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별을 이용한 저궤도 광학 위성의 탑재체 영상 품질 측정 지표 및 자세 기동 연구

        유지웅,임동욱,박상영,손영종,이동한 한국우주과학회 2009 한국우주과학회보 Vol.18 No.2

        이 연구는 별 관측을 통해 점 퍼짐 함수(PSF)를 측정하고 나이퀴스트 주파수에서 변조 전달 함수(MTF)을 계산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저궤도 광학 위성의 영상품질 평가방법을 도출하였다. 가상 별 영상을 생성하고 IRAF로 2차원의 점 퍼짐 함수를 얻었고 MATLAB으로 점 퍼짐 함수를 2차원 푸리에 변환하여 변조 전달 함수를 계산하였다. 공간 영역에서는 점 퍼짐 함수의 모양을 통해서도 영상품질을 검증할 수 있다. Along/Across-Track의 모양이 일치하고 중심에서 좌우대칭이며 델타함수에 가까울수록 좋은 품질의 영상을 의미한다. Along/Across-Track의 점 퍼짐 함수 모양차이는 Line Rate나 Time Delay and Integration(TDI)의 오차에서 기인한다. 별을 점광원으로 본다면 점 퍼짐 함수를 정의하기 쉽고 Along/Across 방향을 동시에 측정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궤도상에서 별을 관측하는 것은 지상을 관측하는 것보다 대기 환경의 효과가 크지 않기 때문에 영상 품질 평가에 유리하다. Yaw Steering이나 Nadir Pointing과 같은 자세제어의 효과를 배제할 수 있으므로 자세제어의 효과가 상당 부분 제거된 영상품질을 분석할 수 있다. 지상관측시간이나 배터리 충전시간이 아닌 지구 본영에서 별을 관측하므로 임무에 방해받지 않는다. 지상관측과 같은 효과를 내고 TDI를 사용하는 환경을 구현하기위해 Line Rate를 고려한 자세 기동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큰 각도의 자세 기동이 예상되어 쿼터니안을 이용하여 Inertial Pointing하도록 자세 제어하였고, 자세 Slew Rate 구속조건 하에서 제어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성매매 청소년 사법처리와 지원시설 연계의 과제

        유지웅 치안정책연구소 2012 치안정책연구 Vol.26 No.1

        이 연구는 성매매 청소년이 경찰의 단속과정에서 발견되고 사법 처리되는 과정에서 경찰과 검찰로부터 사회적 지원체계에 연계되는데서 발생하는 문제점들과 그 개선책들을 모색하고 있다. 성매매 청소년을 조기 발견하는 것은 사회적 지원체계 연계를 위한 우선적 과제이다. 성매매 청소년 조기발견을 위한 경찰의 활발한 단속활동과 더불어 초기단계에서 성매매 청소년의 상황에 맞는 적극적인 개입이 이뤄질 수 있도록 경찰과 검찰의 역할 조정이 필요하다. 법률적으로 검사에게 주어진 것과 같은 교육수강 명령권 등이 경찰단계에서도 주어지고, 사안이 가벼운 경우에는 경찰의 적극적인 다이버젼 활동이 가능하도록 경찰의 재량권을 높이는 방향으로 법률적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경찰에서 성매매 청소년의 상황에 따라 연계활동을 벌이고자 하여도 지원시설이 제한되어 있고 수용공간이 부족한 현 상황에서 성매매 청소년 지원시설의 확대는 무엇보다도 우선적인 과제이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problems occurred in legal action against adolescent prostitutes and in the connection to the youth shelter. The early detection of adolescent prostitutes take priority in the problem of connection to the youth shelter. For the early detection of adolescent prostitutes, monitoring activities on the internet space, especially on chatting community, and police rounds should be reinforced at the places of entertainment. For taking appropriate measures in the stage of police investigation against the adolescent prostitutes, the role of the policeman and the prosecutor require a coordination. In the stage of police investigation against the adolescent prostitutes, it is necessary to grant discretionary power to the policeman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at the adolescent prostitutes are faced.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give command authority for rehabilitation programs that the prosecutors already have officially also to the policeman who investigate the adolescent prostitutes. Above all things, youth shelter that able to accommodate the adolescent prostitutes should be added quantitatively in order to activate the connection activities by policeman.

      • KCI등재

        청소년의 유해업소 접촉실태와 경찰의 단속활동 방향

        유지웅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08 치안정책연구 Vol.- No.22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several policy recommendations that enable to promote efficiency of police activity on the harmful facilities to youth. Recently the regulation activities of the police on the harmful facilities was relatively focused on the illegal gambling facilities. As a result, gambling facilities decreased on a large scale. But police’s regulation records on the violators of Juvenile Protection Act are on a decreasing trend. It is due to the insufficiency of available hands. In order to compensate for insufficient police man power, it is need to make best use of civil man power. This research suggest to expand the weight of civil man power in civil-officials joint investigation team and to diversify the use of it. Besides it is need to take a share of regulation activities on the harmful facilities. In citizen’s organization, it is need to concentrate it’s effort on surveillance duty and in police organization, on immediate regulation activity linked with surveillance activity of citizen’s organization.

      • KCI등재

        간재 전우의 도덕적 심론과 명덕설

        유지웅 한국유교학회 2016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65

        This paper is to study the theoretical structure and feature of the theory of moral mind and bright virtue of the Ganjae Jeon Woo(1841~1922), who was the famous confucianist in the late Joseon Korea. Based on study of ChuHsi, Jeon Woo’s neo-confucianism was developed with Simsiqi which was suggested by Lee Yi. While he tried to solve misunderstanding regarding Simsiqi, he suggested the theory of mind to gain realization of Goodness aimed by neo-confucianism and with this, he developed the feature of the theory of Mind and Bright Virtue. The important thing is that Jeon Woo had critic mind about realization of moral practice of human can not be attained only with realization of Goodness of nature. Thus, for nature which has inactive character cannot be realized without medium of mind, so it must be focused on Mind which is main body of realization of Goodness of nature. For this, a structure of mind and nature should be suggested as realization of moral practice in the world with discussion of Mind as the main body of moral action. Jeon Woo also regarded condition or capacity of Mind as Bright Virtue. He thought this capacity comes from Qi. Thus, he interpreted Bright Virtue focused on an indigenous capacity of Mind and suggested spiritual perception as the point. The feature of Jeon Woo’s theory of Mind and Bright Virtue was being developed focused on the authencity of Mind. 이 논문은 한말 도학계의 대표적 학자인 간재 전우(1841~1922)의 심론과 명덕설의 특징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우의 성리설은 주자학과 더불어 이이가 제시한 심시기가 중심을 이루며, 김창협으로부터 시작된 낙론계 성리설을 계승하는 바탕위에서 형성된다. 특히 전우는 한말 도학계의 대표적인 학파인 화서‧노사‧한주학파와의 논쟁을 통해 낙론계 성리설을 더욱 선명하게 부각시킴과 동시에 심본성, 성사심제, 성존심비의 자가설을 통해 자신의 성리설 특징을 제시한다. 하지만 이 논문에서 주목하고 있는 전우 성리설 특징은 심본성, 성사심제, 심존성비와 같이 심성관계에서 성을 부각시키는 측면 보다는 선의 실천주체인 심의 논의에 주목하고자 한다. 전우를 비롯한 낙론계 성리설의 특징은 도덕본성의 실재만으로는 선이 온전히 확보될 수 없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왜냐하면 도덕본성은 인간이 선을 행함에 있어서 도덕 가능 근거가 되지만 이는 결국 무위한 것이기에 반드시 심의 매개를 통해서만 표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우는 실천주체인 심에 대한 논의에 주목하게 되었으며, 그 결과 선을 실천할 수 있는 심의 구조적 기반을 모색하기 위해 심의 도덕적 영역을 확보하는 심론을 구축하였으며, 명덕설 역시 심론과 결부되어 허령불매한 지각능력을 핵심으로 전개되는 특징을 보인다. 전우는 심이 본래적으로 선하다는 심본선을 제시한다. 하지만 성즉리, 심시기를 계승하는 전우에게 있어서 순선한 성과 달리 심은 겸선악하며, 결국 악으로 흐를 가능성이 농후한 기와의 연관성에서 벗어날 수 없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를 통해 전우는 심을 구성하고 있는 기에 대한 차별적 이해를 통해 심은 기의 본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라 주장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심이 본래적으로 선하다는 심본선의 논의를 이끌게 된다. 심본선은 심이 본래 선하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항상 선을 근본으로 한다는 지향의 의미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전우는 기본말과 심본선을 통해 기에 대한 리의 자연한 주재, 심에 대한 성의 자연한 주재가 가능한 리기, 심성의 구조적 기반을 구축하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기의 본으로 이루어진 심은 본래적으로 선할 뿐 아니라 선을 근본으로 하는 지향의 의미 역시 가지고 있기에 실천주체인 심에 대한 도덕적 영역 역시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도덕적 심은 늘 선을 지향하기에 성이 심을 자연하게 주재할 수 있는 성위심재의 심성관계가 구축된다. 또한 심론과 결부되어 있는 명덕설은 허령불매한 지각능력을 핵심으로 제시하여 심 차원에서의 도덕가능 근거와 수양의 근거로도 작용하게 된다.

      • KCI등재

        도암 이재의 성리설 연구 - 호락논쟁의 주요 쟁점을 중심으로 -

        유지웅 한국양명학회 2022 陽明學 Vol.- No.67

        이 논문의 목적은 18세기 중반 기호 낙론계를 대표하는 도암 이재(陶菴 李縡, 1680~1746)의 성리설을 호락논쟁의 주요 쟁점에 주목하여 검토, 분석하는 것이다. 이재는 18세기 전반기 기호 낙론계를 대표하는 성리학자이다. 그는 『전서(全書)』 형태로 이이의 문집 간행을 주도했을 만큼 기호학계에서 매우 상징적인 인물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그는 한천정사(寒泉精舍)에서의 강학활동을 통해 낙론계 성리설을 계승, 확산시킴으로써 그의 문하에서 낙론계 정통 학맥이 계승되었다는 상징성도 지니고 있다. 아울러 호락논쟁이 본격화되는 시점에서 이재는 호론의 윤봉구, 채응상, 심조 등과 논쟁을 전개하여 낙론계 성리설의 여론을 대변한 인물이었다. 이재의 성리설에는 본연의 측면에서 기(氣)의 개입을 주장하는 호학의 입장을 비판한다. 이러한 연장선에서 이재는 만물이 근원적으로 ‘리’를 동일하게 부여받았다는 측면을 부각시키면서 기의 제한을 넘어선 ‘리’의 보편성을 확인하는 인물성동론을 주장한다. 미발 역시 기질적인 맥락에서 해명하려는 호학의 입장을 거부하고 인간이라면 누구나 동일한 마음 즉 본심이 있음을 전제한다. 그리고 그러한 마음을 보존하는 것이 곧 수양의 출발점이자 목표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이재의 입장은 호론과 대비되는 인물성동(人物性同), 미발심체선(未發心體善), 성범심동(性凡心同)을 공유한 것으로 호락논쟁에서 낙론의 입장을 충실하게 계승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비록 그가 호론과의 논쟁에서 심‘기’와 일반적인 ‘기질’을 구별하지 않고 사용함으로서 오는 문제도 노출하지만 전체적인 그의 성리설을 통해 본다면 기질적 맥락에서 미발시 마음의 상태를 설정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호락논쟁이 본격화되는 시기에 낙론의 여론을 대변하고 주도했던 이재의 성리설을 호락논쟁의 주요 쟁점들을 중심으로 검토, 분석하여 낙학의 입장을 주로 호학의 이간을 중심으로 해명되었다는 한계점을 보완하고, 낙학파 성리학자인 이재를 통해 해명함으로써 낙학파 성리학자들을 호락논쟁의 주체로 복원시키는데 일조하고자 한다.

      • KCI등재

        Comparison of Efficacy of Different Surgical Techniques for Benign Prostatic Obstruction

        유지웅,정병창,전성수,이성원,이규성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 2021 International Neurourology Journal Vol.25 No.3

        Purpose: We compared success rates of 3 surgical techniques (holmium laser enucleation of the prostate [HoLEP],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prostate [TURP], and photoselective laser vaporization prostatectomy [PVP]) for treatment of benign prostatic obstruction (BPO). We aimed to identify preoperative clinical variables and urodynamic parameters that predict surgical success. Methods: A total of 483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for BPO at Samsung Medical Center between 2006 and 2017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of these 361, 81, and 41 patients underwent HoLEP, TURP, and PVP, respectively. Prostate- specific antigen, prostate volume, urodynamic parameters, and International Prostate Symptom Score (IPSS)/quality of life (QoL) index were evaluated preoperatively; uroflowmetry, postvoid residual urine, and IPSS/QoL index were measured 6 months postoperatively. Surgical success was defined based on IPSS, maximum flow rate, and QoL index and predictive factors were identified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sults: Success rates of HoLEP, TURP, and PVP were 67.6%, 65.4%, and 34.1%, respectively, and the HoLEP and TURP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prostate volume ≥50 mL and bladder outlet obstruction index (BOOI) ≥40 to be independent factors predicting HoLEP success. Only high preoperative QoL could predict the success of TURP, whereas other urodynamic parameters remained unrelated. Conclusions: Patients treated with HoLEP and TURP displayed equivalent efficacies, but PVP was relatively less efficient than both. Preoperative variables of prostate volume ≥50 mL and BOOI ≥40 were independent predictive factors for the success of HoLEP but not of TURP.

      • KCI등재

        농산(農山) 신득구(申得求) 천설(天說)의 학계 평가와 실천적 해석

        유지웅 한국동서철학회 2022 동서철학연구 Vol.- No.106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Nongsan Shin Deuk-gu's problematic consciousness related to "There is the human mind in the Heaven, as well," which is the most controversial in his Neo-Confucian theory, as well as implications behind his problematic consciousness in a practical aspect. The Neo-Confucian community, especially the Kiho Academy, showed very diverse patterns in late Josun. The most prominent ones include the criticism of the Kiho Academy's traditional positions and the resulting branching of the academy. There must have been various factors behind its academic conflicts and resulting branching in late Josun, but the factors were expressed in synthetic ways. The factors include the unique situations of late Josun, reactions to them from intellectuals, academic conflicts accumulated inside the academy, and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of Neo-Confucian scholars trying to end the conflicts. It is Shin Deuk-gu that actively expressed this philosophical problematic consciousness of the Kiho Academy in late Josun. He gave an explanation by saying, "There is the human mind in the Heaven, as well." His explanation is not, however, his argument that the Heaven itself is the human mind implicating both good and evil. That is, abnormality in excess or deficiency can never be called good in a phenomenological dimension and thus can be explained with the human mind in a contrast dimension according to him. By saying "There is the human mind in the Heaven, as well," he aimed to argue that the reality of excess or deficiency and abnormality represent the various confusing aspects of the times and should be overcome through people's practical efforts. That is, the human mind is the mind of the Heaven and Earth. The evil human mind should be always controlled by Dosim. His statement reflects his worries as a true moralist trying to restore the reality of excess or deficiency and abnormality into the reality of normality. 이 논문은 농산 신득구(農山 申得求, 1850~1906)의 성리설에서 가장 논란이 되는 “하늘에도 인심이 있다[天有人心]”와 관련하여 이 언설에 대한 신득구 자신의 문제의식 그리고 그러한 문제의식의 이면에 숨겨진 의미를 실천적인 측면에서 확인하고자 한다. 신득구의 성리설이 학계 내부에서 논란이 된 것은 연재 송병선(淵齋 宋秉璿, 1836~1905)이 편찬한 근사속록(近思續錄) 에 대해 신득구가 교정을 부탁받고 이에 대해 의견을 제시 한 것이 발단이 된다. 신득구는 근사속록 에서 이이의 “하늘은 혈육의 기라는 것이 없기에 도심이 있을 뿐이나, 사람은 혈육의 형체가 있기에 인심을 발한다”의 내용에 대해 기록자의 오류일 뿐 아니라 하늘에는 인심이 있다고 말해야 한다고 의견을 표한다. 이에 대해 송병선을 비롯한 연재학파 문인들이 신득구의 주장에 대해 비판을 하면서 심에 대한 리기론적 해석이 주요 논쟁의 대상이었던 한말 성리설 논쟁과는 결이 다른 또 다른 논쟁이 진행된다. 신득구의 “하늘에도 인심이 있다”는 말은 하늘 그 자체가 선과 악을 함의하는 인심이라 주장하는 것이 아니다. 즉, 현상적인 차원에서 봄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덥고, 가을에는 서늘하며, 겨울에는 추운 것이 천도의 유행인데, 천도의 유행이 그렇지 않을 때도 있기에 이러한 현상은 바름을 얻지 못한 위태로움과 같은 과불급(過不及)의 이상(異常)이므로 분명 선이라 할 수 없다. 따라서 대비적인 차원에서 인심과 같은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신득구가 하늘에도 인심이 있다는 말을 한 본질적인 목적은 바로 당시의 여러 가지 혼란상이 과불급과 이상한 현실이었기 때문에 이러한 과불급과 이상한 현실을 인간의 실천적 노력을 통해 극복할 것을 주장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인간의 마음은 천지의 마음으로서 항상 도심이 사심인 인심을 억제해야만 과불급과 이상한 현실을 다시 정상의 현실로 되돌릴 수 있다는 진정한 도학자의 고민이 담겨져 있는 것이었다.

      • KCI등재

        백수(白水) 양응수(楊應秀)의 성리설과 18세기 낙론계에서의 반향(反響)

        유지웅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3 儒學硏究 Vol.63 No.-

        This paper examines and analyzes Yang Eungsu's Neo-Confucianism, a representative disciple of Yi Jae, while paying heed to the Nak School in the 18th century. By doing so, this paper reasonably identifies Yang's academic identity, which has not been studied in depth. Yang is not mentioned in the same way as his contemporaries Park Seongwon, Kim Wonhaeng and Lim Seongju in relation to the study of the Nak School in 18th century. However, Yang is a highly symbolic figure among Yi's disciples, especially considering that it was not possible to participate in the publication of Yi's writings unless one was very close to his teacher or had a high academic standing. This may explain his place in Cheonmun (泉門). Yang also maintained his identity as a member of the Nak School by presenting a critical view of the Ho School regarding the Horak controversy, which was a major concern of the scholarly community at the time, with most of Baeksujib (白水集) relating to Neo-Confucianism. He was also a faithful student of his teacher, summarizing the conclusion of Yi's theory of the mind as "the mind being made up two kinds of Qi (心有 二氣)." However, while Yang was identified as a the Nak School scholar, he also had an identity that diverged from the Nak School-centered position. For example, not only did he criticize the theory of consciousness of Kim Changhyeob, the master of the Nak School, but his way of arguing the key issues of the Horak controversy also varied from the mainstream of the Nak School. His academic position was controversial within the Nak School, and his alumni criticized Yang's theory as being the same as the Ho School. Therefore, it would be a limited understanding to view Yang’s theory solely in the context of his being a 'successor' to 'the theory of the Nak School'. Thu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a more accurate understanding of Yang's academic identity. Specifically, the study will focus on Yang's membership in the Nak School and the criticisms his alumni had regarding his theories on moral culture. Ultimately, the success of this study will shed light on why Yang is a noteworthy figure in regard to the diversity within the Nak School in the 18th century and help us to better understand his academic identity. 이 논문은 이재 문하의 대표적인 인물인 양응수의 성리설과 이에 대한 18세기 낙론계의 반응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그동안 피상적으로 다루어졌던 양응수의 학문적 정체성을 보다 합리적으로 결론 내리고자 한다. 18세기 기호 낙론계 연구와 관련하여 양응수는 동문이었던 박성원, 김원행, 임성주 등과 비교해 볼 때 의미 있게 다루어진 인물은 아니었다. 하지만 양응수는 이재문하에서 매우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 그는 도암집(陶菴集) 간행에 깊숙이 개입해스승의 유고를 정리, 편집하는 일을 주도하였으며 동문 중에서는 유일하게 1년간 스승의 시묘살이를 했다는 상징성도 있다. 이러한 사실들을 통해 볼 때 천문(泉門)에서의 양응수의 위상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양응수는 성리설에도 조예가 깊어 백수집(白水集)에는 대부분이 성리설과 관련된 것이며 당시 학계의 최대 관심이었던 호락논쟁의 주요 쟁점에 대해서도 호론을비판하는 일련의 글들을 발표하여 낙론계 일원으로서의 정체성도 유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재 심설의 종지를 ‘심유이기(心有二氣)’로 정리하는 등 스승을 충실히 계승한 제자의 역할 역시 자임하였다. 이렇듯 양응수는 천문에서 동문들과 함께 낙학의 여론을 주도한 인물이었으며, 백수집을 보더라도 학문적 성과가 매우 뚜렷한인물이었다. 그동안 학계에서 양응수에 대한 논의는 주로 낙론의 ‘계승’이라는 측면에만 주목하였다. 그는 분명 낙론계의 정체성을 유지하였지만, 낙론계 중심 학맥의 입장과는다른 정체성 역시 가지고 있었다. 대표적으로 그는 낙학의 종장이라 할 수 있는 김창협의 지각설을 비판하였을 뿐 아니라, 심유이기에 대한 해명에서도 낙론계 중심 학맥과는 다른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이러한 양응수의 학문적 입장이 낙론계 내부에서 논란이 되고 특히 동문들이 양응수의 성리설을 호론과 같다고 비판하는 것에서볼 때 그의 성리설을 단순히 ‘낙론’의 ‘계승’이라는 범주에서만 논의하는 것은 양응수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제한적인 이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양응수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해 합리적인 결론을 내리기 위한선행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로 낙론계 일원으로서 그의 정체성과 그의성리설에 대해 동문들이 가지고 있었던 비판과 문제의식이 무엇인지를 확인할 것이다. 이 연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18세기 낙론계 성리설의 다양성이라는 측면에서 왜 양응수라는 인물을 주목해야 하는지 그 이유를 찾음과 동시에 그의 학문적 정체성이 보다 명확해지는데 일정 부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