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 19 상황에서 실시한 온라인 교육사회학 수업 모델 타당성 연구

        유지선(You, Ji-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3

        목적 본 연구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한 온라인 교육사회학 수업 모형이 학생들의 교과 및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과 온라인 수업 만족도 향상에 기여하였는지 확인함으로써 수업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를 위해 온라인 교육사회학 수업을 수강한 3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학생들의 평소평가 과제물인 수업활동 자기평가보고서를 함께 분석하여 양적⋅질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온라인 교육사회학 수업을 통해 교과 및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을 함양하였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학생들은 수업에 사용된 영상 자료가 교육사회학 수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학생들의 75.8% 이상은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을 수강한 경험이 없었으며, 이 수업에서 미디어 제작 관련 수업이 부족하여 미디어 제작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학생들은 온라인 수업의 단점으로 교수자와의 원활하지 못한 의사소통, 발표와 질문의 어려움을 꼽았다. 결론 연구에 대한 제언으로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돕는 온라인 수업을 위해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수업 설계, 온라인 강의 송출 관련 제반 시설의 첨단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강화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tri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teaching model by confirming whether the online educational sociology class applied with the media literacy teaching-learning method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students subject and media literacy ability and online class satisfaction. Methods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lass model of this study, a class evaluation survey was conducted for 33 college students who took an online educational sociology class.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self-assessment report of class activity prepared by the students, the validity of the class model was confirmed in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way. Result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cognized that the students cultivated subject and media literacy skills through online educational sociology classes. Second, the students recognized that the media materials used in the class wer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educational sociology class. Third, more than 75.8% of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y had no prior experience in media literacy classes, and that they had difficulties in project-based media production activities due to the lack of media production class content. Fourth, students mentioned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with instructors, giving presentations, and asking questions as disadvantages of online classes. Conclusions As a suggestion for this study, in order for instructors to successfully conduct online classes for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it was discussed the need for class design for communica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modernization of facilities related to online lecture transmission, and reinforcement of media literacy education.

      • KCI등재

        단과대학의 역량기반 전공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핵심역량과 전공역량 연계 모형 탐색

        유지선(Ji-Sun You),김덕파(Dukpa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우리나라 고등교육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대학 전체의 교육 방향에 근간이 되는 핵심역량과 전공교육의 기반이 되는 전공역량의 두 요소를 포함한다. 이에 핵심역량과 전공역량의 유기적인 연계는 대학 교육과정이 전체성과 통일성을 갖추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학의 역량기반 교육 실태 및 현황을 파악하고 핵심역량과 전공역량의 연계 모형을 탐색하여 대학의 역량기반 교육 체계화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의 절차와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역량기반 전공교육과정 설계 방법을 탐색하고 국내 대학들의 핵심역량과 전공역량 특징 및 연계 유형을 분석한다. 둘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핵심역량과 단과대학의 전공역량 연계 모형 초안을 개발한다. 셋째, 초안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위한 FGI 실시 후,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수정안을 도출한다. 넷째, 종합대학인 A 대학교 교원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정안을 적용안으로 수정하여 최종안으로 확정한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역량기반 교육은 교육부 사업 유치와 평가 대비를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이 과정에서 학교 구성원들의 합의를 통한 역량 설정이나 수업설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학생들의 실질적인 역량 향상을 돕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반면 역량기반 교육을 통해 학습자와 사회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 환류 시스템을 구축하고 교육에 대한 책무성이 강조되는 대학교육 질 관리 체계 구축에 기여하였다. 둘째, ‘핵심역량의 포괄성 및 구체성 수준’과 ‘각 단과대학의 학문적 특징’을 기준으로 네 가지 핵심역량과 전공역량 연계 모형인 ‘전공역량 중핵형, 전공역량 일치형, 전공역량 연계형, 전공역량 확장형’을 개발하였다. 결론 핵심역량과 전공역량을 두 축으로 한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아직 도입 단계로서 본 연구가 제시한 네 가지 연계 모형을 교육 현장에서 활용하면 보다 완성도 높은 교육과정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Objectives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is twofold - university-wide key competencies which shape the educational direction of the institution and discipline specific major competencies on which major education is based. As such, linking key competencies and major competencies in a systematic way can contribute to achieving totality and unity of university's major curricula. This study aims at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systematization of competency-based higher education by developing systematic ways of linking key competencies and major competencies via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u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Methods This study proposes four models of linking key competencies and major competencies that are developed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of five universities in Korea. To validate the proposed model, FGI is conducted with curriculum experts,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is explored by a survey among professors at major universities in Korea. Results First, this study finds the current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exhibit both a limitation and an advantage. Competency-based education was introduced among Korean universities as a means to evaluate education quality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tentimes, competencies were selected without the interest and consensus of school members and competency-based curricula were not properly implemented. As a result,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was not fully functional in developing students' actual competencies. Nevertheless, the introduction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contributed to the advancement of education quality management by systematizing a curriculum feedback system that reflects the needs of learners and society and emphasizing educators' responsibilities. Second, this study proposes four models of linking key competencies and major competencies, which are labelled as core major competencies model, equivalent key-major competencies model, overlapping key-major competencies model, inclusive major competencies model. They differ by the relative scope and specificity of key and major competencies. Conclusions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is in its initial stage. The four models that this study proposes can be utilized to further develop current competency-based major curricula.

      • KCI등재

        중학교 협력종합예술활동에서의 영화 수업이 학생들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

        유지선(You, Ji-Sun),김소영(Kim, So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2

        본 연구는 2017년부터 서울시교육청이 실시한 중학교 협력종합예술활동에서의 영화 수업이 학생들의 핵심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협력종합예술활동은 연극, 영화, 뮤지컬 3개 예술장르를 현행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교과 간 협력 운영, 특정 교과시간 내 운영,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화 수업을 교과 간 협력 운영 방식으로 협력종합예술활동을 실시하고 있는 서울시내 4개 중학교의 199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한 우수 영화 수업 활동 보고서의 교사 관찰일지와 학생 성찰일지 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핵심역량 함양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양적·질적 분석 방법을 통해 확인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뿐만 아니라 청소년 역시 영화수업을 통해 핵심역량 개발할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영화 수업을 통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6가지 핵심역량을 함양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영화와 교과 연계 수업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교과 연계 프로그램 개발과 담당교사와 예술강사 간의 협력 수업을 위한 연수 제공 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ilm classes on the core competence of students in middle school cooperative integrated arts activities conduc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from 2017. The cooperative integrated arts activities linked three art genres of theater, film, and musicals to th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In addition, there are three methods of organizing and operating: operation between subjects, within specific curriculum hours,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99 students in four middle schools in Seoul, where film classes were conducted as a cooperative interdisciplinary operation.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eacher observation log and the student reflection log in the excellent film class case rep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ich film class activities affect the core competency of students. The research results confirmed through thes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not only adults but also young students could develop core competencies through film classes. Second, students were able to cultivate the six core competencies suggest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rough film clas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ariety of curriculum-related programs in order to revitalize film and curriculum-related classes in the futur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training programs for collaborative classes between teachers and art instructors.

      • KCI등재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실시한 영화교육에 대한 학생 경험 분석

        유지선(You, Ji-Sun),홍후조(Hong, Hoo-Jo) 한국영화학회 2017 영화연구 Vol.0 No.73

        본 연구 주제는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실시한 영화수업을 받은 학생들의 경험 분석에 대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첫째, 예술교육으로서의 영화교육에 대한 학생경험의 의미와 중요성을 고찰하였다. 둘째, 영화교육 경험 제공의 기준이 되는 중학교 영화교육과정을 조사 · 분석하였다. 셋째, 중학교 영화교육과정 기준에 따라 개발된 영화수업을 수강한 학생들의 경험을 질적연구인 면담법을 활용하여 그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예술교육의 한 장르로서 영화교육의 의미와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학교는 K중학교이다. 이 학교에서 영화수업은 2학년을 대상으로 2015년 1년 동안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주당 1시간씩 30차시로 운영되었다. 연구참여자는 K중학교 2학년 여학생 4명이다. 연구를 위해 개인 및 집단 면담을 2015년 9∼10월 동안에 총 6차례 실시하였다. 면담의 주 내용은 이상수의 수업분석도구를 활용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작성하여 영화수업의 내용과 방법, 효과 및 평가방법 등에 대해 질문하였다. 1∼2차는 집단면담을 실시하였고, 이후 3∼6차에서는 심화된 내용을 가지고 개별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참여자들의 영화수업에 대한 경험은 다음과 같은 4가지의 범주로 분석되었다. ① 의사표현 수단의 확장, ② 상상력 · 협동심 · 자신감의 함양, ③ 영화제작을 통한 수업참여도 향상, ④ 영화 관련 흥미 · 적성 · 진로 탐색에의 기회를 가짐으로 분석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보았을 때, 연구참여자들에게 영화교육의 경험은 교육적 효과를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이 연구는 연구참여자들의 영화수업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을 분석한 것이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모든 영화교육의 효과성으로 일반화하는데 한계를 가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함의를 가진다. 우선, 연구참여자들이 한 학기 동안의 영화수업을 통해 무엇을 느끼고 경험하였는지 알 수 있다. 그리고 영화수업의 교육적 경험들이 파편화되고 분절된 흥미위주의 무질서한 경험활동의 나열이 아닌 의미 있는 교육적 경험을 제공하였으며, 이는 기존의 영화교육 이론 정립에 도움이 되는 실제 사례가 된다는 점이다. 이 논문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교육과정에서 영null교육과정에 묻힌 영화교육이 예술교육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실제 사례를 제공하였기를 바라며, 앞으로 연극, 국악, 무용, 영화,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장르가 학교 예술교육과정 영역 안에 포함될 수 있는 각 영역의 예술 교육적 효과성에 대한 질적 · 양적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In order to explore students’ educational experiences in film education,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female students of K Middle School on seven areas for one semest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tudents’ perception of film class was re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of film class and it’s evaluation. The results of the students’ perception on film class were categorized into four categories as follows: (1) enhancement of imagination, cooperation and confidence, (2) expansion of means of expression, (3) improvement of class participation through film production, and (4) opportunity to explore interest, aptitude, and career related to film. This study has some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y, such as enlargement of opportunities for taking film classes and expansion of genre of arts education at the middle school.

      • KCI등재

        연극영화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유지선(You, Ji-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연극영화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극영화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연극, 영화, 진로교육의 교육목표, 내용영역, 성취기준을 분석하였으며, Holland 검사의 진로 유형 구분을 참고하여 수업자료를 선정하였다. 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양적·질적자료를 분석하였다. 양적자료 분석을 위해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 180명을 대상으로 단일집단 사전·사후 진로성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질적자료는 학생들의 수업활동지와 수업소감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학생들의 진로성숙도 향상은 ‘태도영역’의 계획성·독립성 2가지, ‘능력영역’의 자기이해·합리적 의사결정·희망직업 지식 3가지의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질적 자료 분석결과, 학생들은 진로계획에서 대학진학을 가장 중요하게 여겼으며, 독립성의 정도에 따라 진로선택 및 책임에 대한 태도가 달랐고, 등장인물 직업 분석 및 스토리 창작을 통해 진로·직업 탐색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직업태도(태도영역)’와 ‘정보탐색(능력영역)’의 2가지 하위영역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지 않아 이에 대한 부분이 프로그램에서 보완될 필요가 있다. 연구제언으로 일반교과와 연계된 예술 관련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확대 및 프로젝트 학습법 적용에 대한 함의점을 논의하였다. In the modern society, the job environment is constantly changing, and the talents required by society are changing accordingly. Through career education, students need to learn to be flexible to cope with unexpected events and to adapt to a rapidly changing work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drama & film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Participants of the current study were 180 students. The study used a mixed-method design with a combination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pre and post test scores in the five sub-domains of students career maturity. However, the two sub-domains (occupational attitudes and information seeking abilities) of career maturity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Results of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showed that, students focused on college admission and formed different attitudes regarding individual independence based on objective evaluation and personal subjective thinking. In addition, students understanding and interests in drama & film-related jobs increased. Based on study findings, we discussed implications for expanding and diversifying arts-related career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영화교육과정 기준안 개발 연구

        유지선 ( You Ji-su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1 예술교육연구 Vol.19 No.4

        4차 산업혁명과 AI, 스마트폰 사용 증가, 유튜브 등의 인터넷 채널 확대, 더불어 코로나 19등의 상황으로 학생들이 디지털 기기를 간편하게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여 동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일상화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와 학습자의 변화로 영화교육 내용의 확장과 체계화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국내외 영화환경을 교육과정 개발 3요소인 사회, 학습자, 교과 측면에서 분석하여 초등학교 영화교육과정 기준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교 영화교육과정 기준안의 교육성격은 학습자들이 영화의 특성과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영화를 예술의 한 장르로 체험하여 즐길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교육목표는‘미적감성 교육, 인성교육, 창의성 교육, 표현력신장 교육, 예술매개자 교육, 치유 교육’인 7가지로 설정하였으며, 핵심역량은 ‘협업능력, 창의적 사고능력, 예술적 상상력, 소통능력, 자기관리능력’등 5가지로 하였다. 내용영역은 ‘지식과 이해, 표현과 창작, 감상 및 진로’이며, 이와 같은 내용을 가르치기 위한 교수·학습방법, 평가, 편성 및 운영, 지원 및 관리 등의 내용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제언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학교 미디어 교육의 정책과 연계한 국가 수준의 영화교육과정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I, the increase in smartphone use, the expansion of internet channels such as YouTube, and the situation of Corona 19, it is becoming common for students to use digital devices to easily use various technologies to shoot videos. With these changes in society and learners, the need for expansion and systematization of film education content is increasing. Therefore, after analyzing the domestic and foreign film education environment in terms of society, learner, and subject, which are the three elements of curriculum development, a standard draft for elementary school film curriculum was develop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ducational nature of the elementary school film curriculum standards is to help learners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components of films and to experience and enjoy films as a genre of art. Educational goals were set in seven categories: ‘aesthetic emotional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creativity education, expressive power education, art mediator education, and healing education’. Core competencies wer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collaboration ability, creative thinking ability, artistic imagination,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management ability’. The content area i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expression and creation, appreciation and career’, and contents such as teaching-learning methods, evaluation, organization and operation, support and management were developed to teach these contents. As a suggestion for this study, a plan to activate the national film curriculum in connection with the school media education policy sugges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discussed.

      • KCI등재

        학교 예술강사지원사업 성과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학교 문화예술교육 평가 도구 개발

        유지선(Ji-Sun You),홍후조(Hoo-Jo 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연구는 학교 문화예술교육 질 관리 체계를 마련을 통해 학교 문화예술교육 참여 주체인 학교예술강사, 운영학교, 지역운영기관의 역량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각 주체들간의 상호평가를 돕는 평가 도구 개발에 목적이 있다. 방법 학교 문화예술교육 참여 주체인 예술강사와 지역운영기관의 평가 문항 개발을 위해 먼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문항의 가안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문화예술교육 관련 전문가 31명과 5회 이상의 FGI, 서면검토,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평가 문항을 수정⋅보완하여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학교 문화예술교육 평가 체계 구축을 위해 첫째, 예술강사 평가 문항으로 예술강사, 학교 교사, 수혜 학생별 평가 문항을 제작하였다. 평가 영역은 자기성찰문항, 예술전문성(관찰⋅이해/ 창작⋅감상), 교육전문성(수업진행, 학생관리), 강사역량(강사소양, 교사와의 협력), 종합만족도 5가지 영역으로 구성하였으며, 예술강사들의 의견 수렴을 위한 운영학교 협조도 문항은 별도로 개발하였다. 둘째, 지역운영기관 평가 문항으로 예술강사와 학교 교사로 구분하여 구분하여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평가 영역으로 행정 지원, 역량 지원, 사업 지원, 민원 관리, 안내 및 홍보 5가지 영역에 따른 세부 지표를 개발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예술강사와 지역운영기관 평가 문항은 ‘학교예술강사, 운영 학교 교사와 학생, 지역운영기관’ 간의 상호평가 체계 수립 등을 통해 학교 문화예술교육 질 관리를 위한 역량 관리 체계 수립에 기여함으로써 각 주체들의 문화예술 실행 역량 증진을 통해 학생들에게 질 높은 다양한 영역의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현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valuation tool to assist in the mutual evaluation of the participants in the school arts teacher support project, namely arts instructors, operating schools, and local operating agencies, in order to establish a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school cultural arts education and contribute to enhancing the cultural arts education capabilities of those who participate in each school's cultural arts education. Methods Based on previous studies, a draft of the questions was developed and FGI, written review, and survey were conducted with 31 experts related to culture and arts education to revise and supplement the evaluation items to confirm the validity. Results First, questions for each subject of art instructors, school teachers, and beneficiary students were produced to evaluate art instructors, and consisted of self-reflection questions, art expertise (observation, understanding/creation, and appreciation), educational expertise (class progress, student management), instructor competency (instructor literacy, cooperation with teachers), and comprehensive satisfaction evaluation. In addition, additional questions were produced for cooperation in the operating school to collect opinions from art instructors. Second, it was developed by dividing it into art instructors and teachers in charge for the evaluation of local operating institutions, and both art instructors and teachers developed evaluation questions in five areas: administrative support, competency support, business support, civil complaint management, guidance, and promotion. Conclusions Through the final development of the arts teacher and local operating agency evaluation item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stablishment of a capacity management system for school cultural arts education quality management, provides important criteria that must be sustained or improved in the field of school cultural arts education, and helps enhance the cultural arts capabilities of each participant in the school arts education, including arts instructors, operating schools, and local operating agencies.

      • KCI등재

        학교 교육과정 개발 전문가 양성을 위한 실습 교육과정 방향 탐색

        유지선(Ji-Sun Yo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

        목적 이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전문가 직업군으로 일컬어지는 ‘의사’를 중심으로 전문성 개념, 직업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학교 교육과정 개발 전문가 양성 방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를 위해 의사 전문성 향상에 기여하는 실습 관련 교육과정 분석을 위해 국내외 실습 교육과정 체계, 의사 기본교육과정에서의 임상실습 교육과정, 도제식 교육, 의사 국가시험에서의 실기시험에 대해 교육과정 기본 요소인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교육평가’ 측면을 분석하였다. 결과 학교 교육과정 개발 전문가 양성을 위한 실습 교육과정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상은 학교 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학교 교육과정을 계획·설계·운영·관리할 수 있는 전문인이라고 보았으며, 핵심역량으로 요구 사정 능력, 목적 및 목표 설정 능력, 컨텐츠의 선택 능력, 학습활동 선택 능력, 교육 평가 사정 능력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둘째, 학교 교육과정 개발 전문가 자격은 교사와 연구자로 구분하였으며, 계열은 Year1~4인 4개년으로 범위는 지식과 실습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셋째, 교육방법은 도제식 교육, 문제 기반 학습, 실습 사례 발표 3가지를 제시하였다. 넷째, 교육평가를 위한 시험은 항목별 문제 상황에 대한 실기시험, 문제 해결형 실기시험 두 가지를 설계하였다. 결론 첫째, 학교 교육과정 개발 전문가 양성 교육과정 필요성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학교 교육과정 개발 전문가 양성을 위한 실기 및 실습 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셋째, 학교 교육과정 개발 전문가 양성 및 인증제에 대한 법적 제도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direction of training experts in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based on the concept of expertise and implications through curriculum analysi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focusing on the ‘doctor’, which is referred to as a representative professional occupation group. Methods In order to analyze the practical curriculum that contributes to improving doctor expertise for the study, the basic curriculum system of domestic and foreign practice, clinical practice curriculum in doctor basic curriculum, apprenticeship education, and practical test in doctor's national test were analyzed. Results The directions of the practical curriculum for fostering experts in the development of the school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expert was considered to be an expert who can plan, design, operate, and manage the school curriculum based on a wide understanding of the school-level curriculum. Second, the qualifications of experts in the development of the school curriculum were divided into teachers and researchers, and the range was four years with Year 1 to 4, and the scope was presented separately by knowledge and practice. Third, three educational methods were presented: apprenticeship education, problem-based learning, and presentation of practice cases. Fourth, for the education evaluation test, two practical tests for problem situations by item and problem-solving practical tests were designed. Conclus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discuss the necessity of the curriculum for training experts in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Second, there is a need for social consensus on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practical and practical education to cultivate experts in the development of the school curriculum. Third, legal institutionalization of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expert training and certification system should be made.

      • KCI등재후보

        초ㆍ중등학교 영화 교과서 학교급별 내용 적절성 분석

        유지선(You Ji Sun)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2020 모드니 예술 Vol.1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ntent of film textbooks use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for each school level. After analyzing the film curriculum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ree film textbooks were analyzed according to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quantitative analysis, which analyzed the number of contents of a film textbook, the contents of film education were divided into three areas: film understanding, film production, and film appreciation. In addition, the content of education on ‘film production’ occupied the largest portion of all school levels. Next, as a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of the textbook units, units such as ‘image’, ‘birth of a film’, ‘film production’, ‘lighting’, and ‘shooting’ were duplicated at all school levels. Based on the results of such research, the following contents were suggested for the development of better film textbooks. First, a textbook that considers hierarchy should be produced so that classes can be conducted according to the students level. Second, the direction in which film classes can be combined with other subjects and integrated classes should be considered. Third, it is necessary to sufficiently present the educational activity process for each unit topic.

      • KCI등재

        OLED TV Panel의 전류가속열화시험 설계

        유지선(Ji-Sun You),이득중(Duek-Jung Lee),오창석(Chang-Suk Oh),장중순(Joong Soon Jang) 한국신뢰성학회 2017 신뢰성응용연구 Vol.17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life time of OLED TV panel through electric current ADT(Accelerated Degradation Test). Methods: We performed accelerated degradation test for OLED TV Panel at the room temperature to avoid high temperature impact on the luminance. Results: we got more accurately the life time of the OLED TV when we applied ADT without temperature factor than including both current and temperature. Conclusion: Until now, the ADT of the OLED TV has been conducted with temperature and current at the same time for reducing test time and costs. We estimate incorrect life time when the temperature is adopted as an accelerated factor. Due to the high temperature impact on the luminance of the OLED TV panel. So as to solve this problem, we discard temperature and use electric current on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