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 유아문화생활모습과 활성화방안에 대한 교원 및 예술전문가 인식

        유재경(You, Jae-Kyung),조혜영(Jo, Hye-Young),권정숙(Kwon, Jung-Sook)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유아문화생활모습과 활성화방안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전문가 2명, 사립유치원 원장 1명, 유치원교사 9명, 국 공립어린이집 교사 2명 등 총 14명에게 집단 및 개별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유치원교사 319명 대상으로 유아문화생활 활성화방안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육기관 유아문화생활모습 은 유아교육기관에서 문화시설 이용, 유아교육기관 외에서 접하는 문화생활영향, 교사의 문화생활경험 및 선호도와의 관계, 유아문화생활과 유아발달과의 관계 등으로 제시하였다. 둘째, 유아문화생활 활성화 를 위해서 필요한 시설은 어린이 박물관이 가장 높았으며, 유아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전용공간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문화예술교육사 파견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모른다는 의견이 대부분이었으며, 문화예술사 파견은 유아의 문화예술 교육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응답이 높았다. 문화예술사의 예술가로서의 전문성과 유아의 발달특성을 반영하여 교육하는 교육자로서의 요건을 갖추어야한다고 하였다. 교사의 유아문화생활에 대한 교사재교육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문화생활 활성화를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문화생활 내실화와 만족도 제고를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한다. 둘째, 유아문화에 대한 교사들의 민감성 강화를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유아교육기관의 결정권자와 부모를 대상으로 문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igure and activation of young children’s cultural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9 kindergarten teachers registered in Ansan. Fourteen participants including 9 kindergarten teachers and 5 professionals in arts, musics, and child care were interviewed. Thes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the figure of young children’s cultural life at early childhood setting was the use lf cultural facility and influence of cultural life excluded from early childhood setting, teachers’ cultural experience and preferences,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life and child development. Second, museum for young children was the most needed facility because children themselves could experience in there. Most kindergarten teachers did not know that cultural artist were sent out to kindergarten for the purpos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They answered that cultural artist would be helpful for cultural art education. Third, they answered that the most need related to young children’s cultural life was to develop diverse programs and cultural art contents in cultural facilit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activation plans for young children’s cultural life were as followed. First, substantial planning of young children’s cultural life should be developed. Second, it is required the reeducation program related to culture and art sensitivity for kindergarten teachers. Third, kindergarten decision makers and parents should be provided education regarding the cultural art enjoyment and education.

      • KCI등재

        여성은 리더가 되기를 주저하는가: 조절초점이 리더십 효능감과 리더십 발휘동기에 미치는 영향

        유재경 ( Jaekyoung You ),이은형 ( Eunhyung Lee ) 한국여성경제학회 2021 여성경제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기업 내 여성리더 희소현상의 선행요인을 조절초점이론에 근거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인간의 동기를 성장욕구가 강하고 위험을 감수하는 ‘향상초점’과 부정적인 결과를 피하기 위해 안정과 안전을 추구하는 ‘예방초점’으로 분류하는 조절초점이론이 남녀 직장인의 리더십 효능감과 리더십 발휘동기의 차이를 설명할 것이라고 보고 연구모형을 수립하였다. ‘여성은 리더가 되기를 주저하는가? 그렇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연구질문을 선정하고 남녀직장인 333명을 대상으로 조절초점과 리더십 효능감, 그리고 리더십 발휘동기의 성별차이와 조절초점이 리더십 효능감과 리더십 발휘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절초점, 리더십 효능감, 리더십 발휘동기에서 성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에서 드러난 향상초점, 리더십 효능감, 사회규범적 리더십 발휘동기의 남녀 차이는 성별에 의한 것이 아니라 ‘리더십 경험’과 같은 선행요인에 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여성도 리더십 경험을 쌓으면 남성 못지않게 리더로서의 자신감과 리더로 성장하려는 동기를 갖게 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즉 여성은 리더가 되기를 주저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역량이 축적될 때까지 기다리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둘째, 향상초점은 리더십 효능감과 사회규범적 리더십 발휘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예방초점은 정서적 리더십 발휘동기와 사회규범적 리더십 발휘동기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실증결과들이 가지는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살펴보고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ecedent factors of the scarcity of female leaders in the leadership position in corporations based on regulatory focus theory. Regulatory focus theory established by Higgins categorizes human motivation as an "promotion focus" that has a strong desire for growth and success and a "prevention focus" that seeks stability and safety to avoid negative results. The research question is 'Do women hesitate to become leaders? Then why?'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333 male and female workers. The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to analyze the effects of regulatory focus, leadership efficacy, motivation to lead(MTL) and gender differenc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leadership efficacy and motivation to lead. Th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from this data in ‘promotion focus’, ‘leadership efficacy’, and ‘social-normative MTL’ by t-test was not due to gender, but to precedent factors such as 'leadership experience'. Through this, it has been confirmed that women have as much confidence as men and MTL. The reason why women seem hesitant to become leaders is not because they are women, but because they wait until they accumulate enough of their abilities. Second, the promotion focus had a positive impact on leadership efficacy and social-normative MTL, while the prevention focus had a negative impact on affective MTL and social-normative MTL. We examin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above empirical results and present th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this study.

      • KCI등재후보

        유아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 모델 개발 연구

        유재경(You, Jae Ky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세계화시대에 유아를 위한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을 통해,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목표, 교육내용의 요소를 추출하여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을 설정하였다. 2007년 개정 유치원교육과정에서 세계시민교육의 근거를 찾고, 세계 시민교육을 사회생활영역과 연계하여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기초로 2007년 개정 유치원교육과정에 따른 생활주제에 기초한 세계시민교육실시하기 위한 교수–학습방법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교육목표, 내용을 포함한 구체적인 세계시민교육 모델의 개발은 세계시민교육을 현장에 적용함에 있어 실제적인 유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In order go achieve the purpose the study first proceeded with analysis of criteria for objectives and conten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On the basis of such an analysis, the five major area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ere drawn such as Human rights, Global village, Diversity, Peace and natural environment.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further steps were taken clarifying the process of integrating the instructional methods and activities for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is global education program model including objectives and contents will serve as a practical resource for increasing teaching competency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 KCI등재

        기독교세계관으로 조명하는 유아 세계시민교육

        유재경 ( You Jaekyung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8 기독교사회윤리 Vol.42 No.-

        본 연구는 기독교 세계시민교육의 개념과 기독교 세계시민의 핵심역량을 도출하고, 도출한 개념을 기독교 유아세계시민교육의 적용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기독교세계시민의 핵심역량으로 비범성, 세상성, (빛과 소금으로)책임, 사랑(환대), 실천으로 도출되었다. 이 5개의 핵심역량은 3차원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차원은 기독교 정체성으로 비범성과 세상성이고, 2차원은 사랑(환대), 3차원은 실천으로 구성된 것을 알 수 있다. 기독교유아세계시민교육은 유아의 발달적 특성에 의해서 3차원에서 시작하여 1차원으로 발달하게 된다. 유아는 부모와 성인의 3차원적인 행동을 보면서 3차원의 행동을 하게 되면서 2차원의 사랑과 환대, 1차원인 정체성의 순서로 발달해간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기독교세계시민교육 적용을 통해 다음세대가 어려움에 빠져 있는 인류에 문제를 해결해 갈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사람으로 성장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concepts and core competencies of Christia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examines the application of Christia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core competence of the Christian Global Citizenship was derived from non-normality, worldliness, responsibility (as light and salt), love (hospitality), and practice. These five core competencies are composed of three dimensions. One dimension is Christianity identity, non-normality and worldliness, second dimension is love (hospitality), and third dimension is practice. Christia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s developed from the third dimension to the first dimension by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Therefore, by observing and learning the third dimensional characteristics from both the parents and teachers, the young children can develop towards the second dimensional characteristics which is love and hospitality, and finally moving towards the first dimension to build an identity as Christian Global Citizen.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기 문화경험과 문화자본이 문화참여에 미치는 영향

        유재경(You Jae-Kyung),권정숙(Kwon Jung-Sook),조혜영(Jo Hye-Yo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기 문화경험과 문화자본이 문화참여에 미치는 영향에서 문화예술 인식 및 문화예술 활동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남부지역 소재지 유아교육과와 보육과에 재학 중인 762명을 대상으로 유아기 문화경험, 문화자본, 문화참여, 문화예술인식 및 문화예술 활동 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여 SPSS 18.0과 AMO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문화경험, 문화자본, 문화예술 인식 및 문화예술 활동 만족도는 문화참여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문화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모두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기 문화경험과 문화참여간의 관계는 문화예술 인식과 문화예술 활동 만족도에 의해 완전 매개되었다. 문화자본과 문화참여간의 관계는 문화예술 인식과 문화예술 활동 만족도에 의해 부분 매개되었다. 문화예술 인식과 문화참여 간의 관계는 문화예술 활동 만족도에 의해 완전 매개되었다. 결론적으로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예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도모하여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인프라 조성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ultural experience in early age and cultural capital affected on their cultural participation with analysing mediate effects of their perception of culture and arts and satisfaction of culture and arts activiti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762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at colleges located in the Gyeonggi-do. Collected data were put to SPSS 18.0 and AMO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cultural experience in early age, cultural capital, perception of culture and arts and satisfaction of culture and arts activities were correlated with cultural particip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all variables affecting culture participation, the goodness-of-fit tests of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e model were fine. The relation between cultural experience in early age and cultural participation was wholly mediated by perception of culture and arts and satisfaction of culture and arts activities. The relation between cultural capital and cultural participation wa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perception of cultue and arts and cultural participation was wholly mediated by satisfaction of culture and arts activities. This study implied that cultural infrastructure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improve satisfaction of culture and arts activities.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한 유아교사 핵심역량 모델 개발

        유재경(You, Jaekyoung),황지영(Hwang Jiyoung),박은미(Park, Eunmi)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re competency model for early child hood education teachers, which reflects the Nuri process revised in 2019. Based on prior national and international research and literature analysis, a core competency plan was derived. Afterwards, the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by the head of the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14 persons), university professors(6 persons), and kindergarten teachers(12 persons). Modifications have been made to the core competency of infant teachers through the F.G.I. Finally, a feasibility test was conducted on the core competencies of 3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core competency mode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has been developed to reflect the revised Nuri Process in 2019. The core competency model of the early child hood education was composed of 8 core competencies, 23 lower competencies, and 92 sub-components. The 8 areas of the core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re the development of teacher s professionalism, interaction with children, playground,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urriculum, family and community, kindergarten operation and classroom management, and cultural edu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pecifically modelled the core competencies that domestic nursery teachers need. This allows teachers to understand their core competencies as a whole. It is also meaningful in this study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eliminary early child hood education teachers curriculum that reflects the revision of 2019 in univers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2019년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한 유아교사의 핵심역량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 원장(14인), 대학교수(6인), 유치원 교사(12인)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와 국·내외 선행연구 및 문헌 분석을 토대로 핵심역량안을 도출하고, F.G.I.를 통한 유아교사 핵심역량안의 수정이 이루어졌다. 이후, 유아교육 전문가 3인의 핵심역량 타당성 검증 절차를 통해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한 유아교사의 핵심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유아교사 핵심역량모델은 핵심역량 8개, 하위 역량 23개, 하위내용 92개로 구성되었으며, 유아교사의 핵심역량 8개 영역은 교사인성 및 전문성 개발, 유아와의 상호작용, 놀이지원, 유아의 성장과 발달, 교육환경과 교육과정, 가족과 지역사회, 유치원운영 및 학급관리, 문화소양으로 개발되었었다. 본 연구는 국내의 유아교사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을 구체적으로 모델링 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교사가 스스로 핵심역량에 대해 전체적으로 이해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 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대학에서 2019년 개정누리과정을 반영한 예비유아교사 교육과정 개발에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 및 교직관 간의 구조적 관계:

        조혜영(Jo Hye Young),유재경(You Jae 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8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이 교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실습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2018년 3월부터 4월까지 수도권 지역 유아교육과와 보육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밝힌 후 최종적으로 489명을 SPSS 20.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교직관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감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최종모형으로 선정하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실습여부에 따른 다집단 분석결과, 실습을 경험한 예비유아교사가 그렇지 않은 예비유아교사에 비해 교수효능감이 교직관에 강력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 조절효과가 입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교육실습 기회를 제공하여 올바른 교직관을 함양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social support and teachers’ efficacy perceiv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affect their views of teaching profession and to identify differences in pathways according to belonging the group of early childhood practicum or not. For this purpose, the data collected from 489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ttending departm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educa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was analyzed by spss 20.0 and Amos 22.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efficacy was partially mediated by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Second, as a result of multi-group analysi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d experience in early childhood practicum showed a strong effect of teaching efficacy on the views of teaching profe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how to develop a proper teaching staff by providing opportunities for systematic early childhood teacher practicum.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자아인식이 창의․인성에 미치는 영향

        권정숙(Kwon Jung Sook),유재경(You Jae Kyung),조혜영(Jo Hye Yo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자아인식이 창의․인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지 유아교육과와 보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328명을 대상으로 공감능력, 자아인식, 창의․인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척도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한 후, SPSS 18.0과 AMOS 18.0으로 변인 간의 상관관계와 영향력 및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매우 높은 적합도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구조모형의 경로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자아인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창의․인성 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창의․인성은 공감능력, 자아인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은 창의․인성에 영향을 미치며, 이 과정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인식은 창의․인성에 영향을 미치지않지만, 이 과정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창의․인성에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난 만큼 공감능력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함양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mediator effe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tress coping style that explains the relation among their empathy ability, self-awareness and creative personality. For this purpose, the data measuring empathy ability, self-awareness, creative personality and stress coping style collected from 328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in department of early education and child care education of colleges in Gyeonggi-do was analyzed. We applied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mediating effect using SPSS 18.0 and AMOS 18.0 and examined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and mediator effects.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e model had favorable goodness of fit and the results of structure models on each path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ir empathy ability, self-awareness and stress coping style. Seco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y ability influenced on their creative personality with partial mediating of stress coping style. Although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awareness did not influence on their creative personality, full mediator effect of stress coping style was examin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rogram promot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y ability and stress coping style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

        교사학습공동체 풍토와 교사효능감, 교직만족도, 교사소진의 구조 분석

        이주영(Lee Ju young),유재경(You Jae kyung) 한국교원교육학회 202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7 No.1

        본 연구는 부산교육종단연구 제3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학교의 교사학습공동체 풍토가 교사효능감, 교직만족도를 매개로 교사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정책적으로 운영되는 ‘전문적학습공동체’에 참여 여부에 따라 구조적 관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의 교사학습공동체 풍토는 교사효능감과 교직만족도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직만족도와 교사효능감은 학교의 교사학습공동체 풍토가 교사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효능감은 교직만족도의 매개를 통해 교사소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청 정책인 ‘전문적학습공동체’에 참여하는 교사 집단과 비참여 교사 집단 간에는 구조적 관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첫째, 학교의 교사학습공동체가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뿐만 아니라 정서적 지지를 통해 교직만족도를 동시에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으며 둘째, 학교 외부의 기관과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하는 교사소진 경감 정책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학교 내 교사학습공동체를 정책적 대안으로 제시할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마지막으로, 현행 ‘전문적학습공동체’ 정책이 교사들의 자발적이고 일상적 연구 활동이 아닌 의무적이고 형식적 활동으로 운영되는 것을 경계하고, 교사학습공동체가 일시적인 정책 방편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조직 문화의 하나로 자리 잡고 발전해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er learning community’s climate, teacher efficacy, teacher satisfaction, and teacher burnout using the third year data of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BELS). In addition,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differences in structural relationship depending on teachers’ participation in a policy-operate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 learning community’s climat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Second, teacher satisfaction and teacher efficacy were found to significantly mediate the effect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s climate on teacher burnout. Third, Teacher efficacy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teacher burnout mediated by teacher satisfaction.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articipating group and the non-participating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the policy suggestion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 learning community needs to be emphasized on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s well as emotional bonds. Second, the in-schools teacher learning community can be a policy alternative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out-of-school facilities and programs provided for teachers emotional support and exhaustion. Third,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olicy should not be mandatory and formally operate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should be voluntary involvement of teachers and routine research activities. In additio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should be supported to develop as a sustainable organizational culture, rather than as a temporary policy tool.

      • KCI등재

        유치원의 문화시설 이용 실태와 어려움

        권정숙(Kwon Jung-Sook),유재경(You Jae-Kyung),조혜영(Jo Hye-Yo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유치원의 문화시설 이용 실태와 어려움을 살펴보고,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문화시설 이용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안산시 교육청에 등록되어 있는 유치원 교사 347명이며 연구참여자 8명과 삼각검증을 위한 참여자 3명에게 면담을 실시한 후, 설문자료와 면담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에서 문화시설 이용 실태를 알아 본 결과, 놀이터와 일반 도서관이 많았으며, 인터넷 상의 해당 웹 사이트 및 포털 사이트를 통하여 정보를 얻고 있었다. 유아의 문화시설 이용 계획시 결정권은 원장, 학부모, 교사가 가져야 한다는 응답이 높은 반면, 실제로는 원장이 결정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유치원에서 문화시설 이용이 필요한 이유를 알아본 결과, 교사의 대부분은 유아에게 문화시설의 이용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유아의 창의성 개발을 위해 문화시설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높았고, 어린이 박물관과 도서관이 유아발달을 위해 필요한 시설이라 하였다. 셋째, 유치원에서 문화시설 이용과 관련한 어려움을 알아본 결과, 접근이 용이한 인근지역에 문화시설 부재의 응답이 높았으며, 기타 의견으로는 관람예절, 유아통솔의 어려움, 사전답사의 어려움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문화경험을 활성화하기 위한 기초자료와 실질적인 방안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status and difficulties cultual facility use of kindergartens and present the methods to activate cultural facility use in local communit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347 kindergarten teachers registered in Ansan local education authority were surveyed and the 8 kindergarten teachers among them were interviewed. Thre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for triangul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children’s playground and library were used the most among cultural facilities. Kindergarten teachers got information about cultural facilities through internet web-site and portal. Actually, kindergarten directors had the decisions on planning the use of cultural facilities though it was desirable that decisions were made by agreement among director, parents, and teachers. Second, most kindergarten teachers answered that cultural facility use was needed in kindergarten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reasons to use cultural facility was to develop creativity. Children’s museum and children’s library were needed the most for children’s development. Third, the most difficulty to use cultural facility was absence of cultural facility nearby kindergarten. Other difficulties were cultural facility use etiquette, troubles with controlling children, and hardship to make preliminary survey. This study was meaningful that it provided the base data and the method to activate children’s use of cultural fac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