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도시 녹지 공간의 재해 위험도 평가 연구

        유주은,Yu, Joo-Eun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5

        This study examined disaster risk from climate change in urban open spaces. This study conducted an assessment depending on type of damage and type of open space, subcategorizing it into flood damage and wind damage, flat park and mountainous park, and classified the assessment items by type into natural factor, artificial factor, and social factor for the purpose of analysis. Our major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To look at the standardized score for the disaster risk from flood damages in the case of a flat park, Asian Park was higher at 55.800 point than Seoul Forest at 51.775 point, and in the case of mountainous parks, Dogok Park was at 58.428 point and Baebongsan Park was at 58.374 point. To look at the standardized score for disaster risk from wind damage, in the case of a flat park, Asian Park was higher at 64.763 point than Seoul Forest at 61.054 point, and in the case of mountainous parks, Baebongsan Park was higher at 58.533 point than Dogok Park at 55.459 point. This study raised a question about the necessity for and value of this disaster risk assessment in open space from damages caused by climate change, established an assessment model for disaster risk from damages in open spaces only to attempt risk assessment. Disaster risk of urban green space was enhanced. 본 연구는 도시 내 녹지 공간을 대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재해유형, 녹지공간 유형에 따른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수해와 풍해, 평지형 공원과 산지형 공원으로 유형화 시키고, 각 유형별 평가항목으로는 자연적 요소 인공적 요소 사회적 요소로 구분하여 평가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해로 인한 재해 위험도 표준화 점수는 평지형 공원의 경우, 아시아 공원이 55.800점으로 서울숲 51.775점보다 높았으며, 산지형 공원의 경우 도곡 공원 58.428점, 배봉산 공원 58.374점의 지수를 보이고 있었다. 풍해로 인한 재해 위험도 표준화 점수를 살펴보면 우선 평지형 공원의 경우, 아시아 공원이 64.763점으로 서울숲 61.054점보다 높았으며, 산지형 공원의 경우, 배봉산 공원이 58.533점으로 도곡 공원 55.459점보다 높은 지수를 나타냈다. 기후변화 재해로 인한 오픈스페이스 위험도 평가의 필요성과 가치를 제기하고, 오픈스페이스만의 재해 위험도 평가모형을 정립하여 위험도 평가를 시도하였으며, 도시 녹지공간의 재해 위험도를 제고하였다.

      • KCI우수등재

        조경전문잡지를 통해 본 조경시설물의 변화 및 요인 연구

        유주은,Yu, Joo-Eun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5

        본 연구는 조경전문잡지인 '환경과 조경'의 광고 내용 분석을 통해 조경산업의 전반적인 구조를 알아보고 조경시설물의 변화 및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조경시설물 행보의 방향제시 및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환경과 조경' 창간호부터 30년 간 게재된 광고를 분석한 결과 옥외시설물이 1,853회의 빈도수를 보이고 있으며 이중 휴게시설이 1,475회, 편익시설이 378회로 나타났다. 옥외시설물의 광고 빈도수가 다른 조경시설물에 비해 월등히 광고 빈도가 높은 이유에는 주택건설 관련 정부정책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공공디자인으로의 업역 확장과 더불어 휴게시설물 시장의 확대에 연유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휴게시설물의 주요 재료에는 퍼걸러와 벤치 모두 목재와 철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퍼걸러의 경우 지붕재의 종류로 경제적 측면과 내구성 측면을 고려한 폴리카보네이트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조경분야의 대표 잡지에 실린 광고를 대상으로 조경시설물의 흐름을 통시적으로 분석하여 시대별 동향, 시설물 유형별 디테일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In this study, the general structure of the landscape architecture industry was considered through analysis of advertisements in the landscape architecture magazine, 'Environment & Landscape Architecture', and the transition process and factors of landscape facilities were analyzed. Based on this result, the direction of future landscape facilities and basic data were suggested. When analyzing the advertisements that have been published in 'Environment & Landscape Architecture' for 30 years, outdoor facilities were depicted at a frequency of 1,853 times and among them, rest facilities and convenience facilities were depicted 1,457 times and 378 times, respectively. The reason why outdoor facilities have a far higher advertisement frequency than other landscape facilities is they were highly influenced by the house construction-related government policy, which resulted from the expansion of the rest facility industry along with regional expansion to public design. Moreover, it was found that wood and steel were mainly used to make pergolas and benches, which are rest facilities, and polycarbonate, with high economic efficiency and durability, was used the most as a roofing material for pergolas.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tendency of landscape facilities and the changes in the detail of their types by analyzing the stream of landscape facilities diachronically, based on the advertisements published in a representative magazine of landscape architecture.

      • KCI등재

        자연재해로 인한 조경수목 피해 판례 및 제도분석 연구

        유주은,이상석,Yu, Joo-Eun,Lee, Sang-Suk 한국조경학회 2013 韓國造景學會誌 Vol.41 No.4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인하여 자연재해의 발생빈도와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조경분야에도 피해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는 법률적 분쟁으로 이어져 사회적 경제적 피해도 증가하고 있고 있다. 특히, 외부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는 조경수목의 경우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를 많이 받고 있으나, 이에 대한 피해판정기준이나 재해기준의 구체적인 범위가 설정되어 있지 않아 피해 복구 및 보상에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연재해로 인한 조경수목의 피해 관련기준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조경수목의 피해사례 및 판례를 분석하고, 한국과 일본의 자연재해 관련 법제도 및 기준의 비교 분석을 시행하였다. 판례분석 결과, 자연재해로 조경분야 피해는 명확한 법적 근거가 제시되어 있지 않아, 감정인의 소견이 판정결과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에 전문적이고 객관적인 감정절차가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자연재해 관련 법제도 및 기준 비교분석에 있어, 우리나라의 경우 조경수목에 대한 자연재해 관련 법규 및 기준이 미흡하였으며, 일본의 경우 조경수목에 대한 구체적인 재해판정 기준이 제시되어 있었다. 이에 조경분야 자연재해 관련 제도 및 기준의 개선을 위해 '관련 법령 개정', '감정 및 손해사정 기준개정', '조경공사 표준시방서개정', '재해보험가입의무화', '계약에 따른 합리적 이행', '재해복구 비용계상 의무화' 등을 개선방향으로 제안하였다. With the increase in occurrence frequency and severity of natural disasters due to climate changes arising from global warming, damage in the landscaping field is rising. This leads to legal disputes, and is increasing social and economic damage, too. Especially even though landscape trees which are highly affected by external environments, suffer lots of damage from natural disasters, there is no specific scope of disaster criteria and thus it brings plenty of problems of damage restoration and compens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at gives ways to improve related criteria for damage of landscape trees from natural disasters. For this objective, this study analyzed damage cases of landscape trees and precedents, and compared Korean and Japanese legal systems and criteria regarding natural disasters with each other.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opinions of experts have a great deal of influence on judgment results, since there is no definite legal basis on damage from natural disasters in the landscaping field. This implies the need for a professional and objective appraisal process.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and Japanese legal systems and criteria regarding natural disasters, Korea lacked in laws and criteria on natural disasters of landscape plants in Korea, whereas there were concrete disaster assessment standards of landscape trees in Japan. For improving natural disaster-related systems and criteria in the landscaping field, therefore, this study presented 'Revision of related laws', 'Revision of appraisal and loss assessment criteria', 'Revision of standard specification of landscaping project', 'Compulsory insuring against disasters', 'Reasonable fulfillment of contract', and 'Compulsory cost estimation for disaster restoration', as improvement plans.

      • KCI등재후보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에서 통계적 특징을 이용한 질감특징분석 알고리즘의 적용

        유주은(Jueun Yoo),전태성(Taesung Jun),권진아(Jina Kwon),정주영(Juyoung Jeong),임인철(Inchul Im),이재승(Jaeseung Lee),박형후(Hyonghu Park),곽병준(Byungjoon Kwak),유윤식(Yunsik Yu) 한국방사선학회 2013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7 No.1

        본 연구는 전산화단층촬영에서 간 질환의 자동 인식으로 질감특징분석(texture feature analysis. TFA)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간세포암(Hepatocellular carcinoma. HCC)에 대한 컴퓨터보조진단(computer-aided diagnosis. CAD) 시스템을 설계하고, 제안하는 각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HCC 영상에서 분석영역(40×40 픽셀)을 설정하고 각 부분영상에 통계적 특징을 이용한 6가지 TFA 파라메터(평균 밝기, 평균 대조도, 평탄도, 왜곡도, 균일도, 엔트로피)비교하여 간세포암 인식률(recognition rate)을 구하였다. 결과적으로 TFA는 간세포암 인식률을 나타내는 척도로 유의함을 알 수 있었으며 6가지 파라메터에서 균일도가 가장 인식률이 높았으며 평균 대조도, 평탄도, 왜곡도가 비교적 높았고 평균 밝기와 엔트로피는 상대적으로 낮은 인식률을 나타내었다. 이와 관련하여 높은 인식률을 보인 알고리즘(최대 97.14%, 최소 82.86%)을 간세포암 영상의 병변을 판별하여 임상의 조기 진단을 보조하여 치료를 시행한다면 진단의 효율성이 높아 질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향후 효율적이고 정량적인 분석을 추가함으로써 질병인식의 일반화에 대한 기준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In this study, texture feature analysis (TFA) algorithm to automatic recognition of liver disease suggests by utilizing computed tomography (CT), by applying the algorithm computer-aided diagnosis (CAD) of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design. Proposed the performance of each algorithm was to comparison and evaluation. In the HCC image, set up region of analysis (ROA, window size was 40×40 pixels) and by calculating the figures for TFA algorithm of the six parameters (average gray level, average contrast, measure of smoothness, skewness, measure of uniformity, entropy) HCC recognition rate were calculated. As a result, TFA was found to be significant as a measure of HCC recognition rate. Measure of uniformity was the most recognition. Average contrast, measure of smoothness, and skewness were relatively high, and average gray level, entropy showed a relatively low recognition rate of the parameters. In this regard, showed high recognition algorithms (a maximum of 97.14%, a minimum of 82.86%) use the determining HCC imaging lesions and assist early diagnosis of clinic. If this use to therapy, the diagnostic efficiency of clinical early diagnosis better than before. Later, after add the effec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criteria research for generalized of disease recognition is needed to be considered.

      • KCI등재

        ‘내동리 명물’을 통해 본 일제강점기 경성 시민의 경관 인식

        김해경,유주은 서울역사편찬원 2014 서울과 역사 Vol.- No.87

        In the 1920s that was the period of cultural governance ruled by Japan, diverse media were founded and media events were conducted to boost circulation. As one of those events, Dong-A Ilbo conducted a media event which readers chose the specialties of Naedong-ri by themselves, on June 1924. In this study, the types of the chosen specialties in 100 out of 186 dongs and towns, Seoul where Korean people lived. and landscape cognitions of Seoul citizen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the chosen specialties were divided into villages and places, architectural elements, infrastructures, biological elements and others. There were 14 villages and places, and an aggregation of other buildings that had certain areas and were different from existing ones, and markets and farms where sold or raised special items on a large scale, were chosen. As architectural elements, there were 54 modern buildings, traditional buildings and structure that accounted for the biggest proportion, and why there were 36 traditional buildings, is it was limited to residential areas of Korean people. As urban infrastructures, wells, bridges and caves were selected. In addition, natural environment which showed a beautiful scenery all the time, figures, animals and insects that aroused interest, and plants in changed circumstances were chosen as biological elements and others. Second, the articles written about the backgrounds of choosing the specialties of Naedong-ri were analyzed, and surrounding landscape cognitions of Seoul citizens are as follows. There were mixture of yearning for modern civilization and despair for the colonial era, pity for Joseon of the past and disconnected tradition and detailed interest in ordinary elements that they had seen for a long time. It is hard to interpret that these were universal landscape cognitions of Seoul citizens, since the readers who participated in choosing the specialties of Naedong-ri, belonged to the intellectual class at that time. However,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an empirical research on the meaning of procedure in which citizens chose local specialties themselves, and landscape element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일제강점기 문화통치기인 1920년대에는 다양한 매체가 창간되었고, 발행 부수 확보를 위해서 미디어 이벤트를 실시했다. 그중 『동아일보』가 1924년 6월 독자가 직접 참여하여 ‘내동리 명물’을 선정하는 미디어 이벤트를 실시했다. 경성 186개의 정동 중 조선인 거주지역 위주의 100개소를 한정하여 선정된 명물의 유형 및 경성시민의 경관 인식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정된 명물은 마을 및 장소·건축요소·기반시설·생물요소 및 기타로 유형을 구분할 수 있다. 마을 및 장소는 14개소이며 일정 면적을 지닌 기존과 다른 건물군의 집합, 특정 품목을 대규모로 팔거나 식재한 시장과 밭이 선정되었다. 건축요소인 근대건물·전통건물·구조물은 54개소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전통건물이 37개소인 것은 조선인 거주지역으로 한정한 필연적 결과이다. 도시의 인프라에 해당하는 기반시설에는 우물·다리·굴이 선정되었다. 생물요소 및 기타에는 변함없이 아름다운 풍광을 유지하는 자연환경, 흥미 위주의 인물·동물·곤충, 과거와 다른 처지에 놓인 식물이 선정되었다. 둘째, 내동리 명물의 선정 배경을 작성한 기사를 분석한 결과 경성시민의 주변 경관에 경관인식은 다음과 같다. 근대문물에 대한 동경과 식민지라는 시기에 대한 처지 비관의 혼재, 사라진 과거의 조선과 단절된 전통에 대한 연민, 오랜 시간 지켜본 일상적 요소에 대한 세밀한 관심을 볼 수 있다. 내동리 명물 선정에 참여한 독자는 당시의 지식층에 해당하기 때문에 경성시민의 보편적인 경관 인식으로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러나 시민이 직접 참여하여 지역 명물을 선정하는 과정적 절차에 대한 의미와 일제강점기 경관 요소에 대한 실증적 연구로써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