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NewWine into Old Wineskins? Regime Diffusion by the Powerful from International Trade into Cyberspace

        유인태 인하대학교 국제관계연구소 2017 Pacific Focus Vol.32 No.3

        Conflicts and competition among different norms in cyberspace are increasing, especially among powerful states, such as the United States, the European Union, Russia, China, and Brazil, and most notably among democratic and nondemocratic countries. Unlike the current literature, which tends to concentrate on either international power distribution among states or domestic preference formation within them, this study argues that the norms of liberal international trade, especially the free flow of goods and services, have been most influential in shaping trade regimes within cyberspace. To diffuse their preferred norms, powerful states often use a grafting tactic, in which well-established norms, such as those of liberal trade relations, are adopted as new norms in an emerging area, such as cyberspace. This case study of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agreement, one of the first mega-regional trade agreements to explicitly include provisions related to the digital economy, demonstrates that the United States has utilized multiple multilateral venues to pursue its national interests and traces why and how only certain norms in international trade are grafted into cyberspace.

      • KCI등재

        When Does It Get Worse? Economic Inequality, Nationalism and Japan-ROK Dissension

        유인태 한국학술연구원 2018 Korea Observer Vol.49 No.3

        The relationship between Japan and the Republic of Korea remains puzzling according to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The two countries have failed to develop stable peace relationships even though they are both democracies, bound to each other by security arrangements with the United States, and have considerable interdependence between them. So, why have these two countries failed to produce equitable trust? Scholars tend to focus either on structural causes, or nationalistic actions and remarks by political leaders as possible reasons. While these reasons may explain their unstable relationship, it does not explain the worsening public perception in both countries. This article advances domestic economic inequality, which has been largely neglected in the literature, and argues that the growing economic inequality has aggravated the public’s opinion. Findings from statistical analyses and case-study methods largely show that public opinion with nationalistic movements have fluctuated following the growing socio-economic inequality.

      • KCI등재

        강대국 전략 경쟁 속 글로벌 인터넷 거버넌스의 다중이해당사자주의와 외교 전략

        유인태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22 글로벌정치연구 Vol.15 No.2

        How does multistakeholderism in global Internet governace affect international politics? The extant literature deals with the concept of multistakeholderism largely in two ways. First, multistakeholderism, in contrast to multilateralism, is used to understand contesting global politics, especially fault lines between Western democracies and non-Western authoritarian countries, revolving around Internet governance. Second, multistakeholderim is adopted to grasp how institutions in Internet governance work. In this light, the attributes and diversities of diverse multistakeholder organizations are discussed. However, both of the research groups have paid little attention to how multistakeholder models have affected international relations. This article argues that multistakeholder governance models with diverse actors and relatively horizontal authority relations would work independently of state’s policy preference and even affect state foreign policy. Three cases from ICANN, IGF, and South Korean Internet Address Resources Act demonstrate how such an argument unfolds in reality. 글로벌 인터넷 거버넌스에서 다중이해당사자주의(혹은 다중이해당사자 모델)는 국제정치에 어떤 영향력을 미치는가? 인터넷 거버넌스에서 다중이해당사자주의에 관한 기존의 정치학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경향성을 보여 왔다. 첫째, 다중이해당사자주의는 주로 서구 선진 민주주의 국가들과 비서구 권위주의 국가 간의 갈등을 이해하기 위한 개념으로 차용되어 왔으며, 비서구 국가들이 지지하는 다자간주의와 대립되는 맥락에서 사용되었다. 이런 대립적인 맥락에서의 사용의 한계를 넘기 위해, 둘째, 연구자들은 거버넌스 참여 기구들의 다중이해당사자 모델에 천착하여, 그 모델의 특성과 변형을 탐구하고자 했다. 그러나 이러한 두 부류의 연구 모두, 해당 거버넌스 모델이 실제로 어떠한 영향력을 가지는 가에 대해서는 소홀해 왔다. 본 연구는 다중이해당사자주의가 갖는 참여자의 다양성과 참여자 간의 권위 관계에 기반해서, 국제 정치에서의 영향력을 발현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전통적인 국제정치학에서는 강대국 간 갈등이 심할 경우, 국제기구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한다고 주장하는 것과는 달리, 그러한 조건에서도 인터넷 거버넌스의 사안 영역에서 다중이해당사자 모델이 갖는 영향력을 사례 분석을 통해 보인다. 따라서 이 연구는 최근 사이버 OEWG에서의 다중이해당사자 논의에도 정책적 함의를 갖는다.

      • KCI등재

        디지털 환경에서의 인문 지식 연구에 관한 小考 - 修信使 자료 DB 편찬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유인태 열상고전연구회 2016 열상고전연구 Vol.50 No.-

        The DB Construction Based on the Records of Susinsa (Joseon’s Envoys Sent to Japan in the Late 19th Century) is a research project designed to collect various types of materials related to Susinsa during the Joseon Dynasty, translate and interpret the contents of the materials, and build a comprehensive database. This project deserves to be recognized as part of digital humanities, as it involves the construction of a digital database of diverse information and knowledge obtained from the processes of collectio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of all the relevant materials. This project has two significant implications with regard to its digital nature. First, this project demonstrates the outstanding differences between traditional and digital humanities in terms of the way research is conducted. This project is based on a research group’s collective work instead of an individual’s research results as is common in many traditional humanities research studies. Moreover, not only the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 procedures are also treated as a significant element in this digital research approach. In short, this research approach faithfully follows the basic tenets of digital humanities studies that place more focus on processes than results and value collective rather than individual research efforts. Second, this research has actively explored the following issues: What significance does database construction have in digital humanities? How should contents visualization and database construction be integrated intimately? Currently, the Korean government concentrates on the support of “visualization – realization of digital contents” when it comes to the country’s national digital humanities projects. This approach leaves room for misunderstanding, i.e., digital humanities studies get involved only in the production of visualized materials. Note, however, that significant visualized materials can only be produced from throughly designed databases. Thus, this project seeks to design and build a complete database. Meanwhile, such new research and database construction directions could be discerned from the perspectives of traditional humanities studies, too. This is because digital humanities studies are not inherently different from traditional humanities studies; the former is merely an extension of the latter in the digital age. ‘修信使 자료 DB 편찬 프로젝트’는 수신사와 관련된 여러 유형의 자료를 수집하고, 각 자료가 지닌 내용을 번역・해석한 뒤 이를 토대로 종합적인 DB를 구축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본 프로젝트는, 자료를 수집・번역・연구하고 동시에 그로부터 생겨나는 여러 정보와 지식을 디지털 환경에서 효과적인 DB로 구축해야 하는 작업이기에, 디지털 인문학 연구의 일환으로 이해할 여지가 크다. 디지털 인문학 연구로서 본 프로젝트를 수용할 경우 2가지 차원에서 그 시사점을 짚어볼 수 있다. 첫 번째는, 기존 인문학 연구수행 방식과는 다른 디지털 인문학 연구수행 방식의 특징이 본 프로젝트에 반영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본 프로젝트의 경우 기존 인문학 연구에서 통용되던 개인 중심의 단독적 연구를 벗어나 연구 집단 내에서의 적극적인 협업 체제가 적용되고 있으며, 연구결과물과 별개로 연구 수행 가운데 이루어지는 연구절차 또한 중요한 연구 요소로서 수용되고 있다. 결과보다는 과정에 집중하고, 개인보다는 집단 연구를 지향하는 디지털 인문학 연구의 기본 방향을 따르고 있는 것이다. 두 번째는, 디지털 인문학의 영역에서 DB 구축이 갖는 의미가 무엇이며, 그 연장선상에서 시각화 콘텐츠 구현과 DB 구축이 어떠한 차원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본 프로젝트에서 능동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현재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되고 있는 디지털 인문학 관련 사업의 경우 ‘시각화, 디지털 콘텐츠 구현’ 요소에 치중하고 있다. 이로 인해 시각화 결과물을 구현하는 것만이 디지털 인문학 연구에 해당되는 것이라고 오해할 여지가 크다. 그러나 의미 있는 시각화 결과물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결과물이 가능할 수 있게끔 치밀하게 설계된 DB가 전제되어야 하며, 본 프로젝트는 그와 같은 맥락에서 DB 설계 및 구축을 시도하고 있는 중이다. 이와 같은 연구 수행 방향과 DB편찬 방향은 기존 인문학의 연구방법론에 근거하여 이해할 여지가 있다. 이는 곧 디지털 인문학 연구가 기존 인문학 연구와 그 성격이 다른 것이 아니라 오히려 기존 인문학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수용・이해되어야 할 연구 영역임을 의미한다.

      • KCI등재

        디지털 고전학에 관한 시론(試論)

        유인태 한국고전연구학회 2022 한국고전연구 Vol.- No.57

        This paper aims to outline the overall topography and academic consequences of the many classical studies that have been attempted as a component of digital humanities study in recent years, as well 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ies of digital classics derived from them. Sketching the design of digital classics may appear to be a contradiction in a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provide the traditional denotative definition of classical studies. While it is impossible to define classical studies in an analog context, it is equally worthwhile to investigate the universal qualities of classical studies generated in a digital environment to gain greater clarity on the meanings of classical studies as a “discipline” (學). This is because many components of classical studies undertaken in a digital context assume classical studies’ traditional problematic consciousness. In this sense, the term “digital classics,” as used in this paper, is not a precise definition of a discipline, but rather a broad statement intended to cover all parts of classical scholarship that intersect with digital technology. The continuation of “co-ation” represented by “cooperation” – “communication” – “computation” is necessary for digital classics to function as a point of interaction between classical research and digital technology. As an active exploration and tangible movement to continue such new research activities, a series of knowledge processing methods such as “sharing,” “representation,” and “analysis” of classical data must be accepted. 이 논문은 최근 몇 년 사이 디지털 인문학 연구의 일환으로 꾸준히 시도되어 온 고전 연구의 전체적 지형과 학술적 시사점을 정리하고, 그로부터 디지털 고전학의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기획되었다. 고전학의 전통적 외연을 엄밀히 정의하는 것도 쉽지 않은 상황에서, 디지털 고전학의 얼개를 스케치해보겠다는 것은 일견 모순처럼 보일 수도 있겠다. 한편으로 아날로그 환경에서 고전학 연구를 본격적으로 정의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면, 디지털 환경에서 전개되는 고전 연구의 보편적 양태를 살펴봄으로써, ‘학(學)’으로서 고전학의 내포를 역으로 곱씹어 보는 것도 나름의 의미가 있을 것이다. 디지털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고전 연구의 여러 맥락이 고전학의 전통적 문제의식과 무관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이 글이 다루는 ‘디지털 고전학’이라는 표현은 하나의 학(學, discipline)으로서 엄밀한 정의가 아니라,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만나는 고전 연구의 양태를 폭넓게 살펴보고자 마련한 다소 포괄적인 언명에 가깝다. 고전 연구와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만나는 접점으로서 디지털 고전학의 가능성은, 아날로그 환경에서 이루어져 온 고전 연구의 한계를 디지털 환경에서 보완・극복할 수 있는 맥락으로서 ‘협업(cooperation)’-‘전달(communication)’-‘연산(computation)’으로 일관(一貫)되는 일명 ‘co-ation’ 활동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한다. 그리고 그러한 새로운 형식의 연구 활동을 지속하기 위한 적극적 탐색이자 구체적 실천으로서, 고전 데이터를 ‘공유(sharing)’하고 ‘표현(representation)’하고 ‘분석(analysis)’하는 일련의 지식 처리 프로세스가 수용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Regional Powers and Varieties of Financial Cooperation

        유인태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6 동서연구 Vol.28 No.3

        Regional financial cooperation is now prevalent in almost every region of the world, and the depth and scope of cooperation vary across regions. Why do states create regional financial institutions? How do they have different types of such institutions? Despite its important implication in terms of how we cooperate, students of international relations paid little attention to political mechanisms of regional financial cooperation, while the economic literature focuses mainly on economic benefits to explain why institutions are created. This article focuses on regional powers, which are often major initiators or strong promoters of regional institutions. This article argues that hegemon's side-payments as well as transparency with those of neighboring states are important factors. This article employs comparative-historical analysis with the method of process-tracing to compare the cases of East Asia and the post-Soviet space. Findings largely support the argument.

      • 모바일 IPv6에서 주소테이블을 이용한 DAD대체에 관한 연구

        유인태,양성진 경희-다반 ASIC 설계교육센터 2005 경희-다반 ASIC센터 논문집 Vol.6 No.-

        서비스 다양화 추세로 단말의 이동성 지원을 위한 모바일 IPv6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을 핸드오버라고 하는데, 핸드오버 시에는 지연 문제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FMIPv6 (Fast Handoof for Mobile IPv6)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FMIPv6의 핸드오버 절차는 제 3 계층에서 볼 때, 크게 (Movement Detection), New CoA Configuration, FBU (Fast Binding Update)로 구분된다. 이러한 핸드오버의 과정은 각각 지연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지연 요소들의 합으로 인해 핸드오버 시 많은 지연 시간이 발생하여, 실제 서비스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 때 New CoA Configuration과정 중 주소의 중복을 검사하는 DAD (Duplicate Address Detection)가 1초의 고정된 지연 시간으로 핸드오버 시 지연 시간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본 논문은 FMIPv6에서 핸드오버 시 발생되는 지연 중 가장 많은 시간을 차지하는 DAD를 수행하지 않고, CoA 확인 과정을 AR (Access Router)에서 테이블을 만들어 등록된 주소들과 새로 요청된 주소를 비교함으로써 지연 시간을 줄이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안은 기존방안의 Call Flow를 변경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방안을 수정하기가 상대적으로 쉬운 편이며, 1초의 DAD과정의 지연 시간을 줄이기 때문에 핸드오버에 걸리는 총 지연 시간이 상당히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반면, 테이블에 저장된 CoA를 검색할 때 기존의 주소의 양이 많아질수록 검색하는 시간이 길어서 오히려 기존의 방안보다 지연 시간이 증가하거나 오버헤드가 발생할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가 없는데, 이에 대한 개선방안의 연구가 요구된다.

      • KCI등재

        북한 인문학 데이터 아카이브와 디지털 인문학 교육: 빅데이터 혁신융합대학 교과목 개발을 중심으로

        유인태,허수,홍종욱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3 통일과 평화 Vol.15 No.1

        이 글은 북한 인문학 데이터 아카이브를 설계·구축한 논리와 이를 매개로 진행한 디지털인문학 교육 경험을 정리한 것이다. 첫째, 북한 인문학 데이터 아카이브는 학술 정보가 내포한 입체적 성격과 그것들 사이의복잡한 지식 관계망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시맨틱 데이터 프로세싱(SemanticData Processing) 방법론에 근거하여 설계·구축하였다. 둘째, 서울대학교 인문대학은 교육부의 혁신융합대학 사업의 일환으로 디지털 인문학 교육 과정을 개설·운영하고 있는데, 그 가운데 ‘빅데이터 역사정보’ 과정의 하나로 ‘시맨틱 데이터 편찬’ 교과를 도입·개설하였다. 셋째, ‘시맨틱 데이터 편찬’ 교과 강의는 북한 인문학 데이터 아카이브와 연계하여 운용함으로써, 북한 인문학 및 한국 근대사에 관한 도메인 지식과 디지털 인문학 방법론인 시맨틱 데이터 처리를 동시에 익히는 융합교육이 가능하도록 했다. 넷째, ‘시맨틱 데이터 편찬’ 교과의 수강생은 웹 환경에서 북한 인문학과 한국 근대사에 관한 지식을 다룸으로써, 아날로그 환경에서 지식을 소비하는 수동적 입장에서 벗어나 디지털 환경에서 지식을 생산·유통하는 능동적 경험을 할 수 있었다. 아울러 북한 학계가 통시적-공시적으로 지식의 국제적 네트워크 속에 존재함을 확인하고 냉전과 분단 상황에서 전개된 북한 인문학의 특수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