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어적, 문화적 관점에서 살펴본 한국 드라마 제목의 터키어 번역 양상 및 특징

        유정숙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0 한국학 Vol.43 No.2

        This paper analyzes the Turkish translation of the titles of Korean dramas that aired on Turkish television by genre and broadcasting company. The huge popularity Korean dramas have gained in Turkey since 2005 has given rise to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wave in Turkey. In this regard, questions of how the titles of Korean dramas were translated into the Turkish language and what the effects and implications of these translations are should be explored in detail. This study further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lation and culture by examining the Turkish translations of Korean drama titles. The broadcasting of Korean dramas on Turkish television gradually expanded from public television to commercial/private channels, from old channels to new broadcasting companies, and from Korean historical dramas to more recent, modern dramas in terms of genre and subject matter. This change may have significantly affected the methods and strategies used to translate the titles of these dramas into Turkish.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titles of Korean historical dramas aired on the TRT channel and Meltem/Mesaj channels were translated in a way that provided key information about the drama itself for viewers. The Turkish titles, however, were translated from the English titles of the Korean historical dramas, which resulted in viewers finding the translations strange, awkward, and unnatural. Later on, drama titles were translated in a way that better complied with and responded to Turkish culture and the general sentiment of Turkish people. These Turkish translations, which completely changed and were thus unrelated to the original Korean titles, were created for the target language custom and culture, namely, Turkish culture. The localized nature of the Turkish titles of Korean dramas aired on Kanal 7 channel in 2018 are a case in point. Such localization of translation implies that Turkish people have little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e example of Kanal 7 channel also shows us that commercial success and popularity are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s when it comes to screen translation such as that of TV dramas and films. 이 글에서는 터키 텔레비전에서 방영된 한국 드라마 제목의 터키어 번역 양상을 크게 방송사와 장르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터키 텔레비 전에서 한국 드라마는 2005 년 이래 꾸준히 인기리에 방영되고 있으며 이러한 한국 드라마의 대중적 인기는 터키에서 한류를 촉발하고 발전시킨 주역이다. 이때 터키 공중파를 타고 터키 전역에 방송된 한국 드라마의 제목이 터키어로 어떻게 번역되어 터키 사람들에게 소개되고 수용됐는지, 그 번역의 양상과 특징을 구체적으로 살피는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터키 텔레비전에서 한국 드라마는 공영방송에서 상업방송으로, 전통적인 매체에서 신생 매체로, 사극에서 동시대의 현대물 드라마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실제 번역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마련이다. 한국 드라마 제목의 터키어 번역 양상을 분석한 결과, 터키의 국영방송 TRT 및 민영방송 Meltem/Mesaj 채널에서 방영된 역사 드라마의 터키어 제목은 원제에 대한 설명적, 정보적 전환 번역이 주로 사용되었다. 장르가 정통 역사 드라마였기 때문에 원제는 한자인 경우가 많았고 이로 인해 한자의 의미를 풀어 설명하는 방식으로 번역되었다. 그러나 역사 드라마의 터키어 제목은 영어를 중역하는 방식을 취했다. 이는 터키에서 한국 문화 및 한국에 대한 정보와 지식이 아직은 적다는 점을 반증한다. 중역에 의한 터키어 제목은 터키인들에게 낯설고 어색하며 부자연스러운 것으로 인식되었다. 또한 현대 로맨스 드라마의 터키어 제목은 원작의 내용과 주제를 참고하되, 원제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여 다르게 번역되었다. 원제의 의미와 도착 언어의 문화 둘 다를 고려한 번역으로 터키인이 한국 드라마를 어떻게 이해하고 해석하는지를 알 수 있다. 이처럼 TRT 및 Meltem/Mesaj 두 방송사에서 한국 드라마 제목의 터키어 번역은 드라마의 장르에 따라 달라지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다가 한국 드라마 제목의 터키어 번역은 터키어의 관습적 표현과 터키 문화 및 정서, 습속 등을 고려한 도착 언어 중심의 번역으로 이행되었다. 민영방송 Kanal 7 채널에서 한국 드라마의 터키어 제목은 드라마의 장르와 상관없이 원제와 무관한 자국화한, localization 한 번역이었다. 이러한 터키어 번역에서는 상업적 성공과 대중적 인기가 가장 중요하게 고려됨을 알 수있다. 결과적으로 터키 텔레비전에서 방영된 한국 드라마 제목의 터키어 번역에는 방송사와 장르가 주요한 변수로 작용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무용 참가가 노인의 운동능력과 웰니스에 미치는 영향

        유정숙 대한운동사협회 2010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2 No.2

        [INTRODUCTIO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2 weeks korean dance participation on the motor ability and wellness in men and women elderly. [METHOD] Subjectswere 16 elderly men and women aged more than 65 who had participated in korean dance for 12 weeks. Muscular strength, balance, flexibility, reaction time, and wellness awareness levels test were made before and after korean dance. With the measured date, paired t-test were performed by SPSSWIN Ver 12.0. [RESULT] First, muscular strength, balance, flexibility, and reaction tim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men elderly after korean dance. Second, muscular strength, balance, and flexibility but reaction tim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women elderly after korean dance. Third, physical health and mental health wellness but social health, intellectual health, and emotional health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men elderly after korean dance. Fourth, Physical health, social health, mental health, and intellectual health wellness but emotional health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women elderly after korean dance. [CONCLUSION] Participation in 12 week korean dance is effective in motor ability and wellness awareness level in Men and women elderly. [서론] 이 연구는 12주간의 한국무용 참가가 남녀 노인의 운동능력과 웰니스 자각도에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지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연구대상은 65세 이상 남녀 노인 각각 8명씩 16명으로 하여 12주 동안 한국무용을 실시하였으며, 한국무용 참가 전후의 근력, 평형성, 유연성, 반응시간의 운동능력과 웰니스 자각도를 측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 Ver 14.0을 이용하여 사전과 사후 평균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한국무용 참가 후 남자 노인의 근력, 평형성, 유연성, 반응시간은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한국무용 참가 후 여자 노인의 근력, 평형성, 유연성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지만, 반응시간에는 효과가 없었다. 셋째, 한국무용 참가 후 남자 노인의 신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 웰니스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사회적 건강, 지적건강, 정서적 건강은 유의한 증가가 없었다. 넷째, 한국무용 참가 후 여자 노인의 신체적 건강, 사회적 건강, 정신적 건강, 지적 건강 웰니스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정서적 건강은 유의한 증가가 없었다. [결론] 12주간의 한국무용 참가는 남녀 노인의 운동능력과 웰니스 자각도 향상에 효과가 있다.

      • KCI등재

        터키 내 한국 드라마의 리메이크 현황 및 특징 고찰: 배경, 제목, 장르, 방송사, 성공요인을 중심으로

        유정숙 조선대학교 국제문화연구원 2020 국제문화연구 Vol.13 No.1

        This study examines the overall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urkish remakes dramas, focusing on their titles, the themes or genres, the broadcasting TV channels, production years, and the reasons for their succes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from 2011 to the present approximately 40 Korean dramas have been remade in Turkish TV versions. Turkish TV drama producers remake Korean dramas under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ve, and also due to the shortage of their own creative and unique drama scripts. Most importantly, the cultural and emotional similarity between the two countries cannot be underestimated. Closeness or similarity in local culture and the feeling of empathy are significantly crucial in the success of transnational TV. The titles of the Turkish remakes are modified or even reinvented to fit the public sentimentality and Turkish customs. As for the theme and genre, the majority is romance and family drama, dealing with the eternal clichés of love, betrayal, revenge, marriage, break-ups, and the secret of birth. Turkish remake dramas are adapted and changed to fit the Turkish cultural and social contexts. This cultural adaptation process is the central part of the localization and globalization of Korean dramas. Turkish remake dramas can be seen as glocal, popular cultural content, and the result of the cultural exchange and communication between Korea and Turkey. 터키에서 한류는 2000년대 중반 한국의 사극이 터키 공중파 텔레비전에서 방영되고 대중적으로 인기를 끌면서 시작되었다. 한류 확산을 계기로 한국에 대한 터키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졌고 한국 드라마와 케이 팝과 같은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젊은 층의 선호도가 증가했다. 이는 터키 텔레비전에서 한국 드라마의 리메이크 열풍으로 이어졌다. 터키에서는 현재까지 40여 편의 한국 드라마가 터키 버전으로 리메이크되어 방영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 드라마를 리메이크한 터키 드라마의 현황과 특징을 제목, 장르 및 소재, 방송사, 방송시기, 방송횟수, 성공요인 등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한국 드라마를 리메이크하는 현지의 배경과 이유도 다각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 드라마의 터키 리메이크 사례가 갖는 의미를 규명하고 나아가 한국 드라마의 글로벌화 및 현지화 전략을 모색하는 데에도 유효한 관점을 얻고자 하였다. 우선, 한국 드라마가 터키에서 활발히 리메이크되는 배경에는 한류를 통해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인식이 전반적으로 높아진 점, 한국 드라마에 대한 터키 시청자의 애정과 선호를 들 수 있다. 터키 드라마 시장에서 한국 드라마의 경쟁력이 높아졌으며, 한국 드라마가 글로벌 콘텐츠로서 인정받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현지의 드라마 제작 여건과 상황을 들여다보면 참신한 시나리오의 부족과 문화적 유사성, 여기서 연원하는 정서적 친밀감과 공감의 용이성 등이 직접적인 이유이다. 한국 드라마와 터키 리메이크 드라마의 제목을 일별해보면 원제와 리메이크 제목 간에는 연관성보다는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원작의 주제와 내용을 터키인의 관점에서 해석하여 현지의 문화와 대중적 감성에 맞게 제목을 새롭게 붙였다. 이는 한국 드라마의 터키 리메이크 방식에 나타나는 현지화의 연장선상에 놓인다. 한편, 한국 드라마를 리메이크한 터키 드라마의 장르는 로맨스 및 가족 드라마가 우세했다. 소재로는 사랑, 음모와 배신, 복수, 그리고 출생의 비밀이 많이 등장했다. 국경과 문화를 넘어 나타나는 텔레비전 드라마의 리메이크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현지 문화와의 근접성 혹은 대중적 친숙함이었다. 이러한 특징은 리메이크 드라마의 성패의 기준으로 원작 시나리오의 각색 여부가 매우 중요하다는 점과도 그대로 조응한다. 원작 시나리오를 현지의 문화와 대중적 감성에 맞게 각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각색 작업은 한국 드라마의 글로벌 전략으로 강조해온 한국 드라마의 현지화를 의미한다. 한국 드라마의 현지화가 한국 드라마의 글로벌 전략의 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STEAM 심화과정 교사연수에 참여한 초·중등교사들의 STEAM에 대한 인식 비교

        유정숙,황신영,한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6 교과교육학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STEAM교육을 이끌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STEAM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학교급별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STEAM 심화과정 교사연수에 참여한 초·중등교사 326명을 대상으로 STEAM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 정도, STEAM 교수효능감, STEAM의 현장적용의 수월성 정도에 대한 인식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TEAM 심화과정에 참여한 교사들임에도 불구하고 상당수의 초·중등교사들이 STEAM에 대해 표상적인 이해수준을 보여주고 있었으며, 중등 교사들이 이러한 경향이 더욱 두드러졌다. 둘째, ‘STEAM 교수효능감’, ‘STEAM의 현장적용 수월성 정도’에 대한 인식 모두 초등교사가 중등교사보다 높게 나타나, 초등교사들이 중등교사들에 비해 STEAM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초·중등교사들 모두 STEAM 교수효능감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현장적용에 대한 수월성에 대한 인식은 낮게 나타나면서 효능감과 실행에서의 괴리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초중등교사의 수월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바탕으로 학교급별 교사들이 STEAM 실행에 있어서 느끼는 어려움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STEAM교육의 현장 확산을 위해서는 교사교육의 필요성과 초중등 학교급의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며, STEAM 교수 실행을 위한 실제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할 수 있다. In an effort to better understand the status of the Korean STEAM education and to provide some guidelines for future STEAM in Kore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on STEAM education by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advanced STEAM teacher training program. These in-service teachers were expected to play leading roles in STEAM education. A total of 326 teachers responded to the survey that inquired how they would define STEAM education, to what extent they had teaching efficacy about STEAM, and how they considered the expediency of applying STEAM in their class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ven though the teachers were supposed to be pioneers for STEAM education, approximately 30% of the teachers did not have sufficient understanding about STEAM education, which is the case for the secondary teacher more than the primary teachers. Second, the primary teachers had higher “teaching efficacy about STEAM” and more positive perceptions about applying STEAM education than the secondary teachers. And third, there was a considerable gap between the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about STEAM. The scores of the teachers’ teaching efficacy were high, while the teachers evaluated that implementing STEAM into their own classes was not easy. As a result, it can be suggested that in order to improve STEAM in Korea, it is necessary to employ different approaches considering the level of schools and provide more practical supports for teachers who implement STEAM in their classes.

      • KCI등재
      • KCI등재

        한글 디지털 돋움체 조형요소의 변화와 타이포그래피 특징에 관한 연구

        유정숙 한국기초조형학회 2010 기초조형학연구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change in the formative elem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ypography in the traditional square dodum typeface that is developed in a digital environment. We explore how the Hangul digital dodum typeface has developed through culture, outlook, and the reflection of phototype techniques in today’s information-oriented society. Further, the study considers whether a serious typographic problem that is constantly faced in the traditional square typeface can be resolved from the user’s perspective by analysis and investig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haracteristics of and the change in the formative elements that are representative of the digital dodum typeface differ with regard to the traditional style and the uniformity of characters. It presents a new change in the position, spacing of vowels, stem consonants, and vowels that are considered to be simplified formative elements. Moreover, it facilitates good typography related to design, letter spacing, and word spacing, and attempts to align the line of writing in typography. It reveals that the following changes are special characteristics arising from our social and cultural needs: first, the design method by digital technology, that is, the contribution of the computer as a tool second, the high readability of the simple stem from luminary screens and third, reflection to meet the needs to convey information promptly. With this in this study proposed that needs of research and challenge for not only create good Hangul typography, but also attain a high level of Hangul digital typefaces. 본 연구는 디지털 환경 아래 개발된 네모틀 돋움체 글자꼴 조형요소의 변화와 타이포그래피의 특징을 살피는데 목적을 두었다. 정보사회에서 우리시대의 문화와 사고방식 그리고 기술의 반영을 통해 개발된 한글 디지털 돋움체 글자꼴이 사진식자 이래 어떠한 특징으로 변화되었으며 또한 사진식자아래 오랜 동안 네모틀 글꼴에서 끊임없이 야기되었던 글자사이의 심각한 타이포그래피의 문제점이 사용자의 관점에서 충분하게 고려되어 개발되었는지 분석 및 검토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4개의 대표로 선정된 디지털 돋움체에서 고찰된 조형요소의 변화와 특징은 우선 기존의 네모틀 글자의 고정된 스타일과 획일적인 틀에서 벗어났다. 그리고 보다 단순화된 조형요소를 통한 줄기와 자모음, 그리고 모음의 위치, 공간 등 글자구성에 새로운 변화를 보였다. 아울러 기준선을 통해 글줄이 가지런하게 보이는 시도와 기술적 발전을 통한 적정한 글자사이와 낱말사이의 설계 등은 보기 좋은 타이포그래피 구현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변화는 우리시대의 문화가 요구하는 특징으로 첫째, 발전된 디지털 기술에 의한 제작 방법, 즉 컴퓨터라는 도구의 기여. 둘째, 발광체인 화면상에서 단순한 줄기의 높은 가독성 현상. 셋째, 보다 쉽고 빠른 정보의 내용을 원하는 시대적인 요구 등이 반영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함께 본 연구는 보다 수준 높은 한글 디지털 글자꼴 뿐 아니라 보기 좋은 한글 타이포그래피가 구현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과학과 관련된 사회ᆞ윤리적 주제 교수에 대한 과학, 사회, 윤리 교사들의 인식

        유정숙,최성연,이현주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1 교과교육학연구 Vol.15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of science, social studies, and ethics teachers on teaching socio-scientific issues (SSI)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SSI instruction. Based on a comparison among the teachers having different subject identities, the intent was to suggest larger perspectives for SSI instruc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im, we focused on three aspects: 1) how and in what ways teachers understood science and socio-scientific issues, 2) how did teachers become involved in SSI teaching, and 3) upon which aspects do teachers put more emphasis when addressing SSI. Fifteen teachers (five teachers in each subject)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by individual interviews lasting between 60 and 150 minut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most of the teachers agreed that science is interwoven with the various societal sectors and the diverse values of interest groups in contemporary society; however, they lacked a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Second, most of the teachers addressed SSI in their classes as a result of personal motivation and experiences. Whereas science teachers tended to mention their personal conviction for SSI teaching and related past experiences, social studies and ethics teachers tended to note the potential of SSI teaching to meet the educational goals of their subject. And third, science and social studies teachers tended to focus on improving knowledge and thinking skills through SSI instruction, while ethics teachers put more emphasis on nurturing values and character. In order to effectively address SSI, teachers should consider the importance of thinking skills (decision-making, value judgments, etc.) and values/attitudes (compassion, openness, etc.) as well as related knowledge. 본 연구는 과학과 관련된 사회ᆞ윤리적 주제(SSI)의 본성과 밀접한 과학, 사회, 윤리 교사들이 SSI를 자신의 교과 수업에서 가르칠 때 교사의 전공에 따라서 SSI 교수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다른 지에 대해 탐색하고, 이를 통해 과학 및 기타 관련 교과에서 효과적인 SSI 교수를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해보고자 하였다. 즉, 과학, 사회, 윤리 교사들이 과학과 SSI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왜 SSI를 수업에 다루는지, 그리고 SSI를 수업에 도입할 때 무엇에 강조점을 두는지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는 SSI 교수 경험이 있는 과학, 사회, 윤리(도덕) 교과 교사 총 15명(교과 당 5명)이 참여하였으며, 반구조화된 개별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각 교사 당 60분에서 150분 정도 소요). 연구 결과, 과학, 사회, 윤리 교사들은 SSI 교수에 대해 공통적인 인식을 보이는 부분도 있었으나, 교과별 특성과 관련되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차이점을 보였다. 첫째, 과학과 SSI에 대해 세 교과 교사들은 모두 현대 사회에서 과학이 다양한 사회 측면 및 윤리적인 가치들과 복잡하게 얽혀 있다는 것에 동의하였다. 그러나 교사들은 과학 자체가 무엇이며 어떤 특성을 지녔는지에 대한 이해가 다소 부족하였다. 둘째, 대부분의 참여 교사들은 교사의 개인적 신념이나 경험, 개인이 인식하는 교과의 목표와의 연관성에 대한 인식 등을 계기로 SSI 수업을 시작하게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과학 교사의 경우에는 SSI 교수에 대한 개인적 신념이나 관련 경험을 더 많이 언급한 반면, 사회나 윤리 교사들은 SSI 교수를 개인이 인식하는 교과의 특성과의 부합성을 더 많이 언급하였다. 셋째, 교과별로 교사들이 자주 활용하는 SSI 주제 및 교수 목표 및 강조점에 교과별 특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즉, 과학 교사와 사회 교사들은 지식과 사고기술을 강조하는 반면, 윤리교사들은 사고기술과 가치 태도를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다. SSI 자체가 간학문적 성격을 띤 비구조화 된 문제를 의미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SSI 교수를 위해서는 SSI의 본질적 특성을 충분히 살릴 수 있는 요소들, 즉 가치판단 및 의사결정과 같은 사고 기술, 그리고 윤리의식이나 공감적 태도와 같은 가치 태도 부분도 고려되어야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