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낙동강 하구에 서식하는 천연기념물 조류의 분포현황

        유재평,강정훈,진선덕,백인환,함규황,백운기 국립문화재연구원 2010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3 No.1

        2007년 3월부터 2008년 2월까지 낙동강하구에서 관찰된 천연기념물 조류는 검은머리물떼새(Haematopus ostralegus; 제326호), 원앙(Aix galericulata; 제327호), 고니(Cygnus columbianus; 제201-1호), 큰고니(Cygnus cygnus; 제201-2호), 저어새(Platalea minor; 제205-1호), 노랑부리저어새(Platalea leucorodia; 제205-2호), 참수리(Haliaeetus pelagicus; 제243-3호), 흰꼬리수리(Haliaeetus albicilla; 제243-4호), 잿빛개구리매(Circus cyaneus; 제323-6호), 황조롱이(Falco tinnunculus; 제323-8호), 개리(Anser cygnoides; 제325-1호) 등 총 11종 2,209개체였다. 특히, 국내 철새도래지 중 2,000개체 이상의 큰고니(Cygnus cygnus)가 월동하는 곳은 낙동강하구가 유일하다. 을숙도와 명지 갯벌 및 사구주변의 간석지(명금머리, 백합등, 도요등, 장자도 등)는 노랑부리저어새, 큰고니, 개리 등 천연기념물 조류의 주요 서식지이며, 세모고랭이(Scirpus triqueter), 갈대(Phragmites communis) 등의 수생식물군락은 큰고니를 비롯한 오리류의 채식 및 휴식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낙동강하구의 서식지 및 천연기념물 조류의 보호와 관리 방안으로 수질오염의 최소화, 수생식물의 서식지 조성 및 관리, 사구 및 갯벌의 보호, 안정적인 서식지 확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Summary Among Natural monument birds, a total of 11 species and 2,209 individuals were found in Nakdong river estuary from March 2007 to February 2008 including Eurasian Oystereacher (Haematopus ostralegus; No. 326), Mandarin Duck (Aix galericulata; No.327), Tundra Swan (Cygnus columbianus; No.201-1), Whooper Swan (Cygnus cygnus; No.201-2), Black-faced Spoonbilll (Platalea minor; No.205-1), Eurasian Spoonbill (Platalea leucorodia; No.205-2), Steller's Sea Eagle (Haliaeetus pelagicus; No.243-3), White-tailed Sea Eagle (Haliaeetus albicilla; No.243-4), Hen Harrier (Circus cyaneus; No.323-6), Common Kestrel (Falco tinnunculus; No.323-8) and Swan Goose (Anser cygnoides; No.325-1). Among the habitats for migratory birds in Korea, the Nakdong river estuary is the only place where more than 2,000 individuals of Whooper Swan(Cygnus cygnus) spend winter. Uelsukdo, Myeongji Flat and neighboring tidal flats (Myeongguemmeori, Baikhapdeong, Doyodeung, Jangjado, etc.) are major habitats for natural monument birds such as Eurasian Spoonbill(Platalea leucorodia), Whooper Swan(Cygnus cygnus) and Swan Goose(Anser cygnoides). A colony of aquatic plants such as Common Bulrush(Scirpus triqueter) and Common Reed(Phragmites communis) serves as a feeding and resting place for birds in the Anatidae family including ducks, swans and geese. Plans for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the habitats and the natural monument birds in Nakdong river estuary are as follows: minimization of water contaminatio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aquatic plants habitats, protection of sandbanks, security of stable habitats, and consistent monitoring.

      • KCI등재

        A study on the variation of the avifauna in Gyeongju National Park, Korea

        유재평,빙기창,김완병,김인규,정지수,안승락,백운기 국립중앙과학관 2019 Journal of Asia-Pacific Biodiversity Vol.12 No.4

        The survey was conducted in five areas including Namsan district (21.00 ㎢), Tohamsan district (76.95㎢), Seoak district (4.30 ㎢), Hwarang district (3.90 ㎢), and Sogumgang district (6.8 ㎢) that are designatedas Gyeongju National Park. The bird population in the forests and surrounding areas was examinedthrough surveys performed three times in June, August, and January 2017. A total of 36 families, 88species, and 7,724 individuals of birds were observed, and the dominant species were Passer montanus(19.43%), Corvus frugilegus (10.97%), Anas poecilorhyncha (8.08%), Streptopelia orientalis (7.65%), Paradoxorniswebbianus (6.59%), and Microscelis amaurotis (5.80%). The number of bird species observedduring the survey was the highest in the spring with 60 species, 50 species in summer, and the lowest inthe winter with 45 species. The number of species, population, species diversity, and species richness ofbirds in Gyeongju National Park have been increasing compared with those observed 20 years ago.

      • KCI등재

        금강하구에 도래하는 수조류의 월동기 군집 변화 연구

        유재평 ( Jae Pyoung Yu ),한성우 ( Sung Woo Han ),진선덕 ( Seon Deok Jin ),백인환 ( In Hwan Paik ),백운기 ( Woon Kee Pae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8 No.2

        본 연구는 월동기에 해당하는 2011년 9월부터 2012년 3월까지(1차)와 2012년 9월부터 2013년 3월까지(2차) 금강하구에 도래하는 수조류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맹금류를 포함한 수조류는 총 63종이 관찰되었고, 1차조사에서 50종 188,673개체, 2차조사에서 56종 116,611개체가 기록되었다. 주요 우점종은 가창오리, 청둥오리, 흰뺨검둥오리, 쇠기러기, 괭이갈매기, 혹부리오리 등으로 수면성오리류의 우점률이 높았다. 유사한 생태적 특성을 고려하여 9개 분류군으로 구분하여 기온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수면성오리류, 잠수성오리류, 맹금류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백로류와 섭금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기러기류, 고니류, 수면성오리류는 금강하구둑 상류지역의 서식지 이용률이 높았고, 잠수성오리류, 백로류, 섭금류, 갈매기류는 하류지역의 이용률이 높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wintering waterbirds in Geum River from September, 2011 to March, 2012 (1st) and from September, 2012 to March, 2013 (2nd). 63 species of waterbirds including raptors were observed during the survey. 50 species of 188,673 individuals recorded during the first survey, and 56 species of 116,611 individuals were recorded during the second survey. The dominant species was high dominance dabbling ducks by Baikal Teals, Mallards, Spot-billed Ducks, Greater White-fronted Geese, Black-tailed Gulls and Common Shelducks. We classified the wintering waterbirds into 9 taxa based on the similar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with temperature. As a result, dabbling ducks, diving ducks and raptor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and herons and wader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Geese, swans and dabbling ducks were high habitat utilization ratio at the Geumgang estuary barrage upstream area, and diving ducks, herons, waders and gulls were high habitat utilization ratio at the Geumgang estuary barrage downstream area.

      • KCI등재

        덕유산국립공원의 산림환경에 따른 번식기 조류군집 특성

        유재평 ( Jae Pyoung Yu ),진선덕 ( Seon Deok Jin ),김현숙 ( Hyoun Sook Kim ),이준우 ( Joon Woo Lee ),백운기 ( Woon Kee Paek ),송호경 ( Ho Kyung So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5 No.2

        본 연구는 덕유산국립공원의 향적봉지역(A)과 백련사지역(B) 및 안성지역(C)을 대상으로 2010년 4월부터 9월까지 산림환경과 조류군집 특성을 조사하였다. 향적봉지역은 신갈나무 등의 낙엽활엽수림과 주목, 구상나무 등의 아고산대 침엽수림과 원추리, 철쭉 등의 초지가 형성되어있고, 백련사지역과 안성지역은 대부분 낙엽활엽수림으로 구성되고 계곡부는 들메나무 군락이 형성되어 있다. 교목의 흉고직경분포는 11~20cm 경급이 가장 많았으며, 30cm이상 대경목 비율은 백련사지역에서 가장 높았고, 향적봉지역이 가장 낮았다. 또한 엽층별 피도량은 향적봉지역은 하층부 피도량이 매우 높았고, 백련사지역은 8~12m의 중층부 피도량이 높았으며, 안성지역은 18m이상 상층부 피도량이 높게 나타났다. 덕유산국립공원에서 조사기간동안 관찰된 조류는 총 53종이었다. 각 지역별 종수와 밀도는 각각 향적봉지역이 25종 45.20 Ind./㎞, 백련사지역이 50종 58.63 Ind./㎞, 안성지역 35종 66.89 Ind./㎞로 백련사지역의 종수가 가장 많았고, 밀도는 안성지역에서 높았다. 우점종은 향적봉지역이 휘파람새를 비롯한 초지와 관목에 서식하는 종들이 우점하였고, 백련사지역과 안성지역은 오목눈이를 비롯한 수관층에 서식하는 종들이 우점하였다. 길드 구조는 모든 지역에서 관목층 영소길드와 채이길드 종이 높게 나타났고, 수동 영소길드와 공중 채이길드 종의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흉고직경 30cm이상의 대경목 비율이 낮아 수동 영소길드 종들의 둥지목이 부족한 결과로 생각된다. We studied the forest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between April and September of 2010 on the Hyangjeokbong area(A), Baekryunsa area(B) and Anseong area(C), all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Hyangjeokbong area of the high latitude ridge was characterized by the Taxus cuspidata and Abies koreana etc., and deciduous broadleaf forest species, such as the Quercus mongolica, with abundance of subalpine zone coniferous trees, the Hemerocallis fulva and the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while the areas Baekryunsa and Anseong were primarily characterized by deciduous broadleaf forests, with the valleys showing Fraxinus mandshurica colonies. In terms of the DBH(diameter at breast height) of trees, between 11 and 20cm showed the highest frequencies, while over 30cm was the highest in Baekryunsa area and the lowest in Hyangjeokbong area. Furthermore, in terms of coverage in relation to layers, in Hyangjeokbong area , the coverage volume of the lower layer was very high, in Baekryunsa area, the coverage volume of the middle layer between 8 and 12m was the highest, and in Anseong area, the coverage volume of the upper layer over 18m was the highest. A total of 53 bird species were observed during the study period at the Deogyusan National Park. The numbers of species and density of areas were 25 species and 45.20 Ind./㎞for Hyangjeokbong area, 50 species and 58.63 Ind./㎞for Baekryunsa area and 35 species and 66.89 Ind./㎞for Anseong area, with Baekryunsa area showing the highest number of species and Anseong area showing the highest level of density. In terms of dominant species, in Hyangjeokbong area, Cettia diphone, along with species which inhabit in grassland and shrubs, were the dominant species, and species which live in the canopy layer, including the Aegithalos caudatus, were found to be dominant in Baekryunsa and Anseong areas. For guild structure, bush nesting guild and bush foraging guild species were the highest in all areas, and the hole nesting guild and the air foraging guild species showed the lowest proportion. This seems to be the result of the low number of trees with diameter at breast height of over 30cm, which results in the lack of nesting grounds for hole nesting guild species.

      • KCI등재
      • 유부도에 도래하는 도요,물떼새의 군집 변화 연구

        유재평 ( Jae Pyoung Yu ),백인환 ( In Hwan Paik ),강정훈 ( Jung Hoon Kang ),진선덕 ( Seon Deok Jin ),백운기 ( Woon Kee Pae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2

        충청남도 서천군의 유부도를 비롯한 서천갯벌은 철과 모래갯벌이 조화롭게 조성되어 생물다양성이 높은 지역이며, 천연기념물 제326호 검은머리물떼새(Haematopus ostralegus)의 국내 최대 서식처로서 보전가치가 매우 높은 지역이다. 따라서 해양수산부는 2008년 서천갯벌을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하였고, 2009년에는 ‘람사르습지’에 등록되었다. 도요·물떼새류는 남반구와 북반구를 오가는 대표적인 장거리이동철새로서 우리나라의 서해안에 위치한 유부도를 비롯한 서천갯벌은 도요·물떼새류의 이동경로상 중간기착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부도에 도래하는 도요·물떼새류의 군집 변화 양상을 파악하여 서식지로서 유부도 갯벌의 관리와 보호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도요·물떼새 군집 조사는 2014년 1월부터 12월까지 월 1회씩 총 12회에 걸쳐 실시하였고, 조사기간 동안 유부도에서 관찰된 도요·물떼새는 총 22종 72,413개체로 나타났다. 민물도요(Calidris alpina)가 58.6%로 최우점종이었고, 다음은 개꿩(Pluvialis squatarola), 알락꼬리마도요(Numenius madagascariensis), 뒷부리도요(Xenus cinereus), 좀도요(Calidris ruficollis) 등의 순이었다. 계절별로도요·물떼새류의 개체수는 봄과 가을에 높고, 여름과 겨울에 낮게 나타나, 유부도가 도요·물떼새의 중간기착지로 이용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북상 시기인 봄에 개체수가 가장많았고, 남하시기인 가을은 봄에 비해 약 60% 수준으로 낮게 나타났다. 천연기념물 326호인 검은머리물떼새는 최저118개체(3월)에서 최대 2,534개체(9월)가 기록되었으며, 봄과 여름에 비해 가을과 겨울에 개체수가 높게 나타나 유부도가 검은머리물떼새의 번식지 및 주요 월동지로 이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덕유산국립공원의 해발고도, 사면방향, 계절에 따른 조류군집 특성

        유재평(Jae-Pyoung Yu),진선덕(Seon-Deok Jin),김현숙(Hyoun-Sook Kim),백운기(Woon-Kee Paek),송호경(Ho-Kyung Song) 한국조류학회II 2010 한국조류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덕유산국립공원 동쪽 사면 · 계곡부인 향적봉-백련사 지역과 서쪽 사면 · 계곡부인 중봉-안성 지역에 서식하는 조류군집의 계절적, 고도별 분포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8년 7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이루어졌다. 흉고직경 30cm 이상 대경목 비율과 엽층별 피도량은 향적봉-백련사 지역이 중봉-안성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조사기간 동안 산림지역에서 관찰된 조류는 총 60종이었고, 향적봉-백련사 지역이 55종, 중봉-안성 지역이 40종으로 향적봉-백련사 지역의 종수가 많았다. 계절별로는 봄에 종수, 밀도, 종다양도, 종풍부도가 가장 높았고, 여름, 가을, 겨울 순으로 감소하였다. 해발고도별로는 종수, 밀도, 종다양도, 종풍부도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러한 결과는 해발고도의 증가에 따른 서식지 면적의 감소와 토양수분의 감소 및 낮은 기온 등의 열악한 환경으로 인한 수목 생장의 한계에 따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조류군집의 종구성에 있어서 사면방향에 따른 두 지역의 종구성은 같은 고도에서 서로 유사하였고, 해발고도에 따라서는 종구성에 차이를 보여 해발고도가 조류 군집의 분포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두견이 Cuculus poliocephalus는 휘파람새 Cettia diphone의 분포 범위와 일치하고, 매사촌 C. fugax, 검은등뻐꾸기 C. micropterus, 벙어리뻐꾸기 C. saturatus는 숲새 Urosphena squameiceps, 산솔새 Phylloscopus coronatus 등의 분포고도와 일치하여 두견이목 조류들은 탁란 대상종의 분포 범위와 관계가 깊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딱따구리류와 박새류에 있어서 소형종인 쇠딱다구리 Dendrocopos kizuki와 쇠박새 Parus palustris, 진박새 P. ater는 전체 고도에 분포하였고, 중형종인 큰오색딱다구리 D. leucotos, 오색딱다구리 D. major, 박새 P. major, 곤줄박이 P. varius 등은 1,200m 이하의 고도에 분포하여 소형 종은 높은 고도까지 분포범위를 넓혀 종간 경쟁을 최소화하는 생존 전략으로 판단된다. 계절에 따른 종별 분포는 고도별로 차이가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seasonal and altitudinal bird communities in Hyangjeokbong-Baekryunsa area of eastern slope and valley section and Jungbong-Anseong area of western slope and valley section, Deogyusan National Park from July of 2008 to June of 2009. In terms of the DBH (diameter at breast height) of trees over 30cm and coverage of leaf layer was the highest in Jungbong-Anseong area and the lowest in Hyangjeokbong-Baekryunsa area. Birds which is observed in forest area were total 60 species, and Hyangjeokbong-Baekryunsa area is 55 species, and Jungbong-Anseong area is 40 species, so there were a lot of number of species at Hyangjeokbong-Baekryunsa area. In spring, the number of species, density, species diversity and species richness was highest, and the number decreased in summer, fall and winter in the order of severity. The higher altitude is, the more the number of species, density, species diversity and species richness decreased. That suggests that area of habitat and soil water content is lower in higher altitude, and low temperature contributes to limiting the growth of trees. Also, species composition of bird communities of two areas by direction of slope was similar in same height, and altitude was shown difference in species composition. Thus, altitude causes bigger effect in distribution of bird communities than direction of slope. Cuculus poliocephalus used same habitat with Cettia diphone distribution extent, and C. fugax, C. micropterus and C. saturatus with distribution extent of Urosphena squameiceps and Phylloscopus coronatus etc. unitedly, Cuculiformes habitat is judged related with parasite species. Also, small-sized Dendrocopos kizuki, Parus palustris and P. ater distributed in all altitudes, and woodpeckers and tits, such as D. leucotos, D. major, P. major and P. varius ranged in altitude fewer than 1,200m. Therefore, small size species is used survival strategy that minimize interspecific competition widening distribution range to high altitude. Distribution pattern of birds according to the season showed differences by altitude.

      • 유부도에도래하는도요․물떼새의군집변화연구

        유재평,백인환,강정훈,진선덕,백운기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2

        충청남도 서천군의 유부도를 비롯한 서천갯벌은 철과 모 래갯벌이 조화롭게 조성되어 생물다양성이 높은 지역이며, 천연기념물 제326호 검은머리물떼새(Haematopus ostralegus) 의 국내 최대 서식처로서 보전가치가 매우 높은 지역이다. 따라서 해양수산부는 2008년 서천갯벌을 ‘습지보호지역’으 로 지정하였고, 2009년에는 ‘람사르습지’에 등록되었다. 도 요․물떼새류는 남반구와 북반구를 오가는 대표적인 장거리 이동철새로서 우리나라의 서해안에 위치한 유부도를 비롯 한 서천갯벌은 도요․물떼새류의 이동경로상 중간기착지로 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부도에 도래하는 도요․물떼새류의 군집 변화 양상을 파악하여 서식 지로서 유부도 갯벌의 관리와 보호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 하고자 한다. 도요․물떼새 군집 조사는 2014년 1월부터 12 월까지 월 1회씩 총 12회에 걸쳐 실시하였고, 조사기간 동 안 유부도에서 관찰된 도요․물떼새는 총 22종 72,413개체로 나타났다. 민물도요(Calidris alpina)가 58.6%로 최우점종 이었고, 다음은 개꿩(Pluvialis squatarola), 알락꼬리마도 요(Numenius madagascariensis), 뒷부리도요(Xenus cinereus), 좀도요(Calidris ruficollis) 등의 순이었다. 계절별로 도요․물떼새류의 개체수는 봄과 가을에 높고, 여름과 겨울 에 낮게 나타나, 유부도가 도요․물떼새의 중간기착지로 이 용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북상 시기인 봄에 개체수가 가장 많았고, 남하시기인 가을은 봄에 비해 약 60% 수준으로 낮 게 나타났다. 천연기념물 326호인 검은머리물떼새는 최저 118개체(3월)에서 최대 2,534개체(9월)가 기록되었으며, 봄과 여름에 비해 가을과 겨울에 개체수가 높게 나타나 유 부도가 검은머리물떼새의 번식지 및 주요 월동지로 이용되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야생조류 정보 수집과 활용을 위한 시민과학의 접근과 적용-eBird 사업을 중심으로

        백인환,진선덕,유재평,임정희,전병선,이상보,박치영,백운기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2

        1990년대 말부터 쌍방향, 참여, 사회적 소통과 같은 웹 2.0 형태의 온라인 저널 블로그나 집단지능과 같이 협업적 으로 콘텐츠를 생성하는 위키가 등장하면서 온라인을 기반 으로 하는 네트워크형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생각하고 지역적으로 행동’하는 지구규모의 환경 현안에 대 한 대응 체계로서도 정보화 시대의 쌍방향 네트워크는 환경 정책 의사결정에 시민의 협력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특히, 대륙 및 국가간 이동하는 야생조류의 경우 대규모의 시민 관찰 정보가 공동 데이터베이스(DB)로 구축되고 유통되면 서 야생조류의 정보와 지식 생산의 중심에 시민과학 (Citizen Science)의 영역은 넓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시민과학 활동이 활발한 북미의 eBird 웹사이트(eBird.org) 를 중심으로 야생조류 정보 수집과 활용 체계를 검토하여 국내 야생조류의 연구 분야에서 시민과학의 접근과 적용가 능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시민과학은 지속가능한 사회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대되는 시점에서 전문가주의(professionalism) 과학 기술과 과학의 공공성 회복에 대한 시민 사회의 의심과 민주적 참여가 확대 되는데서 출발하였다. 그러나 최근의 시민과학의 정의는 대 중과학(crowd science), 크라우드소싱 과학(crowd-sourced science), 네트워크 과학(networked science)이라고 불리우 며, 아마추어 과학자 또는 비전문과학자 등이 과학 연구의 일부 또는 전체에 참여하면서 자연 현상의 탐구, 체계적인 데이터 수집과 분석, 기술 개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그래서 과학 활동에 종사하는 일반 대중의 구성원 또는 사 회의 공익적 이익에 봉사하는 과학 등으로 정의할 수 있다. 실례로 Galaxy Zoo(galaxyzoo.org) 프로젝트와 같이 수백 만 장의 천문 사진을 분류하는데 아마추어 천문학자의 집단 참여로 다양한 천문데이터가 신속하게 수집되었고, 이를 통 해 새로운 과학적 발견과 논문으로 이어지면서 천문과학자 와 아마추어 천문학자 사이에 지속적인 집단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북미의 아마추어 탐조가도 여가 시간의 증가, 공공에 개 방된 방대한 양의 지식 접근, 최첨단 장비 활용 등으로 대규 모 야생조류 정보 수집이 가능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오듀 본협회(Audubon Society)에서 실시하는 북미의 조류 개체 군 조사 ‘크리스마스버드카운트(Chrismas Bird Count: CBC)’는 1900년 27개소에서 시작하여 2006년 기준으로 약 2천개의 단체와 6만 명의 시민과학자가 동시에 헌신적으 로 야생조류의 관찰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며, 현재는 온라인 상의 웹과 앱을 통해 정보를 상호 교류하고 있다. 북미의 탐조활동(bird watching)은 수백만명이 참가하고 있으며, 그들이 관찰한 이동조류의 이동경로, 개체수 정보는 단순한 기록에서 eBird 웹사이트에 스스로 관찰한 내용과 현장 정 보를 입력하여 공동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다. 수집 된 데이터는 과거에 불가능했던 과학적 가설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정보로 가공해서 과학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이용 된다. eBird 사업의 참가자는 탐조가부터 개체군·분포·보존 생물학자, 계량 생태학자, 통계학자, 컴퓨터 과학자, GIS 및 정보과학자, 어플리케이션(App) 개발자, 데이터 관리자 등이 참여하여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데이터의 양과 질 을 관리하고 있다. 특히, 다양한 시민과학자의 능력, 불완전 한 종동정, 시공간적 데이터 편차 등을 체계적으로 계량화 하도록 컴퓨터 과학의 협조는 정밀하고 신뢰성있는 데이터 로 얻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한편, eBird 데이 터는 학생, 교사, 과학자, NGO, 정부 기관, 토지 관리자 및계획가, 정책의사결정자 등 폭넓은 이용자가 활용하고 있 고, 조류서식지 보전과 종 분포를 예측하는 등의 구체적인 방안을 수립하는데 직간접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또한, eBird 데이터는 야생조류의 종분포 모형에 관심이 많은 연구자나 정부와 지자체의 환경영향 보고서에도 활용 되는 등 광범위한 데이터 활용을 지원하고 있다. 최근 10년 간 eBird 데이터를 이용한 논문만도 90건 이상이 게재된 바 있다. 이러한 eBird 데이터 활용은 공동 연구와 탐조 커 뮤니티 활동을 지속적으로 지원하면서 야생조류의 지식 접 근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 국내도 많은 탐조가의 활동으로 수집된 정보가 민관 별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민간 분야에 서는 BirdDB(birddb.com), 한국야생조류협회(kwbs.or.kr) 등에서 탐조회원의 자발적인 참여로 국내 야생조류 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며, 정부 부처에서는 환경부의 관련기관과 국 립중앙과학관 등에서 전문가의 야생조류 정보를 DB로 구 축하고 있다. 그러나, eBird와 같이 야생조류 정보의 대규모 수집이나 데이터 접근과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효율성과 유연성 개선, 데이터의 시각화를 위한 플랫폼 제 공 등 사용자의 참여와 활용을 높이려는 노력 등은 우리에 게 많은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시민과학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 력은 과학의 발전과 과학 활동의 증가를 통해 지식을 창출 하고 있다. ICT(정보통신)의 발전은 생물다양성 정보 데이 터의 신뢰성과 융합성을 지원하며, 생태계서비스의 부가가 치를 향상시키고 있다. 이러한 기반에는 시민과학자의 양성 과 적극적인 참여를 유인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정부 3.0 등 국가적으로 데이터와 정보를 통합하고 연계하는 사 업도 시민과학의 참여와 협력 기반에서 가능하기 때문에 eBird와 같은 야생조류의 수집과 활용 체계는 국내에서도 매우 유용한 수단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