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과 학생들 학습활동에서 인터넷 정보 이용에 관한 연구

        유준호(Ryu, Jun Ho),이진화(Lee, Jin wha)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1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학습활동에서 인터넷 정보 이용 현황과 인식 및 태도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인터넷 정보 이용의 장단점과 향후 인터넷 정보 이용 개선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유아교육과 졸업 직전 학기의 학생들 125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1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인터넷 정보 이용의 이유로는 교수-학습이론에 대한 정보 획득과 영상 자료물 활용, 과제 수행 시 활용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과 학생들은 학습활동에 인터넷 정보 이용률이 80%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 정보 이용에 대 해서도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주었다. 세 번째 인터넷 이용의 장점으로는 다양한 정보를 접하고 획득할 수 있다는 점과 영상세대로서 대학생들에게 인터넷 정보이용이 편리하다는 점을 들었다. 이에 반해 단점으로는 많은 정보 속에서도 필요한 정보의 부재, 정보의 정확성 문제, 정보의 맹목적 모방자 양산 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인터넷 정보 이용 시 개선 방안으로는 인터넷 정보의 정확성 인식하기, 비판적으로 정보 받아들이기, 현직 유아교사들과의 인터넷 정보 공유하기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인터넷 정보 이용에 대한 교육 및 연수의 필요성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alyzed the utilization,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internet information for learning activities by college students for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is study, 125 students participated in questionnaire and 10 students were interviewed. As a results, firstly, the reasons for using internet information were the acquirement of the information for teaching - learning theory and practice and next the utilization of media. Secondly, students showed that over 80% students use internet information and they presented the positive attitudes for its uses of internet information. Thirdly, the benefits of using internet information were that students can search various internet resources and it was easy and convenient method for them. Otherwise, students presented the negative aspects; absence of necessary information, accuracy of information, and mass production of copycat. Lastly, to improve the utilization internet information were that students should perceive its accuracy and critical thinking for their benefits according to the standards.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implications of using internet information were discussed to propose the effective ways for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 KCI등재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한국 영아의 발달특성 연구

        유준호 ( Jun Ho Ryu ),오승아 ( Seung Ah Oh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1 아동교육 Vol.20 No.3

        본 연구는 2008년에 출생한 우리나라 전국의 영아의 발달특성을 영아변인과 부모변인 측면에서 살펴보고, 영아발달에 가장 영향을 주는 변인은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영아들은 월령에 따라 의사소통, 문제해결, 개인/사회성, 대 근육 운동, 소 근육 운동에 있어 차이가 있었으며, 남녀 성별에 있어서는 개인/사회성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한편 영아의 발달은 출생순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다중비교를 통행서는 개인/사회성에 대해 첫째와 둘째 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연령, 부모학력, 모 취업 상태별로는 K-ASQ 하위 변인들 간에 평균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K-ASQ하위 변인 중 의사소통에 대해 가장 설명력이 있는 독립변인은 영아 월령이었으며, 대 근육 운동에 대해 가장 설명력이 있는 독립변인은 영아월령이었고 두 번째로 설명령이 있는 독립변인은 부 연령이었다. 또한 K-ASQ하위 변인 중 문제해결에 대해 가장 설명력이 있는 변인은 영아 월령이었으며, 개인/사회성에 대해 가장 설명력이 있는 독립변인은 영아월령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fant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infant individual variables and parents variabl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078 infants born in 2008 in Korea. The instrument used were K-ASQ and DD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fants` communication and personal-social abilities, problem-solving abilities, fine motor control, gross motor control were different depending on age and infants` communication abiliti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gender. But birth order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infants` development. Second, problem-solving abiliti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education. Third, infants` age affected every infant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조기유학에 의한 분거가족의 부모역할 및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연구

        유준호 ( Jun Ho Ryu ),홍은주 ( Eun Joo Ho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2 열린부모교육연구 Vol.4 No.1

        연구는 조기유학으로 인한 분거가족의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 효능감, 부모 자녀간 의사소통 척도, 부모-자녀관계 만족도, 부모역할 만족도를 조사함으로써 분거가족 부모-자녀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도에 거주하는 분거가족으로 하였으며, 연구대상은 눈덩이식 표집방법을 사용하여 표집하였으며 총 32부가 최종 연구자료로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분거가족 부모의 부모효능감,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부모-자녀 관계만족도, 부모역할만족도 전체 평균은 전체적으로 보통이상으로 나타났다. 부모로서의 효능감과 부모-자녀관계 만족도에서 부가 모에 비하여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분거가족 부모의 월수입, 직업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부모-자녀 관계만족도의 하위변인 중 심리적 만족도에서만 교육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분거가족의 분거기간에 따라 부모로서의 좌절감과 불안감에서, 부정적 의사소통에서, 관계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분거가족 자녀의 부모와의 의사소통 중 개방형 의사소통의 평균은 문제형 의사소통의 평균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의사소통 전체의 평균은 전체적으로 보통이하로 나타났다. 분거가족 자녀의 연령에 따른 부모와의 의사소통의 차이에서 부에 대한 개방형 의사소통에서만 자녀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rental efficacy, parent-child communication, parent-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parent role satisfaction of separated families. The subjects were 32 parents who lived in the Seoul and Kyunggi-Do.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rents having a separate household from their child showed above normal average at parental efficacy, communication and satisfaction between their child, and parent role satisfaction. Average of parent role satisfaction was higher but that of parental efficacy was lower relatively. Second, father showed lower satisfaction of efficacy and their relationship than moth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parents` age, incomse, and their jobs but education levels in psychological mind satisfaction showed it. More over, big gaps were found in whole parent efficacy, frustration and anxiety in capacity of parents, negative communication, and satisfaction of relationship according to sparated periods. Third, among communications between separated child and parents, we found that average of opened communications were higher than average of problem communications and whole average were below average in general. Fourth, separated children`s age made big gap in opened mind communication with fathers. In other words,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communicated with father liberally more than children in middle school.

      • KCI등재후보

        영유아 실외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유준호(Ryu, Jun Ho),김은희(Kim, Eun Hee)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2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학술지와 학위논문에 수록된 실외놀이 관련 논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실외놀이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향후 실외놀이 활성화를 위한 방향 모색과 실외놀이 관련 연구 전망 및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12년 4월 현재까지 출판된 국내 학술지와 국내 학위 논문의 실외놀이 관련 논문 총 123편을 중심으로 연도별 연구주제 동향, 연구대상, 연구유형, 자료수집방법, 자료분석방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도별 동향을 살펴보면 학술지 및 학위논문 모두 꾸준히 증가하고 있었는데, 특히 석사학위 논문에서 실외놀이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연구유형은 조사연구, 상관연구 순으로 나타났으며, 자료수집 방법은 질문지법, 관찰법 순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자료분석방법은 차이분석, 질적분석, 기술분석 순으로 나타났으며, 연구주제는 중복응답이 가장 많았는데 중복응답은 ‘시설 및 설비, 운영실태, 교직원 및 학부모 인식, 안전’에 대한 연구였으며 그 다음으로 많이 연구된 주제는 ‘유아의 경험, 역할, 놀이 행동’에 대한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영유아, 교사 순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실외놀이 환경 및 교직원에 대한 연구가 가장 미미하게 이루어졌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실외놀이 관련 연구 분야에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tendency in outdoor play studies in Korea. Between 2000 and April 2012, 123 studies were analyzed. The articles and thesis were analyzed by research frequency, research type, data collection method, data analyzing method, research subject, research object. As results of this study, the number of studies has increased during the years. Most studies used methods categorized as quantitative data. The most frequently used data analyzing method was t-test and ANOVA. The the most frequently studied research subjects were play behaviors of children, roles and infants and children were the most frequently studied research objects. From these results, several future direction for outdoor stud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유아안전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김은희(Kim, Eun-Hee),유준호(Ryu, Jun-Ho)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이루어진 유아 안전 관련 연구들의 동향을 이해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1995년부터 2012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유아 안전 관련 논문 91편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안전 관련 논문의 연구주제의 동향을 분석한 결과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연구, 안전교육 프로그램 효과와 안전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미디어 안전, 식품안전 순으로 많이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안전관련 논문의 연구대상을 살펴보면 교사, 유아, 기타, 부모 순으로 많이 연구되었다. 셋째, 유아안전 관련 논문의 연구유형을 살펴보면 조사연구, 실험연구, 문헌연구 순으로 연구되었다. 넷째 유아안전 관련 논문의 자료수집 방법을 살펴보면 질문지법, 실험법, 문헌연구, 관찰법, 질적 자료수집, 질적·양적 자료수집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유아안전 관련논문의 자료 분석 방법을 살펴본 결과에 의하면 카이검증과 t 검증, 분산분석을 이용한 차이분석, 기술통계, 문헌분석, 질적?양적분석 순으로 적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유아안전 관련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endencies in studies of safety for young children in Korea. The research analyzed 91 studies from between 1995 and 2012. The articles and theses were analyzed by research frequency, research type, data collection method, data-analyzing method, research subject, and research object. The study found that the number of studies has increased over the years. First, the topics reflect a growing concern about safety education awareness investigation, and next the development of safety education programs, the examination of their effects, multimedia safety education, and food safety. Second, the most frequently studied research subjects were teacher, children, and parents. Third, study type analyses were followed by research studies, experimental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s. Fourth, data collection methods were followed by questionnaire methods, experimental methods, literature review methods, observation methods, qualitative data collection, qualitative methods and quantitative data collection methods. Fifth, most studies used chi-square test and t-test methods, followed by ANOVA, descriptive statistics, literature research, literature analysi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From these results, several future directions for stud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부모의 교육열 유형에 따른 아동의 자아 존중감, 행복감, 학업수행능력, 교사-아동관계의 차이에 관한 분석

        정연아(Jung Youn Ah),유준호(Ryu Jun 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0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of students’ self-esteem, school achievement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depending on the parents’ types of education fever. The study considers the education fevers of both father and mother using data of 584 nine-year-old students in second grade Panel Study on Korea Children(PKSC).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of cluster analysis show that there were four types of education fever for parents: father and mother with high education fever, only mother with high education fever, father and mother with low education fever, and only father with higher education fever. Next, among parents’ education fever types, the Group 1(father and mother with high education fever) and the group 2(only mother with high education fever) are likely to include fathers and mothers with higher education levels.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differences among types of education fever according to parent’s income levels. demonstrated the group parents’ education level. Thirdly, types of education fever for parents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parents’ stress in life and satisfaction for life. Fourth, students’ self-esteem, happiness, school achievement demonstrated statistically among the types of education fever. Yet,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among the types of parents’ education fever.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교육열 유형에 따른 부모의 특성을 알아보고, 부모의 교육열 유형에 따라 아동의 자아 존중감, 행복감, 학업수행능력 및 교사-아동 관계에 차이가 있는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한국아동패널 9차년도(2016년도) 584명의 자료 (초등학교 2학년)를 기초로 어머니와 아버지의 교육열을 동시에 고려한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 가지 유형의 부모 교육열-아버지 어머니 교육열이 모두 높은 집단, 어머니 교육열이 높은 집 단, 아버지 어머니 모두 교육열이 낮은 집단, 그리고 아버지 교육열이 높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학력이 높을수록 교육열이 높게 나타났으며, 소득에 따라서는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부모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삶의 만 족도는 부모 교육열 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아동의 자아존중감, 행복감, 학업수행능력은 부모의 교육열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모의 교육열 유형에 따라 아동-교사 관계에는 차 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아버지 양육참여에 대한 부모의 인식 비교와 관련 변인 연구

        오승아 ( Oh Seung Ah ),유준호 ( Ryu Jun Ho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3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연령에 따른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대한 부모의 인식을 비교하고 관련변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아동패널 1차년도(2008년), 3차년도(2010년), 5차년도(2012년) 조사에 참여한 2,150명의 유아와 그들의 부모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자녀가 만2세 일 때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만3세부터 감소하는 것으로 어머니는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아버지 양육참여에 대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인식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 양육참여에 대한 어머니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가 인식한 결혼만족도, 부부갈등, 월평균 가구소득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아버지 양육참여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본 결과 아버지가 인식한 양육스트레스, 결혼만족도, 부부 갈등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he fathers and mothers on fathers`` participation in nurturing and variables of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Data were gathered from 2,150 parents(the first panel data, the third panel data, the fifth panel data). Data surveyed through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Results showed that first,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is the highest in two years old and began to decline in three years old. Second,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Third, mothers perceived that marital satisfaction, marital conflict, the average monthly income influence in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And fathers perceived that parenting stress, marital satisfaction, marital conflict influence in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 KCI등재

        남자예비유아교사의 전공 교과목 학습수행에 관한 연구

        윤영배(Yun, Young-Bae),유준호(Ryu, Jun-Ho),조중훈(Cho, Joong-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9

        본 연구는 예비남자유아교사들이 교과목 학습수행에서 강점을 보이는 분야와 취약함을 보이는 분야를 파악하여 유치원 현장에서의 남자교사의 역량 기반과 활동의 참고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예비남자유아교사 10명이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교육학과에서 유아교사가 되기 위한 지식과 기술, 태도를 배울 것이라고 예상하였으나, 실제로는 예상보다 세분화, 전문화된 내용을 배웠다고 응답하였다. 전공교과에서는 신체활용이 많은 교과목의 학습수행이 수월하였고, 예능교과에서 수행에서는 어려움을 경험했다고 하였다. 둘째, 전공필수 교과목은 아동간호학, 유아사회교육, 유아동작교육 순으로 학습결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 선택 교과목은 보육실습, 아동 및 청소년 음악치료, 유아체육 및 레크레이션 순으로 학습결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과목 학습수행에서는 이론중심이기 때문에 남녀의 차이가 크게 나지 않고 비교적 수월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과목에서는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실습 순으로 학습결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learning performance of the subjects during school to find out the areas in which male pre-service in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 strength and vulnerability. For this purpose, 10 prospective male infant teachers who are attending or are expected to graduate fro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University in Seongnam C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urvey on pre-school expectations of male pre-service in early childhood teacher and changes in their perception after classes showed that the department of infant education expected to learn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o become infant teachers, but responded that it actually learned more detailed and specialized contents than expected. In the performance of major subjects, it was found that subjects using the body were easy to perform, and that they had difficulty in sharing roles in entertainment subjects and detailed roles, especially in group activities. Second, the subjects that said the results of major required subjects were good followed by nursing, social education for infants and children, and children s and youth music therapy, and infant sports and recreation. In the course of teaching,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was relatively easy because it was based on theory. The subjects of teaching were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education management, education methods and education engineering, and education practice.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