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CTV 장면에서의 물피도주 차량 탐지 자동화 시스템

        유용현,김민우,김유,안병태,최동걸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24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Vol.20 No.1

        사람들의 차량 보유 대수가 증가함에 따라 물피도주 사건도 증가하고 있지만, 수사 과정에서 장시간의 CCTV 영상을 수동으로 검수하므로 용의자를 식별하는 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불필요한 인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서는 물피도주 피의자 식별 자동화 시스템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CCTV 영상에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CCTV 영상에서 '물피도주' 사건의 시점을 자동으로 탐지하고 가해 차량을 무엇인지 추적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CCTV 영상을 수신하면 피해 차량 선택, 사고 시점 추정, 가해 차량 추정의 과정을 거치며 가장 확률이 높은 물피도주 가해 차량을 탐지한다. 기존 차 사고 차량 사고 검출 방식의 취약점을 보완하고, 사고와 무관한 주변 객체로 인한 오류를 줄이기 위해 객체 분할과 객체 탐지 모델, 그리고 객체 추적과 깊이 추정 모델을 활용하여 주변 객체들을 별도로 분류하는 과정이 도입되었다. 또한 CCTV 영상에 촬영된 국내 차량의 탐지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별도로 구성한 데이터 세트를 통해 객체 탐지 성능을 향상했고, 실제 CCTV에서 촬영된 물피도주 사례들에 이 시스템을 적용했을 때 사고 발생 시점을 정확하게 검출하였고, HD 해상도의 영상에서 27fps 이상의 처리 속도를 보인다 As the number of vehicles owned by individuals increases, so does the occurrence of hit-and-run incidents. However, the investigation process is time-consuming and inefficient due to the need for manual review of long-duration CCTV footage to identify suspect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n automated system for identifying hit-and-run suspects to reduce unnecessary manpower consumption. This paper proposes a system that utilize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on CCTV footage to automatically detect the moment of a 'hit-and-run' incident and track the offending vehicle. Upon receiving CCTV footage, the system undergoes processes of selecting the victim vehicle, estimating the time of the accident, and estimating the offending vehicle, thereby detecting the most probable hit-and-run offending vehicle. To address the vulnerabilities of existing vehicle accident detection methods and to reduce errors caused by irrelevant surrounding objects, the process of object segmentation and detection models, as well as object tracking and depth estimation models, were introduced to separately classify surrounding objects. Additionally, to enhance the detection performance of domestic vehicles captured in CCTV footage, a separate dataset was compiled to improve object detection performance. When this system was applied to actual hit-and-run cases recorded by CCTV, it accurately detected the time of the accident and demonstrated a processing speed of over 27fps in HD resolution video.

      • KCI등재

        건강한 학교 공간을 위한 건축설계 전략 연구

        유용현,이윤규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23 청소년시설환경 Vol.21 No.3

        As an abundant body of studies and evidence base reveals the significant impacts of the indoor environment on occupant health and productivity, the health and well-being in the built environment has emerged as an important concern for those who spend most of their time indoors. School buildings are where school-age children and adolescents spend most of their time, and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conditions unique to this age group make them more vulnerable to negative environmental factor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rchitectural design strategies for healthy school spaces, focusing on spatial interventions to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the lifestyle changes that can be achieved through them. Comprehensive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was conducted to identify seven health themes focusing on the recurring and converging topics in the discussion of healthy schools, and where spatial interventions can be applied as a valid tool. Using this as a conceptual framework, a spatial methodology of design elements that translated to at least one of the seven health themes was established and presented as a set of architectural design strategies for healthy school spaces.

      • KCI등재

        국내 웰빙 중심 건축물 인증제도의 도입을 위한 기초 연구

        유용현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23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32 No.3

        As the evidence base reveals the multiple impacts of indoor spaces on human health, built environments that promote occupant health and well-being has become the imperative demands of our time. The growing interest in healthy building has led to an expansion of sustainability concepts in the contemporary urban and architectural discourses, as well as the emergence of new assessment tools that specifically designed to address these issu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ntent scope and features of health-related topics covered by well-being centric building certification schemes that have emerged within this background, and to establish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ertification criteria applicable in Korea. Incorporating the different organizational structures of the internationally accepted WELL and Fitwel standards, seven themes of indoor air quality, thermal comfort, visual and acoustic comfort, activity, healthy eating & drink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well-being that can be used to re-categorize the content of the two standards were identified through recurring topics in the academic literature. Adopting this as an analytical framework,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comparison of the detailed requirements of the two standards.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reference points and insights that contribute to the implementation of well-being-centric building certification scheme in Korea.

      • KCI등재

        고등학생의 과학영역 창의성과 일반창의성, 메타인지, 과학 정의적 특성과의 관계

        유용현,강유진,김지나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1

        This study evaluated problem finding and the generation of solving-ideas in ill-structured situations in the area of science by targeting high school students. It subdivides problem finding and the generation of solving-ideas into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levels. In addition, the correlations with general creativity, meta-cognition,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the area of science were examin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96 students from 3 high schools in a metropolitan city. Sixty-one students who had answered all the questionnaires consistently and faithfully were analyzed. The questionnaires included meta-cognitive tests, an affective domain assessment system related to national level science, a TTCT (Language)-A type test, and FPSP questions (questions related to space waste). The correlations among scientific creativity, general creativity, and meta-cognition were low. In addition, although the correlation between problem finding in scientific creativity and interest in affective characteristics appears relatively high, the correlation between problem finding in scientific creativity and scientific cognition appears low.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scientific creativity has domain specificity and that area cannot be explained by measured general creativity. Scientific creativity with respect to problem finding and the generation of solving-ideas in ill-structured situations in the area of science could not be explained by meta-cognition. Scientific creativity can be better explained through affective characteristics related to science. 이 연구는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 영역의 비구조화된 상황에서 문제 발견 및 해결아이디어 생성과 관련된 과학 영역의 창의성과 일반창의성의 관계, 과학 영역의 창의성과 메타인지 및 과학 정의적 영역의 특성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광역시 소재 3개 고등학교 96명을 대상으로 검사하였으며, 이들 중 모든 검사에 성실하게 응답한 61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도구는 FPSP 검사지, TTCT(언어 A형) 검사지, 메타인지 검사지, 국가 수준의 과학 관련 정의적 특성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과학영역 창의성과 일반창의성은 낮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과학영역 창의성과 메타인지 역시 낮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만 과학영역 창의성과 정의적 특성은 상대적으로 다른 영역에 비해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영역 창의성은 일반 창의성으로는 측정하기 힘든 영역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비구조화된 상황에서의 문제발견과 해결아이디어 생성과 관련된 과학영역 창의성은 메타인지로 설명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과학영역 창의성은 오히려 과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이 더 잘 설명해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브루탈리즘 건축의 증축을 통한 적응적 재생 방안에 관한 연구 - 미국의 리노베이션 사례를 중심으로 -

        유용현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7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9 No.1

        브루탈리즘은 전후시기를 대표하는 근대건축 양식으로 대담한 형태어휘와 거칠게 마감된 콘크리트의 미학은 브루탈리즘 건축의 특징이다. 또한 브루탈리즘의 이념과 건축에 대한 입장은 모더니즘 후기에 건축이론의 발전과 다양한 전환기적 담론의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오늘날 브루탈리즘 건축에 대한 평가는 극명한 대립의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그 철거와 보존의 문제는 첨예한 사회적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대립의 상황을 중재하는 대안적 패러다임으로, 증축을 통한 적응적 재생의 가능성을 다루고 있다. 논문에서는 브루탈리즘 건축의 양식적 특징 이면에 존재하는 보다 본질적인 보존 가치들을 재규명하고, 이를 현대적 규범과 요구에 맞춰 보존하기 위한 실천적 방법론으로 증축을 통한 적응적 재생 방식이 적용된 미국의 사례를 분석하여 그 양상과 특징을 포괄적으로 조망하고자 했다. 또한 리노베이션의 건축적 개입을 통해 형성되는 과거와 현재, 기존 건물과 증축 건물이 관계 맺는 양상을 비교함으로써, 이러한 관계 맺음의 개별적 양상에 대한 장단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term ‘Brutalism’ refers to a post-World War II Modernist architectural style, characterized by its bold yet compelling geometry and material aesthetics of rough, unfinished concrete. Brutalism became particularly prominent during the late 1960s and mid-1970s, and its approach shifted the vocabulary of Modern architecture away from the International Style’s formal dogma. Brutalism’s ideology along with its ethical attitude towards architecture influenced the theoretical development and the emergence of various architectural discourses in this shifting, late Modernism period. However, in spite of these contributions, Brutalism has not been properly evaluated, and the general public’s polarized opinion regarding its aesthetic makes many Brutalist building’s future extremely uncertain.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viability of adaptive reuse through addition, as an alternative paradigm for addressing this issue. Redefining the essential significant values of Brutalist architecture beyond its stylistic characters, this paper also investigates comprehensive aspects of this particular methodological approach through the case study of recently completed renovation works in the US. As critical and fundamental evaluation criteria, the way of engaging new addition with original design as well as the dialogue they created is comparatively analyzed to identify both advantage and drawback of each case.

      • KCI등재

        유럽 건축학교육의 디지털 디자인-빌드 스튜디오 사례 연구

        유용현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6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8 No.1

        건축의 교육 방식이 실천적 행위를 통해 건축술이 직접 전수되던 작업장의 도제 훈련에서 벗어나 학교라는 일정한 형식적 틀을 갖춘 제도권 안으로 들어온 이래, 건축에 있어 교육과 실무 사이에는 피할 수 없는 간극이 존재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스튜디오를 중심으로 하는 현재의 건축설계 교육에 있어서도 학문으로서의 대학교육과 건축의 실무적 특징들을 조율하는 것이 주요 과제로 제기되었다. 이 연구는 건축에 있어 교육과 실무의 격차를 극복할 수 있는 설계교육 방법론의 실천적 대안으로서 디지털 디자인-빌드 스튜디오 모델이 갖는 잠재성을 규명하기 위해, 이러한 교육 모델을 건축학교육에 성공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선구적인 유럽의 스튜디오 사례를 분석하여 각 프로그램의 특징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실무와 교육의 각기 다른 맥락에서 등장한 디자인-빌드의 개념과 기원, 교육 모델로서의 원형과 발전과정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미국의 디자인-빌드 교육 모델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전통적인 디자인-빌드 교육 모델은 디지털 프로세스로 대표되는 현대건축의 실무적 생산 방식의 변화에 따라 디지털 디자인-빌드 스튜디오 모델로 진화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는 현대건축의 다양한 스펙트럼 속에서 건축학교육의 목표와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응함과 동시에, 한국의 건축학교육 맥락에 적용할 수 있는 디지털 디자인-빌드 스튜디오 교육 모델을 모색하기 위한 시도로 그 의미를 갖는다. Since the pedagogical paradigm of architecture fundamentally shifted from the training of apprenticeship at the workshop environment to the formal institutional framework of school, there has been an inevitable rift between education and practice in architecture. Accordingly, it was raised as a major challenge to coordinate and reconcile practical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e with current design education in the studio based university setting. Based on a comprehensive survey of recent digital design-build programs in Europe, including in-depth interviews with program directors,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potential of this particular pedagogical model as a methodological alternative of architectural design education for mending the gap between education and practice.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emergence of design-build both in profession and academia, the conceptual origin of academic design-build, history of traditional design-build programs in the U.S. as well as the evolution of this unique education practice in response to rapidly changing, digitally driven contemporary architectural process. It will serves as a guide and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design-build studio model applicable into the context of architectural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미래 학습공간을 위한 건축디자인 접근 연구 - 로잔 보쉬의 6가지 설계원리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중심으로 -

        유용현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22 청소년시설환경 Vol.20 No.2

        본 연구는 미래사회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미래교육의 다양한 지향점을 재점검하여 미래교육이 천명하는 가치를 규명하고, 이를 실천하는 물리적 학습 환경으로서 다양한 교수·학습활동을 지원하는 학습공간의 구축을 위한 설계 접근 방향의 모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미래사회와 교육의 변화를 전망한 국내·외 연구와 문헌을 고찰하여 이들이 공통적으로 지시하는 미래교육의 지향점과 특징을 정리하였고, 선행의 연구자들이 제시한 미래의 교육 환경을 위한 설계 요소와 설계 방향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두 가지 측면의 이론적 맥락을 연결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의도하는 미래교육의 개념 및 가치와 공명하는 미래 학습공간 디자인 접근 방향의 키워드 도출을 시도하였다. 이후 연구의 구체적 대상으로 선정한 덴마크 출신의 건축가이자 디자이너 로잔 보쉬(Rosan Bosch)가 제시한 6가지 설계원리(6 Design Principles)를 키워드 도출을 통해 수립한 본 연구의 미래 학습공간 디자인 접근 방향을 개념적 틀로 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미래 학습공간의 디자인 접근 방향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로잔 보쉬의 6가지 설계원리가 적용되어 구축된 비형식적 학습공간이 간과했거나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미래 학습공간의 요구를 규명하였다.

      • KCI우수등재

        크리스토퍼 놀란의 영화에 나타나는 피라네지 공간에 관한 연구

        유용현(Yu, Yong-Hyun) 대한건축학회 2017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3 No.1

        The eighteenth century witnessed the emergence of various debates and polemics in aesthetical theory. In this shifting period, visionary architect, Giovanni Battista Piranesi explored the new spatial possibilities through the medium of engravings. He challenged the limits of classical language of architecture and its representational setup, and elaborately surpassed the boundaries to create a ground for new spatial conception. Integrating architectural fantasies as the means of formal analysis of space, his experiments produced a new notion of space which allows constant redefinition and infinite reinterpretations. Based on this constantly redefining nature and renewing capability of his idea, this study is intended to reinvent the concept of ‘Piranesian Space’ through the analysis of inherent characteristics represented in his etching Le Carceri. In an attempt to generate a link that connects Piranesi’s idea to contemporary spatial art, this study applies this concept of Piranesian Space as an analytical framework to examines the space in Christopher Nolan’s film Inception. Ultimat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elation extant between Piranesi’s thinking and contemporary architectural and spatial discour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