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마러이 샨도르(Márai Sándor)의 두 소설에 나타난 ‘여행’ 모티프

        유진일(Yoo, Jin-il)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11 동유럽발칸학 Vol.13 No.1

        헝가리 작가들 중에 여행모티프를 가장 많이 다룬 작가로는 마러이 샨도르(Márai Sándor)를 들 수 있다. 마러이 샨도르는 1900년에 헝가리에서 태어났지만 헝가리에서 보다는 외국에서 더 많이 시간을 보냈으며 1989년에 미국에서 자살로 생을 마감하였다. 본고에서는 그의 대표작인 〈초들이 동강까지 타고 있다(A gyertyák csonkig égnek)〉와 〈에스테르의 유산(Eszter hagyatéka)〉을 대상으로 여행모티프에 나타나는 시간과 공간의 구조와 의미를 분석하였다. 마러이 샨도르의 떠남과 기다림은 여타 여행모티프를 가진 다른 소설들과는 차이를 보여준다. 첫째는 수 십 년의 여행 시간에도 불구하고 떠나는 자의 존재론적 위치가 전혀 변하지 않는 점이고 둘째는 여타 여행모티프 소설들의 경우 떠나는 자의 관점에서 서사가 전개됨에 비해 마러이 샨도르의 소설들의 경우에는 기다리는 자의 관점에서 서사가 진행된다는 점이다. 이들 작품들을 통해 마러이 샨도르가 혼란한 조국의 현실을 뒤로 한 채 자신의 안전을 위해 조국을 떠나지만 그 자책감으로 인해 많은 시간이 흐른 뒤에도 작품을 쓴 현재(당시)까지 괴로워했으며 그에게 있어서 과거와 현재가 하나의 시간 개념으로 묶여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계속되는 조국의 혼란한 현실로 인해 자신과 조국 간의 관계 설정과 정체성 문제에 있어서 해결할 수 없는 해결 불가능성을 느끼게 됨을 알 수 있다. 마러이 샨도르의 그러한 의식은 두 작품 모두에서 콘라드(Konrád)와 러이오시(Lajos)가 헨릭(Henrik)과 에스테르(Eszter)를 떠난 후 수 십년이 지난 후에 돌아왔음에도 모든 면에서 과거와 전혀 달라진 게 없다는 사실을 통해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해결불가능성은 헨릭과 콘라드, 에스테르와 러이오시, 그리고 조국 헝가리와 자신의 미래시제의 부재 의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두 작품에 나타난 가장 중요한 공간인 헨릭의 성(城)과 에스테르의 집은 조국 헝가리를 상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언젠가는 자신을 기다리는 조국으로 돌아가고 싶고, 또 돌아가야 할 곳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스스로의 자책감과 죄책감으로 인해 둘 사이에 역시 해결 불가능한 한계가 있음을 고백하고 있다. 이러한 둘 사이의 해결 불가능성은 타향(미국)에서 자살로 생을 마감한 것에서 알 수 있다. 지금까지 마러이 샨도르에 대한 연구는 조국과 정체성의 관점이 아닌 사랑과 정열, 우정과 신의, 거짓과 진실, 인간으로서의 한계와 슬픔의 관점에서만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본고에서 살펴보았듯 마러이 샨도르의 작품은 단순히 떠난 친구와의 신의, 또 떠나간 연인과의 사랑의 문제를 넘어서 마러이 샨도르의 조국에 대한 자책감과 조국의 현실에 대한 안타까움, 그리고 나약한 인간으로서의 한계를 조국을 떠난 자신의 입장이 아닌 조국의 입장, 즉 기다리는 자의 입장에서 다룬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는 지금까지 마러이샨도르 작품 연구와 관련하여 전혀 다루지 않았던 새로운 관점에서 작품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겠다. Sándor Márai can be referred to as a person who most dealt with travel motifs among Hungarian writers. Born in Hungary in 1900, he spent more time abroad than in his fatherland and ended his life by suicide.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structures and meanings of the time and space seen in the travel motifs of his representative works "A gyertyák csonkig égnek (The Candles Burn Down to the Stump)" and "Eszter hagyatéka (Esther's Inheritance)." In terms of departure and waiting, his works are differentiated from those with other travel motifs. First, the existential position of a departing being never changes despite tens of years of travel. Second, narratives move forward in the viewpoint of a waiting being in his works, unlike other works with travel motifs in which the narratives move forward in the viewpoint of a departing being. According to his works, he suffered from a guilty conscience till the time when he wrote them long after leaving chaotic Hungary in order to seek a safe refuge and showed that past and present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in one concept of time in him. Also, he felt insolu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im and his fatherland and his identity due to the continuous chaotic realities in Hungary. Such consciousness is shown by the fact that there is no change in every respect, though Lajos and Henrik return to Eszter after tens of years of sojourn in foreign countries. Accordingly, such insolubility appears as the consciousness of absence of the future tense in Henrik and Konrád, Eszter and Lajos, and Hunary and him. It seems that his fatherland Hungary is symbolized by Henrik's castle and Eszter's house, the most important spaces in the both works. He would like to return to his fatherland and believes that he will have to do so, but owing to the pangs of guilty he confesses that there are insoluble limitations between the two. The insolubility is revealed by the fact that he committed suicide in the United States. Till now, the studies of Márai Sándor have focused merely in terms of love and passion, friendship and trust, dishonesty and truth and limitations and sorrows as a human being, not in terms of fatherland and identity. Rather, his works address the senses of guilty and sympathy for the fatherland and the limitations as a weak human being, not simply ending in the faith with a friend left behind and the love with a lover split up with, from the standpoint of the fatherland, i.e. a waiting being, not of him who left his fatherland.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pproaches his works in a completely new perspective.

      • 헝가리 정형시(定型詩) 율격(律格)의 구조와 특징

        유진일(Yoo, Jin-il)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7 동유럽발칸학 Vol.9 No.1

        본고는 헝가리 정형시에 나타나는 율격의 유형과 구조를 살펴보고 헝가리 정형시의 율격이 가지는 특징을 살펴봄을 목적으로 하고있다. 정형시에 있어서 율격이란 시에 리듬과 규칙성을 부여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고려한다면 율격의 구조를 살피는 작업은 헝가리 정형시의 구조와 특징을 파악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율격은 한 언어의 음운자질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율격에 관한 연구는 그 언어가 가지는 음운론적 특징을 살펴볼 수 있는 장을 제공하기도 한다. 헝가리 정형시의 율격구조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율격의 개념정의와 더불어 율격의 유형과 각 율격의 특징을 살펴보는 작업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먼저 율격이론에 관한 다양한 학자들의 이론을 살펴보고 일반적으로 가장 공감을 얻고 있는 로츠(J. Lotz)의 이론을 틀로 하여 헝가리 정형시에서 찾아볼 수 있는 율격의 종류를 분류해 보고 각 율격이 가지는 특징을 살펴보았다. 헝가리 학자들 역시 로츠의 율격유형 분류이론과 흡사하게 음절수(szótagszám), 음의 강약(hangsúly), 음의 장단(időtartam), 음의 고저(hanglejtés)등 율격을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있다. 헝가리 정형시 율격의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율격의 다양성에 있다. 일반적으로 다른 언어의 경우에는 시작(詩作)에 있어서 율격의 유형 중 한 가지 혹은 두 가지 유형이 나타나는데 비해 헝가리 정형시에는 음절율격, 강약율격, 장단율격 등 세 가지 유형이 나타나고있어 다른 언어들에 비해 다양한 율격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헝가리 정형시 율격의 또 하나의 특징은 이런 율격들이 개별 시에서 단독적으로 적용되기도 하지만 어떤 시에서는 둘혹은 세 가지 유형의 율격이 다양한 조합을 이루며 하나의 시에서 동시에 적용되기도 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음절율격과 강약율격, 음절율격과 장단율격, 강약율격과 장단율격, 그리고 어떤 경우에는 음절율격, 강약율격, 장단율격이 한 작품에서 동시에 보여 진다. 이렇게 헝가리 정형시에 적용되는 율격의 유형이 다른 여타 언어에 비해 다양하게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헝가리어의 음운론적 특징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헝가리 단어의 첫음절에 강세가 오는 언어적 특징은 강약율의 적용을 가능케 하였고, 헝가리어의모음구조에서 장모음과 단모음의 대칭은 장단율격을 적용을 가능케 했으며 각 음소의 모음적 성격과 자음적 성격의 명확한 구분은 음절 율격 적용의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이러한 헝가리어의 언어적 특징이 한데 어우러져 헝가리 정형시의 율격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율격구조는 동시에 헝가리 정형시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tric genres applied to Hungarian rhymed verses and their characteristics. Since meters belong to basic elements that give works rhythms and regularity in rhymed verses, the inspection of metrical structure is also to grasp the structures and features of Hungarian rhymed verses. In addition, since meters consist of phonological features of a language, the study of meters also enables to grasp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language. In looking into the metrical structure of Hungarian rhymed verses, it would be necessary in advance to review the conceptual definitions, kinds and characteristics of meters. Accordingly, this study considers the various views of scholars, classifies the kinds of meters found in Hungarian rhymed verses based on J.Lotz's theory most widely recognized, and then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eter. Similar to Lotz, Hungarian scholars divide meters into 4 types of szótagszám (number of syllables), hangsúly (strength of sound), időtartam (length of sound) and hanglejtés (height of sound). The application of various meters is one of the most striking features of meters in Hungarian rhymed verses. While one or two kinds of meters are generally applied to the writing of poetry, dynamic, durational and syllabic meters are found in Hungarian rhymed verses, which shows that various meters are applied to Hungarian rhymed verses, as compared to those written in other languages. In addition, the meters of Hungarian rhymed verses are also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such meters are independently applied to rhymed verses, but compositely appear in many ones. In particular, dynamic and durational meters sometimes appear in one work at the same time, and syllabic and dynamic meters sometimes are also applied together. Above all, it is judged to b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Hungarian language that the meters applied to Hungarian rhymed verses are so various in kind, as compared to those written in other languages. It enables to apply dynamic meter that stress is put on the first syllable of each Hungarian word; it enables to apply durational meter that long and short vowels ar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in the vowel structure of Hungarian; and it enables to apply syllabic meter that each phoneme has vowel and consonantal characters clearly divided. Like this,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Hungarian form the metrical structure of Hungarian rhymed verses, which composes the characteristics of Hungarian poems at the same time.

      • KCI등재

        『인간의 비극』에 나타난 문학적 공간의 구조와 의미

        유진일(Yoo, Jin-il)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0 외국문학연구 Vol.- No.39

        『인간의 비극 Az ember tragédiája』은 1862년에 머다치 임레 Madách Imre가 쓴 헝가리의 대표적인 극시 drámai költemény이다. 많은 이들은 『인간의 비극』이 밀톤 Milton의 『실락원 The Lost Paradise』이나 괴테 Goethe의 『파우스트 Faust』에 필적한 작품이라 칭송한다. 『인간의 비극』의 기본적인 소재는 성서에서 가져왔다. 그러나 『인간의 비극』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역사 속 도시들’은 머다치 임레의 독창성이 돋보이는 부분이다. 『인간의 비극』에 등장하는 주요 등장인물은 4명으로 창조주 Úr, 루시퍼 Lucifer, 아담 Ádám, 이브 Éva이며 총 15개의 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에덴동산에서 행복을 향유하며 지내던 아담과 이브는 신이 금지한 나무의 열매를 먹고 에덴동산에서 쫓겨난다. 주인공 아담은 루시퍼의 안내로 고대, 중세 그리고 현대의 역사 속 여러 도시들을 여행하면서 인간의 미래를 보게 된다. 고대의 이집트와 아테네, 중세의 로마와 콘스탄티노플, 현대의 프라하, 파리, 런던 등을 여행한다. 그러나 인간의 미래가 희망적일 것이라고 기대했던 아담은 절망하게 된다. 이집트에서는 무한권력의 독재자 파라오에 의한 개인의 인권말살에 절망하게 되고 아테네에서는 가장 이상적인 정치제도라고 믿었던 민주주의의 부정적인 면을 보고 절망하게 된다. 또 로마에서 벌어지는 인간의 타락상, 콘스탄티노플에서의 기독교교리의 이중성, 프라하에서의 학문의 경직성과 무가치성, 런던에서의 자본사회의 병폐, 이 모든 것들은 아담을 절망하게 만든다. 인간 미래의 암담함을 목도한 아담은 스스로 목숨을 끊고 인류역사의 중단을 시도한다. 그러나 신은 인간의 미래가 불투명함에도 불구하고 신을 의지하고 절망적인 인간의 삶을 살아나갈 것을 주문한다. 머다치 임레는 이 작품을 통해 과연 인간 존재의 의의와 목적은 무엇이며 인간에 있어서 진보와 발전이란 과연 의미가 있는 것인지에 대한 의문을 제시한다. 머다치 임레가 제시한 역사 속 대표 도시들, 즉 아담이 여행을 하는 문학적 공간들은 머다치 임레의 분석 틀 속에서 특별한 의미와 상징성을 지닌다. 이집트는 신에 대한 인간의 항거의 공간인 동시에 패배의 공간이며 아테네는 자유와 평등을 외치는 공간인 동시에 자유와 평등이 왜곡되는 공간이기도 하다. 로마는 쾌락과 타락의 공간이며 콘스탄티노플은 사랑의 십자가가 살인의 십자가로 바뀌는 공간이다. 프라하는 학문의 진리가 오용되는 공간이고 파리는 혁명의 공간이며 런던은 자본주의 병폐가 만연해 인간이 스스로 파멸해가는 공간을 의미한다. 『인간의 비극』에는 다양한 형태의 공간을 살펴볼 수 있다. 신의 공간과 인간의 공간, 현실 속 공간과 꿈 속 공간, 현재의 공간과 과거의 공간, 그리고 미래의 공간(현대인에게 있어서는 과거인 공간), 성서 속 공간과 역사 속 공간, 현실적 공간과 이념적 공간, 자연적 공간과 인위적 공간 등 다양한 공간이 존재한다. 따라서 『인간의 비극』에 등장하는 공간들은 상당히 다층적이다. Az ember tragédiája (The Tragedy of Man) is a Hungary’s representative dramatic poem written by Madách Imre in 1862. Many people praise the work as equal to Milton’s The Lost Paradise and Goethe’s Faust. Its basic material originates in the Bible. However, the part of “history”, forming a center of Az Ember Ttragédiája, highlights the author’s originality. The work, composed of a total of 15 acts, has 4 main characters, i.e. the Creator, Lucifer, Adam and Eve. Adam and Eve lived a happy life in the Garden of Eden. Having eaten forbidden fruit, they were cast out of the Garden. Under the guidance of Lucifer, Adam looks into human future, travelling through cities in ancient, medieval and modern times. Specifically, he visits Egypt and Athens in antiquity, Rome and Constantinople in the Middle Ages and Prague, Paris, London etc in modern times. However, such journey disappoints Adam who expected human future to be promising. He witnesses the annihilation of individual rights by the Pharaoh, a dictator with infinite power in Egypt; the negative aspects of democracy, which he thought of as most ideal, in Athens; the human corruption in Rome; the duality of Christian doctrine in Constantinople; the rigidity and unworthiness of learning in Prague; the ills of the capitalistic society in London. All of these drive him to despair. Adam tries to interrupt human history by committing suicide. Despite the uncertainty of human future, God, however, asks him to lead a human life as a believer in God. In this work, Madách Imre questions what the significance and purpose of human existence are and whether progress and development are significant for humans. The representative cities presented by Imre, namely the literary spaces visited by Adam have special significances and symbolic characters in the author’s analytical framework. Egypt is a space for both human protest against God and defeat in the protest. Athens is a space where freedom and equality are not only clamored for, but distorted. Rome is a space for pleasure and decay. Constantinople is a space where the cross of love changes into that of murder. Prague is a space where the truth of learning is misused. Paris is a space for revolution. London is a space where human beings are destroyed by the evils of capitalism. Az Ember Tragédiája involves various spatial forms: God’s and human spaces, spaces in reality and dream, present and past spaces, future space (past space for contemporary people), spaces in the Bible and history, realistic and ideological spaces, natural and artificial spaces, etc. Accordingly, the spaces are highly multi-layered.

      • KCI등재

        코스톨라니 대죄(Kosztolányi Dezső)의『퍼치르터(Pacsirta)』에 나타난 트라우마(trauma)와 무의식(無意識)의 발현(發現)

        유진일(Yoo, Jin-il)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1 동유럽발칸연구 Vol.28 No.1

        20세기 헝가리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중 한사람인 코스톨라니는 당시 헝가리 문학의 주류를 이루어 왔던 사실주의 문학에서 눈을 돌려 서유럽의 다양한 문예사조를 작품에 구현함으로써 당시 서유럽에 비해 현저히 뒤쳐져 있던 헝가리 문학의 수준을 서유럽 문학의 주류 속으로 편입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코스톨라니는 19세기 프랑스의 문학가이자 비평가인 테오필 고티에(Théophile Gautier)가 주창한 “예술을 위한 예술(l’art pour l’art)”을 헝가리 문학에서 가장 탁월하게 구현한 작가로 평가될 수 있는데 코스톨라니 스스로도 자신을 ‘미학적 인간(homo aestheticus)’이라고 칭했다. 코스톨라니의 작품들은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의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그의 소설들(regények) 중에서『피의시인, 네로(Nero, a véres költő)』,『퍼치르터(Pacsirta)』,『이데시 언너(Édes Anna)』등 그의 대표작품들 대부분이 인물들 간의 갈등과 트라우마, 그리고 무의식의 문제를 예리하고 섬세하게 터치하고 있다. 인간은 일반적으로 사회라는 테두리 안에서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살아가야 하는 존재이며 그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스트레스와 콤플렉스가 내장되게 된다. 개인의 성격과 상황에 따라 그 스트레스와 콤플렉스가 적절히 관리되는 경우도 있지만 그 반대의 경우에는 인간의 기저 속에 내장된 스트레스와 콤플렉스가 일시에 폭발하면서 심각한 인간관계의 훼손과 파멸을 유발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본고에서 분석 대상으로 삼은『퍼치르터』는 전자와 후자의 중간적인 작품으로 버이커이 아코시(Vajkay Ákos) 부부의 스트레스와 콤플렉스가 무의식과 의식 사이를 끊임없이 오가다가 때로는 도덕과 윤리의 테두리 속에서 적절히 관리되기도 하지만 또 때로는 의식이 무의식에 밀려 갈등을 야기하기도 한다.『퍼치르터』에서 주인공의 무의식 속에 내재된 트라우마는 항상 의식 밖으로 발현되려는 성질을 갖는데 운명과 윤리라는 두 요소가 그것을 가로막는다. 이 두 요소에 의해 발현을 저지당한 트라우마는 꿈, 환상, 상상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의식으로의 발현 기회를 모색한다. 무의식 속에 잠재되어 있던 버이커이의 딸에 대한 미움과 딸이 죽기를 바라는 소망은 무의식과 의식의 대립 속에서 의식의 힘이 약해지고 무의식의 힘이 강해지는 시점에서 발현한다. 이 발현의 접점을 제공하는 매개체는 알코올인데 운명과 윤리의 힘에 의해 억압되어 있던 무의식이 알코올의 힘에 의해 억압의 강도가 약해지는 순간 순식간에 분출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된다. 첫째 코스톨라니의 대표 소설 중 하나인『퍼치르터』는 프로이드 이론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고 정신분석 이론의 주요 개념들과 이론이 이 소설 속에 그대로 적용되어 있다. 둘째, 코스톨라니 본인이 ‘인생도 흘러가고 젊음도 지나간다. 모든 것이 지나가고 변하지만 아무 것도 해결되는 것은 없다.’라고 고백하듯 코스톨라니의 문학관과 세계관은 비관적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사실은 소설의 구조에서도 알 수 있는데『퍼치르터』가 13개의 장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사건이 금요일에 시작되어 일주일 후인 금요일에 끝을 맺는 것 역시 이를 암시한다. 숫자 13과 금요일은 유럽에서 일반적으로 부정적으로 인식되는 것들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은 퍼치르터가 집으로 돌아온 후 비둘기를 다시 새장에 가두는 장면을 통해서도 엿볼 수 있다. As one of Hungarian representative writers in the 20th century, Kosztolányi played a role of incorporating the Hungarian literature, which lagged behind Western European literature, into the mainstream of Western European literature by escaping from the realism, which led the Hungarian literature, and applying the various literary styles from the West European literature to his works. He can be considered to be a writer who realized “l'art pour l'art” advocated by Théophile Gautier, a French writer and critic in the 19th century; he also referred himself to as “homo aestheticus.” Greatly influenced by S. Freud’s psychoanalysis, his representative fiction works, such as Nero, a véres költő, Pacsirta, Édes Anna, deal with the conflict, trauma and unconsciousness among characters sharply and finely. Living together with others within the framework of society, human beings are generally compelled to be subject to stress and complex. According to character and circumstances, some get their stress and complex properly managed, but with the simultaneous outbreak of inherent stress and complex, others are seriously damaged or destroyed in their human relations. As an intermediate work between the former and the latter, Pacsirta shows that stress and complex are properly managed within the framework of moral and ethics, while Vajkay Ákos and his wife restlessly wander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but consciousness is sometimes pressed by unconsciousness, causing conflicts. In Pacsirta, the trauma inherent in the hero’s unconsciousness always tends to manifest itself outside the consciousness, which is thwarted by fate and ethics. Prevented from manifestation, the trauma seeks an opportunity of being manifested continuously through dream, fantasy, imagination etc. Vajkay‘s hatred toward his daughter and wish for death in his unconsciousness are revealed, when consciousness gets weaker and unconsciousness gets stronger in the conflicts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The very medium offering a contact point of the manifestation is alcohol, which instantly manifests the unconsciousness suppressed by fate and ethic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Pacsirta, directly influenced by Freud’s theory, shows the major concepts of his psychoanalysis. Second, his view of literature and world is pessimistic, as seen in his confession. This is indicated by its structure: the work consists of 13 chapters, and an event begins on Friday and ends on Friday in a week. In general, 13 and Friday are regarded as negative in Europe. This is shown by the scene that Pacsirta returns home and confines a pigeon in a cage again.

      • 케르테스 임레 소설의 구조적 특징

        유진일(Yoo, Jin-il)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6 동유럽발칸학 Vol.8 No.2

        케르테스 임레(Kertész Imre)는 2002년에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유대인 출신 헝가리 작가이다. 노벨 문학상 수상 이전까지만 해도 그의 작품은 헝가리 문학계에 거의 알려지지 않았고 그의 작품에 대한 평가 역시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노벨상 수상을 계기로 그의 작품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다. 케르테스 임레의 주요 작품으로는 노벨상 수상작인『운명 없음 Sorstalanság』을 비롯하여, 『좌절 A kudarc』,『태어나지 않은 아이를 위한 기도 Kaddis a meg nem születettgyermekért』, 『청산 Felszámolás』을 드는데, 이를 흔히『운명 4부작』이라 칭한다. 이 모든 작품들은 케르테스 임레 자신이 15세에 겪었던 아우슈비츠의 경험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그의 모든 작 품은 아우슈비츠로 시작하여 아우슈비츠로 끝을 맺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홀로코스트의 상흔은 케르테스의 전 생애를 통해 영향을 미쳤고 그의 작품의 유일한 소재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케르테스의『운명 4부작』의 소설 구조상의 두드러진 특징은 통시적 특징을 보여주는 순환·반복 구조와 공시적 특징을 보여주는 단절구조이다. 순환·반복 구조는 네 작품 모두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특히 서사(敍事)와 인물의 순환·반복이 눈에 띈다. 특히 1부작 『운명 없음』의 서사적 흐름이 때로는 동일한 내용으로 때로는 변형된 형태로 나머지 세 작품 속에서 끊임없이 반복되어진다. 이러 한 순환·반복은 서로 다른 작품 속에서 뿐만 아니라 한 작품 안에서도 지겨울 정도로 자주 나타난다. 서사의 순환·반복과 더불어 인물의 순환·반복 역시 두드러지는데 제 2부작『좌절』, 제 3부작『태어나지 않은 아이를 위한 기도』, 제 4부작『청산』에서 현저하게 눈에 띈다. 특히『좌절』과『청산』에서는 한 작품 안에서 주인공의 여러 도플갱어(doppelgänger)들이 동시에 출현하기도 한다. 이러한 복잡한 구조의 순환·반복을 채용한 케르테스 임레의 의도는 유태인으로서의 정체성 혼돈을 해결해 보려는 시도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여러 작품 속에서 주인공의 이름과 아버지의 이름 그리고 심지어는 할아버지 이름까지도 동일한 이름을 부여한 것에서 그의 의도를 엿볼 수 있다. 아무리 노력해 보아도 개선되지 않는 유대인에 대한 유럽인들의 편견, 아무리 시간이 흘러도 정립할 수 없는 자신의 유대인으로서의 정체성 부재 문제를 ‘순환과 반복’을 통해 되짚어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순환과 반복’으로 점철되어 온 유대인의 역사와 정체성의 부재, 그리고 자신의 트라우마를 ‘단절’이라는 극단적 방법으로 해결해 보려 한다. 이를 반영한 작품이 제 3부작『태어나지 않은 아이를 위한 기도』이다. 조물주(造物主)가 인간에게 준 특권이자 의무인 생식(生殖)을 거부함으로써 조물주에게 반항해보려는 케르테스의 울부짖음이 반영된 작품이다. 이를 내포하는 핵심적인 단어 가 ‘아니오’이다. 그러나 유대인으로서의 생식을 거부하는 극단적 결단에도 불구하고 유대인의 재생산과 유대인의 역사는 다른 이를 통해 끊임없이 계속 이어져 나간다. 부정을 의미하는 ‘아니오’ 라는 어휘마저도 작품 속에서 수도 없이 반복되어짐을 통해 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를 인식한 케르테스는 더욱더 극단적인 방법인 ‘자살’을 설정하고 있다. 이를 반영한 작품이 제 4부작『청산』이다. 그러나 그 자살은 자기 존재의 제거가 아닌 자기 자신의 도플갱어를 대신제거하는 방법으로 유대인으로서의 정체성 문제를 풀어가고 있다. 이는 유대인들의 속죄의식인 번제와 흡사하다. 따라서 아우슈비츠를 통해 인식하기 시작한 유대인으로서의 정체성의 혼돈 문제를 케르테스는 통시적 성격의 ‘순환․ 반복’과 공시적 성격의 ‘단절’ 구조를 통해 해결해 나가고 있다. Imre Kertész is a Jewish-Hungarian author that was awarded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2002. But before winning the Prize, his works were still little known in Hungarian literary circles, much less their evaluation. However, they are now being reappraised and drawing more attention with his reception of the Nobel Prize. His major works are composed of Nobel Prize-winning novel Sorstalanság [Fatelessness], A kudarc[Fiasco], Kaddis a meg nem született gyermekért [Kaddish for an Unborn Child] and Felszámolás [Liquidation], which are often referred to as the Tetralogy of Destiny. These works are all based on the experiences Kertész experienced in Auschwitz when 15 years old. The injury of the Holocaust has so much affected him and functioned as an only material throughout his life that it is not too much to say his every work begins and ends with Auschwitz. Kertész's Tetralogy of Destiny is strikingly characterized by the circular-repetitive and discontinuous structures that show diachronic and synchronic characteristics respectively. The circular-repetitive structure is seen in all of four novels, which especially have narrative and characters circulated and repeated. In particular, the narrative flow of the first work Fatelessness is ceaselessly repeated in the remaining three novels, sometimes in the same contents, sometimes in the transformed form. Such circulation and repetition boringly often appear even in a work as well as in other ones. In addition, the circulation and repetition of characters are also conspicuously visible in the second work Fiasco, the third one Kaddish for an Unborn Child and the forth one Liquidation. Especially, Fiasco and Liquidation show that several doublegangers of a hero emerge at the same time in a work. It seems that Kertész has adopted such complex structure of circulation and repetition with the goal of solving the confusion of identity as a Jew. Through “circulation and repetition”, he reflects on Europeans' prejudices against the Jews that are not improved in any way, and on the absence of identity as a Jew that cannot be settled at any time. After all, Kertész attempts to solve the Jewish history dotted with “circulation and repetition”, the absence of identity, and his own trauma in an extreme way of “discontinuance”. This is reflected in the third work Kaddish for an Unborn Child. The author resists against God by refusing the generative power, both privilege and duty God confers on human beings. “No!” is a core word that implies such resistance. In spite of the extreme decision to boycott generation as a Jew, the reproduction and history of the Jews continue incessantly through other Jews. This is represented by the numerous repetition of even the negative word “No!” in the work. Moreover, Kertész adopts suicide as a much more extreme method in the forth work Liquidation. But he works out the Jewish problem of identity by making suicide eliminate not a hero himself, but his doublegangers. This approach is similar to sacrifice, the Jewish ritual of atonement. Like this, Kertész tries to solve the problem of identity confusion as a Jew, which he began to realize in Auschwitz, through the diachronic structure of “circulation and repetition” and the synchronic one of “discontinuance”.

      • KCI등재

        케르티스 임레(Kertész Imre) 소설의 아이러니 연구

        유진일(Yoo, Jin-il)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1 동유럽발칸연구 Vol.26 No.1

        아이러니는 시대에 따라 그 정의와 기법이 변화를 거듭해 왔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단순한 수사법에 머물러 있던 것이 낭만주의를 거치면서‘아이러니 학자’로 불리는 프리드리히 쉴레겔(Freidrich Schlegel)에 의해 철학적이고 문학적인 의미로 확장되었다. 이때부터 아이러니는 자신을 현실에 속박하는 올무를 벗어버리고 각자의 이상세계를 찾아가려는 고투와 좌절을 그린다는 낭만주의문학의 핵심적 요소가 되었다. 그 후 낭만주의뿐만 아니라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서도 아이러니는 중요한 문학적, 철학적 담론의 핵심적 위치를 차지하였다. 아이러니의 자아 반영적 시각은 과거와의 단절과 불확실한 미래 사이에서 작가들 ․ 철학자들이 보여주는 이중적 시각, 이중적 담론의 시발점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현대로 오면서 아이러니는 그 의미 영역과 기능이 꾸준히 확장되어왔다. 특히 현대 사회가 복잡하고 다양해지면서 작가 역시 사회현실에 적응해야 하는 과제를 떠안게 되었다. 그결과 의미의 이중성에 기초한 과거 수사법의 경계를 뛰어 넘어 작가의 파괴와 창조 작업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데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아이러니의 이러한 의미와 기능의 확장은 본고에서 다룬 케르티스 임레의 작품을 통해서도 확인되는 바이다. 케르티스 임레는 자신이 어린시절에 겪은 유태인에 대한 차별과 아우슈비츠 수용소 생활의 고통을 소재로 『운명 없음』을 발표하였고 이후 청장년과 노년기를 거치면서 어떤 삶을 살아왔는지를 『좌절』,『태어나지 않은 아이를 위한 송가』를 통해 발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작품『청산』을 통해 그가 평생 천착해 온 문제, 즉 자신이 유태인으로써 겪어야 했던 아우슈비츠로 인한 트라우마의 청산을 다루고 있다.『운명 없음』에서는 전통적 의미의 아이러니 기법이 주로 적용되었다면『좌절』,『태어나지 않은 아이를 위한 송가』, 그리고『청산』에서는 아이러니를 통한 문학적, 철학적 담론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법의 아이러니가 어우러져 케르티스 임레의 문학의 뼈대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소들이 바로 다른 홀로코스트 작가들과는 차별화되는 케르티스 임레의 문학세계라고 할 수 있다. The definitions and techniques of irony have been diversely interpreted in each era. It was a mere rhetorical expressions by Aristotle, but its meaning was expanded to philosophical and literary area by Schlegel Freidrich, who is called as a scholar of irony in the literary era of Romanticism. Since then, the irony became one of the key elements of Romanticism literature, which describes writer's struggles and frustrations as a an effort to find the ideal world. After that, irony occupied key positions in the important literary and philosophical discourses not only in modernism but also in postmodernism. Because self-reflective perspective of irony is a starting point of double visions and double discourses, by which writers and philosophers could show between discontinuation of the past and uncertain future. Like this, the category of irony has been expanded continuously in the area of meaning and the function until to the modern age. Especially, writers also had to undertake assignment to adapt to the social reality which was complex and diverse. As a result, the irony became to surpass the boundaries of rhetoric based duality of meaning and had to play a pivotal role in the work of destruction and creation of writers. We can make sure of the extension of function and meaning of irony in the Imre Kertész' novels. Imre Kertész wrote Feteless, in which the discrimination for Jews and suffering camp life of the Auschwitz concentration used as a theme, and then he wrote The Failure and Kaddish for an Unborn Child, in which he describes what kind of life was lived in his maturity and old age. In his last work, in Liquidation, he describes the problems, with which he has dealt for all his time and the trauma, which he suffered in Auschwitz as a Jew. In Feteless, the technique of irony by the traditional meaning was used mainly, but in The Failure and Kaddish for an Unborn Child, literary and philosophical discourse was used mainly. The irony of these various techniques constitute the backbone of Imre Kertész' literature, and these elements are the literary world of Imre Kertész, which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holocaust writers.

      • KCI등재

        아시아와 유럽 사이에서

        유진일(Jin il Yoo)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7 동유럽발칸연구 Vol.41 No.4

        본 연구는 2012년도에 헝가리 국회를 통과한 ‘헝가리 민족의 가치와 훙가리쿰에 관한 법률 30조’에 따라 헝가리 정신문화와 물질문화를 통틀어 가장 헝가리적이고 헝가리 민족만이 가지고 있으며 또 헝가리를 대표하는 것으로 지정된 훙가리쿰을 통해 현대 헝가리인들의 정체성과 자화상을 살펴보는데 있다. 헝가리인들의 정체성에 많은 관심을 갖는 이유는 헝가리인들은 원래 우랄산맥 동쪽, 즉 아시아에 거주하던 민족이었으나 수백 년을 이동해 896년에 유럽에 정착했다는 점 때문이다. 정체성을 규정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두 가지 기본 요소는 시간과 공간인데 실재론자들은 시간과 공간의 변화에 따라 정체성이 크게 변하지 않는다는 입장인 반면 구성주의자들은 시간과 공간의 변화가 정체성 변화에 있어서 중요한 인자이며 그 결과 정체성은 가변적이라는 입장이다. 현재까지 헝가리인들의 정체성에 관한 국내외 연구들은 주로 민속과 구비문학을 중심으로 아시아적 정체성에 중점을 두고 연구되었다. 현대 헝가리인들의 정체성과 자화상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쉽지 않았다. 그러나 본 연구는 동시대 헝가리인들의 자신에 대한 자화상과 정체성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화 된다 하겠다. 2016년을 기준으로 훙가리쿰을 분석한 결과 총 58개 항목 중 아시아에서 유래한 훙가리쿰은 총 6개 항목으로 대부분 가축, 사냥 관련 항목, 전쟁 관련 항목으로 생명을 연장하고 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반면에 유럽 정착 후 수용한 나머지 52개 항목에는 식음료, 생활용품 등 생활에 필요한 가장 기본 요소뿐만 아니라 종교, 예술, 스포츠, 민속, 교육, 사상, 과학기술 등 무형의 문화재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현대 헝가리인들은 자신들이 아시아에서부터 왔으며 그들의 정체성 일부는 아시아적 요소로 채워져 있음을 부인하지 않는다. 그러나 유럽 정착 후 약 1000여년이 지난 오늘날 그들의 정체성의 대부분은 유럽적 요소로 채워져 있으며 자신들의 자화상 역시 유럽적 자화상을 그리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집시와 같은 이민족들로부터 획득한 요소들까지도 거부하지 않고 받아들여 자신들의 유럽적 자화상을 지속적으로 수정해 가는 것을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훙가리쿰을 통해 볼 때 민족 정체성이란 고정되고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과 공간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수정되어 가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identity and self-portrait of the contemporary Hungarian people through the Hungarikum that was defined as the most typical of Hungary and peculiar to the Hungarians only and representative of Hungary throughout the Hungarian spiritual and material culture in accordance with Article 30 of the Act on Hungarian National Values and Hungarikum approved by the Hungarian Parliament in 2012. Hungarian identity draws attention, because the Hungarians originally resided in Asia, the east of the Ural Mountains, but settled down in Europe in 896 after hundreds of years of migration. Time and space are the two basic elements that are the most important in defining identity. While realists have a notion that identity does not change greatly according to time and space, constructivists are of the opinion that time and space are important factors in the change of identity and thus that identity is variable. As regards Hungarian identity,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have hitherto focused on Asian identity, especially as seen in folklore and oral literature. This does not make it easy to find any study in the identity and self-portrait of the contemporary Hungarian nation. However, the present study differs from the existing ones in that it enables to identify the identity and self-portrait of the contemporary Hungarian people. As of 2016, the analysis of Hungarikum shows that a total of 58 items include the six items deriving from Asia, which are mostly related to livestock, hunting and war and consist of the fundamental matters necessary for the preservation and extension of life.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remaining 52 items comprise not only the most basic elements required for life, such as food and drinks and daily supplies, but also a large number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such as religion, art, sport, folklore, education, thought, science and technology.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temporary Hungarians do not deny that they originate in Asia and that their identity is partially filled with Asian elements. However, their identity is mostly filled with European elements and their self-portrait is also described as European today when more than 1000 years have passed since their settlement in Europe. Moreover, they continue to revise their European self-portrait by not refusing to accept the elements from non-European peoples, including Romanies. Judging from Hungarikum, national identity is not fixed and unchangeable, but is continuously changed and modified according to time and space.

      • KCI등재

        수용소문학으로서의 케르티스 임레(Kertész Imre) 소설의 특징

        유진일(Yoo, Jin-Il)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3 동유럽발칸연구 Vol.36 No.-

        A great number of concentration camp works were published, but Imre Kertész's works had their own characteristics, thus contributing to his winning Nobel Prize in 2002. Indeed, his works are to be analyzed in various perspectives, but this study approaches the works in terms of content, form and description. In terms of content, his works deal with not only the experiences in concentration camps, but the distortions and distresses in his lives caused by the camp lives, whereas the existing concentration camp works concentrate on the factual record of concentration camp experiences. In general, focus has been made on the achievement of realities, the accuracy of description and the value of record to evaluate the works on concentration camps, Jewish Holocaust or individual or group tragedies. However, Fateless alone realistically depicts the life in the concentration camp for one year from 1944. The remaining works present the agonies and distresses protagonists experienced as Jews outside of concentration camps. In other words, the existing writers realistically described the anguishes in concentration camps, whereas Kestesz's works concentrate on those of Jews outside of concentration camps. In terms of form, the circulation of story and the structure of circulation and repetition and the structure of severance can be referred to as characteristic. The epic incidents in Fateless appear repetitively in Kudarc, Kaddish a meg nem született gyermekért and Felszámolás. Taking transformations, their characters, backgrounds or materials are ceaselessly circulated and repeated toward one consistent goal. Such a circulating and repetitive structure is a product of his intended work design. In addition, characters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in his works. The protagonist is the same person in each of Sorstalanság, Kudarc, Kaddish a meg nem született gyermekért and Felszámolás. Different in age and job, the same character appears in a circulating and repetitive way. Such a conclusion is based on the composition that a protagonist is the same person in each work. The circulating and repetitive structure indicates the history and destiny of Jews in a symbolical manner. It symbolizes that the Jews repetitively circle around the same place, as they wandered in the wilderness for 40 years because of crime. Ironically, it took 40 years to get Fateless published, as the Jews entered Canaan after wandering in the wilderness. Such a circulating and repetitive structure aims to shift or objectivize scars through repetitive remembrance and recreation of new characters. He imputes his agonies and scars in Auschwitz to doppelgaengers by making them emerge repetitively. "No" is a key word of the structure of severance. The word is a refusal to his wife's wish of a baby, but a declaration of the death of him, Jews and mankind at the same time. The structure of severance means settling the history of wandering Jews in a wider sense and the existence of Kertész himself in a narrower sense. Nevertheless, Kertész's settlement does not mean "end." Rather, it stands for "a new life." This concept seems to be influenced by the burning offering, a Jewish sacrifice ritual. The description technique conspicuous in his works is "getting angry instead" by ironic description. Most concentration camp works realistically describe the distresses and miseries in concentration camps. For example, Henryk Grynber, one of representative Polish concentration camp writers, recorded the painful experiences he made in his childhood, and vividly depicted the collective fear for "extermination" and the survival instinct hidden in unconsciousness. Kertész's Fateless affirmatively describes even German Nazi soldiers, unlike other concentration camp works. Their appearances and national characteristics are described affirmatively. In addition, the protagonist thinks making fri 본고에서는 2002년에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헝가리 작가 케르티스 임레의 수용소문학 작품을 폴란드 작가 타데우쉬 보로프스키의 『신사숙녀 여러분, 가스실로』와 오스트리아 출신 신경정신과 의사이자 작가인 빅터 프랭클의 『죽음의 수용소에서』와 비교하며 케르티스 임레의 수용소문학 작품이 갖는 특징을 도출해 보았다. 물론 현재까지 수많은 수용소문학 작품들이 발표되었기 때문에 두 작품을 케르티스 임레의 작품과 비교하는 작업은 다소 본고의 한계를 보여주기도 하지만 현재까지 헝가리 문학에 있어서 수용소문학에 관한 비교연구가 없었다는 점에서 헝가리 수용소문학에 있어서 비교문학 연구의 시발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위안을 삼고자 한다. 인류 현대사의 가장 커다란 비극인 홀로코스트 사건을 과연 문학화 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는 오래 동안 진행되어온 수용소문학과 관련된 논쟁 중의 하나였다. 이러한 논쟁 중에 대부분의 작가들은 수용소문학의 사실성과 예술성 사이에서 사실성에 치중하여 수용소 안에서 벌어지는 참상을 고발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그러나 본고에서 다룬 케르티스 임레는 수용소의 참상보다는 그것을 기초로 한 주인공의 트라우마를 주로 다루었으며 사실성과 예술성 중에서 예술성에 중점을 두고 작품을 집필하였다. 그의 이러한 다른 수용소 작가들과의 차별성은 작품의 논제, 구조, 기법의 측면에서 드러난다.

      • 좌우 정권교체에 나타난 중부유럽의 정치문화 갈등

        유진일(Yoo, Jin-il)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4 동유럽발칸학 Vol.6 No.1

        본 논문에서는 중부유럽 국가들이 1989년 이후 추구해온 새로운 정치 질서와 경제 질서라는 두개의 큰 축 중에서 신정치 질서의 모색 과정에서 나타난 정치적 갈등 양상과 특징을 정권 교체를 통해 살펴보고 좌우 정권 교체과정에서 나타난 중부유럽 각국의 정치 문화 갈등의 정도를 비교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가 의미를 갖는 이유는 중부유럽 국가들은 체제 전환 이후 민주주의로의 이행 과정에서 좌 우파 간의 잦은 정권 교체 현상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특히 폴란드와 헝가리는 체제 전환 후 현재까지 매 의회 선거 때마다 좌파와 우파 간의 정권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은 적이 없었는데,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변화지향형”의 “Z”형 그래프를 얻게 된다. 반면에 체코의 정권 교체 양상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안정지향형”의 S자형 그래프를 얻게 되는데 이는 체코가 경제적 안정을 바탕으로 정치적 문화 갈등을 폴란드나 헝가리에 비해 비교적 적게 겪고 있음을 보여준다. 중부유럽 각국이 겪고 있는 정치 문화 갈등의 크기 정도를 본 논문에서는 연구 과정에서 본 연구자가 추출해낸 소위 “좌우 정권 교체 변동률”이라는 공식을 통해 각국의 이념적 문화 갈등의 크기를 산출 비교해 보았다. ‘좌우 정권 교체 변동률’ 산출 공식에 중부유럽 각국의 선거 결과 데이터를 대 입해보면 폴란드, 헝가리, 체코의 ‘좌우 정권 교체 변동률’은 각각 54.72%,60.85%, 13.58% 이다. 이 결과를 통해서도 중부유럽 세 국가들 중 폴란드와 헝가리는 정치문화 갈등 정도가 높은 반면 체코는 갈등 정도가 비교적 낮음을 알 수 있다 The present paper aims at watching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political conflicts shown in the process of seeking a new political order, one of two great axes the Middle European countries have pursued since 1989, and at comparing the degrees of politico-cultural conflicts among those countries. This attempt seem to be significant in that the countries in Middle Europe shows the frequent change of political power between left and right in the shift to the democracy since the transition of political system. Especially, Poland and Hungary have shown a ceaseless left-right alternation since system transition, which proves that Middle Europeans are still experiencing ideological cultural conflicts. Poland, Hungary and Czech in Middle Europe, which belonged to the East block in the past cold war period, were incorporated in the European Union(EU) as of May 1, 2004-16 years after the system transition. These countries have meanwhile been struggling to consolidate the democratic multi party system abandoning one party one. As a result, the election system including blocking clauses is being arranged, and the party is being stabilized. In the course of cementing the democratic multi party system, the Middle Eastern countries, however, are showing the different facets of political conflicts, deriving from the differences in historical background, nationality, current political situation, etc. Indeed these conflictual aspects are measured in various ways, but they are measured in this essay through the “graph of regime change aspects” and the “fluctuation rate of left-right regime change” obtained in my process of research. As a consequence, it is shown that while Czech is experiencing relatively less politico-cultural conflicts, Poland and Hungary are showing the high frequency and degree of left-right regime change, thus indicating the severe politico-cultural conflicts compared to Czech. The most important reason we have discussed politico-cultural conflicts in three Middle European countries is because North Korea, gradually pursuing a open door policy, will also undergo the path similar to those of them. Classifying the change possibilities of North Korea into several categories, North Korea is very likely to be incorporated into the party politics of South Korea, as shown in ex-East Germany, or to be occupied by the left-wing regime influenced by its current regime, if the reunification takes the form of absorption, because North Korea will lay more importance on market economy leaving the transition to democratic multi party system undone. In two cases, the left-right political conflicts, however, are not expected to be serious. On the other hand, the third possibility is that if the democratic multi party system takes the place of one party system, North Korea will secure party politics, showing the “stability-oriented” regime change and the low fluctuation rate of left-right regime change as in Czech. Yet it is also likely to suffer from political or ideological conflicts, showing the “change-oriented” regime change and the high “fluctuation rate of left-right regime change” as in Poland or Hungary. The variables affecting the two possible cases may be varied, but it is am important key how safe North Korea moves to the market economy, because both democracy and market economy are as good as two wings for system change.

      • KCI등재

        세계 창세신화(創世神話)에 나타나는 잠수모티프 비교 연구 : 핀-우그르족과 그 주변 민족들을 중심으로

        유진일 ( Jin Il Yoo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11 世界文學比較硏究 Vol.34 No.-

        Mircea Eliade referred to the motifs of submergence in Creation myths for the first time of its kind in his book "From Primitives to Zen: A Thematic Sourcebook of the History of Religions." Thereafter, the studies of such kind have focused their targets on Romania and Bulgaria in the Balkan region. In the Republic of Korea, Park Jong-sung and Lee Ho-chang published the papers that revolved around the both countries as well. The present study was not limited to the Creation myths in the two countries, but addressed all the ones available in the world on a comparative basis. I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yths were seen in the following five groups of peoples: 1. the Finno-Ugric tribes, i.e. Vogul, Vod, etc. in Siberia; 2. the Finno-Ugric people in northern Europe, i.e. Finns; 3. the Finno-Ugric people in middle Europe, i.e. Hungarians; 4. the Mongolians in Asia; 5. the Bulgarians and Romanians in the Balkan area. Second, Groups 1, 2 and 3 dwelled together in the east of the Ural Mountains. However, climate changes caused Group 1 to move to the north and settle in Siberia, Group 2 to move to the northwest across the Ural Mountains and settle in northern Europe and Group 3 to move to the west across the Ural Mountains and settle in middle Europe. Groups 1, 2 and 3 are of the same origin, Group 4 refers to Asian natives and Group 5 refers to European natives. Hence, the motifs of submergence are mostly found in Finno-Ugric myths. The possibility is that they spread among the Mongolians in Asia through the contacts with Finno-Ugric peoples and among Bulgarians and Romanians under the influence of the Hungarians who had migrated from Asia to Europe. Third, the Creation, a source of life and form, begins with water and uses soil as material. Forth, recent studies argue in terms of diffusionism that the dualism of Bogomilianism affected the motifs of Co-Creation by a good god and a bad god in Hungarian and Romanian submergence myths. However, the explanations based on human sub-consciousness, represented by C.G.Jung and M. Eliade, seem to be more convincing in that the same motifs are shown by the Finno-Ugric peoples who dwell in Siberia without contact with Hungarians and Romani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