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주건강상태에 따른 치간칫솔의 평균 PHD 비교연구

        유진실(Jin-Sil Yu),배수명(Soo-Myung Bae),조명숙(Myung-Sook Cho),이민경(Min-kyung Lee),이정화(Jung-Hwa Lee),김혜진(Hye-Jin Lee) 한국구강보건과학회 2023 한국구강보건과학회지 Vol.11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verage PHD of each part according to the use of interdental brushes and periodontal health. Methods: From June 1 to October 31, 2022, among those who visited the dental clinic, those who had at least one area where contact points between teeth were targeted. Results: Only 30.4% of the visiting patients responded that they used interdental brushes, and the PHD of interdental brushes according to periodontal health showed a tendency to be smaller in areas with gingival bleeding and edema compared to healthy periodontal tissue, and showed a large tendency in areas with gingival recession. showed a trend. Conclusion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find ways to apply interdental brushes in clinical practice for systematic oral management of patients with periodontal disease.

      • KCI등재

        2030 소비자 확장을 위한 아이트래커 활용 막걸리 용기 및 라벨 디자인 요소 연구

        유진아(Yu, Jin Ah),김후성(Kim, Hoo S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4

        현재 민족주류인 막걸리 산업은 다른 수입 주류들에 비하여 시장규모가 과거와 비교하여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막걸리의 새로운 2030세대 소비자 확장을 위하여, 구매 시 소비자의 인식 정보에 대한 시각적 이해도를 향상시켜 구매 촉진을 유도하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소비자의 막걸리 구매동기 및 시각적 경험의 우위 요소 분석을 통하여 용기 및 라벨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 첫째, 막걸리의 역사와 특징에 대한 문헌 자료들을 조사 하였다. 둘째, 목적하는 소비자층을 대상으로 막걸리 구매 동기 등과 관련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2030세대 소비자 대다수는 높은 탁도를 회피 하고 낮은 탁도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 되었으나, 탁도 분류에 대한 시각적 정보가 충분치 않음으로 막걸리 자체의 구입을 주저하는 구매 행동을 발견 하였다. 셋째, 그에 따라 용기 및 라벨디자인에 대한 국내 주요 대중 브랜드의 사례를 분석 하여 디자인적으로 시각 정보를 향상 시킬 수 있는 범위를 설정하여. 넷째, 이를 근거로 안구 내 동공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아이트래킹 실험을 진행하여 생리적 반응을 측정하여 구매 시 소비자의 시각반응에 대하여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으로, 막걸리 구매 시 2030세대에게 부정적인 원인으로 작용하는 주요 요인을 조사하였으며, 탁도에 대한 정보가 없음으로, 구입한 제품이 높은 탁도를 가진 제품일 수 도 있다는 우려감에 막걸리 자체의 구입을 주저하는 소비자를 위하여 탁도 분류에 대한 시각적 표기 제시의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국내 대중 주요 브랜드 중 소비자의 세분화된 기호를 위하여 크게 도수, 맛, 재료 원산지를 분류하여 용기 및 라벨디자인에 시각적 차별화를 둔 3가지 사례를 분석하였다. 브랜드의 통일성을 위해 용기 디자인의 형태 및 색상을 일치시키고, 같은 제품 군 내 분류 기준에 맞춰 용기 디자인의 뚜껑 색상과 라벨디자인의 일러스트 형태 및 색상에 변화를 주었음을 볼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시각반응을 분석하기 위하여 아이트래킹 실험을 진행 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아이트래킹 실험을 진행한 2030세대 소비자들은 직관적인 시각적 인지 우위 요소로, 차별화된 용기디자인의 뚜껑 색상과 라벨디자인의 일러스트 형태변화에 관심을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대비하여 일정한 색상과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요소는 빠른 정보처리를 통해 짧은 시간 내 시선이 지나가는 것을 발견하였다. 시각적 정보 이해도가 높은 요소로는 용기디자인보다 라벨디자인의 일러스트와 타이포그래피로 측정 되었다. 일러스트에 분류 기준 정보가 담겨있는 경우 타이포그래피보다 빠른 시각적 이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일러스트에 분류 정보가 없는 경우 타이포그래피에 시선 응시를 추가로 진행하여 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앞으로 막걸리 제품 및 서비스 개발에 있어 소비자 확장을 위하여 다양한 맛, 취향, 탁도, 용기의 형태 등을 고려하는 제품의 개발이 필요 하지만, 본 연구가 침체 되어가는 막걸리 판매의 성장을 위한 하나의 방법적 제시를 보여주는 기초 자료로 활용 되었으면 한다. The current market size of the national Makgeolli industry to the past is decreasing rapidly compared with imported alcohol beverage’s market grow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duce purchase promotion by enhancing visual elements understanding of consumer’s perceptive information at the time of purchasing for extending Makgeolli’s new 2030 generation consumer. For this purpose, we tried to suggest the developing direction of container and label design through analyzing factors of consumer’s Makgeolli purchase motivation and visual experience. As a method of this study, first, we investigate literature data on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Secondly, the questionnaire survey to target consumers was conducted on the motivations for purchasing Makgeolli. Most of 2030 generation consumers tended to avoid high turbidity and prefer low turbidity but there was not enough visual information about turbidity classification and the purchase decision is hesitated to get the Makgeolli itself. Thirdly, by analyzing the cases of domestic major brands for container and label design, we set up scope to improve visual information in design. Fourth, based on this, eye track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track the movement of pupils in the eyebal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were measured to analyze the consumer’s visual response during purchase.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main factors that cause negative effects on 2030 generations when buying makkolli, and because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turbidity, so most of young consumers tend to avoid to mageoli itself because they usually concern that purchased product may be a product with high turbid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sent a visual notation for turbidity classification. Three major examples of visual differentiation in container and label design were analyzed by classifying the alcohol proof, taste, and origin of materials for the consumer’s subtle preferences among major domestic brands. In order to ensure the uniformity of the brand, the form and color of the container design were matched, and the shape of the lid of the container design and the shape and color of the label design were chang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tandard in the same product group. Based on this, eye track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visual respons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is revealed that the 2030 generation consumers who have conducted the eye tracking experiment paid attention more on the lid color of the differentiated container design and the change of the illustration form of the label design as the intuitive visual perception advantage factor. In contrast, the elements maintaining a certain color and shape have been found to pass through the eyes in a short time through quick information processing. It was measured that Illustration and typography of label design rather than container design elements was more effective to be understood of visual information. It is analyzed that the illustration contains information of the classification criteria is understood quickly than the typography, and when there is no classification information in the illustration, it takes more time to proceed with the additional gaze to the typograph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ducts considering the various flavor, taste, turbidity, container shape in order to expand the consumers for promotion of Makgeolli products and services. However this study suggests a development process for the growth of Makgeolli sales, we expect this research is used as basic data showing a methodological research process.

      • KCI등재
      • KCI등재

        핵억지 형성기 최초의 전쟁으로서 6,25전쟁과 미국의 핵전략

        유진석 ( Jin Seog Yu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11 한국과 국제정치 Vol.27 No.2

        이 글은 트루먼과 아이젠하워 행정부 시기 미국의 핵전략 변화와 지속성을 6·25전쟁과 미국 핵전략 간의 연관성 속에서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글에서 다루게 될 세 가지 핵심적인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6·25전쟁 이전 트루먼 행정부의 핵전략은 무엇이었는가? 둘째, 6·25전쟁 당시 핵무기 사용에 관한 트루먼 행정부와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입장은 무엇이었으며, 결국 핵무기가 사용되지 않았던 이유는 무엇인가? 셋째, 6·25전쟁이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대량보복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고, 이후 대량보복전략은 한반도에 어떠한 영향을 가져왔는가? 이러한 질문들을 통해 핵억지 개념 형성기의 중요한 사건이었던 6·25전쟁이 그 이전의 미국 핵전략으로부터 어떠한 영향을 받았으며, 그리고 다시 6·25전쟁 이후 미국의 핵전략 수립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This study purports to examine the change and continuity in U.S. nuclear strategy during the period between the Truman and Eisenhower Administrations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Korean War and U.S. nuclear strategy. Three central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what was the nature of the Truman Administration`s nuclear strategy before the Korean War? Secondly, what were the positions of the Truman and Eisenhower Administrations on the use of nuclear weapons and what were the main reasons for the non-use of the nuclear weapons during the Korean War? Thirdly, what impact did the Korean War have on the emergence of the Massive Retaliation Strategy? And what impact did the strategy have on the Korean peninsula subsequently. In answering these questions, this study seeks to highlight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U.S. nuclear strategy and the Korean War, as one of the most crucial events in the formative years of nuclear deterrence.

      • 초등학교도서관의 실내 환경 현황에 관한 연구

        유진아(Yu, Jin-Ah),황연숙(Hwang, Yeon-Sook)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9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1 No.1

        The local open library of elementary school is a space that takes a life-long learning by a human physiological cycle and that the user of a facility can get a help to take a voluntary learning & a life-long learning by a grave role of an education. Now, the rate of an installation for a library of an elementary school is over 86.3%. The investigative object, the elementary school is located in Seoul and was selected as an elementary school with a dimension of more than 240㎡. This research examined space conditions by furnitures, colors, finish materials, fixtures, etc. The library is divided spaces for lending & returning, space for documentary information, space for information of image & electronic information, learning space and resting space.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offer a basic information for a plan of space of school library by examining and analyzing nature of interior environment about school library that is opened to take a life-long learning.

      • KCI등재

        황혼육아에 참여하는 노인을 위한 육아용품 사용행동 연구

        유진아(Yu, Jin Ah),김후성(Kim, Hoo S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1

        손자녀의 양육을 도와주는 조부모의 수가 나날이 증가함에 따라 일상생활에서도 ‘황혼육아’, ‘손주 병’ 등의 신조어가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런 황혼 육아로 인하여 ‘손주병’이라는 신조어가 나타날 정도로 노인성 질환과 같은 신체적 질병이 빠르게 발생 및 악화되고 있는 사회문제에 초점을 맞추었다. 기존 부모 층을 대상으로 디자인 되어진 육아용품의 틀에서 벗어나 황혼육아에 참여하는 노령 층을 위한 디자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노령화되어가는 사회의 디자인적 변화를 위한 하나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논문 자료 및 통계 자료, 문헌, 인터넷 리서치를 통하여 황혼육아와 이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 및 육아용품에 대한 주요한 키워드 들을 알아보았다. 또한 키워드를 중심으로 사용행동패턴에 따른 대표 육아용품의 사용 성 기초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범위로는 황혼육아가 증가하고 있는 사회 분위기 상 육아에 참여하고 있는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하며 조부모 양육 비율이 가장 높은 0세에서 3세 아이의 육아용품으로 조사 제품으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으로는 첫째, 근골격계 대표 질환으로 인한 피해 신체 부위를 알아보았다. 둘째, 유아 활동 사이클에 따른 네 가지 기준을 세워 대표 육아제품을 선정하였다. 셋째, 네 가지 대표 육아제품의 사용행동패턴을 분류 후 그로인해 부담이 되는 신체부위를 피 실험자 10명을 선정하여 사용 성 실험 및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주된 육아용품 사용으로 인하여 피해를 입는 신체부위는 근골격계 질환 피해 유발 신체부위 중 손목, 허리, 어깨 세 군데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가장 피해가 심한 손목과 허리는 육아활동 시 해당 신체부위를 중심으로 돌리거나 숙이는 반복적 행동으로 인한 것이었으며, 손목과 허리 사이인 어깨로 신체적 부담이 이어져 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신체적 부담을 많이 느끼는 주된 육아용품 사용행동패턴은 육아용품을 사용하기 전. 후 준비과정과 정리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노령화 되어가는 사회 현상과 조부모의 황혼육아 참여 증가를 바탕으로 하여, 노인의 신체적 건강을 예방하는 새로운 방향의 육아용품 디자인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As grandparents who take care of grandchildren increase, many words are newly coined word like ‘Caring for grandchildren’ and ‘Grandchildren disease’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focused on social problem from ‘caring for children’ which is physical illness as senior disorder spread quickly and being worse. We suggest the necessity of design research about something more than existing baby goods for senior who take care of their grandchildren and we would like to provide basis for changing society. We find out main keyword about muscle and bone disease and baby goods through this research are thesis, figures, reference, Internet research, Around main keyword, we research about usability of representative baby goods by usage pattern. The scope of this research is over 60 years who take care their grandchildren and we also limited the 0-3 years old baby goods. Because 0-3years old babies are highest rate of grandparents nurturing. First, we studied damage body part from musculoskeletal disorders. Second, We selected representative body goods based on 4 criteria by baby’s usage pattern. Third, After classifying baby goods, we selected 10 sujects and interviewed. Our research shows First, We can verify the damage parts of muscular skeletal disease due to use baby goods which is wrist, waist and shoulder. Second, The heaviest damage parts which is wrist, waist and shoulder are suffer from parenting by turning wrist ,bending their waist forward or repetitive behavior. Thirds, We also recognized that the usage pattern of baby goods adding strain on the body occurred before or after using it such as prepare process or clean up process. We think this research will help to develop the new baby good design for elderly’s health based on aging and participation rising of ‘Caring for grandchildren’

      • KCI등재

        물공급시스템 수질사고 확산제어를 위한 체류시간 기반 대응구역 구축 방법론 개발

        유진경(Jin Kyung Yu),이승연(Seung Yeon Lee),온병헌(Byeong Heon On),전태민(Tae Min Jeon),유도근(Do Guen Yoo) 한국방재학회 202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3 No.6

        상수관망시스템은 관로의 노후화에 따른 누수 및 파손으로 생긴 외부오염, 수리학적 유량 변경에 의한 관로 내 퇴적물질 부유 등의 원인으로 수질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공급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질문제는 대응이 늦어질 시 주민들의 건강 문제와 지역의 경제적인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사고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제어기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관망 내 수질사고 확산 양상을 체류시간 기반으로 사전에 파악해 산정하고, 사고확산을 실무적인 관점에서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구역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이렇게 제안된 방법론을 한국의 A시 구역의 관망시스템에 적용되었다. 새롭게 정의되는 구역의 결과를 수질사고 발생 시 실무적으로 관리, 제어하고자 하는 목표 체류시간에 따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제안된 방법론은 수질사고의 신속한 대응 측면에서 새로운 개념의 대응 구역구축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이는, 위기 대응에 핵심적으로 운용되어야 하는 밸브를 중심으로 작동되는 구역을 설계하여 목표에 맞는 대응시간 안에 명확한 수질사고 확산 제어 구역화가 가능하다. Water quality issues may arise within the water pipe network system due to external contamination from water leaks, aging pipes leading to damage, and the presence of suspended sediments resulting from changes in hydraulic direction. Promptly addressing these water quality problems during the supply process is crucial, as delays can swiftly escalate health risks for residents and cause economic damage to the region. Therefore, developing control techniques is imperative to minimize the rapid dissemination of accidents. This study aims to proactively identify and calculate the spread pattern of water quality incidents within the pipe network, utilizing residence time as a critical factor. A practical and efficient spread control zoning methodology was proposed to curtail the expansion of accidents. Applying the proposed methodology to the pipe network system in Cty A (Korea) involved quantitative analysis of newly defined areas based on the target residence time intended for practical management and control during water quality accid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method offers the potential to establish a novel concept of a response area for rapid reactions to water quality incidents. This facilitates the design of a zone centered around valves essential for crisis response, thereby creating an area with precise control over the spread of water quality accidents within a target response time.

      • SCOPUSKCI등재

        A Study on Photoreceptor by Using the Effect of Additives

        유진,김영순,유국현,Yu, Jin,Kim, Yeong Sun,Yu, Guk Hyeon Korean Chemical Society 2001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22 No.7

        We have been studied photosensitization mechanism's additive effect, of perylene 3,4,9,10-tetracarboxyl-diimide and X-phthalocyanine (charge generation materials), using the photochemical and photoelectrochemical approach. It was found that the photoreceptor on the excited state reacts with metal oxide, which creates the charge transfer on the interface of SnO2/electrolyte. In the electrode (X5P1) made of five X-phthalocyanine and single perylene 3,4,9,10-tetracarboxyldiimide layers, the cathodic photocurrent of X-phthalocyanine in the 400-600 nm region was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perylene 3,4,9,10-tetracarboxyldiimide. The maximum wavelength of fluorescence of perylene 3,4,9,10-tetracarboxyldiimide showed no dependence on the temperature. The addition of 4-dibenzylamino-2-methylbenzaldehyde diphenylhydrazone known as charge transport material was represented as decreasing photocurrent for X-phthalocyanine and perylene 3,4,9,10-tetracarboxyldiimide, respectively. In the electrode (X1P1) made of single X-phthalocyanine and single perylene 3,4,9,10-tetracarboxyldiimide layers, an anodic photocurrent of about 10.5 nA was generated by addition of hydroquinone at 550 nm. And the characteristic of photoinduced discharge was shown to decrease by a factor of 5 and the speed of dark decay was increased by a factor of 1.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