에 거의 완료(完了)되었으며 관행의 표층시비(表層施肥)에서는 전기간(全期間) $NH_4-N$함량이 낮았다. 완효성비료(緩效性肥料) 시용구(施用區)의 출수기(出穗期) 비절현상(肥切現象)은 SPAD치(値) 28.1에서 나타났으며 경엽중(莖葉中) 질소농도(窒素濃度)는 1.75%였다. 질소이용율(窒素利用率)은 관행(慣行)에 비하여 완효성비료(緩效性肥料) 시용구(施用區)에서 높았고 관행(慣行)의 표층시비(表層施肥)에서는 전층시비(全層施肥)의 56.9%에 지나지 않았다. 쌀 수량(收量)은 완효성비료(緩效性肥料)를 기비(基肥)로만 시용한 것에 비하여 수비(穗肥)를 시용(施用)하므로써 9%의 증수(增收)를 보였다.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NH_4-N$ in soil, nitrogen uptake by rice plant, nitrogen use efficiency and rice yield by the application of Latex Coated Urea(LCU) on direct seeding rice, rice was planted on paddy field, Jeonbuk series at the Honam area, from 1996 to 1997. Nitrogen in LCU applied as basal dressing in whole layer was dissolved almost untill non-productive stage. Thus, nitrogen deficiency symptom appeared and N in shoot was 1.75% showing 28.1 of SPAD value at heading stage. However percentage recovery of fertilizer N was higher in LCU than with urea application. Top dressing of urea at panicle initiation stage in addition to basal dressing of LCU, increased rice yield by 9%. Conventional split application of urea on the surface decreased the percentage recovery of fertilizer N to 56.9% of whole layer application plot.

      • KCI등재

        간척지토양(干拓地土壤)의 숙성화정도별(熟成化程度別) 이화학성(理化學性) 변화연구(變化硏究) I. 문포(文浦) 및 포이통(浦里統)에 관(關)하여

        유철현,조국현,최정원,박건호,김영호,Yoo, Chul-Hyun,Cho, Guk-Hyun,Choi, Jeong-Weon,Park, Keon-Ho,Kim, Yeong-Ho 한국토양비료학회 1989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22 No.3

        본(本) 연구(硏究)는 토양(土壤)의 숙성화정도(熟成化程度)에 따른 토양(土壤)의 이화학성(理化學性) 변화(變化) 양상(樣相)을 구명(究明)하여 벼 수량증대(收量增大)를 위(爲)한 토양개량(土壤改良)과 관리(管理)의 자료(資料)를 얻고져 실시(實施)하였다. 1. 문포통(文浦統)의 이앙전(移秧前) 토양(土壤) 및 지하수(地下水) 염농도(鹽濃度)는 간척(干拓)6년차(年次)에서 각각(各各) 0.60%와 1.84%로 염해(鹽害)가 우려(憂慮)되나 20년차(年次)부터는 수도재배(水稻栽培)가 가능(可能)한 함량(含量)이었고, 포리통(浦里統)은 12년차(年次)까지 염해우려(鹽害憂慮)와 그 이후(以後)부터는 벼 안전재배(安全栽培)가 가능(可能)한 함량(含量)이었다. 2. 토양입경(土壤粒徑)은 토양(土壤)이 숙성화(熟成化)됨에 따라 문포통(文浦統)은 표(表) 심토(心土) 공(共)히 모래함량(含量)은 부(負)의 상관(相關), 점토함량(粘土含量)은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인 반면(反面) 포리통(浦里統)은 이와 상반(相反)되는 경향(傾向)이었다. 3. 토양(土壤)이 숙성화(熟成化)됨에 따라 N-계수(係數), Atterberg limits는 양(兩) 토양(土壤) 공(共)히 부(負)의 상관(相關)을 보인 반면(反面) Clay-Activity는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고 cole는 문포통(文浦統)에서 정상관(正相關), 포리통(浦里統)은 부(負)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4. 토심별(土深別) 원추저항(圓錐抵抗)은 문포통(文浦統)의 간척(干拓) 6년차(年次) 표토(表土)(2.5 cm)에서 $62.9kg/cm^2$(지표경도(指標硬度) 32mm), 20년차(年次)는 토심(土深) 15 ㎝에서 $24.9kg/cm^2$(지표경도(指標硬度) 28mm), 27년차(年次)는 토심(土深) 22.5 cm에서 $16.7kg/cm^2$(지표경도(指標硬度) 26mm)의 저항(抵抗)을 보인 반면(反面) 포리통(浦里統)은 간척(干拓)12년차(年次)까지 토심(土深) 15~20 cm의 저항치(抵抗値)가 농기계(農機械)의 사용(使用)이 곤란(困難) 및 불가능(不可能)한 저항치(抵抗値) $3kg/cm^2$을 보였고 23년차(年次)부터는 경반층(硬盤層)의 생성(生成)으로 농기계사용(農機械使用)이 가능(可能)한 $3kg/cm^2$이상(以上)을 보였다. 5. 간척년대별(干拓年代別) 점토광물(粘土鑛物)의 종류(種類) 및 변화(變化)는 없었으며, 양(兩) 토양(土壤) 공(共)히 주점토광물(主粘土鑛物)은 Illite 및 Kaolinite 광물(鑛物)들이며, 부점토광물(副粘土鑛物)을 Montmorillonite, Vermiculite이었다. In order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n soil inprovement and management of two reclaimed paddy soils, Munpo and Pori seri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investigating the change of physico-chemical and soil mechanical properties. 1. In the Munpo series, the contents of salt in the soil and ground water before paddy rice transplanting at 6 years after reclamation were 0.60 and 1.84%, respectively, and the safty cultivation of paddy rice was possible after 20 years, while that of the Pori series was after 12 years. 2. In the Munpo series, the change of the soil particle size according to the ages after reclamat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andy contents, but clay contents had positive correlation both in the surface and subsurface soils. The pori series showed reverse tendency. 3. Between the N-value and Atterberg limits and the age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in both Munpo and Pori series, but clay-activity showed positive. Arid the cole value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in the Munpo series, but negative in the Pori series. 4. Cone penetrating resistance in the surface of the Munpo series after 6 years of reclamation was 62.9, after 20 years 24.5 and $16.7kg/cm^2$ in 15cm of soil depth at depth of 22.5cm after 27 years. In the Pori series, it was $3kg/cm^2$ at 15-20cm of soil depth after 12 years and it used after being creation of hard pan layer after 23 years. 5. Change of the clay minerals by the different year after accomplishment of tidal reclamation did not show. The major clay minerals were illite and kaolinite, and accessory clay minerals were montmorillonite and vermiculite in both Munpo and Pori series.

      • KCI등재

        유기질토층(有機質土層)을 함유(含有)한 호남지역(湖南地域) 답토양(畓土壤)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유기질토층(有機質土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 및 토양(土壤)의 지지력(支持力)

        유철현,조국현,최정원,김한명,박건호,엄기태,Yoo, Chul-Hyun,Cho, Guk-Hyun,Choi, Jeong-Weon,Kim, Han-Myoung,Park, Keon-Ho,Um, Ki-Tae 한국토양비료학회 1986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19 No.3

        호남지방(湖南地方)에 분포(分布)되어 있는 공덕(孔德), 봉남(鳳南) 및 김제통(金堤統)이 갖는 이탄(泥炭)과 흑이(黑泥)의 이화학적특성(理化學的特性), 섬유소함량(纖維素含量) 및 부식화도(腐植化度)와 이탄(泥炭)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 합리적(合理的) 토양관리(土壤管理)를 위(爲)한 이들 토양(土壤)의 지지력(支持力)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이탄(泥炭)의 부식화도(腐植化度)는 23 정도(程度)인데 반(反)하여 흑이(黑泥)는 45~71로서 흑이(黑泥)의 부식화도(腐植化度)가 더욱 진전(進展)되었으며, 봉남통(鳳南統)의 흑이(黑泥)에 비(比)해 흑이(黑泥)의 위치(位置)가 표상(表上)에 가까운 김제통(金堤統)의 부식화도(腐植化度)가 컸었다. 2. 부식화도(腐植化度)가 높은 유기물층(有機物層)일수록 pH가 높고 K, $P_2O_5$, B+S 및 가비중(假比重)이 높으며, OM, T-C, T-N, Na, $SiO_2$, 및 섬유소함량(纖維素含量)은 감소(減少)되었다. 3. 이탄(泥炭)과 흑이(黑泥)의 특성중(特性中) 섬유소함량(纖維素含量)과 이화학적특성(理化學的特性)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에 있어서 pH, T-N, $P_2O_5$ 및 Ash, 가비중(假比重)은 유의성(有意性)있는 부(負)의 상관(相關), OM, CEC, T-C, PAC, C/N, C/P 등(等)은 유의성(有意性)있는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으며, 부식화도(腐植化度)와 이들 성분(成分)과의 관계(關係)는 섬유소함량(纖維素含量)과 반대(反對)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다. 4. 토양(土壤)의 토층별(土層別) Cone 지지력(支持力)은 유기질토층(有機質土層)이 두껍고 배수(排水)가 불량(不良)한 공덕통(孔德統)에서 전토층(全土層)의 Cone지지력(支持力)이 낮았으며, 유기질토층(有機質土層)이 얇아서 무기질토양(無機質土壤)과 유사(類似)한 김제통(金堤統)에서 가장 높았다. Present stadies were carried out to obtain fundermental data for effective management of the soils by investigating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rubber fiber, humification grade and bearing power of peats and muck which were included in Geongdeog series, and Gimje series in Honam area. The results abtained were as follows; 1. Humification grade of peats were about 23, while that of muck soils was about 45-71 and those were higher in Gimje series than Bongnam series. 2. The organic tiers which humification grade was higher were high pH, bulk density, and contents of K, $P_2O_5$, B.S and while were low OM, T-C, T-N, Na, $SiO_2$ and rubbed fiber. 3. In peats and mucks, bulk density, pH, contents of T-N $P_2O_5$ and ash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rubbed fiber and OM, CEC, T-C, PAC, C/N, C/P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one, while thes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oppositely correlated with humification grade. 4. Cone bearing power of each soil tiers was low in every Geongdeog series which had the thick organic tiers and showed poorly drainage and it was the highest in Gimje series which was similar to in organic soils because of its thin organic tiers.

      • KCI등재

        유기질토시(有機質土尸)을 함유(含有)한 호남지역(湖南地域) 답토양(畓土壤)에 관(關)한 연구(硏究) -I. 유기질토시함유(有機質土尸含有) 답토양(畓土壤)의 특성(特性) 및 생성(生成)

        유철현,김응복,조국현,김한명,유숙종,박건호,배성호,엄기태,Yoo, Chul-Hyun,Kim, Eung-Bog,Cho, Guk-Hyun,Kim, Han-Myoung,Yoo, Sug-Jong,Park, Keon-Ho,Bae, Sung-Ho,Um, Ki-Tae 한국토양비료학회 1985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18 No.3

        Present studie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and formation of organic tiers contained paddy soils in Honam area characteristics to give basic informations on the effective utilization,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the soils.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extent of organic tiers contained paddy soils in Honam area were 6.538㏊ and the amount of peat deposits were presumed about 2.41 million M/T. 2. Out of the total extent of the organic tiers contained paddy soils, about 97.6% was distributed in Honam plains (water-sheds of Mangyeong-Dongjin river), while about 1.5% in the Naju plains (water-sheds of Yeongsan river), and 0.9% in the Wando and Yeocheon areas. 3. The period of peat formation was presumed to be about the early of Seung Moon period (B.C. 4,250), and the Gongdeog series and the Bongnam series were formed in the bog conditions close to the valley mouth of near rolling and hill with small steram channels, and the Gimje series was formed in the out-skirts plains of the Gongdeog and Bongnam soils. 4. In the casue of peat formation, it was presumed to be the Gimje series that accumulated the fibrous peat out of the autochthonous peat such as reeds and grasses etc, to be the Gongdeog and Bongnam series that accumulated the autochtonous peat and the xylem and fibrous peat out of first allochthonous peat. 5. In the Organic horizons of these soils, the range of muck and peat horizons were in 62-68cm and 68-137cm of soil profile in the Gongdeog series, 52-84cm and 84-113cm in the Bongnam series respectively, one of muck horizon was in 46-71cm in the Gimje series. 6. The marks of soil horizons of the soils were expressed that the lower soils than the horizon of muck and peat were formed Cg, Aag for the muck horizon, 0 for the peat horizon, 0 of peat horizon were distingushed with Oag and Oig according to Organic forms. 7. The depthe occurred the muck and peat horizon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width of local in the Gongdeog series ($r=0.881^{**}$, $r=0.827^{**}$), but not in the Bongnam series and Gimje series. 본(本) 조사연구(調査硏究)는 호남지방(湖南地方)의 하해혼성평탄지(河海混成平坦地)에 산재(散在)하는 유기질토시(有機質土尸) 함유(含有) 답토양(畓土壤)의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 분포(分布), 생성원인(生成原因), 그리고 지형(地形)과 이들 유기질토시(有機質土尸)과의 관계등(關係等)을 구명(究明)하여, 토양(土壤)의 효율적(效率的)인 이용(利用) 및 관리(管理)와 개량연구(改良硏究)에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提供)코져 조사연구(調査硏究)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호남지방(湖南地方)에 분포(分布)된 유기질토시(有機質土尸) 함유(含有) 답토양(畓土壤)은 총(總) 6,538ha로서, 전국(全國) 유사토양(類似土壤)의 64.7%에 해당(該當)하였으며, 이탄(泥炭)의 매장양(埋藏量)은 약(約) 241만(萬)M/T로 추정(推定)된다. 2. 유기질토시(有機質土尸) 함유토양(含有土壤)은 대부분(大部分)이 만경(萬頃) 동진강유역(東津江流域)(호남평야(湖南平野))에 분포(分布)하며 (97.6%), 일부(一部)는 영산강유역(榮山江流域)인 나주평야(羅州平野)(1.5%), 및 완도(莞島), 여천지역(麗川地域) (0.9%)에도 일부(一部) 분포(分布)되어 있었다. 3. 이탄(泥炭)의 생성(生成)은 B.C 4250연경(年頃)의 승문시대전기(繩文時代前期)로 추정(推定)되며, 공덕통(孔德統)과 봉남통(鳳南統)은 소하천(小河川)이 있는 곡간지(谷間地) 및 구릉지(丘陵地)와 인접(隣接)한 소택지(沼澤地)에서 생성(生成)되었고, 금제통(金堤統)은 구릉지(丘陵地)와 인접(隣接)한 저습지(低濕地)에서 발달(發達)되었다. 4. 이탄(泥炭)의 생성원인(生成原因)은 갈대, 풀등(等)의 자생섬유질(自生纖維質) 이탄(泥炭)이 집적(集積)된 것은 금제통(金堤統)이며, 이와 병행(竝行)하여 자생이탄(自生泥炭)과 일차타생이탄(一次他生泥炭)의 목질(木質) 및 섬유질이탄(纖維質泥炭)이 동시(同時)에 집적(集積)된 것은 공덕(孔德), 봉남통등(鳳南統等)인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5. 공덕통(孔德統) 단면중(斷面中)의 흑이시(黑泥尸)와 이탄시(泥炭尸)은 각각(各各) 62-68cm 및 68-137cm에서 나타났고, 봉남통(鳳南統)은 52-84cm 및 84-113cm에서, 그리고 금제통(金堤統)의 흑이시(黑泥尸)은 46-71cm 부위(部位)에서 나타났다. 6. 각(各) 토양(土壤)의 토시부호(土尸符號)는 흑이(黑泥) 및 이탄시하부(泥炭尸下部)의 토시(土尸)을 Cg시(尸)으로 하였으며, 유기물시(有機物尸)의 흑이시(黑泥尸)은 Aag로, 이탄시(泥炭尸)은 0로 하여 유기물형태(有機物形態)에 따라 Oag 및 Oig로 구분(區分)하였다. 7. 곡간폭(谷間幅)과 흑이(黑泥) 및 이탄시(泥炭尸)의 출현(出現) 깊이는 공덕통(孔德統)에서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으나($r=0.881^{**}$, $r=0.827^{**}$ 봉남통(鳳南統) 및 금제통(金堤統)은 일정(一定)한 경향(傾向)이 없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